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가격제시순서(오름/내림차순)와 정보처리목표 점화가 가격지각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박태희,김재휘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The study investigated processing goal and price presentation on perceived price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Processing goal will moderate price judgement process of price presentation order. Specifically, price judgement process assimilation effect is observed, when processing goal is generalization, however when processing goal is discrimination, price perceptions are influenced by contrast effect. This progress goal will be influence price presentation order. In study1 the effect of goal progress and presentation price order was examined.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randomly distributed in the 2(progress goal: generalization vs. discrimination) X 2(price order: ascendign vs. descending) between-subjects experiment. The result of study 1 show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rogress goal and price order. They find that reference point influence of presentation price order is more effective when goal progress is distribution, however, the influence of reference price is decrease when goal progress is generation. In study2. focal price perception by progress goal is contrast and assimilation effect. The design was processing goal(discrimination vs. generalization) by price context(control, mean shift, endpoint shift), with seven price rated. The result of study2. they find that assimilation effect when the processing goal was generalization and contrast effect when the processing goal was discrimination. 본 연구는 구매 전, 최종적으로 고려한 대안을 다른 제품과 가격 비교하는 상황에서 가격제시 순서와 제품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이 가격판단과 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처리과정에서 활성화되는 처리목표(변별/일반화)는 이후에 판단하는 가격정보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격제시순서에 (내림/오름) 따른 효과를 조절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따라서 연구1에서는 2(처리목표 활성화 :변별/일반화) X 2(가격제시순서 :내림/오름) 집단 간 설계가 되었다. 분석결과, 변별처리 목표가 활성화 될 때, 가격제시순서로 인한 준거가격의 효과가 더 커지는 반면, 일반화처리 목표가 활성화 될 때는 가격제시순서에 따른 준거가격의 효과가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일반화처리 목표가 활성화 될 때 보다 변별처리목표가 활성화 될 때, 내림(오름)차순 에서는 고가격에 대한 준거가격의 효과로 인해, 타깃가격을 더 낮게(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가격지각이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깃가격을 낮게 지각한 내림차순에서 더 고가격대의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2에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보를 통해 처리목표 활성화에 따른 효과차이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변별처리 목표와 일반화처리 목표가 활성화 되는데, 이러한 처리목표의 효과는 준거가격을 기준으로 일반화처리-동화효과, 변별처리-대조효과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2에서는 제품정보를 제시하여 처리목표를 활성화 시킨 뒤, 실제로 동화 대조효과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가정한대로, 일반화처리목표가 활성화 됐을 때, 동화효과가, 변별처리 목표가 활성화 됐을 때, 대조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가격 제시순서 효과와 제품의 추가속성 선택

        이성근,이성훈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Tiis study is to suggest some research propositions based on the price presentation order effect and on the add-on features. Suk et al(2012) insisted that price presented by descending order raise up the store sales. Their idea started from simple theory called 'price-quality relationship' . They thought that consumer would choose higher price brand worrying the loss of quality comapred to the quality when price is presented by descending order. We applied the alignable features concept(Bertini et al., 2009) to the price presentation effect order. Many stores sell only one brand with many trims. Their trims can be differentiated by their alignable features. Thus consumers judge the product quality by alignable features. If we apply the price presentation order effect in the stores selling one brand with many trims, the sales amount will be raised somewhat when the prices are presented in a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trims. We proposed some propositions regarding the price presentation order effect and alignable fetures but did not test them because of the environment of research. 소비자의 선택 의사결정에는 가격 제시순서, 추가 속성, 소비자 지식이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는 소비자의 가격-품질 지각과 관련된 품질의 한 유형으로 제품의 추가 속성을 고려하고, 가격 제시순서가 추가 속성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며, 이러한 가격 제시순서와 추가 속성 선택 간의 관계에 소비자 특성의 한 측면인 소비자의 제품 지식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추가 속성은 정렬가능성(alignability)에 따라 정렬가능한(alignable) 추가 속성과 정렬불가능한(nonalignable) 추가 속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추가 속성은 범위효과(range effect)나 후광효과(halo effect)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격 제시순서가 전체 추가 속성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추가 속성의 정렬가능성 유형에 따른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가격 제시순서와 추가 속성 선택 간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특성, 특히 소비자의 제품 지식은 조절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가격 제시순서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와 추가 속성 선택에 대한 선행연구는 모두 소비자 지식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예를 들면, 제품지식 수준이 낮은 소비자에게 가격 제시순서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 지식은 가격 제시순서와 추가 속성 선택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소비자의 추가 속성 선택에 가격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가격 요소를 제외한 추가 속성의 선택에 대한 연구는 현실 상황에서 소비자가 직면하는 선택 의사결정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가 속성 선택에 가격 요인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주재료와 최종제품의 정보제시 순서가 여성 표적 제품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보처리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정민,박은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2 No.4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tential interaction effect of information order and gender on attitude toward final product. More precisely, when consumers evaluate a female-targeted product, men tend to hav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final product when the raw material is presented first than when the final product is presented first. On the other hand, women generally do not respond differently to different information order because the product is familiar to them. Processing fluency has been suggested as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this process occurs. We tested the proposed interaction effect in two laboratory studies. In study 1, in which participants evaluate a soap made from olive oil,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formation order and gender on product attitude. Study 2 replicates the information order and gender interaction effect using a different product stimulus (i.e., almond milk). The results show that the observed effect is mediated by an increase in processing fluency, which was also verified. The result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respond to time-laden information order-related gendered products and highlight implications for marketers seeking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communication. 본 연구는 정보의 제시 순서 효과가 소비자의 정보처리 습관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자들이 친숙하고 관용적으로 익숙한 순서로 정보를 처리할 때, 정보처리 유창성을 느끼며, 대상에 대하여 호의적으로 평가하게 될 것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주재료와 최종제품을 순차적으로 모두 제시하는 상황에서 그 제시 순서에 따라 제품의 평가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며, 동일한 정보들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정보의 제공 순서를 달리 조작함으로써 소비자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다루었다. 특히, 본 연구는 특정 성별(여성)을 표적으로 하는 제품을 평가하는 상황에서 앞서 예측한 결과를 검증하였으며, 이 결과는 제품 친숙도를 대표하는 성별에 의해 조절됨을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올리브 비누를 이용하여 앞서 제안한 주재료와 최종제품의 제시 순서와 성별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남성 소비자는 주재료가 먼저 제시되고 최종 제품이 나중에 제시되는 경우 그 역순으로 제시되는 경우보다 제품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한 반면, 여성 소비자는 정보의 제시 순서에 의해 제품 평가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실험 2는 아몬드 밀크를 자극물로 사용하여 실험 1의 결과를 다시 검증하였고, 이러한 영향력이 정보처리 유창성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의 제시 순서가 소비자의 지각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마케팅 상황에 적용하고 영향력을 고찰했을 뿐 아니라 특정 성별을 표적으로 하는 제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성별을 제품에 대한 친숙성의 조작화 변수로 활용하여 조절 효과를 검증했다는데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논문의 결과는 성별을 기반으로 표적을 확대할 때, 정보의 제시 순서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실무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장향실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본고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시 순서란 발음 교 육에서 교수-학습의 대상이되는 내용 요소들의 배열 순서를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음절로 묶여발화되는 음운 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리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각 음운의 제시 순서를 설 정하기에 앞서 설정 기준을 수립하였는데, 하나는 학습의 용이성이고, 또 하나는음운의 체계성이다. 학습의 용이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교수자의설명이 쉬워 학습이 용이한 경우이고, 또 하나는 목표어의 음운 자체가 인식하고 산출하기 쉬워 학습이 용이한 경우이다. 전자를 위해서는설명이 명확 하고 간결해야 하고, 후자를 위해서는 목표 음운이 학습자에게 쉬운 음운이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들을 반영하여 음운의 제시 순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단모음의 제시 순서는 <ㅏ→ ㅓ → ㅗ → ㅜ → ㅡ → ㅣ → ㅔ/ㅐ>이고,이중모음의 제시 순서는 <ㅑ → ㅕ → ㅛ → ㅠ → ㅖ/ㅒ → ㅘ → ㅝ → ㅟ → ㅞ/ㅙ/ ㅚ → ㅢ>이다. 초성 자음은 <비음 (ㅁ → ㄴ), 유음 (탄설음[.]) → 파열음 (ㅂ, ㅍ, ㅃ → ㄷ, ㅌ, ㄸ → ㄱ, ㅋ, ㄲ) → 파찰음 (ㅈ → ㅊ→ ㅉ) → 마찰음 (ㅅ, ㅆ, ㅎ)>순, 종성 자음은 <7종성의 불파음화 → 평폐쇄음화 → 자 음군 단순화>의 순이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consonantsand vowels in the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or foreigners. Theorder of presentation means the arrangement of content elements which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On this thesis, the study separately carried out researching on consonantsand vowels as the onset, as the nucleus, as the coda of syllables. And also,it studied on the basis of the facility of learning and the phonologicalsystemicity. The facility of learning could be explained to two differentaspects. First, it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teacher’s explanation aboutthe pronunciation for learner. Second, it is easy to understand thephoneme of target language and produce it. Because of these sides, thelearner can easily learn the target language. For the former, theexplanation is simple and articulate. And the latter, the phoneme of targetlanguage is easy to understand for the learner. This thesis deduced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phoneme on the basisof above criterions. As a result,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monothongis as follows; <ㅏ→ ㅓ → ㅗ → ㅜ → ㅡ → ㅣ → ㅔ/ㅐ>, and that withdiphthong is as follows; <ㅑ → ㅕ → ㅛ → ㅠ → ㅖ/ㅒ → ㅘ → ㅝ → ㅟ→ ㅞ/ㅙ/ㅚ → ㅢ>. The order of consonants as the onset is as follows;<nasal(ㅁ → ㄴ), lateral(flap [.] in onset) → plosive(ㅂ, ㅍ, ㅃ → ㄷ , ㅌ, ㄸ → ㄱ, ㅋ, ㄲ) → affricate(ㅈ → ㅊ → ㅉ) → fricative(ㅅ, ㅆ, ㅎ)>, and that of consonants as the coda is as follows; <unreleased of seven soundsin syllable-final → unreleased phenomenon → syllable- final consonantcluster simplifi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 연구

        유소영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1

        This study began with a worry over, how th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would be presented with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eign learners who are native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should not only have the general curriculum modified, but the starting point of the teaching of Hangul should also different. A native speaker of the target language in the education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will be taught literal education, while students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will be taught Hangul as well as and pronunciation education is to be made at the same time. Therefore, presenting a flowchart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nd pronunciation, literacy training taking place at the same time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t literacy centers will be different. In this stud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18 kinds of textbooks developed for training in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were presented and examined. The current textbook presented in alphabetical order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an effective review and suggestions to the problems. In this discussion, pronunciation and text at the same time without removing the case to faculty and learners assume Hangul alphabet is easy to learn in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the proposal. In other words,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manner of articulation is easy to understand and learn when presented. Through education of the sound and characters of Korean Hangul together for Korean learners as foreigners can easily give a sense of stability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and Korean textbooks for developers considering acces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한글의 자모를 어떤 순서로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한글 자모 교육에서도 그 출발점이 다르다.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에서의 한글 자모 교육은 문자 교육이 될 것이고,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글 자모 교육은 문자 교육과 발음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글의 자모 제시 순서도 문자 교육과 발음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은 문자 교육 중심인 국어교육과 달라야 할 것이다.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개발된 교재 18종에서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교재 내에서 자모 제시 순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자모 제시 순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의는 발음과 문자를 분리하지 않고 동시에 교수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학습자들이 습득하기 쉬운 한글 자모의 제시 순서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이해하고 습득하기 쉬운 순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한글의 소리와 문자를 쉽게 습득할 수 있다는 안정감을 제공해 주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한국어 교재 개발자에게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어 통합교재의 음소 제시 양상 연구

        안주호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s of presenting Korean phonological system in newly published Korean textbooks for the last 10 years and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integrated textbook, <Introduction to Korean> is an introduction to the whole phonological system in Korean, so it is an essential part to review. First, <Introduction to Korean> presents Hangul language and pronunciation education part in all textbook except 『Ewha Korean language』 as a unit outside the unit. Second, the phonemes suggested in the textbook are generally 19 consonants and 21 vowels in total, 40 of which are presently used. Third, the presentation style of vowels is a method of presenting in the order of the alphabet of Hangul (alphabet), a method of phonological system, a method of presenting in the order of 'monophthong → diphthong', and a compromise method. Since learners need to learn Hangul, which is a character, and learn the sound of their own language, it is desirable to make compromises in terms of learning efficiency. Fourth, there are cases where the vocabulary related ter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extbooks. Fifth, there are three methods for presenting consonant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it is suggested to present them as ‘ㄱ ㄷ ㅂ ㅅ ㅈ → ㅋ ㅌ ㅍ ㅊ ㅎ → ㄲ ㄸ ㅃ ㅆ ㅉ → ㅇ ㄴ ㅁ ㄹ’. Sixth,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sign of the sound. Using international voice symbols, it is possible to express relatively accurate and standard sounds, but most of the learn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because they do not have background knowledge about international voice symbols. Fourth, there are cases where the vocabulary related ter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textbooks. 이 글은 2007년 이후 새롭게 발간되어 현재 다수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통합교재를 대상으로 교재론의 관점에서 한국어 음소의 제시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통합교재에서 <한글 입문편>은 한국어 음운체계 전반에 대한 소개를 하는 부분인데, 이 글에서는 교재론의 관점에서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와 방법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려고 한다. 분석 결과 첫째, <한글 입문편>은 『이화 한국어』를 제외한 모든 교재에서 한글 자모 및 발음 교육 부분을 단원 외 구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운으로는 대체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음 19개, 모음 21개로, 모두 40개이며, 제시 방법이 주로 ‘단모음 → 자음 1→ 이중모음 → 자음 2’의 순이라는 것은 공통적이나 세부적으로 보면 설명과 제시 순서에서 큰 차이가 있다. 셋째 모음 제시 양상은 문자로서 한글의 자모(字母) 순으로 제시하는 방식, 음운체계 방식을 택한 것으로 ‘단모음 → 이중모음’의 순으로 제시하는 방식, 절충 방식 등으로 되어 있는데,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문자인 한글도 학습해야 하고, 자모의 음가도 학습해야 하므로, 학습의 효율 면에서 절충안이 바람직해 보인다. 넷째, 교재마다 모음과 자음에 대한 설명에서 다른 용어가 사용되기도 하며, 음가를 표기하는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다. 다섯째, 자음을 제시할 때는 세 가지 방식이 이용되는데, 모음과 같이 한글맞춤법에 따라 한글 자모식으로 배열하는 방법과 음운적 차원에서 제시하는 방식, 절충식 등이 있다. 학습의 효율과 한글의 특성, 한국어 자음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ㄱ ㄷ ㅂ ㅅ ㅈ → ㅋ ㅌ ㅍ ㅊ ㅎ → ㄲ ㄸ ㅃ ㅆ ㅉ → ㅇ ㄴ ㅁ ㄹ’로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자음의 음가 표기에서도 매우 큰 차이가 있었는데, 국제음성기호를 활용하면 비교적 정확한 음가를 표기할 수 있지만 학습자들 대부분이 국제음성기호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계에서 현실적이고 표준적인 음소 제시 방안과 음가 표기 방식에 대한 표준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전구의 연결에서 현상제시 순서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황명수,권재술,김중복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7

        We found a cognitive conflict that depended on the sequence of a phenomenological demonstration by analyzing the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and the types of students' responses according to the presenting orders for series and parallel connections of electric light bulbs. When the parallel connection was first, the score in cognitive conflict was higher than it was when the series connection was first. Also, we found that earlier representation of questions different from students' prediction was more efficient for causing cognitive conflict than earlier representation of predictable questions. Students who first answered questions about series circuit and then parallel circuit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connections more easily than students who answered questions in the opposite sequencedid. However, students experiencing the parallel connection first tried to find more scientific reasons in mixed-connection questions. Presenting a parallel circuit before a series circuit turned out to cause higher cognitive conflict. 전구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의 제시 순서를 달리할 때, 인지갈등 정도와학생의 반응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현상제시 순서에 따라 다른 경향이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구의 직렬연결보다 전구의 병렬연결을 먼저제시하는 것이 인지갈등 정도가 더 높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예상에 맞는문제를 먼저 제시하는 것보다 학생들의 예상과 다른 문제를 먼저제시하는 것이 인지갈등을 일으키는데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직렬연결을 먼저 풀고, 병렬연결을 나중에 푼 경우가 그반대순서보다 연결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쉽게 인식했다. 하지만, 처음병렬연결을 경험한 학생들은 혼합 연결 문제에서 과학적 이유를 더욱 더찾으려고 시도했다. 직렬연결을 제시하기 전에 병렬연결을 제시하는 것이인지 갈등을 더 높이는 전략으로는 더욱 효과적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어미 제시순서에 대한 연구

        안주호 배달말학회 2004 배달말 Vol.34 No.-

        이 글에서는 한국어 문법교육의 핵심적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어미의 제시순서에 대해 알아보았다. 2002년 조성된 국립국어연구원의 자료를 중심으로, 여기에 구어자료를 보충하여 실제 쓰이는 어미의 빈도수를 파악하여 보고, 한국어교육에서 어미를 제시할 때 어떤 순서로 제시함이 효율적인가에 대한 논의를 하였는데, 그 기준으로 삼은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빈도수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활용도가 높은 것부터 제시해야 한다. 셋째, 제약이 적은 것에서 제약이 많은 것으로 제시해 나간다. 넷째, 중심적인 의미기능을 가진 것부터 주변적 의미기능을 가진 것으로 제시해 나간다. 다섯째, 문법형태소를 분석적으로 나누지 않고 종합적으로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구어와 문어의 비중을 적절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discussing the presenting sequence of suffix, which is a critical part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fter studying the status and objective of grammar education in native language education for the Koreans 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lthough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iffer in their respective objectives and targets, they need to be complementary because they are based on the same language. Particularly, unlike in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in which grammatical elements are exposed to excessively strict grammatical analysis, it is desirabl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to take more comprehensive and integral attitudes. The suffix system also, which is analytically studied in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should better be approached integr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le maintaining its fundamental frames. Therefore, the ending is divided into pre-sentence suffix, sentence suffix, conjunctive suffix, nominalizer suffix, and adnominal suffix. This paper,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literary data and of the colloquial data, investigated the suffix frequency and discussed the presenting sequence of suffix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riteria used here include: (1) from the highest usage frequency, (2) from the highest utility, (3) from those less restricted by syntactical and morphological constraints, and (4) from those having central, implicative function. The last criterion considered here was that a prop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weights of the spoken and the written languages

      • KCI등재후보

        주요 학습문제의 제시 순서가 자폐성 아동의 읽기 및 말하기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조영자,윤치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언어 읽기교육에서 본문내용과 관련된 주요 학습문제가 본문을 읽기 전ㆍ후에 제시되는 순서에 따라 자폐성 아동의 읽기 및 말하기 정확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서장애 특수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여섯 명의 자폐성 아동을 대상으로, 10세 아동 수준의 어휘와 문장길이를 기준으로 본문내용을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주 5회씩 4주에 걸쳐 총 20회 실시하였다. 1주와 3주에는 본문내용을 먼저 <읽기>를 하도록 하고 본문관련 주요 학습문제에 <말하기>를 하도록 하였고(가 형), 2주와 4주에는 본문관련 주요 학습문제를 먼저 제시한 후 <읽기>를 하도록 하였고, 그다음 주요 학습문제에 <말하기>를 하도록 하였다(나 형). 그 결과, 본문내용을 읽기 전ㆍ후의 주요 학습문제 제시순서에 따른 자폐성 아동의 본문 읽기 오류와 말하기 정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본문 내용을 읽기 전에 주요 학습문제를 제시하는 순서(나 형)가 나중에 제시하는 순서(가 형)보다 읽기의 오류가 적게 나타났고, 말하기 정확성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리 암시를 받고 머릿속으로 학습과제를 추측하도록 유도한다면, 아동이 글을 읽는데 더 주의를 기울이며, 문장을 더 정확하게 읽을 뿐만 아니라 본문 내용에 대한 이해와 말하기 정확성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sentation order of focus questions connected with text on reading and speaking accuracy for autistic students. The subjects were 6 autistic students being in the special school for emotional disord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handled by the SPSSWIN 11.0. The results were process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n were verified by paired sample t-test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sentation order of focus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s of students' reading error across presentation or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e category of reading error. 2. The differences of students' speaking accuracy across presentation or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presentation order of focus questions is considered to educate autistic students in language learning.

      • Effect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Timing and Problems Sequencing for Novice Learners

        HyeonAe Sim(심현애)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원정보 제시 시기와 연습문제 순서화 전략이 복합적인 내용을 다루는 초보자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초보 학습자를 위한 학습자료 개발에는 인지부하이론과 4C/ID 모형을 바탕으로 설계 전략이 적용되었다. 독립변인은 지원정보 제시 시기와 연습문제 순서화였다. 지원정보 제시 시기는 연습 이전에 제시하는 방법과 연습 도중에 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습문제 순서화는 내용 유형별로 완성된 예제를 공부하고 전통적 문제를 해결하는 구획화된 순서화 방법과 완성된 예제 및 전통적 문제 안에서 내용 유형이 규칙 없이 제시되는 무작위 순서화 방법이 적용되었다. 종속변인은 인지부하, 효과성 및 효율성이었다. 연구 대상은 교수 설계 초보자인 예비교수자 135명이며, 4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참가자들은 초기 2주 동안 교수설계 수행과정에 의거 교수목표 분석과 수행목표를 진술하는 것을 공부하였다. 교수목표 분석과 그에 적합하게 수행목표를 진술하는 것은 예비 교수자들에게 복잡한 학습내용이며, 참가자들은 이 영역의 초보 학습자들이었다. 후반 2주 동안에는 웹기반 자료에서 제시되는 문제를 가지고 초반에 학습했던 것을 연습하였다. 연구결과, 연습 도중 및 사후검사 수행시 인지 부하, 개념획득 및 규칙적용의 효과성 점수, 그리고 연습 효율성 및 수행 효율성에 각각 미치는 영향이 분석·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sentation timing of supportive information and sequencing of practice problems in complex cognitive task practice for novice learners. Assumptions about the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4C/ID model were applied as a rationale for the treatments that facilitate learners to manage their cognitive load, which occurs when novice learners practice complex cognitive tasks. Independent variables were presentation timing of supportive information and sequencing of practice problems. Supportive information was presented in two ways of before practice versus during practice. Problems were presented in two way with blocked versus random sequencing. 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load, learning effectiveness and learning efficiency. The subjects were 135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e novice learner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y studied how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state the performance objectives during the first two weeks then practiced the learned during the second two weeks. Results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cognitive load during practice and test, learning effectiveness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rule application, and learning efficiency of practice and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