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조직 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과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정치적 기술의 역할

        김진선 ( Kim Jinseon ) 한국행정연구원 2020 韓國行政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조직사회를 ‘정치적 장’으로 규정하고,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경력성과(경력만족, 경력 몰입)에 미치는 정치적 기술의 영향력을 실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른 정치적 기술의 효과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공식조직 이면에 작동하는 사회·정치적 영향력의 실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앙·지방공무원 389명을 대상으로 집단별 구조모형 및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치적 기술의 하위요인으로서 네트워킹 역량은 성별을 불문하고 경력만족, 경력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와 달리, 표면적 진실성은 남성 집단에서만 경력만족, 경력몰입에 정(+)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기질적 특성으로 이해되는 대인관계 영향력과 사회적 기민성은 주관적 경력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가설화된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효과 차이는 ‘표면적 진실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공조직 경력성과 맥락에서 정치적 기술이 갖는 이중적 속성을 고려하여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현실정합성 높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defines the organizational society as a ‘political field’ and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political skills on the career outcomes(career satisfaction, career commitment) of public officials. Specifically, by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political skills by gender,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s working behind the official organization.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389 central and local public officials. Finding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gender, network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lso, apparent sincer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only in the male group. In addition, Interpersonal influence and social astuteness a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bjective career outcomes. In the hypothesized path abo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gender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sincerity and career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interpreted the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dual agenda of political skills in the context of the career outcome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that were highly consistent with reality.

      • 정치적 행동성향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를 조절변인으로

        현정민(Hyun Jung Min),김종인(Kim Jong In)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1 商經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정치적 행동성향이 조직문화에 따라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한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지향적 정치적 행동성향은 경력성공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며, 직무 지향적 정치적 행동성향은 부(-)의 관계를 나타낼 것인가? 둘째, 상사 지향적 정치적 행동성향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은 관계지향 문화에서 더욱 강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며, 직무 지향적 정치적 행동성향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은 혁신지향문화에서 더욱 강한 정(+)의 관계를 나타낼 것인가? 연구 질문의 실증분석을 위해 2009년 3월 12일 부터 30일까지 20일간 서울 소재 9개 사립대학교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58부를 배부하여 342부가 회수되어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사 지향적 정치적 행동성향은 경력성공에 유의한정(+) 관계를 나타냈으며, 직무 지향적 정치적 행동성향 또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 지향적 조직문화와 혁신 지향적 조직문화를 추가로 투입하였을 때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 모두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관계 변수와 직무・혁신 변수를 고려했을때 두 변수들이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혁신 변수와 상사・관계 변수를 동시에 투입했을때, 결과는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문화와 개인의 정치적 행동성향의 적합성 연구 및 이들의 관계 속에서 경력 성공감을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examine how political behavior tendency affects career succes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 empirical data of this study is taken from the mail survey. The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458 administrative workers of 9 private colleges in Seoul from March 12, 2009 through March 30, 2009. Out of 458 mail surveys 342 mail surveys were returned with usable responses whic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outcome first, indicated boss-oriented political behavior tendency having a positive (+) affect on career success, job-oriented political behavior tendency having a positive (+) affect on career success. Second, when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added, bo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eer success. Lastly, when the variable of boss-relationship and job- nnovation were added at the same time, both variabl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success. Thus, this outcome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tinued research to enhance the career success within the compatibility research and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ividual political behavior tendency.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의원 경력지속성

        김원홍(Kim, Won-hong),이현출(Lee, Hyun-chool),배선희(Bae, Seon-hee),전선영(Jeon, Sun-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지난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여성 당선인들의 의원 경력지속성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실질적으로 여성의원 경력 지속 및 확충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번 선거결과 여성의원 비율은 기초의회 21.6%, 광역의회 14.8%로, 2006년 지방선거 당시 기초의회 15%, 광역의회 12%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재선거에 성공한 여성정치인은 10명 중 2명에도 못 미쳤다. 지방정치가 생활정치로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에서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경력지속 및 확충은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은 여성의원의 수적 증대를 바탕으로, 여성정치인의 전반적인 역량 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증대될 수 있다는 측면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의회로의 진출 첫 번째 관문인 정당공천에서 여성이 더 많은 공천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사회문화적 환경 마련이 필요하며, 이 관문을 통과하고 당선된 여성정치인들의 경력을 지속시킴으로써 그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과제 도출을 위해 본 연구는 제5회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여성의원 739명 전원을 대상으로 “경력지속 및 확충”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방선거 당선경력이 있는 대표적 전?현직 여성정치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성할당제 보완 및 양성평등한 공천제도 마련, 정당차원에서 여성후보 발굴 및 육성을 위한 노력 강화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s and a way of continuing and expanding career of female assemblymen in local congress in 2010. The result of the 5th local election shows that percentage of female assemblymen is 21.6% out of basic local assemblymen, 15.1% out of metropolitan assembly. These figures are found to have increased a little, compared to those 15.0% out of basic local assemblymen, 12.0% out of metropolitan assembly on 4th local election in 2006. On the other hand, 80.2% out of total elected female assemblymen are elected for the first time. It is assumed to take some time for newly-elected female members to get accustomed to their schedule and activities in the assembly. Therefore, it is truly loss of political and societal cost to cut the career of newly-elected female assemblymen. As a result, it is critical to continue and expand the career of female members in the local assembly under the circumstances of having many agenda resolved, to have local politics smeared in our life politics. To overcome the obstacles above, we have three agendas. Firstly, this study proposes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female ration in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system, Secondly, we suggest developing and managing a gender-equal nomination system. And finally, efforts for discovering female candidates and raising them to the level of political competence are needed.

      • KCI등재

        경력 지속에 성공한 지방 여성의원들이 본 여성정치의 딜레마

        김현희,오유석,박인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9 동향과 전망 Vol. No.

        This study reviews the accomplishments of political institutions between 1995 and 2014 which have been introduced to orient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local autonomy, and their impacts on women politics and women politicians in Korea. Even though these institutions, such as gender quota system, provide considerable contribution for women to enter into politics, these also give negative influence for women to continue career as politicians, and hence eventually fail to achieve initial goals to improve unequal gender political power and maleᐨ oriented power system. Through a survey of three terms or more women local council members who have succeeded in career continuity, this paper looks into processes and experiences, which enable them to continue their career as politicians, and, at the same time, finds out dilemmas of women local council members as politicians and of women politics in Korea.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to overcome these dilemma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도입된 여성정치 세력화를 지향하며 만들어 진 제도들이 1995년에서 2014년에 이르기까지 어떤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한국 여성정치와 여성정치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성할 당제와 같은 제도들은 여성들을 정치에 진입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도움을 주었 으나 여성들이 정치인으로서 경력을 지속하는 데 있어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침으로써 불균형적 성별 정치권력과 남성중심적 권력구조를 개선하고자 했던 제도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경력 지속에 성공한 3선 이상 지방 여성의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과정과 경험들을 살펴보고 또 그 속에서 드러나는 한국 여성정치의 딜레마가 무엇인지 그리고 지방 여성의원들이 여성정치인으로서 느끼는 딜레마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더 나아가 앞으로 그 딜레마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장관의 정치적 경력에 따른 재임기간 분석

        성시영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4

        Minister i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task of their ministry, but also discusses the primaryaffairs of state in cabinet meetings. Because the minister's role has the political aspect, thepresident appoints many ministers with a political career. However, there is short of literature onthe effect of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minister in South Korea. This article analyzes thepolitic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minister and the ministerial tenure. It focuses on fourpolitical careers of ministers. The four careers are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head of local government or the local councilor, the presidential staff, and the minister. Thisarticle finds that there is important difference of ministerial tenure between the ministers whohave been elected as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ose who have not. Similarly,the tenure of ministers who have been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or the local councilor is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nisters who have not. The results imply that the politicalcharacteristics of minister may have adverse effects on the ministerial tenure. 장관은 행정 각부의 수장으로서 행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무직 인사로서 정치적인 측면을 포괄하는이중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로 인해 정치적 경력을 가진 장관이 입각하는 사례가 흔히 나타난다. 그러나 장관이 정치적 경력을 갖고 있는 경우 직무 수행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논문에서는 1948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역대 장관 953명의 정치적 경력에 따른 재임기간을 독립표본t-검증과 Kaplan-Meier 생존곡선을 통해 분석한다. 여기에서 장관의 정치적 경력으로는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원, 대통령 참모, 장관 재임 경험 등 네 가지 경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거를 통해당선되어 대표적인 정치적 경력이라고 할 수 있는 국회의원 경험과 지방자치 경험을 가진 장관의 경우, 경험을 갖지 않은 장관에 비하여 각각 재임기간이 짧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해석을통해 장관의 정치적 경력이 장관직 업무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해 본다.

      • KCI등재

        장관의 정치적 경력, 장관 재임기간, 대통령의 장관 인사, 내각

        성시영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4

        장관은 행정 각부의 수장으로서 행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무직 인사로서 정치적인 측면을 포괄하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로 인해 정치적 경력을 가진 장관이 입각하는 사례가 흔히 나타난다. 그러나 장관이 정치적 경력을 갖고 있는 경우 직무 수행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1948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역대 장관 953명의 정치적 경력에 따른 재임기간을 독립표본t-검증과 Kaplan-Meier 생존곡선을 통해 분석한다. 여기에서 장관의 정치적 경력으로는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지방의원, 대통령 참모, 장관 재임 경험 등 네 가지 경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거를 통해 당선되어 대표적인 정치적 경력이라고 할 수 있는 국회의원 경험과 지방자치 경험을 가진 장관의 경우, 경험을 갖지 않은 장관에 비하여 각각 재임기간이 짧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장관의 정치적 경력이 장관직 업무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해 본다.

      • KCI등재

        공인회계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연구

        정순여,장은주,이승환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success of CPA. In the past, career success has been defined by the number of promotions a person receives, annual compensation or position level. But as today's organizations no longer offer lifelong employment, individuals put str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his overall career and employ ability in the open labor market rather than rapid promotion or high compensation in an organization. That is, shift in employment contracts from relational to transactional infers a paradigm shift in career success. Therefore, in this thesis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 a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edictors of career success were categorized into two sets: personal characteristics(i.e., 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person-job fitness.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se affect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ch focused on the CPA. In this thesis, we also consider the type of task of CPA as mod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person-job fitness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Especially, person-job fit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areer satisfaction. Second, factors affecting employ ability include growth needs and person-job fitness. Person-job fit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employ ability, same with career satisfaction. Third, it was investigated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an not be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success was defined by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 ability, which reflect the change of employment contract, people's value, etc. Second, it was meaningful to investigate how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career success of CPA. 본 연구는 공인회계사의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경력성공을 객관적 경력성공(임금, 승진, 직급 등)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IMF이후 고용에의 불안정이 높아짐에 따라 경력성공의 개념이 달라지고 있다. 한 조직에서의 높은 임금이나 빠른 승진보다는 노동시장에서의 고용가능성과 자신의 경력에서 느끼는 심리적 만족이 경력성공의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공인회계사의 경력성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개인특성(성장욕구, 정치적 행동성향)과 개인-직무 적합성이 공인회계사의 경력만족 및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공인회계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유형에 따라 개인특성 및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성공간의 관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회계법인에 근무하고 있는 공인회계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수된 100부의 설문 중 9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인회계사의 정치적 행동성향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인회계사의 성장욕구와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고용가능성 역시 개인-직무 적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독립변수인 성장욕구, 정치적 행동성향, 그리고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업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공인회계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유형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금융계 여성 근로자의 개인특성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

        장은주(Chang Eun-Joo),지성구(Ji Seong-Goo) 한국비서학회 200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3 No.1

        조직 간의 자유로운 이동 및 조직 구성원이 추구하는 가치의 다양화 그리고 평생직장의 개념이 없어짐에 따라 오늘날의 경력성공은 한 조직에서의 높은 임금이나 빠른 승진보다는 노동시장에서의 고용가능성과 자신의 경력에서 느끼는 심리적 만족이 성공의 기준이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주관적 경력성공으로 간주하고 개인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원에 따라 개인특성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및 국내에서 영업하는 외국계 금융기관의 직장경력 5년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82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장욕구와 정치적 행동성향은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원에 따라 거의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의 경우 사회적 지원을 자신의 경력성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경향이 낮은 것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최근의 고용관계 및 사람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여 심리적인 성공, 즉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으로 경력성공을 측정하였다는 점과 대부분의 경력 연구가 남성대상이나 본 연구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경력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가 금융기관의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경력성공, 나아가 대표적인 여성 직종인 비서직의 경력 성공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둔다. In the past, studies on career success have been focussed on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objective career succes. But as today's organizations no longer offer lifelong employment, individuals put str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his overall career and employability in the open labor market rather than rapid promotion or high compensation in an organ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Also nowadays highly-educated female workforc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women's career is an important for female themselves and the organizations that employ wom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the females in the banking industry. And social support was chosen as the moderating variable because it is believed social support is vital for the female's career success. The data of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female workers in 8 Korean banks and 21 foreign banks acting in Korea by questionnaire. Also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individuals with more than 5 year work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need to look back over their career. In order to test hypotheses, actually 182 sampl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needs and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had positive effects on female's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But social suppor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that career success was defined by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hich reflect the change of employment contract, people's value, etc, Furthermore,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female's career success and future research ideas related to secretaries.

      • KCI등재

        조직 내 사회구조적 특성과 경력사원의 이직 의도 :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과 전반적 조직공정성의 역할

        최선규(Sungyu Choi),최용득(Yongduk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경력사원 채용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하여 새로운 조직에 합류한 경력사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력직 구성원의 관점에서 중요한 조직 내 사회구조적 환경 요인, 심리적 경로 그리고 경계조건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경력사원의 과업수행 측면에서 조직정보 접근성, 조직자원 접근성 그리고 관계적 측면에서 사회정치적 지원 환경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사회심리적 기제로서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의 매개역할, 그리고 전반적 조직공정성 인식의 조절역할을 상정하고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접근은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의 논리를 적용한 연구 및 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둔 이전의 연구와 차별화된 시도이며, 경력직 구성원의 조직 적응을 위한 맥락과 과정 그리고 조건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247명의 정규직 경력사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사원의 조직자원 접근성과 사회정치적 지원 인식은 직접적으로 이직 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정보 및 조직자원 접근성 그리고 사회정치적 지원은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직 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 조직공정성 인식은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반적 조직 공정성 인식이 높을 때만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은 이직 의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결과, 전반적 조직공정성 인식이 높은 수준에서만, 조직정보, 조직자원 접근성, 그리고 사회정치적 지원 인식이 조직 내부인 지위 인식을 통해 이직 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experienced employees in organizations, little empirical effort has been made to explain the adaptation and turnover of these experienced employees.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experienced employees entering a new organization. We focus on the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such as access to information, access to resources, and sociopolitical support. We suggest that access to information, access to resources, and sociopolitical support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experienced employees. We also propose that perceived insider status serves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se relationships and that perceived overall justice serves as a boundary condition for the effect of perceived insider status on turnover intention. We tested our hypotheses with data from 247 full-time experienced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ess to resources and sociopolitical support are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and perceived insider status mediated the relationships. In additi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sider status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ed on the overall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mediated relationships were effective only when the perceived overall justice was hig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