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통량 분산을 고려한 도시부 도로의 최소 교통량 조사지점수 산정 연구

        김진오(KIM, Jin Oh),홍다희(Hong, Da-Hee)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3 No.-

        본 연구는 도시부 도로에 대한 최소교통량 조사지점수 선정에 대한 연구이다. 국내의 교통량 조사는 지역간 교통량(고속도로, 일 반국도)에 집중되고 있어, 도시부도로(특별광역시도 및 시군도)에 대한 교통량 DB는 많이 부족하다. 또한 지역간 도로에 대한 교통 량 조사지점은 국토교통부의 「도로교통량조사지침」에 의거하여 지방도 이상의 교차점과 교차점 사이(다만, 교통량이 많은 군도와 고 속국도 진출입로를 포함)를 소구간으로 설정하며, 소구간마다 하나의 조사지점을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반면 도시교통정 비촉진법에는 선정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지자체 자체적으로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있다. 이처럼 지자체적으로 조사되고 있는 도시 부 도로의 교통량 조사는 지자체 예산의 한계로 인하여 모든 도로구간에 대한 교통량 조사는 불가한 상황이다. 따라서 한정된 예산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조사지점수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라 미국 HPMS에서 도로모니터링을 위한 표본추출 시 사용되는 AADT 그룹별 표본수 산정방법을 고려하였으며, 표본수를 최소 조사지점수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AADT 그룹별 표 본수를 알기 위해서는 모든 도로에 대한 AADT를 알아야하므로, 타도시에 비해 대체적으로 많은 지점에서 교통량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는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인천광역시의 경우도 총 조사구간에 대한 교통량 수집율이 30%에 불과하기 때문에 교통 량 부재구간에 대해서는 공간적 통계기법인 Kriging을 통하여 교통량을 추정하였다.

      • KCI등재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김정대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글은, 경남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이 시대’ 방언 조사·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시 대’라는 표현을 넣은 것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 방언이 급속도로 사라져 간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필자는 방언의 조사·연구가 그 대상에 따라 이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는데, 하나는 구술 발화에 대한 것이 고 다른 하나는 어휘·음운·문법에 대한 것이다. ‘이 시대’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제2장에 밝혀져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래 방언이 더 이상 사라지기 전에 양질의 구술 발화를 많 이 수집(녹음)하여 저장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국립국어원(2006)의 구술발화 부문과 같은 기존의 질문지를 참조하여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질문지로써 구술 발화를 조사하는 일이 유익하다는 점도 지적했고, 조사한 자료는 디지털 방식으로 안전하게 저장해야 함도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구술 발화를 조사할 때가 아니면 영원히 조사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문법자료나 어휘·음운 자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몇몇 예로써 소개해 두 었다. ‘이 시대’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 해는 제3장에 정리돼 있다. 이것들에 대한 조사 지점은 가능하다면 시· 군 단위가 아니라 면 단위로 좁힐 것을 힘주어 말했다. 그리고 그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산청·창원·창녕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면 단위, 혹은 마을 단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언어가 달라진 상징적인 예를 도표로 정리하고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두었다. 자료 조사와는 달리 ‘이 시대’ 어 휘·음운·문법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는 특별한 언급을 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앞선 연구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내용, 앞선 연구에서 지나쳐온 내용 등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함을 강 조했다. 그리고 늘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눈여겨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 운 자료들을 예의주시하여 늘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해 나가야 함을 암 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필자가 관심을 가졌던 몇몇 연구 주제를 정리하기도 했고, 최근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는 ‘이엉’과 ‘써근새’(썩은 이엉) 관련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 KCI등재

        방언조사방법론의 어제와 오늘

        임석규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토박이말은 현재 수없는 오염인자 속에 노출되어 있다. 상황이 어려울수록 방법론에 대한 모색이 중요하다. 조사방법에 따라 연구의 성패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방언조사방법론을 더듬어 보면서 몇 가지를 재차 강조한다. 첫째, 방언학의 어떤 하위 주제든 조사항목의 선정이 보다 정밀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대가 바뀐 만큼 70대 제보자에게서도 뚜렷한 방언적 특징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건강하면서도 연령대가 보다 높은 제보자를 찾아야 한다. 셋째, 방언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이른바 억양에 대한 조사방법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된다.

      • KCI등재

        일반국도 도로교통량 조사지점 개선방안 연구

        정도영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3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2 No.6

        The road traffic volume survey is a important data collection process us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road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a basis for various road and traffic studies. While general national road survey locations have been continuously improved since their initial selection, there is a need for further enhancement due to recent changes in road and traff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locations that require improvement in survey locations and prioritizing these areas to enhance the accuracy of future road traffic volume surveys. To develop this methodology, we reviewed the existing criteria and current status of survey location selection, as well as road and traffic-induced infrastructure projects. As a result, we identified a total of six types and provided recommendations for adding new survey locations and modifying/removing existing survey locations. Based on this review, we identified 476 locations where new survey locations are needed and 29 locations where modifications or removal of existing locations are necessary, resulting in a total of 505 locations requiring improvement. The use of these study results is expected to lead to the construction of more accurate and highly useful road traffic volume statistical data when survey locations are sequentially improved.

      • KCI등재

        중국의 조선어 방언 구술발화 조사 및 연구- 평안북도 방언화자를 중심으로-

        이금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2 No.-

        The study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which is in the crisis of extinction. The study also proposes the Pyeonganbuk-do materials which are typical during all the investigating materials until now, and then discusses the importance of oral utterance investigation materials as well as dialect features of relevant material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Korean dialect started from 1960s in China and mainly focused on the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with little study of oral utterance relatively. Because of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in the late 1970s and urbanization process, traditional Korean group residences became hollow rapidly and began to disintegra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 dialects, having transmission of for a long time, dissipated due to the inflow of South Korean. So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and record the materials which may cease to exist forever if we do not collect them right away. The oral utterance materials are the contents that native speakers spoke in a natural state so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the study of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but also in discourse study. The paper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and searches dialect features. I think it may be beneficial for foundation of dialect study by reviewing the distribution and aspect of investigation generally. Also, the stories of informant's life display the arduous history of Korean nation so they may be an import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방언 지도로 살펴본 강원도 영서 중・북부 지역 방언 조사에 관한 고찰

        박정모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 No.79

        In general, when it comes to Gangwon-do dialect, most people think of Yeongdong dialect encountered in the media. The characteristics of Yeongdong dialect, a tonal dialect, are intuitively prominent and impressive, making it imprinted on the public. However, not only the public but also related researchers a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dialect of Yeongseo, especially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Yeongseo (Chuncheon, Hwacheon, Yanggu, Inje, and Cheorwon). This can be seen only by checking the amount of performance of related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two dialect maps were used as basic data, in which not only dialect researchers but also the public can easily identify dialect, dialect area, and dialect compartment. By reviewing and comparing the two dialect maps, the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investigating dialects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Yeongseo, Gangwon-do, were divided into two parts: dialect survey method and dialect survey point setting.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preceding dialect survey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by conducting a regional-led dialect survey in both parts. This will soon be an important way to preserve dialects, local languages, and local culture.

      • KCI등재

        Investigation of Minimum Number of Drop Levels and Test Points for FWD Network-Level Testing Protocol in Iow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김용주,이호신,Jason S. Omundson 한국도로학회 2010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2 No.4

        In 2007, Iow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OT) initiated to run the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FWD) network-level testing along Iowa highway and road systems and to build a comprehensive database of deflection data and subsequent structural analysis, which are used for detecting pavement structure failure, estimating expected life, and calculating overlay requirements over a desired design life. Iowa’s current FWD networklevel testing protocol requires that pavements are tested at three-drop level with 8-deflection basin collected at each drop level. The test point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tested pavement section. However, the current FWD network-level program could cover about 20% of Iowa’s highway and road systems annually. Therefore, the current FWD network-level test protocol should be simplified to test more than 20% of Iowa’s highway and road systems for the network-level test annual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f the minimum number of drop levels and test points could be reduced to increase the testing production rate and reduce the cost of testing and traffic control without sacrificing the quality of the FWD data. Based upon the limited FWD network-level test data of eighty-three composite pavement sec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s of three different response parameters when the number of drop levels and test points were reduced from the current FWD network-level testing protocol. As a result, the production rate of FWD tests would increase and the cost of testing and traffic control would be decreased without sacrificing the quality of the FW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