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의 정통성에 관한 연구 - ‘中’을 중심으로 -

        박종하 ( Park¸ Jong Ha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유가의 正統性에 관한 논의의 본질적 목적은 ‘中’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계승을 통하여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도덕적 완성과 대중이 성인이 되는 유가적 목표를 구현하려는데 있다. 모든 존재의 정통성(Legitimacy)은 이념적 가치로서뿐 아니라 실존적으로도 그 생명성의 본질이 된다. 인간사회의 道德 秩序規範에 대한 보편성의 근거는 동서양 공히 理性 또는 正義 등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에 바탕 한 내면의 주관적 승복은 궁극적으로는 良心에 귀결된다. 따라서 인간의 양심에 근거한 보편가치는 존재에 대한 正統과 異端을 가르는 지표가 된다. 서구의 정치·사회학적 정통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집단의 사회·정치적 필요성에 더 주목하여 집단의 유지와 결속을 위한 내부 구성원의 자발적 승복이라는 필요성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비해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왕조적 국가와 사회의 체제 유지를 위한 필요성과 더불어 개인의 도덕적 완성을 위한 인간 본질에 보다 중심을 둔다. 따라서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이념적 가치에만 머무는 것도 아니고, 정치, 사회적 집단의 유지와 결속을 위한 실효성에 치우치는 것도 아니다. 결국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현실의 주체적 인간이 실현하여야 할 이상적 목표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선결요건이다. 이러한 정통성의 의미 정립에 대한 논의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 본질적 내용은 결국 인간과 만물의 존재적 始原性에 대한 연원과 그것을 유지하고 계승하는 실천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귀결된다. 유가의 정통성으로서 ‘中’이 지닌 보편규범성은, 유가적 正統性이 理念的 價値로서의 뿐만 아니라 實存的으로도 그 生命性의 본질이 됨을 나타낸다. 결국, 유가의 正統性은 堯·舜으로부터 이어지는 ‘中’에 대한 始原的 가치나 사상의 脈을 유지하고 계승하는 ‘道統’의 개념이며, 유가의 道統은 ‘中’의 계승을 통한 학문적 正統性의 유지이자 存在論的 질서에 대한 生命性의 보존이다. 이에 유가 도통론에서 老佛에 대한 비판의 초점은 노불의 주장이 유가적 규범의 실체적 표준이 되는 ‘中’의 근거가 박약하다는 점과 노불의 주장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유가적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향해 있다. 그러므로 유가 道統論에서 유가의 정통성으로서 ‘中’이란 학문적 존립근거이자 선결조건이 되고 동시에 脈으로서의 生命性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間斷없이 이어지고 치열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The legitimacy of all beings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not only as an idealistic value but it existentially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as well. The discussion on orthodoxy and heresy i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is about legitimacy that comes from nature as a basis of existence for the ought (das Sollen) and the is (das Sein). Western political and sociological legitimacy is more concerned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needs of the group than the individual morality and therefore is linked to the need for voluntary subordination of internal members for the maintenance and solidarity of the group. Discussions on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place more emphasis on the essence of human beings for individual moral completion than on the need to maintain the dynastic state and social system.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Confucian legitimacy does not remain only at the idealistic value, nor does it not merely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maintaining and bounding political and social groups. In the end, the discussion on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s a prerequisite required for achieving the ideal goal that human beings, who are realistic subjects, should realize, and a discussion on the indispensable elements of moral practice.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meaning of legitimacy may vary depending on time and place, but the essential contents are ultimately concluded with the origin of the existential inception of human beings and all things and the practical method of maintaining and inheriting it. The basis of universality for the moral norms of human society is expressed as the reason or the justice and the like in both East and West, and the subjective subservience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is ultimately comes to conscience. Therefore, universal values based on human conscience are indicators of orthodoxy and heresy. The universal norm of “Zhong(moderation)” as Confucian legitimacy is to indicate that the legitimacy of the Confucianism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not only as an idealistic value but it existentially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as well. In the end,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s the concept of “orthodoxy” that maintains and inherits the inceptional value or thinking of “moderation” that derives from Emperors Yao and Shun, and the orthodoxy of Confucianism is the maintenance of academic legitimacy through the succession of “moder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e vitality of the ontological order. Therefore, the focus of criticism on Taoism and Buddhism i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is that the statements of Taoism and Buddhism are weak as the basis of “moderation” which is the substantive standard of Confucian norms, and that the statements cannot achieve the goal of Confucianism ultimately. Therefore, as the “moderation” as the legitimacy in Confucian orthodoxy theory is the academic basis and prerequisite and at the same time is the vitality as the kernel, the discussion on “moderation” continue without interruption and is bound to be fierce. In the end,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is to realize the moral completion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and the Confucian goal of making people become saints through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succession of “Moderation.”

      • KCI등재

        이익과 안정복의 東國正統論 재검토

        김경태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0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various things changed in the historical narratives. It is said that the comprehension on the national narrative, especially on the ancient time period, had been reinforced since 17th century. New approaches were presented, which comprehend Korean history through the genealogy from Tan’gun(檀君), Kija(箕子), Wi Man(衛滿) to the Three Han States(三韓). The ‘legitimacy theory’ became significant basis in the historical narrativ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mpare the two important works among diverse versions of legitimacy theory: ‘the three Han legitimacy theory’ asserted by Yi Ik and Dongsa Gangmok written by An Jeongbok. The latter being influenced by the former, comparison of the two would help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legitimacy theory. Yi Ik discovered the legitimacy of Mahan(馬韓) from periodical, genealogical, and historical dimension. An Jeongbok, availing the legitimacy theory, glorified Tan’gun and highlighted Mahan. Tan’gun and Mahan were recreated: Tan’gun as a moral monarch who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Chinese culture due to periodical and geographical reasons and Mahan as a state which passed the genealogy of Kija down 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held the dignity of the legitimate state for long time. Legitimacy needed its opponent: the conducts of Wiman were defined as the first usurpation in the Korean history. The authors differentiated the legitimate succession from the usurpation of the throne, thereby establishing a basis of discerning where legitimacy was. While Yi Ik tried to explain his era through ‘the three Han legitimacy theory’, An Jeongbok attempted to describe Korean history based on the legitimacy theory in his work Dongsa Gangmok. The historians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subject to both sino-centric worldview and historic understanding of Korea as a legitimacy. Yet it is hard to find their intention to replace the Chinese history. Nor did they deviate sharply from the sino-centric world view. Until recently, it was the center of academic attention to find the juncture at which Korean historical works broke bounds of sino-centric view. Yet the historians of late Joseon period did not attempt to escape from the real world where they lived: their object of ‘escaping’ from the sino-centric world view was to justify what they understood the world. In the progress of view of history, there existed a series of phases including chauvinism and nation-centrism. It is hard to find the such case among the historians of late Joseon period. We should remember the fact that the end of nation-centrism was not positive at all. Keeping it in mind, we need to ruminate orientation and attainment of the view of hist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후기의 역사 서술에서 고대사에 대한 인식은 17세기~18세기 이후 강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단군-기자-위만과 삼한으로 이어지는 역사에 대한 새로운 계보화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정통론은 역사서술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본 글에서는 조선후기 동국 정통론의 시작점 중 하나인 李瀷의 「三韓正統論」과 安鼎福의 『東史綱目』을 분석하여 정통론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익은 「三韓正統論」에서 마한의 시기적 정통성, 계보의 정통성, 역사적 정통성을 발견했다. 『東史綱目』에서 안정복은 정통론을 기준으로 삼아 단군을 앞세우고 마한을 부각했다. 단군은 시기적으로도 지리적으로도 중국의 문화를 전수받을 수밖에 없는 위치에 있었던 도덕군주로, 마한은 기자의 계통을 남쪽으로 이어 주고, 장기간 정통국가로서의 위엄을 지녔던 국가로 재탄생했다. 정통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에 대비되는 존재도 발견해야만 했다. 위만의 행위는 우리나라 최초의 찬탈로 규정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역사서가 언제 화이관을 탈피하는지, 그들이 입각한 정통론이 어느 정도의 자주성을 가지는지에 시선을 집중하였다. 그러나 이익과 안정복은 중국 중심의 중화주의적 세계관과 동국정통론적 역사인식을 모두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의 문화적 전통과 전수를 중요시하면서도, 중국사에 대한 일정한 주체의식과 청에 대한 위기의식을 함께 볼 수 있다. 하지만 동국 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자국사를 서술한다거나, 중국사를 대체하겠다는 의도는 보이지 않았다. 「三韓正統論」과 『東史綱目』은 당대의 국제 정세 속에서 조선의 정체성을 정통론이라는 이념으로 정당화하고, 정통론을 기준으로 삼아 자국사를 서술하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역사서였다.

      • KCI등재

        구양수의 ‘정통론’ 읽기

        손애리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orthodoxy() in pre-modern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the writings of Gu Yangsu(), on the theory of orthodoxy. The issue of orthodoxy is not only a problem in the pre-modern period, but is still a valid political and social ideological question in the 21st century. I tried to trace a branch of thought theorizing the legitimacy of the state in the East Asian context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North Song period, where orthodoxy was actively promoted, especially Gu Yang-soo. First, after briefly reviewing the modern/contemporary research history, the orthodox theories before Gu Yangsu are reviewed to confirm the specificity of the Orthodox theories: the Mandate of Heaven Thought($%), Chunchuhak(tuv), and Five Element theory (./4, .&234). Next, Ku Yang-soo’s motive for writing the orthodox theory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writing of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w.dx), and it was confirmed that he had devised his own unique theoretical methodology to confront pseudo-theories such as the Five Element theory(.&234) and the country-centered arbitrary narrative. The theoretical method of Gu Yang-soo was to present the orthodox ideological form composed of Jeong() and Tong(), and to judge whether it was orthodox according to the standard. Jeong() and Tong() are based on the description of Spring andAutumn Gongyang Studies (tuyzv), and Jeong() means the correctness of succession, and Tong() means merging into one. Through this methodical conception, Goo Yang-soo was able to present an objective standard for orthodox judgment by going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discussions. In this paper, two dimensions of Jeong() and Tong() are presented in a 2×2 table in order to further emphasize the idealistic method of Yangsu Gu, and the changes in the early and late periods and their implication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Gu Yang-soo’s criteria, all the countries of the Chinese divide, such as Wei(>), Five Dynasties(.d), Dongjin(DE), and Northern Wei(F>), were excluded from the Orthodox. Thus, it can be said that Gu Yangsu’s orthodox discussion focused on the unification of China. 본고는 구양수의 정통론 관련 저술을 통해, 전근대 동아시아 국가들의정통에 관한 관념을 검토한다. 정통(성)의 문제는 전근대 시기만의 문제가 아니며,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한 정치⋅사회사상적 질문이다. 정통론이 활발히 일어난 북송 시기, 그 중에서도 특히 구양수(歐陽修, 1007-1072)의 논의를 통해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국가의 정통성을 이론화하는 사고의 한 갈래를 추적하고자 했다. 우선 정통론에 관한 근대 이후의 연구사를 간략히 검토한 후, 구양수 정통론의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양수 이전의 정통론을 검토한다. 천명사상, 춘추학, 오덕종시설이그것이다. 다음으로는 구양수의 정통론 집필동기를 신오대사 저술과관련하여 살피고, 그가 오덕종시설과 같은 사이비 이론과, 자국 중심적인 자의적 서술과 대결하기 위해 그만의 독특한 이론적 방법론을 구상했음을 확인한다. 구양수의 이론적 방법은 正과 統으로 구성되는 정통의 이념형을 제시하고, 그 기준에 따라 정통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었다. 정과 통은 춘추공양전의 서술에 기반하며 정은 계승의 올바름을, 통은 하나로 합치는 것을 의미한다. 구양수는 이런 방법적 구상을 통해 기존 논의의 한계를 뛰어넘어 정통 판정의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고는 구양수의 이념형적 방법을 더욱 부각하기 위하여 정과 통의 두 차원을 제시하고, 초기와 후기의 변화 양상 및 그 함의를 살폈다. 구양수가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위, 오대, 동진, 후위 등 중국 분열기의 국가들은 모두정통에서 제외된다. 이로써 구양수의 정통 논의는 중국을 하나로 합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고 말할 수 있다. 구양수의 작업은 막스 베버가 사회과학의 방법론으로 구상한 이념형(Ideal Type)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정통의 이념형을 구상하고 이를 기반으로 역대 왕조의 정통을 판정했다. 이런 그의 시도는 방법론적으로더 깊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정통의 이름으로 역사를 하나의 선으로 제시하려는 욕망 자체가 숨기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되묻는 작업 역시현재 진행형으로 필요하지만, 그러한 작업 또한 역사적 고증을 통해 논리의 자기 파열을 목도하는 것으로부터 가능하다는 점에서 천 년 전 구양수의 논의는 계속 재검토를 요한다.

      • KCI등재

        『三國志』와 삼국시대의 정통론에 대해서

        박영철(朴永哲)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진수의 삼국지는 일반적으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해설처럼 시세에 따라 부득이하게 위정통론을 따른 사서로 알려져 있다. 〈사고전서총목제요〉는 陳壽의 『三國志』에 반대하여 東晋 習鑿齒의 『漢晉春秋』가 나온 이래 촉정통론을 옹호하는 사서들이 특히 남송 이후 많이 쏟아져 나왔다고 하지만, 본고는 陳壽의 『三國志』에도 외견상 보이는 魏正統論과는 달리 사실은 蜀正統論의 사서로 불릴 수 있는 내용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또한 동시에 그러한 진수의 숨겨진 微意로서의 정통론이 객관적 실상은 얼마나 취약한 것이었던가를 〈고천문〉과 〈상존호주〉등의 자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촉이 조국이었던 진수는 魏書에 본기를 설정함으로써 위정통론을 따르는 것처럼 보였지만 『三國志』는 어쨌든 ‘三國志’라는 서명 자체만으로도 정통성의 향방에 대해 논쟁의 여지를 남겨주는 독특한 사서이다. 이미 남송의 韓元吉은 三國의 서명 자체가 삼국 중 어디에도 정통이 없다는 의미라는 것임을 밝혔고, 청대의 錢大昕은 진수가 三國志로 미증유의 체례를 창립하였다고 상찬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진수의 微意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 劉二牧傳을 先主傳 앞에 배치해서 논란을 빚은 蜀書의 변경된 體例를 들었는데, 이것은 선주의 등장을 위한 배려로서 역시 진수가 촉정통론을 주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종의 위장전술 임을 설명하였다. 한편 본고의 핵심적인 논의로서, 이미 청대 朱彛尊이 진수의 촉정통론의 근거로 주목한 蜀의 〈告天文〉을 裵松之注에 의해 살아난 魏와 吳의 〈고천문〉을 상호 비교하여 촉정통론의 실상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진수의 의도와는 달리 아이러니하게도 촉의 〈고천문〉은 촉의 정통성을 오히려 손상시키는 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삼국〈고천문〉의 공통점은 天文 圖讖 符瑞 등의 神意와 庶民의 同意 두 가지로 요약되는데 촉의 〈고천문〉은 가장 신뢰성이 부족한 것임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 민의에는 서민의 동의를 물은 것처럼 되어 있으나 근거가 없고 신하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살해하기도 하고 만적의 군장의 동의를 물은 흔적도 없다. 이에 비해 魏의 경우는 훨씬 신뢰성이 가는 것이다. 유비의 황제즉위는 헌제시해설을 배경으로 거행된 것이었는데 유비는 헌제시해설을 정략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유비의 황제 즉위는 서민의 동의가 결여되어 있었던 것이고 오히려 이것이 역설적으로 〈고천문〉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헌제시해를 정략적으로 이용하게 된 배경에는 또 하나 유비의 촉정권이 태생적으로 갖는 외래정권으로서의 취약성을 들 수 있다. 지역적인 근거를 갖지 못한 유비정권은 토착세력인 익주집단과 갈등을 벌이게 되고 이러한 상황은 유비의 황제즉위를 권유하는 〈上尊號奏〉가 두 개라는 기묘한 상황으로 표출된다. 즉 하나는 유비의 형주집단이 작성한 것이고 또 하나는 익주집단이 작성한 것이다. 익주집단이 작성한 〈상존호주〉에 관여한 인물들 중 黃權, 譙k周, 周群 등이 후에 촉을 배반하거나 멸망시키는 데 관여하게 되는 인물이라는 것은 이러한 사정을 입증하는 증거이며 이는 또한 외래 정권으로서 촉의 정통성이 얼마나 취약한 것이었는가를 반증한다. 유비 사후 제갈량과 손권 사이에 체결된 二主分治의 盟約은 전근대 중국사에서 전무후무한 대등한 국가 간의 평화협정으로 주목되는데 이는 정통론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으로서 이것이 촉의 충신인 제갈량에 의해 주도된 것은 역시 촉의 불안한 정권구조에 연유한다. 『三國志』의 體例와 〈告天文〉의 蜀書 편재 등은 陳壽의 『三國志』를 〈사고 전서총목제요〉처럼 위정통론의 사서로만 볼 수는 없으며 朱彛尊, 錢大昕 등이 시사한 바와 같이 촉정통론이라는 陳壽의 미의가 담긴 고심의 사서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삼국지 위정통론’은 진수를 위해 변호하는 듯 하지만 진수의 미의를 교묘하게 왜곡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천문〉의 구체적인 검토의 결과, 현실적으로 촉의 정통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며 그것은 태생적으로 외래정권인 촉정권의 본질에서 기인하는 바 큰 것으로 보인다. 陈寿撰写的『三國志』在〈四庫全書總目提要〉里被认为是魏正统论的史书。本文主要通过〈告天文〉及〈上尊号奏〉等资料,來论证与〈四庫全書總目提要〉里的解说相反的观点,即『三國志』中蜀正统论的因素相当浓厚。同时本文也注意了与『三國志』中潜藏的陈寿的微意相反的蜀正统论其实没有那么乐观。 魏蜀吴三国〈告天文〉的共同点可以以天文,圖讖,符瑞等神意的显示和人民的同意两项来归纳,而三国中蜀的〈告天文〉最不足于信赖。蜀的〈告天文〉虽然主张听从人民及蠻狄君長的同意,可是我们找不到证据。与魏吴的〈告天文〉相比,蜀的〈告天文〉不足于信赖。因为刘备的皇位是利用献帝弑杀说来即位的,他的皇帝即位缺乏人民的同意,这样的情况却反映于蜀的〈告天文〉上。 利用献帝弑杀说来即位的刘备的蜀政权不能幸免于出生的脆弱性。蜀政权的脆弱性是起因于他本来是外来政权。作为外来政权的蜀政权与土著势力的益州集团一直展开纠葛。这样纠葛的情况反映了大臣们劝导刘备即位的〈上尊号奏〉也有两种的奇妙的史实。一种是外来政权的荆州集团完成的,另一种是土著势力的益州集团完成的。我们可以看到参与完成益州集团的〈上尊号奏〉的人物中黃權,譙周,周群等后来也参与了蜀政权的灭亡或者背叛,这样的事实暗示着两种〈上尊号奏〉的存在却象徵着蜀政权及正统论的脆弱性。而且刘备死后,蜀吴之间缔结的二主分治之盟約是完全否定正统论的,这条盟约是蜀的忠臣诸葛亮主导的,也是由于外来政权蜀的脆弱性。 〈告天文〉在明末清初就已经被朱彛尊作为蜀正统论的线索而被关注。清朝中期的錢大昕也评价陈寿的『三國志』创立了前所未有的体例。幷且在「蜀書」之中〈劉二牧傳〉和〈先主傳〉的顚倒體例中我们也可以看到陈寿的那种爲了保持蜀正统论的伪装战术。 总而言之,根据〈四庫全書總目提要〉的解说我们不能把『三國志』只看成是魏正统论的史书,还可以评价『三國志』也隐藏着蜀正统论的史书。但是值得注意的是不顾陈寿的微意,由于蜀政权的出生的脆弱性,蜀正统论的历史的现实不乐观。

      • KCI등재

        명대 초기 역사 순항을 위한 정통 개념의 재설정 - 方孝孺 正統論의 형성 배경과 그 이후 -

        이진명(李振銘)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2

        이 글은 방효유(方孝孺, 1357-1402)의 정통론이 쓰인 배경과 그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 특유의 역사철학인 정통론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정통론은 중국 고대부터 내려온 사학의 표준이자 文化論, 華夷論, 道德論, 道統論등 여러 철학 개념이 장기간에 걸쳐 錯綜되어 전개된 역사철학이다. 특히 방효유의 정통론은 歐陽脩(1007-1072)의 정통론과 명대 초기의 대표적 사상가인 王禕(1322-1373), 胡翰(1307-1381) 등의 정통론의 득실을 종합하여 正統ㆍ附統ㆍ變統의 개념을 창안해냈다. 形勢論的관점에서 도덕주의적 관점으로 시각을 이동시켜 정통을 파악한 그의 관점은 탁월하며 영향은 심원하다. 방효유의 정통론은 자신이 속해있는 金華朱子學派의 주요 사상인 ‘尊本明統’의 정통론을 발전시켜 역사를 도덕주의 관점으로 파악하는 한편, 도덕과 사실 사이에서 발생하는 건널 수 없는 틈새를 변통이라는 개념을 창안해서 해결하려 했다. 주희와 진량은 그 유명한 왕패ㆍ의리논쟁을 펼쳤다. 주희는 동기론적 입장, 즉 군주가 도덕의 동기에 입각하여 통치했는지의 여부로써 왕도와 패도를 구분했다. 반면에 진량은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한ㆍ당의 군주가 백성을 구휼했던 근거를 들어 한ㆍ당이 패도가 아님을 주장했다. 이 둘의 논쟁은 서로 평행선을 그으며 의견의 접점을 얻지 못했다. 필자는 방효유의 附統의 개념이 주희와 진량 사이를 중재했던 당중우의 의견과 일치함을 발견했다. 필자는 방효유가 이끌었던 金華朱子學派가 주자의 道德性命의 학술과 진량의 事功主義학술의 장점을 수용하여 절충시켰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방효유의 정통론이 주희와 진량 사이에 일어났던 왕패ㆍ의리논쟁의 접점을 찾았다고 본다. 방효유의 정통론은 후대 丘濬(1420-1495)의 『世史正綱』, 謝陛(1547-1615)의 『正帝統』 등의 저술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Orthodox Theory by Fang Xiaoru(方孝孺, 1357-1402)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View of Orthodox, which is China’s peculiar historical philosophy. The Orthodox Theory is the standard of historical studies from the ancient China,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philosophy entangled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from the various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cultural discourses, Sino(華)-Barbarian(夷) dichotomy, theories of morality, and Daotong discourses(文化論, 華夷論, 道德論, 道統論). Especially, Fang Xiaoru’s View of Orthodox integrated pros and cons of Ouyang Xiu(歐陽脩, 1007-1072)’s Orthodox Theory and Orthodox Theory of Wang Yi(王禕, 1322-1373) and Hu Han(胡翰, 1307-1381), who were representative thinkers of early Ming Dynasty, and developed concepts of Zhengtong(正統, rightful succession), Futong(附統, semi-fulfilled succession) and Biantong(變統, variable succession). His perspective comprehended by switching the view from geopolitics to moralism is extraordinary, and its influence is profound. Fang Xiaoru’s Orthodox Theory comprehends history through the moralism aspect by developing the orthodox theory of esteeming its origin and clarifying its legitimacy(尊本明統), which is a major theory of Jinhua Chengzhu school where he belonged. On the other hand, he tried to solve the unbridgeable gap occurring between moral and truth by coining the concept of Biantong. This discussion had a great influence on publication of such books as The Rightful Cardinal Guides of World History(世史正綱) by Qiu Jun(丘濬, 1420-1495) and Orthodox of Rightful Emperors(正帝統) by Xie Bi(謝陛, 1547-1615).

      • KCI등재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정통국가’ 강조와 평양 정통론 부상의 궤적

        이정빈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6 No.-

        북한의 '2013 교육강령'에서는 정통국가란 한국사의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국가를 의미한다.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조선을 정통국가라고 하였다. 이외에 부여·구려·진국 및 백제·신라 등은 병존국가라고 하였다. 정통국가의 의미는 2000년대 후반부터 찾아볼 수 있는데, 정통국가의 중심으로 제시된 고구려는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중시되었다. 고구려 중심의 삼국시대론은 1950년대 후반부터 단초를 보였다. 평양의 재건과 더불어 그 역사와 문화를 주목하였던 것이 그 계기였다. 그리고 1950년대 후반~1970년대 고고학·고 대사 연구의 축적과 더불어 평양 중심의 한국사 인식이 심화되었는데, 1974년 동명 왕릉의 발굴은 그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1980년대 전반에 고구려 중심의 삼국시대론이 정립되었다. 평양 중심의 한국사 인식은 경화되었다. 1990년대 전반 일련의 사업으로 개건된 단군릉·동명왕릉·왕건릉이 이를 잘 보여준다. 특히 단군릉의 발굴이 주목된다. 이로써 평양은 반만년의 수도로 격상하였고, 대동강 유역은 인류 문명의 발생지·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그런데 동명왕릉·단군릉에 대한 북한 학계의 주장은 무리했다. 동명왕릉·단군릉 발굴은 일종의 정책 사업이었다. 동명왕릉은 1970년대 주체 사상의 확립 과정에서 민족주의적 고고학·고대사 연구가 요청된 데 대한 응답이었다. 동명왕릉 발굴에 기초한 고구려 중심의 삼국시대론은 평양에 민족사의 정통성을 부여하였다. 남북의 분단 속에서 민족사의 정통은 평양에 수도를 둔 북한으로 계승 되었다고 하는데, 그 정점은 김일성이었다. 1993년 발굴된 단군릉도 마찬가지였다. 민족사의 정통성은 김일성·김정일의 정치권력과 계승을 정당화하였다. 평양에 민족사의 정통성을 부여하고 이를 정치권력이 독점한 것이다. '2013 교육강령'의 정통국가는 평양에 부여한 민족사의 정통성을 일원적인 한국사 체계로 확립시킨 것으로, 지금은 김정은의 정치권력과 계승을 정당화하고 있다. 이처럼 '2013 교육강령'에 보이는 정통국가는 평양에 부여된 민족의 정통성과 정치권력의 정당화 시도를 함의하는데, 이를 묶어 평양 정통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 KCI등재

        한강 정구의 역사관과 정통론 : - 『역대기년』의 중국사 체계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 -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6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4

        [역대기년]의 중국사 서술 시기는 태고 반고로부터 만력 원년 계유(1573)까지이다. 서술 내용은 각 왕조의 왕위 계승과정을 중심으로 왕의 성명, 이명, 성씨, 가계, 원년 간지, 도읍지, 왕위계승 과정, 죽은 해, 장지, 재위 연수, 나이, 시호 등과 연호의 원년 간지 및 존속 기간 그리고 간혹 특이한 역사적 사실이나 업적 또는 인물 평가 등을 요약하였다. 춘추・전국시대 제후국의 경우 연대 비교를 위해 각 임금의 원년 다음에 주나라 왕의 연대를 기록하였다. 중국사 체계는 강목 서법의 정통론에 따라 정통・무통・참위・간통・열국등을 왕명의 위치로 시각적으로 구현하였다. 왕명을 가로줄에 붙여 쓴 경우(정통 왕조), 가로선 한 칸 아래에 왕명을 쓴 경우(무통 왕조), 무통 왕조와 같은 형식이나 정통왕조와 병립한 경우, ○○統中絶다음에 왕명을 2칸 내려 쓴 경우, ○○僭僞다음에 왕명을 2칸 내려 쓴 경우, 주나라 열국의 임금명은 모두 2칸 내려 쓰는 6개의 유형으로 정리된다. 15~16세기부터 조선에서 중국사 개설서는 [사략]과 [통감절요]였는데, 이는 어릴 때부터 한문 문리를 트기 위해 읽음으로써 중국 역사 지식을 습득하였다. [통감]은 과거시험 과목이기도 하였다. [통감절요]의 편찬자는 사소 음석, 왕봉 집의, 유염 증교이며, [19사략통고]를 찬한 여진은 송오 즉왕봉의 문인이므로 朱熹- 黃榦- 饒魯- 吳中行- 朱公遷- 洪初(洪善初)-王逢-余進으로 이어지는 주자학 계열 학자들이 [사략]과 [통감절요]의 재편찬을 주도하였다. 강지의 [통감절요]에는 삼국시대 역사가 위나라 위주로 서술되어 있었으나, 劉剡은 강목 서법에 따라 촉한 정통론으로 개찬하였으며 왕봉의 집의를 주석으로 채택하였다. 이외에 유염은 동주군 정통론, 孺子嬰정통 편입, 왕망 참위, 중종 정통, 무씨 참적 등의 관점에서 􋺷통감절요􋺸를 재편집하였다. 재편찬된 [사략]도 이를 토대로 촉한 정통으로 서술하였으며, 유자영과 중종도 정통으로 재편집하였으며 강목 서법을 적용하였다. 유염은 [통감절요외기]・[통감절요속편]도 편찬함으로써 반고에서 원나라까지의 역사를 강목 서법에 따라 대중화하는데 기여하였다. 􋺷역대기년􋺸에 반영된 좀 더 전문적인 중국사서는 􋺷춘추􋺸 및 4전, 􋺷통감외기􋺸 􋺷통감전편􋺸, #1097399;통감강목􋺸, 􋺷통감속편􋺸, 􋺷속강목􋺸, 􋺷역대통감찬요􋺸 등이 있다. 이외에 􋺷사기􋺸와 􋺷문헌통고􋺸, 􋺷광아􋺸 등의 사전류, 􋺷대명일통지􋺸, 􋺷황극경세서􋺸 등도 참조하였다. 김우옹은 원나라를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엄격한 화이론에 입각하여 명나라 관찬사서 상로의 􋺷속강목􋺸을 개찬하였다. 정구는 夷狄계열의 왕들은 그 죽음을 死로 표기하여 화이론적 정통론을 견지하고 있으나 원나라 세조의 천하통일을 정통으로 간주하였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influence of the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of Zizhi tongjian gangmu and the Books on Chinese History in Jeong Gu’s Yeokdaeginyeon. Yeokdaeginyeon s Chinese Historical System was compiled with six forms regarding the Emperor s(or King s) name position by the Gangmok Style of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1) The Emperor s(or King s) name was written right under the top line without any blank space specifying Legitimate Dynasty; 2) the one with one blank space, Illegitimate Dynasty;3) the mixed one with 1) and 2); 4) the one with two blank spaces and characters meaning illegitimacy; 5) the one with two blank spaces and the characters meaning ○○traitor; and 6) the one with two blank spaces and the characters of Chunchu Jeonguk era’s feudal lord name. Yeokdaeginyeon was written about from Bango(盤古) to Manryeok(萬曆) first year of Ming dynasty(1537). The contents of Yeokdaeginyeon consisted of emperor s(or king)’s name, alias, surname, family lineage, the sexagenary cycle of enthronement year, the length of reign, the place of government, death year, a burial place, a posthumous title and sometimes peculiar historical facts or evaluation. In the cases of feudal princes, the year name of king of Chu was added after enthronement year of the feudal princes. Yeokdaeginyeon reflected the influence of 19 Saryak, Tonggamjeolyo revised in Gangmok style by Wangpong, Yecin and Yuyem who were disciples of Zhu Xi. It was also influenced by more professional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Chunchu, Tonggamgangmok, Sokgangmok, Tonggamoegi, Tonggamjeonpyeon, Tonggamsokpyeon, Yeokdaetonggamchanyo, etc.. Kim Wuong who wrote Sokgangmok, did not acknowledge Won dynasty’s unification of China, but Jeong Gu admitted it. Nevertheless both Kim Wuong and Jeong Gu had a historical view with the ideology of revering the Han China and expelling barbarians.

      • KCI등재

        안정복의 『자치통감강목』 書法 이해와 『동사강목』 마한정통론의 강목체 필법

        김남일(Kim, Nam-il)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본 논고는 『동사강목』이 강목체 역사서로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는 먼저 안정복은 『통감강목』 범례에서 밝힌 강목 서법과 이를 기반으로 서술된 『통감강목』 본문 서술에 대하여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작성하였다. 그리고 『동사강목』의 기자-마한정통론은 이익의 삼한정통론과 어떤 관계에 있으며, 그 강목체 필법이 다른 기존의 역사서 『삼국사기』 『동국통감』 『동사회강』 등과 어떤 다른 특징이 있는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통론과 강목체 역사서술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강목 서법의 주요 논쟁점은 ①卒과 死 그리고 관직을 썼느냐에 따른 포폄의 차이 ②殺과 討, 誅의 필법 ③태후가 임금에 오른 아들을 죽인 것이 弑인가? ④의롭게 죽은 사람은 반드시 강에 올리며 그의 죽음은 死之라 쓴다. ⑤諡號는 강에 쓰지 않고 卒記의 분주에 써야 한다. ⑥叛과 奔의 분별 ⑦盜殺과 誅, 伏誅의 필법 등이다. 이익은 요동 이동 소중화라 불리우는 우리나라의 역사가 중국과 대등한 역사진행을 보이는 점을 강조하고, 신라와 백제 건국기의 역사를 마한 정통국가 체계로 강목체 필법에 입각한 역사서를 써서 후대에 교훈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안정복은 이러한 기자-마한정통론을 계승하여 강목체 『동사강목』을 쓰게 됨에 따라 역사서술 용어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기존 사서와 『동사강목』의 큰 차이점은 기자를 이은 마한은 정통왕조로 신라, 고구려는 건국례로 백제는 주나라 시대의 열국례에 해당한다고 해석함으로 인하여 기년(세년), 왕호, 붕장, 즉위 기사 등에서 형식과 용어의 변화가 있었다. ①『동사강목』에서는 강목 범례의 세년조에 따라 정통 왕조 마한은 대서기년하고 나머지 신라, 고구려, 백제는 분주기년하여, 기존 사서에서 마한은 기년에서 제외하고 삼국만 분주 기년하는 형식에 변화가 있었다. ②왕호 표기에 있어 『동사강목』은 마한은 정통국이므로 첫해에만 국호+王이라 쓰고 그 이후는 국호를 생략하고 왕이라고 쓰는데 비하여, 고구려 백제는 국호+君이라 쓰며, 신라는 斯盧+居西干(次次雄) 등 고유왕호를 직서하였다. ③왕과 왕비의 죽음은 기존 사서에서는 삼국 모두 薨이라 썼으나, 『동사강목』에서는 마한왕은 薨, 삼국의 왕과 왕비는 卒이라 썼다. ④기존 사서에서는 삼국 왕의 즉위는 무통의 국가를 의미하는 立이라 썼으나, 『동사강목』에서는 마한 왕은 정통 국가이므로 卽位라 쓰고, 고구려의 경우는 嗣라고 쓰고, 신라는 立이라 썼다. This thesis examines An Jeongbok’s Comprehension of the historiographical method(Seobub, 書法) of Zizhi Tongjian Gangmu and how the gangmok style was applied to writing the Mahan legitimate in Dongsa Gangmu. The analysis would be a great help to know how the Gangmok Style was applied to writing Dongsa Gangmu. The main points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How the keynote of Dongsa Gangmu, the legitimate dynasty(正統論) of the inheritance of Kija Chosun – Mahan, was related with the Seongho’s(星湖, 李瀷 1681~1763) theory of Samhan legitimate dynasty and what wa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An Jeongbok’s applying Gangmok Style to Dongsa Gangmu and the books devoted to Mahan history. As a result,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and Gangmok Style were an inseparable relation. Research materials are writing and letter in the Collection of An Jeongbok's Works about knowledge on Chunchu, Zizhi Tongjian, Zizhi Tongjiangangmu, legitimate dynasty tradition,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and so on. The controversy over the Historiographical Method of Zizhi Tongjian Gangmu are as follows ①As the death was described with a term of Jol(卒) or Sa(死) and the death was written with his office, there are some subtle differences between praise and blame. ②As someone who killed another person was described with Sal(殺) or To(討) and Ju(誅), there are also differences. ③When mother killed her son crowned king, could it be written as regicide(Si 弑)? ④The death of the righteous person must be written as Saji(死之) in Gang(綱). ⑤A posthumous epithet must be written in Mok(目). ⑥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Ban(叛) and Bun(奔). ⑦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osal(盜殺) and Ju(誅), Bokju(伏誅) and so on. In addition I undertake the study the key differences of gangmok style writing method between on the Mahan legitimate in Dongsa Gangmu and other Dongsas such as Samguksagi(三國史記) Dongguktonggam(東國通鑑), Dongsahoegang(東史會綱) etc.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h are as follows: Seongho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the eastern region of the Liao-ho River called Sojunghwa(小中華) had progressed evenly with china history, and he argued that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country building era must be rewritten Mahan as Legitimate dynasty by the Gangmok Style(綱目體), as a result this history would be a good lesson to future generations. An Jeongbok took over the Seongho’s theory of Mahan legitimate dynasty to write Dongsa Gangmu. The difference between old Korean history books and Dongsa Gangmu came from regarding Mahan as legitimate dynasty. As An Jeongbok regarded Silla and Kogoryo as Gunguk case(建國例), Baekje as Yeolguk case(列國例), the writing terms on Chronology(紀年, 歲年), naming a emperor and king(名號), accessing the throne(卽位), death and funeral(崩葬), etc was changed. ①Mahan's chronology in Dongsa Gangmu was applied large font as legitimate dynasty, and three kingdom's chronology applied small font. In old Korean history books Mahan's chronology was omitted and three kingdoms' chronology were applied small font as illegitimate dynasties. ② Naming a king of Mahan in Dongsa Gangmu at first year was written country name Mahan+king(王), from next year the country name was omitted and only written king(王), the other country, Goguryeo and Baekje was written country name+Gun(君), and Sila was written country name Saro(斯盧)+Geoseogan(居西干) or Chachaung(次次雄) which was the original name itself. ③The death of king and queen was written Hung(薨) in old Korean history books. But in Dongsa Gangmu the death of Mahan king was written Hung(薨), the other of three country was written Zol(卒). ④In old Korean history books accessing the throne(卽位) was written Rip(立) which means illegitimate dynasty. In Dongsa Gangmu Mahan king was written Jeukwi(卽位), Goguryeo was written Sa(嗣), and Sila was written Rip(立).

      • KCI등재

        연구논문 : 남북한 정통성 만들기 역사와 비교

        조은희 ( Eun Hee Ch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09 통일과 평화 Vol.1 No.1

        남과 북은 정치권력의 정당성 강화를 위해 서로의 국가정통성을 만들어 강조해 왔다. 남한에서는 3.1운동, 임시정부의 법통성, 민주이념을 강조하였고, 북한에서는 혁명전통과 그 계승을 강조해 왔다. 1948년 남과 북이 각각 건국하는 과정에서 차용한 역사정통성은 ``항일``과 관련된 역사였다. 그 중에서 남한의 이승만 정권은 기미 삼일운동의 독립정신의 계승을 강조하였고, 북한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강조한다. 남과 북 공히 초대 지도자로서의 개인의 정통성 강화와 밀접히 연결되어지는 부분이다. 남과 북의 정통성 경쟁은 1950년대 6.25후본격화 되었다. 이후 남한은 박정희 전두환 정부를 거치면서 조선시대의 찬란하고 영광스러웠던 역사 및 반일의 역사를 중심으로 여러 문화적 상징물들로 만들어져 강조되었고, 북한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의 역사만을 정통성으로 인정하고, 여러 문화적 상징물들로 형상화 하였다. 1980년대 중반이후 남한과 북한은 민주화와 후계체제의 공고화 과정을 통해 정통성의 논의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남한에서는 상해임시정부의 법통성과 민주화의 이념이 정통성으로 자리 잡았고, 북한에서는 후계자 김정일의 역사가 포함된 ``혁명전통``이 정통성으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지난 60년간 남과 북은 분단된 상태에서 각각의 건국을 통해 그 정통성에 대해 강조할 필요가 있었고, 경쟁관계로서 서로의 정통성이 더 우월함을 증명이라도 하듯 경쟁적으로 만들어 강조하였다. South Korea and North Korea emphasized a national legitimacy for the justifiability reinforcement of political authority. South Korea emphasized the independent spirit of 3.1 motions of legitimacy. North Korea emphasized ``successions`` and ``is not different`` because a hereditary political powe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elected the history which relates with ``anti-japan`` with national legitimacy. The Rhee Syng Man political power of South Korea emphasized the independent spirit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spirit of anti-Japanese armament fight of Kim Il-Song. The legitimacy competi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as actualized after 6.25 of 1950`s. South Korea made The Chosun history of brilliantly glorious history and anti-Japan with cultural symbol. North Korea recognized only the history of anti-Japanese armament fight of Kim Il-Song with traditional characteristic and made with various cultural symbols. 1980`s middle afte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hanged a national legitimacy with democratization respect a succession setup notification. From South Korea the religious tradition result democratization ideology of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became national legitimacy. From North Korea historian of successor Kim Jong Il the ``revolutionary tradition`` which is included became national traditional characteristic. Last 60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bout each other legitimacy emphasized from the condition which is divided. Namel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emphasized respectively legitimacy more predominate competitively.

      • KCI등재

        기독교학교의 이단 대처를 위한 신학교육

        김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기독교대학은 설립목적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해야 한다. 정통 기독교에 대한 판단은 그 내용과 실천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증인이자 목격자가 되는 사도성을 변질 없이 이어가는가의 여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다. 기독교의 사도성을 온전히 이어가지 못하는 불보존성은 결국 기독교 이단종파를 낳고 이는 결국 정통 기독교 복음의 원형과 그 본질을 해치는 악영향으로 발전하여 교회와 사회에 병폐를 초래한다. 이처럼 초기 기독교 사도적 정신과 그 내용을 잇는 정통성의 보전 및 복음의 원형에 따른 온전한 전달은 이단 방어의 중요한 핵심이기도 하다. 기독교학교는 이단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통 기독교신앙과 신학을 확인하고 이를 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 정통 역사신학을 분명히 하는 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준비해야 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원형을 확인하는 일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었던 사도들이 순교하기까지 증거 하였던 증언에 근거한 역사적 사도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기독교대학은 기독교 정통 신학교육을 이루어 신앙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적 사명에 다가서야 한다. 오늘날 혼돈의 시대인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적 상황을 맞이할 때 이단 사상은 이에 편승되어 정통 기독교 신앙을 공격하는데 힘을 더 한다. 이런 이단 사상의 독립성에 분명하게 맞설 수 있는 신학 교육적 체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이단 사상에 대처하는 모든 기독교학교의 선교사역은 기독교학교가 존재하는 정체성 확인과 그 정신에 집중하는 가운데 실현될 수 있다. 미션스쿨은 초대교회부터 있었고 지금도 교회와 기독교학교 그리고 사회에 침투하고 있는 이단 사상에 대응하여 기도로서 무장하고 성령 하나님의 도우심을 의지함으로서, 정통 기독교 역사 신학과 신앙에 기반을 둔 선교사명을 다해야 한다. 기독교대학은 이를 위하여 기독교학교 정체성에 집중한 정통 기독교역사 신학적 대비로 기독교 이단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기독교학교는 이를 통해 기독교 선교사명의 실천을 계속해 나갈 수 있다. Christian university should study ways to efficiently realize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Christian standards take as an important criterion whether or not the Gospel of Jesus Christ and the apostolicity as a witness or witness in its content and practice continue without change. The non-preservation of the apostolicity of Christianity, which does not fully carry on the apostolicity of Christianity, eventually leads to a christian heresy, which eventually develops into an adverse effect that harms the originality and essence of the Christian Gospel, causing ills in church and society. In this way, the preservation of the authenticity that connects the early Christian apostolic spirit and its contents, and the complet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archetype of the Gospel, is also an important core of heresy defense. Christian schools must establish historical Christian beliefs and theology to defend against heresy. For this, an educational system that clarifies Christian historical theology must be established and prepared. This confirms the prototype of the ospel of Jesus Christ, and confirms the historical apostolicity witnessed by the apostles who were disciples of Jesus Christ. On the basis of this, Christian schools should approach the concrete and systematic educational mission of the content of faith through Christian historical theological education. When faced with a postmodern cultural situation, heretical thoughts take on this and add strength to attack the Christian faith. Heresy will induce postmodern ideas to work in their favor. There is a need for a theological educational system that can clearly confront this heresy. The Missionary Work of all Christian schools against heresy can be realized while concentrating on the Identity and spirit of Christian schools. Mission school should not back down to heresy. Christian university and schools should be armed with prayer and rely on the help of God the Holy Spirit to focus on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based on historical Christian theology and beliefs. That is why we must form a clear theology and faith that thoroughly opposes Christian heresy. Through this, Christian schools will be able to fulfill the true missionary mission and practice of the Christian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