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진규 시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 : 『모르는 귀』를 중심으로

        마혜경 ( Ma¸ Hyeky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정진규의 시세계와 그의 마지막 시집 『모르는 귀』에 나타난 시적공간을 해석하여, 공간이 정진규의 시세계가 변화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정진규 시인의 내면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의 본질 가운데 공간이 차지하는 의미에 주목하여 정진규 시에 나타난 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정진규의 시 창작 의식과 시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정진규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과 생태는 그의 창작 주체이자 시적 영감을 불어넣는 소재로 작용한 것이었으며, 정진규는 인간과 자연, 사물과 존재의 공존과 공생을 노래하고자 하였다. 즉 정진규는 자연물을 통해 인간인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고, 존재와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주목하여 그 틈을 전일성의 공간이자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묘사한 시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이는 시인이 탈속의 세계, 즉 인간과 자연의 교감과 조화를 통한 일상성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전까지 시인이 노래했던 전일성의 공간은 사물과 존재가 공존하는 공간이었다면, 『모르는 귀』에서 전일성의 공간은 새로 길을 낼 수 있는 깨달음의 공간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정진규의 시세계는 시인의 치열한 성찰과 사유를 바탕으로 하는 전일성의 공간에 대한 발견과 깨달음의 시학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정진규 시의 시세계나 그의 산문시 창작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그의 시세계가 지향하는 문학적 공간인 전일성의 공간이 가진 의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진규 시의 공간 연구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poetic world of Jung Jin Gyu and the poetic space indicated in his last poem an unknown ear to determine how this poetic space has affected his changing poetic world and examine his inner consciousness.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space indicated in his po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meaning of space among the essence of his poetry is an effective method for understanding his poetic creative consciousness and his poetic world. The nature and ecology of Jung Jin Gyu’s poetry acted as the subject of his creation and poetic coexistence and as a symbiosis of human and nature and things and beings. Namely, he revealed his feelings as a human being through nature and published many poems describing the gap between beings and things as the space of characteristics and space where humans and nature coexist. This indicates that he aims for a world of deviance, frequent communication, and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The space of characteristics that he expressed before is the space where things and beings coexist. However, the space of characteristics indicated in an unknown ear comes across as a place of enlightenment, where someone can acquire new knowledge. Thus, his poetic world can be seen as a discovery about the place of characteristics, based on hisintense reflection and reason and his poetry of realization. To date, research into Jung Jin Gyu’s poetry world and the creation methodology of his prose poems has been relatively active; however, research into the meaning of the place of characteristics aimed for in his poetic world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research the spatiality of the poet Jung Jin Gyu.

      • 정진규 초기시 연구

        송기한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科學論文集 Vol.42·43 No.-

        지금까지 이어지는 정진규의 시세계는 우리에게 독특한 경지를 경험하게 한다. 특히 198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되었던 정신주의적 시적 경향이 『연필로 쓰기』, 『뼈에 대하여』, 『몸詩』, 『알詩』등으로 구체화되면서 정진규는 그의 세계를 우리 현대시의 문단에 더욱 확고히 뿌리내리게 된다. 동양의 전통적 사상에 깊이 연원을 드리우고 있는 그의 시세계는 계속되는 이들 시집들의 간행을 통해 탄탄하고 독보적인 위치를 굳히는 것이다. 1960 년대에 쓰인 그의 초기시는 이후 넓고 큰 세계로 구축된 그의 형이상학적 경향의 시들을 위한 초석이 된다. 초기시에는 앞으로 그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노장 사상 등의 동양 철학적 인식이 명료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대신 초기시에서 우리는 현실을 살아가는 평범한 인물로서 겪게 되는 일상적이고도 특수한 경험들에 투명할 정도로 정직하게 반응하는 시인을 만날 수 있게 된다. 시인은 삶의 각 영역들이 빚어내는 경험의 현상들을 섬세하게 추적하고 포착하면서 이들 사이의 특성과 위치에 따라 각각의 좌표를 지정한다. 이 가운데 시인은 일상 영역의 체험이 침투할 수 없는 질적으로 차별된 특정한 경험을 가려낸다. 이때의 경험은 고도의 정신 집중에 의해 현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인은 일상의 바다에 하나의 섬처럼 독립된 영역으로 자리하는 이때의 경험이 의식의 절대적 순간을 유도하는 대단히 특수한 것이자 소중한 것임을 인식하게 된다. 사실상 정진규의 독창성은 이 지점에서부터 준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평범하고 습관화된 경험을 범상하게 보지 않고 이에 예민한 감각과 섬세한 시선을 던지는 시인은 이내 경험이 곧 그것과 어우러지는 특정한 조건에 의해 다른 성질로 현상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이 있었기에 시인은 일상의 삶의 영역을 넘어설 방도로 여기가 아닌 다른 곳을 상정하지 않는다. 여타의 종교나 여타의 이데올로기 등이 그에게는 필요치 않았던 것이다. 그러한 고립된 세계관이 없이도 그는 이곳의 현실을 뛰어넘어 이곳과 전혀 다른 세계를 가져올 수가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특수한 경험을 유도하는 특정한 조건을 마련하는 일에서 귀결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시인은 그를 위한 특정한 조건이란 다름 아닌 ‘나’를 바꾸는 일에 해당됨을 인식하게 된다. 그것이 ‘마음 다스리기’를 의미하는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는 그가 경험한 절대의 특정 경험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그의 마음에 ‘칼’을 들이대고 대수술을 감행한다. 잘라내고 도려내고 버리고 꿰매는 일이 이때부터 이루어진다. 그 ‘칼’의 날카로움도 가히 절대자가 흡족해할 만큼의 차원 높은 것이다. 이를 보면 정진규에게 평생의 시작 활동에 걸쳐 주요 테마가 된 ‘마음’, ‘정신’의 문제가 초기시에서부터, 그것도 자신의 경험에 근거한 섬세한 인식과 통찰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 정진규 시의 ‘정원’ 과 생태인문학

        정효구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人文學誌 Vol.57 No.-

        This article examined issues related to ‘gardens’, which appear consistently in the 18 poetry collections of poet Jeong Jin-Gyu from his first collection to his last and which act as the physical space and mental space of poetry. In the poetry of Jeong Jin-Gyu, such ‘gardens’ go through three stages, mutually developing and edifying the ecological world and the world of the humaniti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garden discovery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ddurak (garden)’ from the mid-1960s to the early 2000s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Seoul years’ or 'Suyuri years’. Here, the poet Jeong Jin-Gyu relies on the small ‘ddurak' of his residence and gives birth to an ecological sense along with humanistic sensibility and a mental world and he makes these grow in abundance. The second stage is the rapid developmental stage of ‘gardens’ through the ‘Anseong period’ in the early 2000s after the return to ‘Anseong’, which was his hometown and place of birth. The poet Jeong Jin-Gyu builds a house called Seokgahun in his returned hometown and birthplace and cultivates and builds a garden of a new level. The largest part of this Seokgahun is not the house as a building that forms the Seokgahun, but the yard’ or ‘garden’, which encompasses the whole and acts as the foundation and center. The garden’ of 'Seokgahun/yard’ during the ‘Ansung period’ is the stage of ripening’ in the history of ‘gardens’ in Jeong Jin-Gyu’s poetry. Finally, the poet Jeong Jin-Gyu cultivates and opens a garden of another level by changing the ‘seokgahun/yard’ of the Anseong period into 'yulliujeongsa/yard’. In this yuliujeongsa yard or garden, the poet Jeong Jin-Gyu creates a world beyond the humanities of modem meaning, can be called spiritual ecology or ecological spiritualism Here, the poet puts down his superior and intentional human composition as a gardener and becomes a listener of an equal,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in which “yulliu,” the origin of cosmic logic, works itself. Thus, he is no longer a gardener or garden owner in a general sense at this stage, but a steward of a self-sustaining and cosmic garden who has seen the garden make its own garden. The accompaniment of ‘gardens’ that appear throughout the entirety of Jeong Jin-Gyu’s poetic life, explorations of gardens, and studies through “gardens” look upon the beautiful results of a poetic mind that reads, enjoys, and passes on the path upon which a poet who originally experienced ecological senses achieves physical expansions from a very small ‘ddurak’ to a larger ‘yard’ and garden along with the heights of a humanistic spirit and spiritual world as they profoundly meet the depths and essence of ‘gardens’ regardless of size.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운율 연구

        권혁웅 ( Hyuk Woong Kwon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7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에서 운율을 논의하기 위한 방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실제 시의 분석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율격을 음보(마디) 개념으로만 설명하던 기존의 율격 논의를 지양하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의 율격 자질을 제안했다. 첫째, 동일한 가치를 지닌 음운이 반복되면서 율격이 생겨난다. 음성적 차원의 소리가 의미론적 차원의 구조 아래 놓이면서 음악성이 획득된다. 둘째, 등량화된 음절로 이루어진 마디가 반복되면서 율격이 생겨난다. 이것은 재래의 음보(마디) 개념을 포괄하면서도, 시적 주체의 감정상태와 발화방식에 따라 한 편의 시 안에서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래의 음보(마디)개념보다 유용하다. 셋째, 동일한 구문이 반복되면서 율격이 생겨난다. 구문은 통사론의 영역에 있지만, 율격이 의미론적 요소와 관련될 때에만 제 기능을 발휘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구문의 반복이 갖는 의미론적 변화가 율격을 낳는 셈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백석), 「들판의 비인 집이로다」(정진규), 「풀리는 한강가에서」(서정주)를 상세히 검토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established a new theoretical methodology to examine the rhythm of modern Korean poetry and investigated its uses by analyzing such poetic works as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written by Seok Paek, ``it`s an empty house in a plain`` by Jin-gyu Jeong, and ``by the river Han thawing`` by Jeong-ju Seo. Avoiding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like the theory of foot(colon), I proposed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rhythmic qualities. First of all, regularly repeating phonemes which have similar values makes poetic rhythm. In other words, when it makes harmony with the semantic construction, sounds of voices can bring about poetic rhythm. This c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approves the possibility of a rhyme of modern Korean poetry. Second, repeating knots can make poetic rhythm when they were jointed with syllables of the same quantity. This concept is more useful than the traditional foot(colon) concept, in that this kinds of rhythm can make diverse changes in a poem according to the impulse or the enunciation of a poetic subject. Third, repeating the same sentences makes poetic rhythm. Although a sentence can be distinguished in a syntaxtic field, its rhythm can only be generated when it related with elements of semantics. Not the syntaxtic repeating but the semantic changes which is brought by the repeating can generate poetic rhythm.

      • KCI등재

        ‘몸’의 생태시학

        정연정(Jung, Yeon-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6 No.-

        21세기 들어 생태계 위기와 인간 총체성의 이해에 대한 요청으로 말미암아 그동안 경시되었던 몸 담론이 부활하고 있다. 몸 담론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 것은 인식론적ㆍ윤리적 및 사회철학적인 문제점들을 넘어서 몸은 존재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나’의 실존을 증명하는 최소한의 요건인 몸이 세계에 대한 존재 이해와 생태학의 토대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 문학에서도 몸은 작품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사용되며, 몸 이미지는 미학과 시학을 반영한다. 따라서 몸의 시학적 이미지는 다형적이고 혼종적이며 해체적으로 나타난다. 시인들은 텍스트에서 몸을 훼손하고, 해체함으로써 근대기술문명사회의 삭막함과 황폐함을 역설적으로 비판한다. 또한 몸과 자연을 동일화하고, 자연의 희생을 경고하면서 에코토피아를 구현하고자 한다. 만약, 우리가 시인들이 몸으로 말하는 생태계 위기의 극복을 치열하게 갈망한다면, 그것은 텍스트를 벗어나 현실적으로 현현할 수 있는 현실적 가능태가 될 것이다. 현재와 같은 생태위기의 시대에 ‘몸의 생태시학’이 갖는 의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몸ㆍ생태ㆍ여성’ 담론이 학제간 연구 성과에 힘입어 새로운 통섭의 학문이 되어 우리사회를 열어줄 때 생태계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As ecological crises and desire for understanding the unity of men have increased in the 21st century, body discourse that has been disregarded has drawn attention again. The reason that the body discourse has been revisited is that the bo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ontology going beyond epistemological, ethical and socio-philosophical issues. It means that the body, a minimum requisite that proves my existence, become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about the existence of the world and ecology. Nowadays, the body acts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a literary work, and the body image reflects aesthetics and poetics. Accordingly, the poetic image of the body is polymorphic, hybrid and deconstructive. Poets paradoxically criticize bleakness and devastation of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by damaging and deconstructing the body in their texts. In addition, they attempt to create an ecotopia by regarding the body in the same light as the nature and warning against the sacrifice of the nature. If we are eager to overcome ecological crises bodily spoken by poets, it would be a realistic dynamis that could be manifested going beyond texts. The significance of the ecopoems of the body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es facing today can be found here. In this regard, if the discourse of body, ecology and women becomes a new knowledge of consilience to open our society, ecological crises would be over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