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의 제도적 의미와 이론적 의미의 구분과 논거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최성욱(Choi, Sungw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1

        ‘고등교육’은 대학 이상의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가리킨다. 상급기관에서 시행하는 교육이므로 그 수준은 당연히 높은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항상 고급의 교육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급학교인 초등학교에서도 얼마든지 고등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등학문의 내용을 다룬다고 해서 그 교육이 고등 수준의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말이다. 이는 교육의 위계가 학교의 위계와 일치하지 않으며, 학교의 등급체계와 별도의 기준에 의해 파악되어야 할 성질의 것임을 시사한다. 고등교육의 실질적인 의미는 제도적인 형식과 기준으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밝혀질 문제이기 때문에 교육의 개념과 위계수준을 타당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론망의 구축과 적용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제도의 형식과 구별된 고등교육의 실질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듀이와 장상호의 교육이론에 주목하였다. 듀이는 제도와 구별된 교육을 경험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였고, 장상호는 학교태(schooling)와 구별된 교육의 의미를 자율적인 삶의 한 양상으로 식별했다. 듀이와 장상호의 이론을 통해서 고등교육을 제도적 차원과 이론적 차원으로 구별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Higher education’ usually refers to education conducted by institutions above high schools. Since education is conducted by a higher authority, the level tends to be considered high. However, there is not always a high level of education in universities. Higher standards of education can also be achieved at lower level elementary schools. There is no guarantee that an education is of higher quality just because it deals with the contents of higher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hierarchy of educa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hierarchy of school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separate standards from that of schools. If the substantial meaning of higher education is not to be identified by institutional forms and standards but to be theoretically identifi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education is established in a reasonable manner.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Dewey and Chang Sang-ho as theoretical bases for explaining the substantial meaning of institutions and differentiated higher education. Dewey explained education in terms of the reformation of experience from institutions, while Chang struggl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education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schooling as a form of an autonomous lifestyle. Dewey and Chang s theories provide meaningful reasons for differentiating higher education into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dimensions.

      • KCI등재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의 일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공익활동을 중심으로

        김지선(Kim Ji-seon),강수향(Kang soo-hay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1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입장에서 제도의 ‘실제’를 이해하기 위해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여 참여 노인들의 제도 경험과 구체적 맥락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11명과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 6명, 총 17명을 심층면접 하였으며 관련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노인의 일지식과 텍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참여노인의 일 조직화를 일의 시퀀스에 따라 묘사하였다. 분석결과, 참여노인의 일은 소득보충 담론과 근로 담론이 배태된 참여신청서, 개인정보동의서, 선발기준표, 협약서, 활동일지와 같은 텍스트에 의해 조직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텍스트 조정을 통하여 보았을 때,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은 정책이 표방하는 것과는 달리, 능동적인 주체, 활동적 노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 않았다. 또한 노인 일자리 사업은 소득 보충에는 유의미한 기여를 하고 있지만, 사회참여를 비롯해 노인의 일의 의미를 제대로 담아내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targets on the systemic experience of elderly participant and also the specific context of this case. And this research is done by Institutional Ethnograph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institution from older people’s side, who are participating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ies project’. In order to process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11 participants and 6 senior workers, total 17 people, were conducted by mean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and futhermore we collected related texts. Through the process, work knowledge of elderly participant and the data’s were analyzed. By the standpoint of elderly participants, work organization has been described as the sequence of work.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work of the elderly participant was organized by texts such as application for participation, personal information agreement, selection criteria table, agreement, and activity log, which are originated as income-supplement argument and work argument. Considering this text coordination, unlike the policy insists, older people who participate in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ies project not seem to be proactive or active. Also, even though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ies project mad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income-supplement, it has been failed to reflect the meaning of working life of elderly such as social participating.

      • KCI등재

        高句麗와 北朝의 冊封朝貢關係 - 領護東夷中郞將·領護東夷校尉의 授受와 그 의미 -

        이성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58 No.-

        Since the first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was forged between Koguryeo and NorthernWei(北魏) in 435, Koguryeo received appointment titles including territory protection officer titlessuch as Dongi Jungnangjang and Dongi Gyowi from various Nothern Dynasties of China includingEastern Wei(東魏) and Northern Qi(北齊). In the studies so far, such appointment titles have beenunderstood as officially recognizing Koguryeo’s independent sphere of power. That is, theappointment titles were regarded as Northern Wei’s intention to have amicable relations withKoguryeo. However, Northern Wei had no intention to officially recognize Koguryeo’s sphere of power,given that the appointment titles of Northern Wei were a political scheme for the unification ofNorthern China. Such an understanding can be confirmed from Tuyuhun(吐谷渾)’s example, whichhad been regarded as another case of Northern Wei’s officially recognizing a strong country’sindependent sphere of power. Tuyuhun was a powerful nation in the west of Northern Wei, andreceived appointment titles in the same content as the appointment titles of Koguryeo’s KingJangsu(長壽王), which were only different in terms of the proper nouns of east and west. But,Northern Wei did not recognize Tuyuhun as the ruler of the west part. Due to Northern Wei’sintervention, Tuyuhun was in the position not to solve even the disputes with neighboringcountries independently. Meanwhile, although, the Northern Wei people’s taking office of Dongi Gyowi disappearedafter 470, such a situation appeared in the Koguryeo King’s appointment title again. This is alsoregarded as Koguryeo King’s succession of the role that Northern Wei’s Dongi Gyowi played. However, this actually ignored that the appointment title of Dongi Gyowi was different from theappointment title that a local official took in terms of its attributes. The case of Seoyung Gyowi(西戎校尉) similar in terms of function tells that the acceptance of Gyowi office appointment titlecannot be a proof recognizing a prominent position in the regional world. Therefore, it seems tobe later than those days that Koguryeo had friendly relationship with Northern Wei, and that itsindependent sphere of power was recognized by Northern Wei. Concerning Koguryeo’s international status as the ruler in the regional world, the author of thispaper thinks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onversation between Northern Wei’s EmperorXuan Wen(宣文帝) and Koguryeo’s envoy in 503. Here, Northern Wei’s emperor declared thatKoguryeo should fulfil its responsibility, since he entrusted the responsibility for stability in theeastern regional world to Koguryeo. The appointment title, Dongi Gyowi, awarded subsequentlyby such a declaration, made the institutional meaning contained in the title significant. Amongmany countries that received the office of territory protection officer from Northern Wei, it can benewly ascertained that only Koguryeo’s independent sphere of power was recognized in line withits appointment title. 435년 高句麗와 北魏가 최초의 冊封朝貢關係를 맺은 이래, 고구려는 북위에 대해 당시 유례를 찾기 어려울정도로 빈번히 조공하였고, 북위는 동방의 여러 나라 가운데 고구려에게만 冊封號를 수여하였다. 東夷中郞將·東夷校尉의 領護軍官 職을 포함한 책봉호가 그것이다. 이들 영호군관의 영호대상이 동이라는 점에서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책봉호의 수여를 고구려의 독자적 세력권을 공인하는 조치라고 이해해왔다. 북위가 다른 민족을 통제하기 위해 개설한 영호군관 직에는 동이교위 외에도 서융중랑장·서융교위 등 여럿이 있었고, 이들은 고구려와 같이 책봉호의 일부로 수여되기도 하였다. 특히 토욕혼은 북위 서방의 강국으로고구려 장수왕의 책봉호와 비교해 볼 때 ‘동서’의 고유명사만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의 책봉호를 수여받았다. 이점에서 북위가 인접 강국에게 독자적 세력권을 공인해 준 또 하나의 사례가 되어야 하였지만, 실제 양국 관계를 검토한 결과 북위는 토욕혼을 서방의 패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었다. 북위의 간섭으로 인해 토욕혼은 인접국과의 분쟁조차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한편 북위인이 동이교위를 역임한 모습은 470년 이후 사라지지만, 고구려 국왕의 책봉호에서 다시 모습을보인다. 이에 북위의 동이교위가 맡았던 역할을 고구려 국왕이 이어받은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책봉호의 동이교위가 북위의 지방관이 역임한 동이교위와는 계통이 다르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또한 기능에서 유사한 서융교위의 사례는 교위 직의 책봉호 수여 역시 지역세계에서의 우월한 지위를 인정한 증거가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지역세계에서의 패자라는 고구려의 국제적 지위와 관련하여서는 503년 북위 宣文帝와 고구려 사신의 대화를주목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북위 황제는 동방 지역세계의 안정을 고구려에 맡겼으니 그 책임을다하라고 선언하였다. 이 공언이 있음으로 해서 그에 후속하여 수여되었던 동이교위의 책봉호는 그 名號에 내포된 제도적 의미를 온전히 살릴 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북위로부터 영호군관 직을 받았던 여러 나라들가운데 유독 고구려만이 그 명호에 부합하는 독자적 세력권을 인정받았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문화대혁명과 노동자의 '교육혁명'

        장윤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6 No.1

        이 글에서는 중국 문혁 시기에 시도되었던 교육혁명의 실험을 기존과는 다른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기존의 당 파벌과 권력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당시 사회적 인식의 흐름과 이러한 과정에서 시도된 다양한 실험들을 통해 문혁을 파악하고자 했다. 즉 노동의 관점에서, 그리고 과거의 현실을 인식하고자 하는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화두를 둘러싸고 문혁시기 교육 분야에서는 다양한 혁명적 실험이 있었다. 교육과 생산노동의 결합모델, 대학입시제도의 혁명적 전환, 학교관리기구의 민주적 결성 등 기존의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대체할 평등하고 자치적인 방식이 전국 각 지역에 걸쳐 실험되었다. 이러한 교육혁명의 내용은 마오의 교육관과 구상대로 채워진 것이 아니라, 기존의 모든 지배질서와 권위구조의 틀을 깨고 보다 평등한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이 마오를 필요로 했다. 마오의 권위를 빌어 기존의 모든 권위를 비판하고자 했으며, 이는 이후 중국 사상해방의 원천이 되었다. 그러나 마오에 대한 해석을 두고 벌어진 정치적 투쟁과정에서 탈권이 목표 자체가 되고 노동자 자치의 약속은 깨졌으며, 이러한 과거의 문제제기는 아직까지 현재의 중요한 지적·정치적 의제로 남게 되었다. This dissertation analyses the education revolution of China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which is based on literature data and interview data with different viewpoint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Escaping from existing party faction and power-centered approach, this article analyses various test or experiments of education in social recognition and its process of CR. Namely, it analyzes education of CR from the viewpoints of labor and history which recognizes the actuality of past. Surrounding the topic of the meaning of education in the socialist state, there were many revolutional tests in the education field during CR. There were many experiments with equal and autonomous ways in each area nationwide: combination model between education and production labor, revolutional conversio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democratic form of school management organiz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revolution did not reflect Mao's educational view and conception, but the people who aspired for a more equal society needed Mao's resources. They criticized all existing authorities of Maowhich became the source of Chinese thought liberation later on. In the process of political struggle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Mao, however, power capturing became a goal in itself and thus the promise of labor autonomy was breached. Such problem of the past so far still remained as important intellectual and political subject matter of presen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