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체형장애, 우울장애 및 정신신체장애 환자들간의 질병행동의 비교

        고경봉,기선완,Koh, Kyung-Bong,Ki, Sun-Wa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7 정신신체의학 Vol.5 No.2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illness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depressive disorders and psychosomatic disor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out-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N=52), depressive disorders(N=52) and psychosomatic disorders(N=51). illness behavior was assessed by illness Behavior Assessment Schedule and the questionnaire about help-seeking behavior.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and psychosomatic disorders more often affirmed the presence of somatic disease, were more likely to have phobia of disease, had more preoccupation with ideas of disease and more frequently shopped around oriental clinics than the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more often attributed its cause to physical factors, less often attributed the origin of affective disturbance to psychological causes, showed Less depression and irritability, and were less likely to accept psychiatric treatment recommended by other physicians than depressive patients.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aving been told that they suffered from a mild illness than those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with psychological problems tended to inhibit expression of their emotion. Femal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more often affirmed the presence of psychological disorder and attributed its cause to psychological factors than male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illness behavior,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are different from depressive patients, whereas the former patients are similar to psychosomatic patients except the discrepancy between therapists and patients regarding evaluation of their symptoms. Thus, it is emphasized that first, therapists need to approach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somatically with understanding of their underlying need to deny psychological problems, followed by either psychological or biopsychosocial approach. 본 연구는 정신과외래에 내원한 52명의 신체형장애, 52명의 우울장애, 51명의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을 대상으로 질병행동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질병행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질병행동평가스케줄(illness behavior assessment schedule) 및 치료추구행태에 관한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면담방법은 구조적인 형태로 이루어졌다. 신체형장애환자들과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은 각각 우울장애환자들에 비해 신체적 질병에 대한 확신, 질병에 대한 공포, 질병에 대한 집착이 더 강하고 한의원의 이용빈도가 더 높았다.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우울장애환자들에 비해 질병의 원인을 신체적인 것으로 더 확신하고 정동장애의 원인을 심리적인 것으로 귀착시키는 경향이 낮으며 우울 및 안절부절못하는 정도 및 정신과에 대한 수용도가 각각 더 낮았다. 한편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정신신체장애환자들보다 질병의 정도가 더 경한 것으로 설명되었음을 확신하였다.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정신적 고통이 있는 경우에 감정표현의 억제가 더 현저하였다. 신체형장애환자들 중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더 심리적 장애가 있고 병의 원인을 심리적인 인자로 귀착시켜 여자에 대한 정신과적 접근이 더 용이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질병 행동에 있어서 신체형장애환자들이 우울장애환자들과는 다른 반면 증상의 평가에 있어서 치료자와 환자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정신신체장애환자들과 비슷한 양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체형장애환자들에 대한 접근은 이런 환자들의 심리적인 것을 부정하려는 욕구를 이해하면서 처음에는 신체적인 접근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심리적 및 생물정신사회적인 접근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조절되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하지만 태생어류에서 이 호르몬의 실질적 작용 메카니즘 및 명확한 작용시기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 진다.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적(最適) 온도(溫度)는 $30^{\circ}C$, avicelase와 ${\beta}-glucosidase$의 최적(最適) pH는 5.0, CMCase는 pH 5.5 이었으며,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pH 5.0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培養) 기간(期間)은 avicelase가 8일(日), CMCase가 10일(日), ${\beta}-glucosidase$는 16 일간(日間) 배양(培養)하였을 때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12일(日) 배양(培養)했을 때 가장 양호(良好)하였다.가한 반면, 중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뚜렷하게 일본참기름을 우수하게 평가하였다.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 신체형장애, 정신신체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간의 가족지지도지각의 비교

        고경봉,우용일,Koh, Kyung-Bong,Woo, Yong-Il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본 연구는 신체형장애, 정신신체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의 가족지지도지각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정신과 외래에 내원한 신체형장애 환자 49명, 정신신체장애 환자 43명, 우울장애 환자 5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가족지지도 지각척도를 사용하였다.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 비해 가족지지도의 접수가 유의하게 더 낮았다. 그러나 신체형장애환자들과 우울장애환자들 간, 정신신체장애환자들과 우울장애환자들 간에 가족지지도점수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들 전체 환자들에서 연령이 많을수록 가족지지도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기혼자들이 미혼자들보다 가족지지도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신체형장애 환자들에서 낮은 가족지지도가 신체화의 원인 및 후유증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따라서 신체형장애 환자 들에 대한 평가 및 치료에 있어서 가족지지의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앞으로 가족지지도가 신체화의 원인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종적인 연구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A comprison was made regarding perceived family support among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psychosomatic disorders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subjects included 49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43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d 50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Perceived social support-famil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extent of family support.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amily support than the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and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s, as well as between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d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s. Patients with older ag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family support than those with younger age. Married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amily support than unmarried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family support may be associated with either the etiology or the sequelae of somatization. Thus, it is emphasized that the role of family support is essential i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omatization. In addition, longitudinal studies will b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ausative role of low family support in somatization.

      • 신체형장애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서의 Alexithymia

        이경규,이정엽,김현우,최상전,Lee, Kyung-Kyu,Lee, Jeong-Yeob,Kim, Hyun-Woo,Choi, Sang-J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연구목적 : Alexithymia(감정표현불능증)는 내면적 감정을 올바로 인식하거나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상태를 뜻하는 용어이다. 최근에는 말로 표현하는데 장애가 있는 것만이 아니라 인지과정에서의 결함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감정은 신체증상과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정신신체연구에 매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형 장애 환자와 정신신체장애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alexithymia의 척도를 비교하고 이 환자들에서의 정신병리와 성격특성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의 신체형장애 환자 20명, 당뇨병 환자 20명 그리고 정상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세 군의 alexithymia의 정도, 정신병리 및 성격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한국판 Symptoms Check List 9G-R(SCL-90-R) 및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16-PF)를 이용하여 세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TAS와 SCL-90-R 및 TAS와 16-PF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TAS에 따른 세 군간의 비교에서는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당뇨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2) SCV90-R에 의한 비교에서는 신체화증상과 불안증상 척도에서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당뇨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강박증상, 우울증상, 공포증상 및 정신증상 척도에서는 선체형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체지표 중 전체심도지수는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당뇨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고, 표출증상심도지수는 신체형장애 환자군과 당뇨병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표출증상합계에서는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16-PF에 의한 비교에서는 지능요인에서만 정상 대조군이 신체형장애 환자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다른 요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4) TAS와 SCL-90-R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신체형장애 환자군에서 표출증상심도지수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두 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TAS와 16-PF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모든 대상군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신체형장애 환자군이 당뇨병 환자군이나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alexithymia 척도와 많은 정신병리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형 환자군에서의 높은 alexithymia 척도는 정신병리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당뇨병환자들은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신체형장애 환자들에게는 감정을 표현하고 그들의 정신병리를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이 도움이 되겠고, 당뇨병환자들에게는 우선적으로 신체질환의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치료가 더욱 필요로 하겠다. Objectives : "Alexithymia" mean literally "no word for mood(or emotion)". It is not only a marked constriction in emotional functioning but a deficit in their cognitive processing. We design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lexithymia,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factors of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N=20),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N=20), and normal control(N=20). The level of alexithymia,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factors were assessed by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the Symptom Checklist 90-Revision(SCL 90-R), and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16-PF). And we compar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factors among three groups,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psychopathology, and between alexithymia and personality factor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AS scores compared to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2)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somatization, anxiety scales tha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obsessive-compulsive, depression, phobic anxiety, psychoticism scales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by the SCL-90-R. 3) The normal control group showed high intelligence scores only as compared to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by the 16-PF. 4)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AS scores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5) All three groups did not shown any correlation between TAS and 16-PF. Conclusion :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showed higher TAS scores and more multiple psychopathology tha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the normal control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AS scores and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We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approach to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to express emotions and manage psychopathology, and that the treatment methods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ims to improve firstly physical conditions are more helpful.

      • 정신신체장애,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의 Alexithymia의 비교

        고경봉,Koh, Kyung-Bo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4 정신신체의학 Vol.2 No.1

        본 연구는 정신신체장애,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에 alexithymia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정신과 외래에 내원 하였거나 타과에서 정신과에 자문의뢰된 정신신체장애 환자 100명(긴장성 두통환자 47명 포함), 불안장애환자 52명, 우울장애환자 50명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반체계적 면담용 평가도구인 Alexithymia provoked Response Questionnaire(APRQ)를 사용하였다.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은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환자들보다 alexithymia의 정도가 더 낮았으나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긴장성 두통환자들은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환자들에 비해 alexithymia의 정도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우울장애환자들이 불안장애환자들보다 aluithymia의 정도가 더 높았으나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 및 직업유무와 같은 인구학적 특징들은 조사대상 모든 군에서 alexithymia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이 결과들은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이 alexithymia를 보인다는 기존 보고와 다르게 정신신체장애 중 긴장성 두통과 같은 특정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서 alexithymia가 현저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긴장성 두통환자들에서의 치료전략으로 감정표현을 유도하는 특수한 형태의 면담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the degree of alexithymia among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author examined the degree of alexithymia in three groups : 100 psychosomatic patients(including 47 patients with tension headache), 52 outpatients with anxiety disorden, and 50 out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Alexithymia was assessed by Alexithymia provoked Response Questionnaires(APRQ) developed as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egree of alexithymia among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ve disorders. On the other hand, patients with tension headache were significantly more alexithymic tha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ve disorder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alexithymia betwee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and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t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did not mak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exithymia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a greater degree of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a specific group of psychosomiatic disorders such as tension headache than in patients with emotional disorders, unlike the previous report that in general, psychosomatic patients are alexithymic.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al forms of interview which can induce and encourage expression of emotion as a therapeutic strategy for patients with tension headache.

      • 신체형 장애의 정신치료

        이무석,Lee, Moo-Su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6 정신신체의학 Vol.4 No.2

        A theroretical study was made on the psychodynamism of somatoform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is caused by a defense mechanism of somatization. Somatization is the tendency to react to stimuli(drives, defenses, and conflict between them) physically rather than psychically(Moore, 1990). Ford(1983) said it is a way of life, and Dunbar(1954) said it is the shift of psychic energy toward expression in somatic symptoms. As used by Max Shur(1955), somatization links symptom formation to the regression that may occur in response to acute and chronic conflict. In the neurotic individual psychic conflict often provokes regressive phenomena that may include somatic manifestations characteristic of an earlier developmental phase. Schur calls this resomatization. Pain is the most common example of a somatization reaction to conflict. The pain has an unconscious significance derived from childhood experiences. It is used to win love, to punish misdeeds, as well as a means to amend. Among all pains, chest pain has a special meaning. Generally speaking, 'I have pain in my chest' is about the same as 'I have pain in my mind'. The chest represent the mind, and the mind reminds us about the heart. So we have a high tendency to recognize mental pain as cardiac pain. Kellner(1990) said rage and hostility, especially repressed host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 somatization. In 'Psychoanalytic Observation on Cardiac Pain', psychoanalyst Bacon(1953) presented clinical cases of patients who complained of cardiac pain in a psychoanalytic session that spread from the left side of their chests down their left arms. The pain was from rage and fear which came after their desire to be loved was frustrated by the analyet. She said desires related to cardiac pain were dependency needs and aggressions. Empatic relationship and therapeutic alliances are indispensable to psychotherapy in somatoform disorder. The beginning of therapy is to discover a precipitating event from the time their symptoms have started and to help the patient understand a relation between the symptom and precipitating event. Its remedial process is to find and interpret a intrapsychic conflict shown through the symptoms of the patient. Three cases of somatoform disorder patients treated based on this therapeutic method were introduced. The firt patient, Mr. H, had been suffering from hysterical aphasia with repressed rage as ie psychodynamic cause. An interpretation related to the precipitating event was given by written communication, and he recovered from his aphasia after 3 days of the session. The second patient was a dentist in a cardiac neurosis with agitation and hypochondriasis, whose psychodynamism was caused by a fear that he might lose his father's love. His symptom was also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precipitating event. It showed the patient a child-within afraid of losing his father's love. His condition improved after getting a didactic interpretation which told him, to be master of himself, The third patient was a lady transferred from the deparment of internal medicine. She had a frequent and violent fit of chest pains, whose psychodynamic cause was separation anxiety and a rage due to the frustration of dependency needs. Her symptom vanished dramatically when she wore a holler EKG monitor and did not occur during monitoring. By this experience she found her symptom was a psychogenic one, and a therapeutic alliance was formed. later in reguar psychotherapy sessions, she was told the relaton between symptoms and precipitating events. Through this she understood that her separation anxiety was connected to the symptom and she became less terrifide when it occurred. Now she can travel abroad and take well part in social activities. 신체형장애의 정신역동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신체화(身體化)란 본능적 욕동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생긴 갈등을 정신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신체 증상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Moore 1990). Ford(1983)는 인생을 사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하였고, Dunbar(1954)는 정신 에너지가 신체증상으로 바뀌어진 것이라고 했다. Schur(1955)에 의하면, 신체화(身體化)는 갈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하나의 퇴행현상이라고 한다. Schur는 이런 현상을 '재(再) 신체화(身體化)(resomatization)'라 했다. 갈등의 신체화(身體化) 반응중 가장 흔한 것이 통증(痛症)(pain)이다. 통증(痛症)은 어린시절의 경험에서 유래한 무의식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통증(痛症)(pain)은 사랑 획득의 방법이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벌로 사용되기도 하고, 속죄(贖罪)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통증(痛症)중에서도 흉통(胸痛)(chest pain)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가슴이 아프다'는 말은 '마음이 아프다'는 의미와 같이 쓰인다. 그리고 가슴은 마음을 상징하고 마음은 심장을 생각나게 하여 마음의 아픔을 심장의 통증(痛症)(pain)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다. Kellner(1990)는 적개심과 분노, 특히 억압된 적개심이 신체화(身體化)의 중요한 인자라고 하였다. 정신분석가인 Bacon(1953)dms '심장동통(心臟疼痛)에 대한 정신분석적 관찰'에서 정신분석 시간에 사랑받고 싶은 욕구가 좌절된 환자가 이로 인한 분노와 두려움 때문에 왼편 가슴에서 왼쪽 팔로 뻗쳐 내려가는 심장동통을 호소하는 증례(症例)들을 발표했다. 그녀는 심장동통과 관계된 욕구들이 의존욕구와 공격욕구라고 하였다. 신체형장애의 정신치료에서는 공감적인 관계와 치료적 동맹이 필수적이며, 증상시작의 시점을 중심으로 유발인자를 가려내고 증상과 유발인자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출발이다. 증상을 통하여 표현되고 있는 환자의 심리내적인 갈등을 발견하여 해석해 주는 것이 치료의 과정이다. 이런 기법을 기초로 치료한 세 사람의 신체형장애 증례를 소개하였다. 첫 번째 소개한 히스테리성 실어증을 가진 H군은 억압된 분노가 역동적인 원인이었다. 유발인자와 관련지어 해석을 해주었고, 이차이득을 얻은 후에 회복되었다. 두 번째 소개한 심장노이로제에 빠진 치과의사의 경우는 아버지의 사랑을 잃을 것에 대한 불안이 역동적 원인이었다. 유발인자와 관련지어 증상을 해석하였고, 아버지의 사랑을 잃을까봐 두려워하는 마음속의 아이를 보여주었고, 이제는 어른이 되었으니 자신의 주인이 되어 살라고 교육적인 해석을 듣고 호전되었다. 세 번째 부인은 심한 흉통발작으로 내과에서 의뢰되어 왔는데 의존욕구의 좌절과 이로 인한 분노, 그리고 분리 불안이 역동적 원인이었다. 이 부인은 holter monitor를 메자 증상이 극적으로 사라졌는데 이것을 계기로 자신의 중상이 심인성이라는 것을 알고부터 치료동맹이 이루어졌고, 그 후 정기적인 정신치료 시간에는 증상과 유발인자들 사이의 관계를 해석해 주었다. 이를 통하여 분리불안이 증상과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환자는 증상이 일어나도 덜 두려워하게 되었고, 해외여행이나 사회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김미옥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4 No.-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정도를 살펴보고 그 요인 및 대안을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경인 지역 4년제 대학의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 36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애분류는 장애인복지법의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 9범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점 만점에 3점과 4점 사이임). 장애영역별로는 신체적 장애의 경우, 신체적 거리감과 대인적 거리감 모두 뇌성마비를 가장 멀게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경우, 뇌성마비인이 신체적 교섭뿐 아니라 인간관계의 상호작용 모두의 허용정도가 가장 낮은 대상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다음으로 지체장애, 시각장애 등의 순으로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장애가 가장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신적 장애의 경우는 정신장애 신체적 교섭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 모두에서 가장 허용이 어려운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정신장애와 자폐가 대학생들이 가장 사회적으로 거리감을 느끼는 대상임을 알 수 있었고 청각장애가 가장 낮은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는 대상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별. 가족구성원 중 장애 유무, 학년, 종교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사회적 거리감의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친구나 가까운 주변인 중 장애인 유무, 자원봉사경험. 장애인접촉 유무. 가족의 월수입 평균에 따라서는 장애영역별로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갖게 하는 요인에 대한 조사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교육의 결여'가 사회적 거리감을 갖도록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장애인에 대한 정부의 잘못된 정책. '한국의 장애인에 대한 전통적인 관습'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장애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홍보 장애인과 일반인의 접촉 강화. 재활치료 발달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장애종별에 따라 횡적으로 분석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현주소를 파악했다는 의미 이외에도,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개입방향과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a degree of social distance on people with disability. The first was a comparison with the social distance on the physically disabled with mentally disordered. And the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were also explored. The social distance scale consisted of interpersonal physical distance and interpersonal social distance, 360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9th university. To test the differences of social distance used of T-test & one-way ANOV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distance toward the mental disorder was least acceptable. And mental retardation, autism, cerebral palsy showed low acceptance, in while deaf disability was familiar with students of university. The result showed that stigmatized individuals with invisible and controllable stigma was least acceptable. The social distance did not different to sex, grade, education of parent, but volunteer experience, contract of disability, income of famil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distance. This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장애유형 중분류별 기업체 취업근로자의빈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외부, 감각, 신체내부·정신적장애를 중심으로 -

        이형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7 GRI 연구논총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if personal characteristics(demographics, disabilities) of employee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in the sub-category(external physical, sensory, internal and mental disorders) such as health-related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income-related variables, and employment- related variables make any difference in determining poverty. For this study, I have conducted literary research into some 975 relevant books and materials, including the 8th Panel Investigation on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2015) as raw data. Data processing to verify research issues has been conducted with the use of frequency and percentage, cross analysis(χ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a number of factors that strongly influence the poverty determination based on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them. First, in terms of age and marital status as par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demographics, disability), younger disabled employees and single(unmarried) disabled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poverty segment than older and married disabled employees, respectively(external physical disability). Second, when it comes to the healthrelated variables, employees who are affected by health conditions are more likely to suffer poverty than those who are not(whole, sensory). Third, among the family-related variables, disabled employees with more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ies and disabled employees who don't own their own homes(whole)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poverty than those in other respects. Fourth, among the income security related variables, disabled employees with lower social insurance benefits(whole, external physical, and sensory) and those with lower public transfer income(whole and sensory), are more likely to be subject to poverty that those in contrasting conditions. Fifth, among the employment-related variables, disabled employees receiving less compensations such as wage and those who work for 36 hours or more per week are less likely to belong to poverty that those who receive more compensations(whole, external physical, sensory) and work less than 18 hours per week (external physical, sensory). However, none of the variables are found to affect employees with internal and mental disabilities in determining poverty.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an interven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disorder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be able to resolve the poverty issue of employee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유형 중분류별(신체외부, 감각, 신체내부정신적장애) 기업체 취업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인구사회학적, 장애)관련 변수, 건강관련 변수, 가족관련 변수, 소득보장관련 변수, 고용관련 변수가 빈곤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5년)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와 직접 관련이 있는 9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χ2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형 중분류별 빈곤결정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특성변인(인구사회학적, 장애) 중, 연령이 적은 장애근로자일수록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감각), 미혼(배우자 무)인 장애근로자가 기혼(배우자 유)의 장애근로자에 비해(신체외부) 빈곤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련 변인 중, 건강상태로 인해 일에 지장을 받는 장애근로자일수록 지장을 받지 않는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감각) 빈곤에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련 변인 중, 장애인 가구원수가 많은 장애근로자일수록 그렇지 않은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신체외부), 자가를 소유하지 않은 장애근로자일수록 자가를 소유한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빈곤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득보장관련 변인 중, 사회보험급여가 적은 장애근로자일수록 사회보험급여가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신체외부, 감각), 공적이전급여가 적은 장애근로자가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감각)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관련 변인 중, 임금 등 보상이 적은 장애근로자일수록 많은 장애근로자에 비해(전체, 신체외부, 감각), 1주에 36시간 이상 근로하는 장애근로자(신체외부, 감각)는 18 시간 미만 근로하는 장애근로자에 비해 빈곤에 속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 신체내부정신적장애 근로자의경우, 모든 변수가 빈곤결정 여부에는 강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근거로 하여 장애유형 중분류별 기업체 취업근로자의 빈곤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특성이 반영된 직업재활적 측면의 개입방안을 제언하겠다.

      • KCI등재

        신체증상장애의 이해와 접근

        고유라(Eurah Go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7 스트레스硏究 Vol.25 No.4

        신체증상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는 DSM-IV에서 신체화장애(somatization)라고 불리던 질환으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가 다양한 신체증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비교적 흔한 질환임에도 증상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진단이 쉽지 않아 여러 전문 과를 돌며 환자가 고통을 겪는 의학적 고아(medical orphan)가 되는 경우가 많다. DSM-V에서는 임상적 적용에 쉽도록 기존의 신체형장애를 신체증상관련장애로 신체화장애를 신체증상장애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본 고에서는 신체증상장애를 중심으로 신체증상관련장애에 대해 새롭게 바뀐 DSM-V의 기준을 소개함과 동시에 신체증상장애 환자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돕고자 한다.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which is matched somatoform disorder in DSM-IV, is defined as a group of diseases that shows somatic symptoms with significant distress and impairment according to DSM-V. This is a very common disease in primary care, however, tends to be underdiagnosed or misdiagnosed because of its polymorphic symptomatic expressions. This review tried to help understanding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and its subcategorized diseases-somatic symptom disorder, illness anxiety disorder, factitious disorder and other specified and unspecified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 KCI등재

        독거노인의 개인적 속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영태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59

        The study will take a measurement of mental health condition of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through SCL-90R. From the study, it may provide a basic materials to increase the mental health of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at the community. To achieve the study's purpose, it used 250answering paper with random sample of community implementing at the welfare center from the June. 1, 2012 to October. 31, 2012. at the some local area in Seoul.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1)Mental health of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figures higher boundary line and risk group rather than senior citizen who live family. 2)Among the anxiety disorder, subjective physical health recognition have a influence on the obessive compulsive disorder, income, allowance and subjective physical health recognition have a effect on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relationship with neighbourhood,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have a influence on the anxiety and phobic stimulus. 3)Among the mental illness, depression effect by subjective physical health status. Also, number of son and daughter, and subjective physical health recognition have an influence on the psychosis. 4)Subjective physical health condition and degree of ADL have an influence on the somatization. 5)The type of the personality disorder, paranoid effect by education background, income, allowance, using welfare facilities. 한국사회에서의 독거노인은 매우 취약한 경제적․정신적 상태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상태에 대하여 SCL-90R을 사용해 다각도로 정신건강상태를 측정해 보았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을 끌어 올릴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구 ○○동의 ○○○○센터에서 2012년 6월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한 지역독거노인의 임의표집 조사자료 250부를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은 일반인에 비해 각 영역에서 경계선이나 위험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불안장애의 유형 중,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이 강박증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득과 용돈,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이 대인예민증에 영향을, 이웃과의 관계와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이 불안감과 공포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정신병적 장애에서는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녀수와 주관적 신체건강인식이 정신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신체화는 주관적 신체건강인식과 ADL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5)인격장애의 한 유형인 편집증은 학력, 소득, 용돈, 복지기관 이용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KCI등재

        고령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승현(Roh Seunghyun),신유리(Shin YuRi),김정석(Kim Cheong Seo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2

        본 연구는 50세 이상 고령장애인이 경험한 차별과 이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가 신체적 건강(주관적 건강, 만성질환빈도)과 정신적 건강(우울도)에 미치는 영향이 장애정체감을 통해 매개되는지를 살피고 있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가 중증장애인과 경증장애인에게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가를 함께 살피고 있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진이 수집한 장애인패널조사자료(2016년도)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장애정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분석결과에 의하면, 장애정체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은 사회적 지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건강의 경우 장애차별경험, 사회적 지지, 장애정체감, 신체적 건강의 직접효과와 함께 사회적 지지가 갖는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고령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장애정체감을 향상하여 결과적으로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한편 다중집단분석의 결과, 경증장애인에게서는 장애차별경험이 장애정체감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중증장애인에게서는 그러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증장애인의 경우 공통근거 수준이 낮으며, 경증장애인의 경우 외적장벽 수준이 낮은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증 및 고령장애인의 차별성에 기초한 건강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 whether and how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s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through disability identity among the disabled aged 50 and over. We also examine such relationship differs by the degree of disability. For the empirical test, we utilized the data from the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our research team in 2016.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oci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 on disability identity. It also has a direct effect on physical health. As for the mental health, there are found direct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social support, disability identity, and physical health, Furthermore, social support influences the mental health through disability identity. This finding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in old age increases disability identity and, in turn, it contributes their mental health. In the meanwhile, multiple group comparison analysis reveals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disability identity is found for those with lower level of disability but not for their counterparts. This seems to result from that the level of common ground which constitutes disability identity is low for the severely disabled. Thus, it requires our efforts to enhance disability identity focusing on common ground for the severe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