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내륙 연안여객항로의 초쾌속선 등장에 따른 영향 및 시사점

        이호춘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추계

        제주 연안여객항로에서 2010년 7월에 노력-성산 항로에‘오렌지호’가 등장하면서 가속화되기 시작한 (초)쾌속선 급증 현상은 선사간 과열 경쟁으로 치닫는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전남에 집중되어 있는 제주항로들은 지자체간 경합 양상마저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제주항로에서의‘치킨게임’은 필연적으로 심각한 사회적 후유증을 남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표자료에서는 제주항로의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초)쾌속선 투입에 따른 제반 영향들을 살펴보고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응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목포-제주 해상물류 분석에 기초한 연안운송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김상현,김남철,김효철,이승희,Kim, Sang-Hyun,Kim, Nam-Chul,Kim, Hyo-Chul,Lee, Seung-Hee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4 No.3

        유럽 및 미국에서는 안전하며 환경친화적인 연안운송이 활성화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 연안운송에 의한 화물운송은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포-제주 사이의 해상화물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육상/해상 복합운송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목포 및 제주의 반출입 화물 현황을 조사하고 연안항로 및 여객 화물에 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철도-선박, 트럭-선박의 복합운송과 RORO선 연안운송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제주 항로에 대하여 RORO선을 활용한 연안운송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기술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In case of EU and USA, a short sea shipping and coastal shipping which are safer and environmentally better than road transportation are used widely. But a share of freight transport by a coastal transportation is extremely poor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kpo-Jeju intermodal transportation based on logistics analysis results. Firstly, we investigate a freight and passenger of a Mokpo-Jeju shipping route. And secondly, the intermodal transportations such as sea-train, sea-road, RORO ship system are investigated. Finally, we propose a coastal transportation system utilizing RORO ship system for Mokpo-Jeju shipping route and identify a technical feasibility of a coastal transportation system.

      • KCI등재

        연안자망 부이에 어구자동식별 장치 설치방안에 관한 기초적 연구

        허남희,강경범,구명성,김근형,김종범,좌민석,김준택,정주명,김병엽,김석종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19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5 No.4

        As a series of fundamental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identification monitoring system for fishing gear. Firstly, the study on the installation method of automated identification buoy for the coastal improvement net fishing net with many loss problems on the west coast was carried out. Secondly, the study was conducted find out how to install an automatic identification buoy for coastal gill net which has the highest loss rate among the fisheries. GPS for fishing was used six times in the coastal waters around Seogwipo city in Jeju Island to determine the developmental status and underwater behavior to conduct a field survey. Nex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in parallel on the type of loss and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fishing gear to be developed and the water transmitter. In the field experiment, the data collection was possible from a minimum of 13 hours, ten minutes to a maximum of 20 hours and ten minutes using GPS, identifying the development status and underwater behavior of the coastal gillnet fishing gear.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loss of coastal net fishing gear was in the following order: net (27.3%), full fishing gear (24.2%), buoys, and anchors (18.2%). The causes were active algae (50.0%), fish catches (33.3%) and natural disasters (12.5%).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allation method is to attach one and two electronic buoys to top of each end of the fishing gear, and one underwater transmitter at both ends of the float line connected to the anchor. By identifying and managing abnormal conditions such as damage or loss of fishing gear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potent algae and cutting of fishing gear, loss of fishing gear can be reduced. If the lost fishing gear is found, it will be efficiently collected. 이 연구는 어구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일련의 기초적인 연구로써, 1차적으로 서해안에서 유실문제가 많은 연안개량안강망 어구에 대한 어구자동식별 부이의 설치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2차적으로 연안어업 중에서 유실률이 가장 높은 연안고정자망 어구를 대상으로 어구자동식별 부이의 설치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서귀포시 주변 연안 해역을 중심으로 6차례 조업용 어구에 GPS를 이용하여 부설전개상태와 수중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어구의 유실형태 및 개발될 부이와 수중발신기의 수량 및 부착위치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현장실험에서는 GPS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을 최저13시간 10분에서 최대 20시간 10분까지 가능하였고 기초적인 연안고정자망 어구의 부설전개상태의 수중거동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는 연안자망 어구의 유실은 망지(27.3%), 어구전체(24.2%) 및 부표(부이),닻(멍)(18.2%)순으로 유실된다고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강한 조류(50.0%),어구절단(33,3%) 및 자연재해(12.5%) 순으로 응답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구자동식별 장치의 설치방안은 전자부이를 연안자망 어구의 양 끝단의 부표상부에 각각 1개씩 총 2개를 부착하고, 수중발신기는 닻과 연결된 뜸줄부 끝단에 각각 1개씩 총 2개를 부착함으로써, 강한 조류와 어구의 절단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어구의 파손이나 유실 등의 이상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구의 유실을 줄일 수 있고 유실어구가 발생할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수거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일본 태평양 연안의 Tokai, Tonankai 및 Nankai의 3연동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이 제주도 연안에 미치는 영향

        이광호(Lee, Kwang-Ho),김민지(Kim, Min-Ji),조성(Cho, Sung),김도삼(Kim, Do-Sa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4 No.4

        본 연구는 지진해일의 전파과정을 수치모의할 수 있는 비선형수치모델을 구축하고, 이로부터 최근 일본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리히터 규모 9.0의 Tokai, Tonankai 및 Nankai의 3연동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이 제주도 연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에 있어서는 천해역에서의 천수효과를 충분히 재현하기 위해 격자접속기법을 이용하였으며, 2011년에 발생한 동일본지진과 1983년 동해중부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에 대한 수치계산을 수행하여 수위변동, 전파시간, 침수계산 등에 대한 기존의 계산치 및 관측치와의 비교로부터 본 수치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3연동지진에 대한 수치모의는 지진해일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지진 발생으로부터 10시간 동안 계산을 수행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지진해일의 전파과정에서의 수위변동은 해저수심변화, 굴절, 회절, 반사 등의 영향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우리나라 제주도 연안에서는 사계항에서 1.6 m의 최대지진해일고가 추정되었다. This study proposed a two-dimensional horizontal numerical model based on the nonlinear shallow water wave equations to simulate tsunami propagation and coastal inundation. W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possible impacts of tsunami caused by the triple interlocked Tokai, Tonankai and Nankai Earthquakes on the Jeju coastal areas,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simultaneous Tokai, Tonankai and Nankai Earthquakes were created a virtual tsunami model of an M9.0 earthquake. In numerical analysis, a grid nesting method for the local grid refinement in shallow coastal regions was employed to sufficiently reproduce the shoaling effects. The numerical model was carefully validated through comparisons with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tsunami events by 2011 East Japan Earthquake and 1983 central East Sea Earthquake (Nihonkai Chubu Earthquake). Tsunami propagation triggered by the combined Tokai, Tonanakai and Nankai, Earthquakes was simulated for 10 hours to sufficiently consider the effects of tsunami in the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The numerical results revealed that water level fluctuation in tsunami propaga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water-depth change, refraction, diffraction and reflection. In addition, the maximum tsunami height numerically estimated in the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was about 1.6 m at Sagye port.

      • KCI등재후보

        제주연안 연산호 군락 산호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침구 디자인 개발 연구

        김희원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3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0 No.11

        Recently, coral mortality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designated as Korea's Natural Monument No. 442,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In this study proposes a bedding design that utilizes the formability characteristics of corals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to promote the diversity of corals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and their importance as a biological resource. In the theoretical review of this study, we analyzed bedding design case studies and found that bedding design motifs were dominated by natural objects and fewer motifs related to marine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case studies, we developed an original design that utilizes coral, a marine creature that is not commonly used as a bedding design motif, and combines it with modern bedding design trends. First, this study analyzed bedding design case studies and found that bedding design motifs were mainly natural objects, with fewer motifs related to marine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eveloped an original design that utilizes coral, a marine creature that is not commonly used as a bedding design motif, and combines it with modern bedding design trends. Next, a total of three sets of designs were proposed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case study and the analysis of the formability characteristics of corals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in the theoretical review.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obtain a variety of design results that utilize the formability characteristics of corals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to appeal to the bedding textile market. We hope that the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formability characteristics of corals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and the current state of bedding design, will contribute to the spread of the value of preserving the ecosystem of the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which is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vironmental issue, and that it will develop into a bedding design that meets social needs and is competitive with modern bedding design trends.

      • KCI등재

        제주연안 육상양식장 밀집지역 주변해역의 영양염 과잉 요인

        고혁준,박성은,차형기,장대수,구준호,Koh, Hyuk-Joon,Park, Sung-Eun,Cha, Hyung-Kee,Chang, Dae-Soo,Koo, Jun-H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4

        제주연안선 부근에 밀집된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격월로 총 12회 조사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해역에서 연중 영양염의 분포는 염분과의 관련성 없이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에 의해 영양염의 농도가 조절되어, 연안에서 외해역으로 갈수록 농도구배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용존무기질소의 경우는 배출구와 인접한 해역에서는 부영양상태로 인에 비해 질소가 과잉되고 있었다. 유기물의 분포는 담수유입량이 증가하는 고수온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변화는 애월 및 행원해역은 담수유입과 관련된 기상요인(기온 및 강우), 표선 및 일과는 영양염의 인위적 공급요인(양식장 배출수)에 의한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출구로부터 직선거리 약 300 m 및 수심 10 m이내 해역의 표 저층에서는 고영양염 농도 분포가 지속되고 있어, 부영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 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육상양식장의 운영 시 취수지점이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에 위치할 경우 사육수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SPM, DIN, DIP, silicate, TN, TP, and chlorophyll-a) in the coastal area of Jeju, Korea, adjacent to aquaculture ponds (Aewol-ri, Haengwon-ri, Pyosun-ri, and Ilkwa-ri). Data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February 2010 to December 2011.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dentified three major factors controlling variations in water quality during the sampling period. Aquaculture effluent water led to large changes in nutrient levels. The highest nutrient values were observ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relatively larg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t the sampling stations coupled with sea area runoff events during the summer rainy period. Variation in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mainly driven by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coastal areas of Aewol and Haengwon. In the coastal areas of Pyosun and Ilkwa, pollution was caused by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discharge of aquaculture effluent water.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at the majority of the coastal stations indicate eutrophication of coastal waters, especially within a distance of 300 m and depth of 10m from drainage channels. Coastal eutrophication driven by aquaculture effluent may be harmful inshore. Events such as eutrophication may potentially influence water pollution in aquaculture ponds when seawater intake is detected because of aquaculture effluent water.

      • KCI등재

        연안 대수층의 해저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유량 평균 유출량 방정식의 적용

        김일환,김민규,정일문,정교철,장선우 대한지질공학회 2023 지질공학 Vol.33 No.1

        Water supply is de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coastal and island regions are highly dependent on groundwater, reducing the amount of available water.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in coastal and island region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iagnose the current condition and efficiently distribute and manage water. For a precise analysis of the groundwater flow in the coastal island region,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was calculated for the Seongsan basin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Two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the thickness of the fresh groundwater. One method employed vertical interpolation of measured electrical conductivity in a multi depth monitoring well; the other used theoretical Ghyben-Herzberg ratio. The value using the Ghyben-Herzberg ratio makes it impossible to accurately estimate the changing salt-saltwater interface, and the value analyzed by electrical conductivity can represent the current state of the freshwater-saltwater interface. Observed parameter was distributed on a virtual grid. The average of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fluxes for the virtual grid was determined as the watershed’s representative flux.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and flux distribution by year were also calculated at the basin scale. The method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estimated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from 2018 to 2020 to be 6.27 × 106 m3/year; the method using the Ghyben-Herzberg ratio estimated a discharge of 10.87 × 106 m3/year.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policies that determine sustainable water supply by using precise water budget analysis in coastal and island areas. 기후 변화에 따라 용수 공급량은 줄어들고 있으며, 해안 및 도서지역은 지하수의 의존도가 높아 활용 가능한 용수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 지속가능한 해안 도서 지역의 물 공급을 위해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효율적인 용수의 배분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해안 도서 지역의 지하수흐름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제주 동부의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중요 매개변수인 담수층의 두께의 산정은다심도 관측공에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수직적인 보간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과 Ghyben-Herzberg의 이론적인 비율을 이용하여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Ghyben-Herzberg의 비율을 사용한 값은 변화하는 담-염수 경계면의 정밀한 추정이 불가능하며, 전기전도도로분석한 값은 담-염수 경계면의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매개변수는 가상의 격자에 분포시키고, 각각의 격자에 대한 해안 담지하수 유출 유량의 평균을 유역 대표 유량으로 결정하였다. 유역 규모의 연도별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과 유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2018년에서 2020년까지의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은 전기전도도로 추정한 담수층의 두께를 적용한 방법은 6.27 × 106 m3/year, Ghyben-Herzberg의 비율을 적용한 방법은 10.87 × 106 m3/year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낸 결과는 해안 도서지역의 정밀한 물수지 분석 등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용수의 공급을 결정하는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