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직과 전통적 가치의 갈등 상황에서 행동 선택과 정당화 방식 분석

        장희선(Hee Sun Chang),문용린(Yong Lin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정직과 전통적 가치의 딜레마 갈등 상황에서 한국인의 행동선택과 정당화 방식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령별로 정직과 딜레마 갈등 상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 5학년 225명, 중학교 2학년 224명, 고등학교 2학년 203명, 대학생 210명, 성인 229명의 총 109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카이스퀘어검증X(2), 빈도분석 및 대응분석(CA), 다중대응분석(MC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갈등상황에서 행동선택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직 빈도는 줄어들고, 소극적 부정직 행동이나 적극적 부정직 행동 선택이 증가하고 있었다. 오륜별로 부자 · 부부 등 가족관계의 딜레마에서는 적극적 부정직을, 붕우관계에서는 소극적 부정직을 장유 · 군신관계에서는 정직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군신 및 장유관계에서 정직을, 중 · 고등학생은 군신관계에서 회피나 소극적, 적극적 부정직을, 성인은 붕우관계에서 소극적 부정직 행동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선택 정당화 방식에 대한 분석 결과,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전통적 가치로 정당화하며, 자기이익으로 정당화하는 빈도는 줄어들고 있었다. 오륜별로 부자관계에서는 전통적 가치로, 장유와 부부관계에서는 공리주의로 정당화하고, 붕우관계에서는 자기이익과, 군신관계에서는 다소 약하지만 일치성과 자율성으로 부정직 행동 선택을 정당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선택과 정당화방식 각 항목에 대해 빈도를 총합하여 2개의 비율 그래프를 투영한 갈등 해소 방식 유형화 모형에서는 가족 관계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정직과 전통적 가치의 갈등이 가장 심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전통적 가치로 정당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아지면서 자기이익이나 공리주의 등 다양한 정당화 방식으로 갈등을 해소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우리 사회에서 정직 · 부정직 행동 같은 대인 관계적 행위에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적 관습(전통적 가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n behavior selection and justification methods between honesty and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the five cardinal relationships: wulun) in Korea.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a total of 1,091 people, ranging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ults was conducted on the dilemmatic situation between honesty and five relationship rules(filial duty, loyalty, duty, faith and friendship).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Correspondence Analysis and MCA were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every dilemmatic situation, as the age increased, dishonest behavior selection increased and honest behavior selection decreased. As for the five relationship rules, people generally tend to show dishonest behaviors to family and friends, while choosing honest behaviors in elder-younger relationships. Especiall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hoose honest behaviors in king-subject relationship and elder-younger relationship,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hoose dishonest behaviors of avoidance. Second, as the age increased, the ratio at which the subjects justified their acts with traditional values likewise increased and justifications with self-interest were decreased. The subjects justified their behavior with traditional values in father-son relationships, self-interest in friendships, utilitarianism in husband-wife relationships and elder-younger relationships, and autonomy and congruence in other relationships. Third, the mode of resolving conflicts between honesty and traditional values were constructed into a typification model by integration justification methods that included elements of traditional values. In the typification model, as younger the subjects, the conflict between honesty and traditional values was greater in family relationship but they justify their dishonest behaviors with traditional values as grow older. While, the ratio of choice of honesty was high in other than family relationship and they justified dishonest behaviors with various methods like self-interest, utilitarianism and autonomy as they get olde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i.e. wulun, which are sociocultural convention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honest behavior in Korea.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정직한 사람의 특성 인식 및 정직 정체성과의 관계 분석

        장희선(Chang Hee sun),손경원(kyungwon S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본 연구는 정직, 정직한 사람의 특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정직 정체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인성교육을 담당하는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기 위해 이루어졌다. 먼 저, 서울과 강원도 소재 예비 교사 117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정직한 사람’의 속성, 특성에 대해 개방적 진술을 분석하였다. 예비 교사들은 ‘양심적인’(81명/69%), ‘거짓말하지 않 기’(63명/54%), ‘진실만 말하기’(56명/48%)등의 특성들을 ‘정직한 사람’의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자와 평정자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방적 진술로부터 의미있는 16개의 ‘정직한 사람’의 특성을 상호평정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된 16개의 ‘정직한 사람’의 특성은 요인분 석을 통하여 충실성(faith), 진실성(trust), 정당성(righteous), 준법성(principled)의 4개의 범주 로 분류되었다. 특히, ‘정직한 사람’의 특성 중 ‘진실성(trust)’은 평균 3.99로 가장 중요한 정직 한 사람의 특성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직정체성에 있어서 예비교사들은 정직한 사람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스스로 그러한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내면화는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직한 사람’의 4가지 특성요인에 대한 평가와 정직정체 성과의 회귀분석결과, 관계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oral identity of moral person by teacher's college students. 117 teacher's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responded to a opened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 ways moral person they perceived as morally acted. In the most frequency of these categories, they perceived that moral person was "a man of conscience". And these responses were coded and analyzed into 4 categorie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 faith, trust, righteous, principled. These different categories of moral person indicates that moral person can be perceived in a variety of way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y evaluated the category of “trust"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moral person(M=3.99). In addition, it was showed that the affirmation is high evaluated rather than the internalization in Moral Identity by teacher's college students. Otherw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moral person and moral identity.

      • KCI등재

        상황판단검사 형식을 이용한 정직성검사의 타당화

        권은아,이종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성격척도의 긍정응답왜곡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상황판단검사 형식을 이용하여 정직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와 공준타당도를 확인하는데 있다. 총 359명(남자=46.24%, 여자=53.76%)의 직장인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정직성 상황판단검사는 HEXACO 모형의 정직-겸손성 요인의 4개의 하위 구성개념(진실성, 도덕성, 청렴성, 겸손성)별 5-6문항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직성 상황판단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단일요인으로 수렴되는 고차요인모형의 CFI와 TLI는 각각 .934, .913, RMSEA는 .049로 모두 양호한 적합기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4가지 하위요인들이 단일의 정직-겸손성으로 수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직성을 Likert 식의 평정형과 상황판단형식으로 측정하였을 때 긍정응답왜곡을 살펴 본 결과, 정직-겸손성 요인 중 정직성(honesty)에 해당하는 진실성과 도덕성은 상황판단형식이 Likert 형식보다 긍정응답과 관련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겸손성(humility)에 해당하는 겸손성과 청렴성은 측정형식 간 유의한 상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준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변수는 자기통제(self-control) 및 마키아벨리즘 성격(Machiavellism personality)이다. 공준타당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정직성 상황판단검사는 마키아벨리즘 성격과 -.21, 자기통제와 .27의 상관을 보였고 이들 상관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반-친사회적 상황별 아동의 정직·부정직 행동선택에 대한 도덕 판단과 도덕 정서의 영향

        장희선(Chang, Heesu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이 정직․부정직 행동을 선택할 때, 반-친사회적 상황에 따라 도덕 판단 및 도덕 정서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확인하고, 행동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도덕 판단과 도덕 정서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검사에서 서울소재 초등학교 2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보고식 검사를 바탕으로 검사지를 구성한 후, 총 163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아동은 반-친사회적 상황에서 정직․부정직 행동을 선택하고, 그 선택에 대한 도덕 판단과 도덕 정서 및 도덕 판단귀인, 정서귀인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에 따라 도덕 판단, 도덕정서(타인정서, 자기정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의 도덕 판단은 반사회적 상황에서 부정직 행동을 더 옳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타인정서와 자기정서도 반사회적 상황에서 더 부정적인 정서를 나타냈다. 둘째, 도덕 판단귀인과 정서귀인은 반-친사회적인 모든 상황의 행동선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도덕 판단, 타인정서, 자기정서와 행동선택의 관계를 살펴보면, 반사회적 상황에서는 도덕 판단과 행동선택이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친사회적 상황에서는 도덕 판단, 타인정서, 자기정서 등 모든 변인이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행동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반-친사회적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반사회적 상황에서 도덕 판단이 행동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친사회적 상황에서 자기정서, 타인정서가 도덕판단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판단보다 정서가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정직행동을 선택함에 있어 상황에 따른 도덕 판단과 도덕정서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정직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과 내용구성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moral judgement and moral emotion according to anti/pro-social situation when 2nd-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hoose honest or dishonest behavior and examine the effect of moral judgement and moral emotion on behavior selection. For this study, researcher conducted preliminary test on 27 children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modified the questionnaire, finally 163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er let the subjects select honest or dishonest behavior in anti/pro-social situation and attribute moral judgement and moral emo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ral judgement and emotion(other’s emotion, self emotion). They judged dishonest behavior was more worse in anti-social situation. Both other’s and self emotion showed more negative emotion in anti-social situation than pro-social situation. Second, moral judgement and emotion attribu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ehavior selection in both anti- and pro- social situation.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t, other’s emotion, self emotion and honest/dishonest behavior selec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all variables in pro-social situation. Fourth, the variable which effect on behavior selection was distinguished from situation. In anti-social situation, moral judgement had the greatest impact on selection. In pro-social situation, emotion had greater impact than judg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moral emotion as well as moral judgement are important for behavior selection of lower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different context.

      • KCI등재

        연구윤리의 방법론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조용훈(Jo Yong-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1

          최근 들어 한국 사회에서는 학자들의 연구윤리 문제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학문이 학자의 정직성에 기초해서만 발전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해 보인다. 이 논문은 기독교윤리학적 입장에서 연구윤리의 방법론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윤리가 다루게 되는 윤리적 이슈들은 연구과정,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 결과라는 학문 활동 전체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 학문세계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학자들에 대한 연구업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질수록 연구 활동에서 윤리적 부정행위틀은 더 자주 발생하게 될 전망이다.   연구윤리의 방법론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덕 윤리적 접근방법은 연구자 개인의 지적 정직성 형성에 관심한다. 지적 정직성이란, 연구 활동에서 절차적 투명성과 내용적 정직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연구자 개인의 지적 정직성이라는 덕이 전제되지 않고는 어떤 사회제도도 연구 활동에서 생겨나는 부정직 행위들을 모두 규제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책임윤리적 접근방법은 연구결과의 사회적 책임에 관심한다. 오늘날 모든 학술적 연구는 사회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비록 연구가 실험실이란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해도 연구비의 출처가 사회이며, 연구결과의 적용과정에서 펼연적으로 인간과 사회, 그리고 자연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특히, 과학의 발전과 그 결과의 치명성을 생각할 때 연구가 미칠 결과에 대한 연구자들의 윤리의식과 책임의식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윤리로서의 연구 윤리는 연구의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ㆍ제도적 장치 마련에 관심한다. 정직한 지적 풍토를 위해서는 학자의 엄격한 자기 규제만이 아니라 동료들에 의한 심사나 결과에 대한 검증의 절차가 필요하다. 연구자 집단의 자기정화를 위한 제도가 필요한 이유는 연구 활동이 전문적 영역에 속해서 일반인이 평가하고 감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 활동에 요청되는 지적 정직성이란 단지 과학자와 학자들에게만 요청되는 덕이 아니다. 목사들도 설교나 성경공부와 같은 지적 정직성에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다. 표절과 도용같은 비윤리적인 행위들은 목회자에 대한 신뢰를 해치고 있다. 한국 교회의 목회자들과 연구 직종에 관련된 교인들이 도덕적 탁월성을 보여줄 수 있을 때 교회에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y of research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Today the research ethics has became one of the hot issue in our society. Ethical misconducts and dishonest of scientist have been found in the process of research in the form of plagiarism, fabrication and falsification. Also, there have been ethical controversies on the misuse of research subject involving human being and animals, also from the social and ecological effects of research.   The traditional research ethics pursuits the scientist"s integrity in their research in the sense of benevolent motivation, methodological accuracy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article three different approaches are proposed: first, virtue ethical approach puts an emphasis on the autonomy of the researcher through the code of research ethics and their moral excellence. Virtue ethical approach is interested in the formation of scientist"s integrity such as honesty, carefulness, openness, freedom, credit, education, legality, mutual respect, efficiency, respect for subjects. Second, responsible ethical approach focuses o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research. Scientist should make an effort to prognose about the future by the "Heuristik der Furcht" (Hans Jonas). Last, social ethical approach seeks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ountermeasures such as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and protects the whistle-blowers to correct the research ethical problems. Cultural ethical approach is interest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hich exercise influence on the researcher. For example, patriarchal and sexual discriminative culture may be analyzed.   This study gives to the Christi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the opportunies of self-examination of themselves in terms of intellectual integrity. The achievement of moral excellence may help the Korean church to retrieve their public trust and social lead

      • KCI등재

        정직성 상황판단검사가 과업수행 및 반생산적 업무수행에 미치는 효과: 도덕적 해이의 매개효과

        권은아,이종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판단검사 형식으로 제작된 정직성 척도가 과업수행과 반생산적 업무수행을 예측하는지와 부정직성이 비윤리적 행동을 유발하기 전에 이를 허용해주는 도덕적 해이과정(moral disengagement process)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하는 데 있다. 정직성을 측정하기 위해 HEXACO 모형(Lee & Ashton, 2004)의 정직-겸손성 요인의 하위 구성개념들(진실성(sincerity), 도덕성(fairness), 청렴성(greed avoidance) 및 겸손성(modesty))을 측정하는 상황판단검사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총 365명(남자=46.58%, 여자=53.42%)의 직장인에게서 수집된 자료이다.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 결과, 정직성은 과업수행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반생산적 업무행동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매개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정직성이 도덕적 해이를 매개로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와 정직성이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 모형에 대한 전반적 부합지수는 χ2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χ2(32, N=365)=50.44, p=.0202, CFI=.990, TLI=.986, RMSEA=.040).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 KCI등재

        교사용 유아 정직 척도 개발 연구

        박찬옥,홍찬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asure of young children’s honesty on a teacher’s observation scale. The subjects were 322 young children consisting of 151 four-year-old children and 171 five-year-old children in four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thirty items from the three factor categories are related to young children’s honesty. The three factors are ‘lying’, ‘stealing’, and ‘cheating’.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area scores and the overall score? in the young children’s honesty scale (r=.509~.961, p<.01). The young children’s honesty scale has a high reliability: Cronbach’s α shows .958 overall and .870-.965 for the three factors individually. These results explain that this scale is an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young children’s honesty. 본 연구는 교사용 유아 정직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정직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정직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절차는 척도 개발 계획 수립, 문헌고찰과 자료수집, 1․2차 시안 문항 개발과 그에 따른 예비 검사, 최종 시안 구성, 본 검사 실시 및 자료 분석이다. 개발된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문항 양호도를 검증하였고, 요인분석, 상관관계, 문항 간의 내적합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검사도구의 문항 양호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전체 설명변량의 69.39%를 설명하고 부하량이 .50 이상인 요인과 문항을 추출하여 거짓말하는 행동 15문항, 훔치는 행동 11문항, 속이는 행동 4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정직과 하위요인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가 .95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용 유아 정직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정직의 정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척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반사회-친사회적 딜레마 갈등 상황에서 청소년의 행동선택과 정당화 방식 대응분석 연구

        장희선(Heesun Ch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정직과 전통적 가치의 딜레마 갈등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행동선택과 정당화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 224명,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3명 등 총 4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딜레마 갈등 상황 설문조사 후, 각 변인별로 분할표를 만들고 빈도분석, 카이스퀘어분석(χ2), 대응분석을 이용하여 변인별로 그 차이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륜관계에 따라 행동선택의 차이가 나타났다. 부자관계에서 적극적 부정직 행동, 부부관계에서 소극적 부정직 행동, 장유 및 친구관계에서 정직 행동을 선택했다. 둘째, 딜레마 상황에 따라서도 행동선택에 차이가 있었다. 반사회적 상황의 경우 가족관계에서 부정직 행동을, 친구관계에서는 정직 행동을 선택하였으나, 친사회적 상황의 경우에는 친구관계에서도 소극적 부정직 행동을 선택하였다. 셋째, 오륜관계에 따라 행동선택의 정당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즉, 부자관계에서는 전통적 가치, 장유관계에서 공리주의와 자율성, 친구관계에서는 사회일치성과 자기이익, 군신관계에서 자기이익으로 정당화하였다. 넷째, 딜레마 상황에 따라 행동선택 정당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반사회적 상황의 경우 부부와 친구관계에서 공리주의로, 군신관계에서 자기이익으로 정당화하는 한편, 친사회적 상황의 경우에는 부부관계에서 전통적 가치, 친구관계에서 자기이익, 군신관계에서 사회일치성으로 정당화하는 등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은 반사회 및 친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관계에 따른 사회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행동 선택과 정당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정직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n behavior selection and justification methods between honesty and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of adolescent in Korea.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a total 427 adolescents, middle and high school(second grade) students was conducted.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Correspondence Analysis conducted. The findings are; First, the subjects selected dishonest acts family relationships more often when falling under the five cardinal relationships and selected honest act in all other relationship in the dilemma situations. Second, the subjects selected dishonest acts in family relationships of the anti-social situations while honest acts in friend relationship, But they selected passive-dishonest acts in friend relationship of the pro-social situations. Third, they justified dishonest behaviors with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They justified their behavior with traditional values in father-son relationships, self-interest in friendships, utilitarianism and autonomy in other relationships. Forth, Anti-and pro-social situations made a difference in the justification of behaviors. It can lead to a new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by providing empirical resources on conflict resolution mode in dilemma situations

      • KCI등재

        미국 대학의 "학문적 정직성" 정책에 대한 연구 -대학 글쓰기에서 “표절” 문제를 중심으로-

        김성수 ( Sung Soo Kim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이 논문은 미국 대학의 ‘학문적 정직성(academic honesty)’에 관한 정책, 그 중에서도 표절에 대한 규정(prescription)과 정책(policy)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서 국내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수준 높은 윤리적 기풍을 세우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미국 대학에서 학생들을 위해 제정하여 실시하고 있는 ‘학문적 정직성’, 그 가운데 표절의 원칙과 세부 규정 등의 표절 정책(plagiarismpolicy)을 몇몇 대학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미국의 대학들은 오래 전부터 학문적 정직성에 많은 관심을 두고서 학생들의 부정행위(cheating)나 글쓰기에서의 표절(plagiarism) 등을 예방하기 위해 ‘명예 규약(honor code)’이나 ‘윤리 서약(ethical pledge)’ 같은 학생윤리(행동) 지침을 마련하여 교육을 해 오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대학이나 교육 단체들은 글쓰기 센터의 프로그램이나 웹 사이트를 통해서 학생들이 대학에서의 학문 활동 전 과정에서 지켜야 할 ‘학문적 정직성(성실성)’의 원칙과 세부 사항들을 상세하게 제공해 주고 있다. 미국의 대학들은 ‘의도적인 잘못(deliberate wrongdoing)’은 물론이거니와 ‘부주의에 의한 실수(lapse of inadvertence)’까지도 표절로 규정하고 있다. 표절이란 다른 사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견해가 담긴 원문을 인용부호나 출처 인용 없이 자기 것처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원문 표현의 일부를 베끼고, 중요한 구절이 같거나, 몇 개의 단어가 똑같은 순서로 나열되어 있으며, 한 문장에서 일정한 수 이상의 단어들이 중복되면 그 글은 표절로 간주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도적인 차원에서 미국의 대학들은 학문적 정직성을 지키기 위해 이른바 ‘명예 규약’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표절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제도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문적 정직성과 윤리적 환경을 지키려는 교육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표절 현상이 심각한 현실에서 국내의 대학들도 미국 대학의 표절에 대한 규정과 정책을 참고하여 윤리규약이나 명예 선언문을 제정하고, 표절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view and suggest the prescription and policy of ``academic honesty`` or ``academic integrity`` through the problem of ``plagiarism`` in college writing in the U.S. universities. This essay mainly discuss plagiarism principles, prescriptions, and plagiarism policy as academic honesty or academic integrity in focusing on examples of several U.S. universities. Plagiarism means using another`s ideas and words without clearly acknowledging the source of that informa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give credit where it is due. we must put others` words in quotation marks and cite their source(s) and must give citations when using others` ideas, even if those ideas are paraphrased in our own words.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unauthorized collaboration in many forms besides writing assignment(art, music, computer code, mathematics, and scientific work) is also plagiarism. This essa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academic honesty`` policy in the U.S. universities. The U.S. universities have effectively put their academic honesty policy into practice, and operated honor system to prevent students plagiarism for a long time. Therefore, through re- searching academic honesty policy in college culture and writing system of U.S. universities, we will anticipate to provides adequate opportunity in establishing ``honor code`` or ``ethics code``, and in promoting academic honesty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가 면접에서의 인상관리 책략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

        김영도,장재윤,남상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가 채용장면에서 정직한 인상관리 책략(honest impression management tactics) 및 기만적 인상관리 책략(deceptive impression management tactics)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통제감(sense of control)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채용면접 경험이 있는 대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정직한 인상관리에서는 자기홍보(self-promotion), 정직한 환심사기(honest ingratiation), 정직한 방어(honest defensive impression management)의, 기만적 인상관리에서는 가벼운 이미지 창조(slight image creation), 포괄적 이미지 창조(extensive image creation), 기만적 환심사기(deceptive ingratiation), 이미지 보호(image protection)의 총 7가지 책략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는 정직한 인상관리 책략 중 자기홍보 및 정직한 방어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 관계를 통제감이 매개하였다. 하지만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정직한 환심사기 및 기만적 인상관리 책략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가 높을수록 통제감이 높았으나, 정직한 인상관리 책략 및 기만적 인상관리 책략 중 어떤 것과도 유의한 관련을 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구직자들의 행동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채용장면에서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그 기제로 통제감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