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체성 갈등 시대 정체성 정치문화에 대한 소고 : 자기 동일성으로서의 정체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중심으로

        유용민(Yongmin Ryu)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정체성 정치는 현대사회 상이한 정체성 사이의 공존과 상호 인정을 도모하는 민주적 기획으로 환영할 수 있지만 동시에 정체성 사이의 과도한 긴장과 갈등을 불러오는 폭력적인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복합적인 성찰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정체성 정치에서 정체성 개념이 특권화되고 과잉 도덕화되는 경향이 정체성 정치에 갖는 의미에 주목해 보았다. 정체성은 불변하는 자아를 지지하는 관념인 것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지만 자아의 동일성과 지속성에 대한 현대철학적 사유들은 실체로서 주체가 갖는 의미가 고정적이지 않음을 일깨운다. 정체성 정치가 자기 동일성에 대한 지나친 믿음에 기초할 때 그러한 정체성 정치가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제공하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 글은 자기동일성에 대한 데이비드 흄의 철학과 정체성 논쟁을 정치철학적으로 제기한 토머스 홉스 그리고 우연적 자아의 개념을 도입해 본질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비판하고 비본질주의적인 주체의 개념을 상정하는 미국 프래그머티즘 논의를 탐색하면서 완벽한 정체성의 추구를 부르짖는 정체성 정치의 위험성을 진단한다. Identity politics is a controversial concept that requires complex reflection. The reason is that it has the violent possibility of causing excessiv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differentt identities.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the tendency for the concept of identity to be privileged and overmoralized in identity politics. Identity tends to be perceived as an idea that supports an immutable self. However,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awaken that the meaning of the subject as a substance is not fixed in relation to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self.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politics for their relationship to democracy when it is based on an over-belief in self-identity? This article examines David Hume’s philosophy on self-identity, Thomas Hobbes who raised the identity debate as a political philosophy, and American pragmatism that criticizes the essentialist concept of identi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contingent self and assumes the concept of a non-essentialist subject. Exploring the discussion, this author criticizes the dangers of identity politics calling for the pursuit of perfect identity.

      • KCI등재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이대희(Lee Dae 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4

        지역주의는 최근에 많이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선거에서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늘 거론된다. 그동안 지역주의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론의 경연장이라고 할 만큼 다양한 이론들이 동원되어서 일정정도 지역주의의 원인을 규명하는 기여를 했지만 또한 한계를 노출하기도 했다. 이 연구는 근대화이론, 비판이론, 합리적 선택이론에 기댄 설명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안으로 정체성의 정치의 관점에서 지역주의 특히 지역적 몰표 현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정체성은 사회적 차원에서 개인의 존재를 규정하므로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적 집단과의 동일시를 통해서 정치적 가치를 추구한다. 개인이 소속된 집단과의 동일시 즉 정체성이 강력할수록 집단행동의 수준 또한 높아진다. 정체성이 정치적 동인의 하나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상황 즉 특정한 정치적 구조와 계기가 주어져야 한다. 한국정치의 협소한 이념적 지형과 시민사회와 유리된 정당체계의 구조 속에서 형성된 민주 대 반민주라는 정치적 균열이 1987년의 민주화로 사라지고 그 결과로 생겨난 정치적 공백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지역정체성이 정치적으로 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현대사를 거치면서 소외와 차별 그리고 광주민주화운동 등의 경험은 호남인들의 정체성을 특별하고 공고하게 만들었고 이는 강력한 지역적 몰표로 귀결되었다. 지역주의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정체성이 정치과정에 투영되는 한국정치의 구조적 조건즉 보수화된 정치지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Regionalism is recently estimated to be weakening but still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elections. Various theories which are employe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regionalism in Korea contribute to explain its causes but also reveal some limitations.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it in terms of identity politics. The identity defines people as individual and social being, and people persue their political values and goals by identifying themselves with social groups. In Korea, the regional identity has been highly forged through long history. The structure of Korean politics, narrow configuration of political ideologies and political parties isolated from the civil society, provided an occasion for the regional identity to be expressed as the regional concentration of votes, when the democratization of 1987 erased the previous political divide and provoked an political vacuum. In particular, the contemporary history made more consolidated the regional identity of the residents of Honam who experienced alienation, discrimination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of Gwangju, and leaded to a strong concentration of their votes. To get rid of the regionalism, we need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Korean politics.

      • KCI등재후보

        홍콩 민주화 시위에 나타난 정체성의 정치 분석

        박서현(Park, Seohy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홍콩의 민주화 시위에서 나타난 정체성의 정치를 분석하는 사례 연구이다. 홍콩의 민주화 시위의 직접적 상황 요인은 홍콩인들의 정치제도 개혁의 열망과 민주화의 의지의 연장선상에서 태동 된 것이었다. 이는 홍콩인의 정치적 참여와 권리에 대한 오랜 차별과 배제의 불만이 폭발한 결과였다. 홍콩의 민주화 시위는 홍콩인들의 강화된 정체성을 구심점으로 하는 정체성의 정치 행위로 표출되었다. 이것의 본질은 중국 정부의 영향으로부터 빠져나오려는 강렬한 저항의 시도이자 자기중심의 자율성과 정체성, 정치적 권리를 확보하려는 과정에서 작동되는 정치 행위라 할 수 있다. 2014년 홍콩의 민주화 시위에 이르기까지 홍콩의 정체성의 정치 전략은 상황에 따라 다른 수준의 정체성의 정치 전략들이 구사되었다. 따라서 홍콩의 정체성의 정치 발전 과정을 동화(Assimilation)→적응(Accommodation)→책임(Accountability)의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75일의 홍콩의 민주화 시위는 지속되었으나 홍콩인들은 그들이 원하는 정치적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홍콩의 민주화 시위는 시위에 참여한 홍콩의 젊은 세대들을 홍콩 정치의 새로운 주역으로 부상하게 하였으며, 홍콩 사회에 내재한 정체성의 심층 구조와 정체성의 정치 행위를 살펴 볼 수 있게 하는 사건으로서 정치사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politics of identity demonstrated through democratic movement in Hong Kong. The democratic movement of Hong Kong broke out due to an extension of long desired political reformation and democratization of Hong Kong. This is a triggered result of violation of rights and discrimination toward political involvements of the people of Hong Kong. Democratic movement of Hong Kong broke out based on their reinforced identities. Those are political conducts through their own solidarity as the people of Hong Kong, a spark of awakening in their identity by opposing China’s political attempts. This political act is a result from strong resistance to Chinese influence while building Hong Kong’s own autonomy, identity, and political rights. To reach The 2014 democratic movement of Hong Kong the strategies of politics of identity based on situation were developed. Therefore the developed strategies of politics of identity by Dean (1996) were analyzed in three stages: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Accountability. Due to the disregard of Chinese government, the democratic movement that lasted 75 days did not get the results that people of Hong Kong desired. However, it is an evident political significance that the young generation has risen as the new leading role in politics of Hong Kong. Also it has political meaning to shown inherited inner structure of identities of Hong Kong and the case demonstrated conducts of politics of identity.

      • KCI등재

        정체성 정치의 두 얼굴 : 정체성 정치에서 탈중심화된 시민권으로

        이상환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정체성 정치를 연구하는 것은 지배 또는 주류 문화와는 다른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여성, 성적 소수자, 장애자, 소수 민족이나 인종, 그리고 비정규노동자와 이주노동자도 역시 인간 존재로서 도덕적으로 평등하고, 똑같이 존중과 관심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종속적 카스트로 서 무시되거나 비하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회 정의적 관심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체성 정치는 단순히 우리 사회에서 주변화 되고 소외된 민족, 인종, 여성 등과 같은 소수자들의 역 할과 권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의 정체성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러한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탈이데올로기 시대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정체 성의 갈등이 역사 문화적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며, 정치적 차원에서 어떻게 표현되는 가를 이해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주의 시대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왜곡되고 변형되며, 또한 어떻게 재현되는가를 급진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체성을 문화정치적으로 재구성해서 정체성의 새로운 얼굴, 곧 억압 없는 정체성을 세계시민주의 관 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특정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재현함으로써 자신의 문화적 가치를 표현하지만, 동시에 다른 집단의 정체성과 충동함으로써 긴장과 갈등, 심지어 폭력을 낳을 수 있음에 주목한다. 심대한 다원주의 사회에서 상이한 가치관을 지닌 개인들이 하나의 정치공동체에서 평화로운 공존을 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동일성을 강요하는 억압 체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체성 정치의 이중성 효과, 즉 해방적 기능 과 폭력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나아가, 정체성 정치를 탈중심화된 시민권 개념에 의해 억압과 폭력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Studying identity politics is due to the social justice interest that women, sexual minorities, the disabled, ethnic or racial minorities, and non-regular and migrant workers, who have cultural ident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governing or mainstream culture, should also be morally equal as human beings and should not be ignored or demeared as subordinate caste because they should be equally respected and cared for. That is why identity politics simply mean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roles and rights of minorities, such as marginalized and alienated peoples, races and women, and recognizing their identity in our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embody these goals, we must first understand how the conflicts of identity, which often occur in the era of Talideol, are formed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processes and expressed on a political level.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from a radical democratic perspective how identity is distorted and transformed and reproduced in an era of multiculturalism.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identity culturally and politically to seek a new face of identity, or the nonsuppression- free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The paper notes that a particular group expresses its cultural value by recreating its identity, but at the same time it can lead to tension, conflict and even violence by impulsing with the identity of other groups. In order for individuals with different values to coexist peacefully in one political community in a profound pluralistic society, on the one hand, we want to critically analyze the suppression system that enforces uniformity, and on the other, to reflect on the dual effects of identity politics, the liberation function and the violent function. Furthermore, we wan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reeing identity politics from oppression and violence by the concept of decentralized citizenship

      • KCI우수등재

        탈냉전기 북한의 대미 정체성 정치

        서보혁(Bo-Hyuk Suh)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1

        본 논문은 구성주의 시각에서 탈냉전기 북한의 대미정책을 정체성 정치라는 용어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체성 정치는 집단내 동일시 작업과 외부집단과의 구별짓기를 주내용으로 한다. 탈냉전기 들어 북한은 열악해진 대내외적인 정책환경에 직면해 국가정체성을 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에 적극 개입시켰다. 분석 결과 제네바합의까지 북한은 국가주권의 인정을 획득하기 위해 대결적 행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제네바합의에서 북한의 국가정체성은 일시적으로 인정되었고 이후 양국간 대화국면도 정체성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해 관계정상화를 이루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국력 분포와 체제 정향에서 차이가 명백한 국가관계에서 정체성 정치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그것이 정책 목표 달성에 반드시 긍정적이지만은 않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런 분석은 현 부시정부 하에서 북한의 정체성 정치가 딜레마에 놓여있음을 말해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attern and effects of North Korea's survival diplomac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e post-Cold War era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dentity politics, which is based on identification in domestic and differentiation abroad, has oper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North Korean foreign policy.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attern of North Korea's identity politics depends on whether Pyongyang is recognized as a sovereign state by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by Washington. But the Agreed Framework in 1994 is a limited result of North Korea's identity politics after diplomatic and 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despite many negotiations since 1994,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d not developed their relations due to negative effects of identity politics. With the nuclear issue rising on the surface again, North Korea's identity politics is in a dilemma.

      • KCI등재후보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진단과 과제의 탐색

        신현석,정용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in an effort of establishing its academic status developed continuously since 1994. To attain the purpose it unravel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olitics and the perspectives of it inquiry, and analyzes and diagnoses its identity from the views of scientific, boundary, and scholarly group identity which are conceptualized to mean the identity of an academic discipline. As a result,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politics have progressed a little in each area of identity, but have been sluggish in combined effort of the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task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the followings: (1) to construct scholars' continuous research competency for stabilizing research paradigms and settling the discipline down into the nation, (2) to develop various research theme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hesiveness and bond of academic community, and (3) to scrutinize theoretical system, concepts, and methodolog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an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field.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1994년 이래 지속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논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성격과 학문적 탐구의 관점을 밝히고,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과학적 정체성, 경계 정체성, 집단 정체성으로 개념화하여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진단하였다. 진단 결과,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학회 창립 이래 개별적으로는 진보되었으나 응집된 공동체의 일관성있는 정체성 확립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로 패러다임의 정착과 교육정치학의 토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역량의 구축, 학문공동체의 응집력과 결속력을 높이는 다양한 연구 주제와 방법의 강구, 융합적·간학문적 학문으로서 교육정치학의 이론체계, 개념, 연구방법론의 정교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교육정치학과 정치학: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학문간 대화와 융합의 모색

        신현석,정용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s ofeducation and the political science, to diagnose the issues hamperingdisciplinary identi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and to examine tasks for itsdevelopment. Both the politics of education and the political science havebeen influenced by academic stream and theoretical universality of Westernpolitics so that they cannot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based on Koreanreality. Accordingly, both need to share issues and tasks on disciplinaryidentity, and to form mutual collaboration in order to establish it throughdialogue and fusion between the disciplines. In detail, the issues to do it areas the followings: (1) the politics of education as a rainbow science, (2) thepolitics of education focused on control and instrumentality, (3) the politicsof education as an area study of American politics of education, and (4) thepolitics of education as adaptologies and imitatologies. Finally, the tasks tosolve the issues are suggested as the follows: (1) to overcome rotatedrelations between theoretical dependence on methodology and methodologicaldependence on theory, (2) to avoid rule-making and rule-adapting researchof educational politics, (3)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politics curriculum and its standardization, and (4) to publish an introductorytextbook on Korean politics of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정치학이 정치학과 어떤 관계를 가질 것인가에 대한 문제와 한국 교육정치학이 학문적 종속성을 벗어나 자기 준거적 시각에서 정체성의 확립을 방해하는쟁점들을 진단하고, 발전을 위한 과제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교육정치학은 정치학과 마찬가지로 서구 정치학의 학문적 조류와 이론의 보편성에 영향을 받아왔으며한국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해 왔다. 따라서 한국 교육정치학은정치학과 함께 학문적 정체성의 고민과 쟁점을 공유하며, 학문간 대화와 융합을 통해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공동의 전선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교육정치학이 학문적 정체성 확립 측면에 안고 있는 쟁점은 ① 무지개 과학으로서 교육정치학의 성격, ② 통제와 도구성 중심에 초점을 둔 교육정치학의 문제, ③ 미국 교육정치학의 지역학으로서 교육정치학의 위상, ④ 수용학 또는 모방학으로서의 교육정치학등이다. 이러한 쟁점을 해소하여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발전 과제로는 ① 방법론의 이론 종속성과 이론의 방법론 종속성이라는 순환관계의 극복, ② 법칙정립적이며 법칙적용적인 교육정치학 연구의 탈피, ③ 대학에서 교육정치학 교과과정 설치 및표준화 모색, ④ 한국 교육정치학 입문서 출간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정체성 정치와 국제 안보의 재구성: 이론, 실제 그리고 시사점

        서보혁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2

        본 연구는 탈냉전기 국제관계에서 정체성 정치의 구조와 동학을 살펴보고, 북한문제 등 대안적 국제안보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성주의는 정체성과 같은 문화적 변수를 독립변수로 부각시키고 있다. 정체성 정치는 대내적 동일시 작업과 대외적 구별짓기로 요약할 수 있는데, 국제관계에서 경계와 배제의 논리에 입각하여 주권국가의 불완전성을 만회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권력에 의한 정체성 정치는 개인 및 집단의 정체성을 억압하고 대외적 위협을 의도적으로 재생산한다. 정체성 정치는 무정부하에서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하나의 형태로 볼 수 있지만 국가, 군사안보, 남성 중심의 전통적 안보논의와 질적인 차별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정체성 정치가 권력정치와 배타적이지 않다는 점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포괄적 인간안보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정치를 약화시킬 수 있는 소통 합리성과 민주적 글로벌 정치가 요구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문제’의 해결도 당사국간 정체성 정치의 지양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안보 범주의 확대와 다양한 외교적 접근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identity politics in Post-Cold Wa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rie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alternative international security. Constructivist approach considers ident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dentity politics, which can be summarized to the identification in domestic and differentiation abroad, retrieves the imperfection of national sovereignty based on boundary and exclusion. And, identity politics which is conducted by political power oppresses individual and group identities, and reproduces external threats intentionally. While identity politics is said to be a different form from power politics in pursuit of state interests in anarchy, it is the same with traditional security discourse concentrated to the state, military issues, and muscularity. This means that identity politics is not distinguished from power politics qualitatively. Therefore,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democratic global politics are required to weaken identity politics and, ultimately, to build comprehensive human security. In this vein, also in ‘North Korean problem,'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ategory of security and to diversify diplomatic approach.

      • KCI등재후보

        지역정체성과 지역사회활동이 정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전・세종・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재현 한국NGO학회 2019 NGO연구 Vol.14 No.3

        한국정치의 특징 중 하나인 지역주의가 한국정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여전히 지목되고 있는 현실은 지방분권과 지방정치가 어떠한 모습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정치적 효능감이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지역에 기반을 둔 지역적 요소, 다시 말해, 주민의 지역정체성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정치참여가 자원봉사나 시민단체 활동과 같은 지역사회활동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지역사회활동에 대한 영향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지역사회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기여에 대한 인식이 정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 및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정체성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이 그 지역사회에 서 갖는 소속감과 유대감을 바탕으로 축적되는 것으로 지역정체성이 높아진다면 정치적 효능감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활동에 적극적인 참여와 그로 인한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인식의 증가도 정치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분권 패러다임에 따른 지방정치의 새로운 변화를 위해서 지역수준에서의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사안 중에서 지역정체성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연구와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역정체성은 단기간에 그리고 일회성 이벤트로 함양될 수 없기 때문에 이제 정착시켜야 할 지방정치와 주민자치의 범주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지방정치의 올바른 정착과 주민자치의 실현은 지역 주민이 지역사회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그에 상응한 자기효능감과 더불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자긍심이 수반될 때 비로소 가능하고 이것이 정치적 효능감으로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종교적 정체성, 정치적 정체성, 유럽의 정체성

        이옥연 ( Ok Yeon Yi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1 韓國 政治 硏究 Vol.20 No.1

        대다수의 유럽 국가는 “하나의 유럽”에 동참하려는 높은 의지를 보이지만, 유럽연합 헌법조약의 인준을 둘러싼 갈등에서 드러난 “하나의 유럽”에 가린 이면도 동시에 목격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역내 극진세력이 주도하는 강압적 “하나의 유럽”이 빈번하게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고자 한다. 그 결과, 유럽의 주축을 형성하는 자유 민주주의 체제 내 기본 이념인 자유, 평등 및 법치를 완전하게 내재화시킨 일부 유럽국가에서조차 이러한 기본 이념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유럽의 정체성을 둘러싼 극단적 요구가 왜, 그리고 어떻게 주요 정치쟁점으로 부각되는지 추적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정치쟁점을 핵심 정강으로 채택하는 정치세력이 그 지지 기반을 확대하는 정당정치의 균열구조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첫째, 유럽의 지역통합을 안보와 경제적 관점에서 도형화해서 대조한 후 리스본 조약의 함의와 연계해 유럽의 다면성을 논의하고, 둘째, 탈세속화된 유럽 사회의 다면성을 종교적 정체성과 정치적 정체성 간 연결고리 속에서 검토한 다음, 마지막으로 종교적 정체성, 정치적 정체성, 그리고 유럽의 정체성을 조립하는 정당집단 정치의 균열구조를 현 시점에서 살피면서 결론을 대신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A majority of European countries appear committed to the “Union of Europe,” yet we witnessed the convoluted process of rejecting the EU Constitutional Treaty which emblematized the “Union of Europe.” This paper, in particular, explores why and how the calls for European identity fall prey to extremist influences even in the established liberal democracies across Europe. In the subsequent parts of the paper, I will first delineate the functioning of an enlarged EU as laid out in the Lisbon Treaty, followed by the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depicted from security and economic perspectives. Then I will look into the multiplicity of Europe, especially in terms of religion in the “post-secular” Europe, and its politics of structuring European identity on the basis of party-group cleavages. In so doing, I purport to propose an ensuing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analyzes how the postsecular Europe manages to navigate in mapping the meanings of “Eur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