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 3문화 아이들(Third-Culture Kids: TCKs)의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이수경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ird culture kids in the aspects of cultural homeless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3 middle·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ial centers who had resided abroad more than one year.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lack of a cultural home, need for a cultural home. Second, older of age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corresponded to greater levels of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need for a cultural home. Besid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the students who have lived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5 years in Korea were the highes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firmed. So, if resilience of TCKs could be enhanced by improvement of protection factors,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be reduce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counseling Third Culture Kids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거주 관련 변인에 따라 문화적소속감 부재, 심리적안녕감, 적응유연성의 변인들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해 보고,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외에 1년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으며, 서울, 경기, 지방 대도시 소재 일반학교 및 국제 학교에 재학 중인 총 163명의 중·고등학생들로서, 2016년 4월~7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부재, 문화적 고향 필요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귀국 시기가 늦어질수록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필요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한국에 10년 이상~15년 미만 거주한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소속감 부재의 하위요인인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은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제 3문화 아이들의 적응유연성의 향상을 통해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켜 줄 것이라 추론해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제 3문화 아이들(Third-Culture Kids: TCKs)의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 :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이수경 ( Lee Soo-kyoung )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거주 관련 변인에 따라 문화적소속감 부재, 심리적안녕감, 적응유연성의 변인들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해 보고,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외에 1년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으며, 서울, 경기, 지방대도시 소재 일반학교 및 국제 학교에 재학 중인 총 163명의 중·고등학생들로서, 2016년 4월~7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부재, 문화적 고향 필요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귀국 시기가 늦어질수록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필요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한국에 10년 이상~15년 미만 거주한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소속감 부재의 하위요인인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은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제 3문화 아이들의 적응유연성의 향상을 통해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켜 줄 것이라 추론해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ird culture kids in the aspects of cultural homeless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3 middle·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ial centers who had resided abroad more than one year.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lack of a cultural home, need for a cultural home. Second, older of age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corresponded to greater levels of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need for a cultural home. Besid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the students who have lived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5 years in Korea were the highes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firmed. So, if resilience of TCKs could be enhanced by improvement of protection factors,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be reduce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counseling Third Culture Kid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귀국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혜정,남초원,이수경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returnee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in the aspects of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7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Pohang. The data was collected separately from both groups, defining returnee students as students who have lived abroad for at least one year of their growth period before the age of 18 (international age) and have returned for higher education. As the first research result, returnee students mark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in family and teacher support, the sub factor of social support; in controllability and positive attitude, the sub factor of resilience; and in autonomy, the sub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when analyzing the impact of resilience as a mediator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o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 for the returnee student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peer support and family suppor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teacher suppor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other hand, for the general students, resili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counseling returne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귀국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 간의 심리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귀국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 간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회복 탄력성의 차이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포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07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귀국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을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귀국 대학생은 만 18세 이전의 성장기에 1년 이상을 해외에서 거주한 후 대학 입학을 위해 국내로 다시 귀국한 학생들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첫째, 귀국 대학생이 일반 대학생에 비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지지와 교사지지, 회복 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통제성과 긍정성,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율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귀국 대학생은 친구지지, 가족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이 유의미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반면 일반 대학생의 경우 친구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이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논의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