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언어 작문에 미치는 정형 표현 학습의 영향: 원어민과 같은 선택과 유창성 발달 중심으로

        조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learners' corpus consultation of formulaic expressions in L2 writing. The Experimental Group (EG) studied the lists of formulaic expressions, while the Control Group (CG) learned the lists of individual words through learners' corpus consultation. After eight weeks of instructions, the EG and CG's writing processes and qualit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native-like fluency (writing fluency) and native-like selection of language use (writing quality).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 in native-like selection with noticeable outperformance by the EG. Native-like fluency showed no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 but the CG used more awkward expressions between pauses than the EG.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native-like selection and fluency do not necessarily develop concurrently in L2 writing, suggesting that native-like fluency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achieving native-like selection in L2 writing. 본 연구는 학습자의 코퍼스 분석을 활용한 정형 표현 학습이 제2언어 작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퍼스 분석 활동을 통해 실험집단은 정형표현을 학습하고 통제집단은 개별단어를 학습하였다. 8주간의 학습 과정 이후, 두 집단의 작문 과정과 작문 결과를 원어민과 같은 유창성(작문의 유창성) 및 원어민과 같은 선택(작문의 질)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원어민과 같은 선택의 분석 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상당히 높은 결과를 기록하였다. 원어민과 같은 유창성은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통제집단의 작문에서 어색한 표현들이 많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제2언어 작문 학습 과정에서 원어민과 같은 선택 능력과 유창성이 동시에 발달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원어민과 같은 제2언어 작문 능력을 갖추는데 있어 원어민과 같은 유창성이 충분조건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고급 제2언어 학습자 작문 과정의 평행 이벤트: 컴퓨터 작문에서 타자 중 고수준 문제 해결에 대한 개인적 차이에 관한 연구

        조혜영 ( Hyeyoung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2

        쓰기 과정은 서로 다른 담화 수준에서 지속적인 문제 해결을 수반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휴지(멈춤) 중에 처리된다. 그러나, 일부 고수준 문제는 전사(글을 쓰는 행위)와 병행하여 해결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평행 이벤트라고 한다. 평행 이벤트는 주로 L1 작문 과정에서 연구되었으며, 본 연구는 세 명의 L2 작문 과정에 대한 키스트로크(타자) 분석을 통해 L2 작문 과정에서 나타나는 평행 이벤트의 개인적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L2 작문에서 평행 이벤트는 주로 어휘적 수정을 위한 것이며, 그 다음으로는 텍스트 및 개념적 재구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평행 이벤트의 정도, 주요 기능적 특성 및 우세한 타이밍에 대한 주목할 만한 개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L2 작문 과정에 대한 분석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작문 과정의 개인적 차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riting process involves constant problem-solving at different discourse levels, which is commonly addressed during pauses. However, studies have found that some high-level problems can be solved in parallel with transcription, cases of which are called as parallel events (Alamargot et al., 2007). The parallel events have been primarily investigated in L1 writing context, and this study aimed to broaden the scope of research to include the L2 writing process and identify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L2 writers. This study discovered parallel events in writing process of three advanced L2 writers, suggesting that parallel events are not exclusive to L1 writing process.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parallel events in L2 writing are largely for lexical refinements, followed by textual and ideational restructuring. The writers showed noticeable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frequency, prominent functions, and dominant occurrence timing of the parallel ev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esent a new approach towards the temporal analysis on the L2 writing process and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writing process.

      • KCI등재

        챗지피티를 활용한 제2 언어 기초 학습자들의 교실 외 작문 과제 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조혜영 ( Hyeyoung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4 외국어교육연구 Vol.38 No.2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외국어 교육에서 챗지피티의 효과적인 활용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2 언어 기초 학습자들이 챗지피티를 활용하여 가정에서 수행하는 영작문 과제를 실시하고, 학습자 설문 및 챗지피티와의 대화 기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챗지피티 활용 외국어 작문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작문 과정은 단계별로 사전에 녹화된 영상을 통해 학습자들이 영상의 지시 사항을 수행하면 최종 단계에서 스스로 작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챗지피티는 작문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도록 지도하였다. 10주 간의 작문 활동 후, 학습자 인식 조사를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Likert 척도 질문에 대한 답변은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챗지피티 활용 작문의 장점, 다른 온라인 툴과 비교한 챗지피티의 상대적 가치, 사용상 문제, 어려움 및 부정적인 전망)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별로 학습자들의 주관식 설문에 대한 답변 및 챗지피티와의 대화 기록을 바탕으로 학습자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전반적으로 챗지피티 활용 외국어 작문에 대한 학습자들의 긍정적 인식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챗지피티의 즉각적인 응답은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여 다양한 작문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챗지피티가 제공한 정보의 신뢰성, 적절한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및 표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초 수준 학습자들의 챗지피티 활용 외국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 교육에 챗지피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논의가 촉진되기를 희망한다. Amidst the rapid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this study integrated ChatGPT into novice L2 writers’ take-home writing assignment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The writers used ChatGPT to receive feedback on their writing for revision. After ten weeks of the writing assignm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activity. The survey included Likert-scale questions assessing students' perceived benefits of using ChatGPT in their writing, as well as problems and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The survey results underwent factor analysis, supplemented by an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s and their ChatGPT chat history. The findings demonstrated overall positive perceptions on the use of ChatGPT for L2 writing, largely attributed to its interactive nature. ChatGPT's instant responses provided personalized feedback, addressing various writing issues and empower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writing independently. This appears to contribute to perceived improvements in L2 writing proficiency, learning autonomy, and confidence. However, concerns were raised regarding the reliability of ChatGPT-generated content, challenges in formulating questions, and issues of plagiarism.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L2 Proficiency Effects on the Use of Verb Bias Information

        김지현(Ji Hy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제2 언어 학습자가 영어 작문 과정에서 동사 편향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이 영어 능숙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은 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화자를 영어 능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직접목적어 편향, 등위 편향, 보문절 편향 동사를 이용한 문장 완성도 과제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두 그룹의 영어 학습자는 동사에 따른 직접 목적어 구조와 보문절 구조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가 낮은 제2 언어 학습자 그룹은 영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접목적어 구조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반대로 보문절 구조는 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에 따른 선호 구조와는 별개로 두 그룹 모두 각 영어 동사의 동사 편향 지수와 문장 구조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비록 영어 능숙도가 낮은 영어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문장 구조인 직접목적어 구조를 선호하지만, 이 선호도는 각 영어 동사의 문장 편향 정보를 영어 글쓰기 과정에서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2 proficiency affected how L2 learners used verb bias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production. Two groups of high proficiency and low proficiency L2 learners participated in a sentence completion task with direct object (DO) bias verbs, equi (EQ) bias verbs and sentential complement (SC) bias verb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L2 learner groups in the percentage of DO and SC sentence completions preferred for each verb type. The low proficiency group used more DO structures and fewer SC structures for all three types of verbs compared to the high proficiency group. However, despite the low proficiency group’s preference for the DO sentence structu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erb bias strength index of each verb and number of DO/SC sentence completions were found for both the low and high proficienc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low proficiency L2 learners generally prefer to use the structurally more minimal DO structure as opposed to the SC structure, they are sensitive to verb bias properties and are able to use this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production.

      • KCI등재

        Rating of Korean Students’ L2 Writing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Raters

        Lee, Seongyong,Choe, Hohsu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ating behavior of two native-speaking teachers and two Korean teachers of English when assessing forty essays written by Korean EFL students. Three research questions guided this study: (1) are there an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ir rating behavior in holistic scoring? (2) Are there an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ir rating behavior in analytic scoring? (3) And what factors are involved in these similarities or differences? Forty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their TOEFL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Their essays were evaluated by the four teachers based on the TOEFL writing scoring rubric using the six point scale. The teachers read each essay twice. They were first required to give overall scores; then, in the second reading, they provided analytic assessments for four subarea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any discrepancy in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between the two groups. Differences in holistic scoring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Korean teachers gave higher scores than did their native counterparts. With respect to analytic scoring, the Korean raters also gave higher scores in all subarea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in the holistic scoring. Interestingly, both groups gave the highest score in vocabulary, followed by grammar, content, and organization. A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all the teachers prioritized the logical flow of ideas and emphasized rhetorical features rather than linguistic features. Native teachers tended to score linguistic features based on native intuition. They also followed the Western writing convention in rating, while the Korean teachers applied the Korean rhetorical style. 본 논문은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영어작문평가 행위를 연구한 것이다. 원어민 교사 2명과 한국인 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미국 학부과정으로 유학을 준비 중인 대학생 40명의 토플 작문에 대하여 통합적 및 분석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토플작문평가 기준표를 사용하여 0에서 5점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이었다. 통합적․분석적 평가에 있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다. 통합적 평가에서 한국인교사들이 원어민교사들 보다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분석적 평가에서도 한국인 교사들이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고 그 차이가 통합적 평가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이었다. 분석적 평가의 항목별 점수를 보면, 두 집단 모두 단어, 문법, 내용, 구성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주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모든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논리의 흐름을 중시하고 내용과 구성을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점으로는 한국인 교사들은 단어사용과 문법 평가에 어려움을 겪은 반면, 원어민교사들은 직관에 따라 상대적으로 쉽고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어민 교사들은 영어작문이 요구하는 수사학 형식에 따라 채점한 반면, 한국인 교사들은 채점 과정에서 한국어 작문의 수사학 형식을 따르는 경향이 있었다. 교사들의 언어․문화적 배경과 교육적 배경이 영어작문 채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2언어 작문 수정에 미치는 알아차리기와 텍스트 재구조화의 영향

        김수현 ( Soo Hyo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텍스트 재구조화가 일반 쓰기 교정 피드백과 비교하였을 제2외국어 학습자의 영작문 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가 자신의 재고와 재구조화된 텍스트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것을 알아차리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대학원 수준의 학술 영작문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 2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초고-재고-비교-최종 수정의 4단계에 거친 작문 과정을 3주간 완성했다. 실험 결과, 텍스트 재구조화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가 일반 쓰기 교정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에 비해 많은 효과적인 수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식, 어휘, 담화 오류는 두 피드백 조건에서 서로 다른 수용량을 보였다. 학생들의 사고 구술 (think-aloud), 재고, 후속 보고서 데이터 분석에 의하면, 이 결과는 피드백의 이해도, 피드백 별 내재된 직접성, 학습자 개인차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실험은 또한, 텍스트 재구조화 피드백이 형식, 어휘, 구성 및 일관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중간 언어와 목표 언어의 차이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how reformulation as feedback in L2 writing compares to written comments with regard to effectiveness of subsequent revisions and what students notice while they compare their revisions to reformulation. Twenty-two ESL students in two graduate-level academic writing classes participated in a 4-stage writing task of composition, revision, comparison, and final revision, carried out over three weeks.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in the reformulation condition made a larger number of effective revisions compared to learners in the written comments condition. Also, form, lexical, and discourse errors showed different amounts of uptake in the two feedback conditions. Data from students’ think-aloud protocols, revisions, and reflective reports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had an impact on these results including comprehensibility of feedback, the inherent degree of directness in each type of feedback, and learner individual differences. In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the reformulated feedback helped students to notice the gap between their inter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in various areas of writing such as form, lexical errors, organization, and coherence.

      • KCI등재

        Investigating Voice in Korean EFL College Writing

        정선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concept of voice in L2 writing is related to how writers show their presence, identities, and assertiveness. Voice in L1 writing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nd has been found to be an important element that can influence writing quality. However, in L2 writing research, there is still a debate on the importance of voice in L2 writing instru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essay quali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2 writers’ use of vo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and essay quality. One hundred twenty-six essays from forty-two students enrolled in a practical English course in a university in Korea were collected and voice and essay quality were assessed. Results show that essay quality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oice. Furthermore, examples of how L2 writers expressed voice were analyzed to show the strategies of voice used by L2 writ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on addressing voice in L2 writing instruction.

      • KCI등재

        영작문 평가에 관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 비교연구

        이성용(Seongyo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학문적 글쓰기에 따라 작성된 소논문 채점에 대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평가자 집단 간 유사점 및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정체성 인식에 관한 두 집단의 차이와 그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원어민 38명과 한국인 43명의 교수가 응용언어학 전공 대학원생의 소논문 한 편을 대상으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을 시행했다. 특히 분석적 채점은 문법, 어휘, 내용, 구성 등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해 적용하였다. 또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저자 정체성 인식에 대해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t 검정을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이후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 각 4명을 대상으로 후속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 결과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총체적 채점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분석적 채점에서는 원어민들이 구성과 내용에서 엄격했던 반면 한국인들은 문법 영역에 엄격했다. 저자 정체성 인식과 평가에의 영향에서는 원어민 교수들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정체성 인식 항목에서는 유사점이 발견되었지만, 원어민들은 논문의 구조와 작성방식을 근거로 판단했지만, 한국인들은 영어 유창성과 전공지식의 깊이를 근거로 저자 정체성을 인식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전공 교수의 평가가 과거 작문훈련과 언어적 배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평가를 위해 개별 수업에 알맞은 채점표(rubric)를 만들어 학생들과 공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학술적 글쓰기에서 효과적인 저자 정체성 구축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assessing an academic term-paper written by L2 writer between native English-speaking (NES) and Korean professors. It further explo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ES and Korean evaluators on their perceptions of L2 writer identities. Methods 38 NES and 43 Korean professors rated the term-paper written by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pplied linguistics according to holistic and analytical scoring methods. The analytical scoring, in particular, included four language areas, such as grammar, vocabulary, content, and organiz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two groups on their perceptions of author identity. The results from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NES and four Korean professors to explore the factors of the survey result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scoring between the two groups. Still, in analytical scoring, the NES professors were strict in organization and content, whereas the Korean professors were strict in grammar.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author identity and their influence on evaluation, NES professo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Concerning the clues of their perceptions, the NES professors' judgment was based on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sis writing. In contrast, the Korean professors recognized the author's identity based on his English proficiency and the breadth of content knowledge.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fessors' ratings were influenced by the composition training they previously experienced and their language background. Thus, it suggests that content professors create a rubric suitable for individual courses for appropriate evaluation and share it with their students. It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training students to construct an effective author identity in academic writing.

      • KCI등재

        피드백이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송은(Lee, So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2언어 쓰기 지도에서 피드백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쓰기 피드백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방식으로 재분석하고 그 결과를 학술적으로 논의 하였다.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학술논문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본 연구를 위해 마련된 연구 자료 선별기준에 따라 총 23편의 선행연구들을 최종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우선 선정된 연구를 국내연구와 국외연구로 구분하고, 개별 연구에서 적용된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direct teacher feedback(교사의 직접 피드백), peer feedback(동료 피드백), indirect teacher feedback(교사의 간접 피드백)으로 분류하여 조작적 정의하고 피드백 유형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선별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적용한 교사의 직접 및 간접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작문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면, 동료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 작문능력 향상에 미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2 writing feedback practice o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L2 writing feedback. More than 500 studies on English writing feedback practice were collected and reviewed from January to March, 2019; 23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nalyses of the study. The selected studies were first divided into domestic stud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then,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eedback types that each study implemented, direct teacher feedback, peer feedback, and indirect teacher feedback.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teacher feedback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tudent writers’ English writing development while peer feedback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The analyzed studies have somewhat high heterogeneity regarding teacher feedback; however, they have low heterogeneity with regard to peer feedback. It is thought that such heterogeneity was caused by different types of assessments or assignments that the studies employed to evaluate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and their distinct evaluation standards.

      • KCI등재

        작문 유형화 연구의 국제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김혜연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2

        목적: 이 연구는 작문 분야 유형화 연구들이 어떠한 주제와 방법, 목적 하에 수행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체계적 문헌 고찰에 의거한 연구 절차는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흐름도 및 문헌 선정과 배제 기준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관련 분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1,026편의 연구물들을 수집한 후, 중복 제거, 1차 필터링, 2차 필터링의 단계적 선정 과정을 거쳤으며, 초록 및 원문 검토를 통해 작문 유형화 연구로 적절히 분류될 수 있는 연구물들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물에 대해 질적 내용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코딩이 이루어졌다. 결과: 연구 일반 차원으로는 연구방법론, 연구 참여자, 연구 주제, 연구 영역, 발행 연도의 5가지 기준 각각에 대한 코딩 결과가 제시되었다. 유형화 성격 차원으로는 유형 변수가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지, 분석의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하위 유형 사이에 질/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 등 3가지 기준에 따른 코딩 결과가 제시되었다. 결론: 코딩 결과 검토를 통해 작문 유형화 연구의 전반적인 분포와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후속 연구 설계 및 작문 교육적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