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 년대 이후 중국 정성공 영상 콘텐츠에 나타난 정지룡(鄭芝龍)·정성공(鄭成功) 부자 양상 비교: 명·청 교체기를 바라보는 오늘날 중국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여주 한국비교문학회 2024 比較文學 Vol.- No.9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the father-son relationship between Zheng Zhilong(鄭芝龍, Nicholas Iquan) and Zheng Chenggong(鄭成功, Koxinga) is portrayed in Chinese movies and TV dramas in the 2000s in order to shed light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明) and Qing(淸) is represented in the Chinese mass media today. Zheng’s family was part of the Ming and Qing transition period in the 17th century, with his son, Zheng Chenggong remaining with the Ming and rebelling against the Qing,(反清), and his father, Zheng Zhilong surrendering to the Qing. Zheng’s father-son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g and the Qing dynasties in today’s content. Although the aspect of Zheng Chenggong in the Chinese content has not changed much, the character of Zheng Zhilonghas changed from work to work, bringing about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The main theme of Zheng Chenggong’s Chinese content is that Zheng Chenggong restored Taiwan to create ‘One China.’ In <Hero Zheng Chenggong>(大英雄 鄭成功, 2004), Zheng Chenggong emphasizes ‘One China,’ and in <The Sino-Dutch War 1661>(英雄鄭成功, 2001), <Hero Zheng Chenggong>(民族英雄鄭成功, 2004), and <A Hero Named Koxinga> (延平王鄭成功傳奇, 2022), the emperors of Ming and Qing refer to this aspect. The difference is due to the fact that <Hero Zheng Chenggong>, while emphasizing the father-son relationship, reduces their different choices to a personal matter, rather than expanding on the national conflict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The three works that reduce the father-son relationship of the Zhengs delete Zheng Zhilong’s narrative to reduce the elements of conflict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show the transition of the perception of “One China” by the emperor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본 연구는 중국에서 2000년대 영화와 드라마 속 정지룡(鄭芝龍)·정성공(鄭成功) 부자 관계 양상을 비교하여 오늘날 중국의 대중매체에서 명·청 관계를 어떻게 나타내는지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씨 부자는 17세기 명·청 교체기 인물로, 아들 정성공은 명나라에 남아 반청복명(反清復明)을 외쳤다면 아버지 정지룡은 청나라로 항복했다. 이에 따라 정씨 부자의 관계는 오늘날의 콘텐츠에서도 명·청 관계를 살펴볼 때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중국 정성공 콘텐츠에서 정성공의 형상은 크게 변화가 없으나, 정지룡 캐릭터는 작품마다 변화하여 정씨 부자의 관계성 변화를 끌어냈다. 중국 정성공 콘텐츠의 주요 내용은 정성공이 대만을 수복하여 ‘하나의 중국’을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대영웅정성공>(2004)에서는 정성공이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며, <영웅정성공>(2001), <민족영웅정성공>(2004), <연평왕정성공전기>(2022)에서는 명·청 황제가 이 부분을 언급한다. 이러한 차이는 <대영웅정성공>에서 정씨 부자 관계를 강조하면서도 부자의 서로 다른 선택을 명·청 교체기의 국가 갈등으로 확대하는것이 아니라, 정성공 개인의 문제로 축소했기 때문이다. 정씨 부자 관계를 축소한 다른 세 작품에서는 정지룡의 서사를 삭제하여 명·청 갈등 요소를 축소하고, 명·청의 황제를 통해 ‘하나의 중국’으로 인식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대만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타난 정성공(鄭成功) 서사 비교 -<국성야전기>(國姓爺傳奇, 1993)와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打拼:臺灣人民的歴史, 2007)를 중심으로-

        김여주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4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aiwan’s television programs on the life of Zheng Chenggong (鄭成功, Koxinga, 1624-1662) changed over time. Thus, we traced Zheng Chenggong’s narrator in Taiwan, focusing on Guoxingyechuanqi(國姓爺傳奇, 1993) and TAIWAN-A People’s History(打拼::臺灣人民的歴史, 2007). Zheng Chenggong, a prominent figure in both China and Taiwan, established the first Han Chinese (漢族) regime in Taiwan during the Ming (明) and Qing (淸) Dynasties. In Guoxingyechuanqi, Zheng Chenggong described the reason for coming to Taiwan as to defend it –i.e., “coming to Taiwan to defend it”(退守) in <Guoxingyechuanqi> and said that Taiwan was already a land of Ming before he recaptured it. I coontrast, TAIWAN-A People’s History, an epic centered on the island of Taiwan, portrayed his attack on Taiwan Expanding on this, we examined the assessment of the Zheng Chenggong regime portrayed in each episode of Guoxingyechuanqi as where he tries to embrace the Taiwanese aborigines and the Dutch and Han Chinese under Sinocentrism(中華思想) to create the Taiwanese. On the other hand, TAIWAN-A People’s History has selected and presented footage centered around the island of Taiwan, embracing all who had passed through Taiwan as a part of its history. Thus, it also included Zheng Chenggong as a part of its history. While Zheng Chenggong work in Guoxingyechuanqi includes maintaining an independent regime and a centralist position in Taiwan, TAIWAN-A People’s History presented the program almost free of any political purpose; however, editing by the production team left room for viewers to interpret history themselves, allowing for more diverse political views. 이 논문은 정성공(鄭成功, 1624~1662)의 삶을 다룬 대만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대만의 정치 상황이 어떻게 대중매체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국성야전기>(國姓爺傳奇, 1993)와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打拼:台湾人民的历史, 2007)를 중심으로 대만에서의 정성공 서사를 추적해보았다. 정성공은 중국 대륙 출신의 인물로 오늘날 중국과 대만이 공유하는 인물로 명말청초(明末淸初) 시기, 반청복명(反清復明)을 외치며 대만에 최초의 한인(漢人) 정권을 세운 인물이다. 이에 대만에서는 정성공이 대만으로 온 이유에 대해 <국성야전기>에서는 퇴수(退守)했다고 표현하여 정성공이 대만을 수복하기 전에 이미 대만은 명나라의 땅이었음을 말했다면,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는 정성공이 대만을 공격했다고 표현하여 대만섬 중심의 서사를 보여주었다. 이를 확장하여 각 프로그램에서 보여준 정성공 정권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는데, <국성야전기>의 정성공은 대만 원주민과 네덜란드와 한족의 혼혈인을 한족 중심주의로 끌어안아 대만인을 만들고자 한다. 반면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에서는 대만섬을 중심으로 한 사료를 선별하여 제시함으로써 대만을 거쳐 간 모든 사람을 대만 역사의 일부분으로 끌어안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는 정성공도 대만 역사의 일부로 위치시켰다. <국성야전기>의 정성공이 대만에서 독립 정권을 유지하는 것과 중원 중심주의 입장을 모두 수용한 형태라면,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는 어떤 정치적 목적도 담지 않는 것처럼 프로그램을 구성했으나 제작진의 편집으로 시청자가 역사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며 더욱 다양한 정치적 해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 KCI우수등재

        東アジアの華嚴學における定性二乘廻心説

        金天鶴(Kim Cheon Hak)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본고는 동아시아 화엄학 중에서 정성이승(定性二?)의 회심설에 대해서 논한다. 현장계의 유식설에 의하면 정성이승은 끝내 성불할 수 없다. 이에 대해 현장의 역장에 참가했던 영윤(靈潤)의 반발이 있은 후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커다란 논쟁거리가 되었다.<BR>  화엄학파에서도 이 문제는 유식설에 대한 대응이라는 면에서 중요한 일면을 차지한다. 당의 법장(法藏)에게는 유식학파의 교리를 넘어 화엄의 별교일승을 선양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법장은 화엄의 오교판(五敎判) 중 종교(終敎)의 교리를 통해서 유식설을 비판한다. 이러한 방법은 『오교장(五敎章)』에서 『탐현기(探玄記)』까지 견지된다. 한편, 종교의 경론과 유식계 경론의 회통(會通)도 시도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언제나 종교의 경론을 유식계 경론보다 우위에 둔 회통이라는 점이다.<BR>  그런데, 법장은 현장이나 기(基)를 정면으로 비판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법장이 법상종의 기를 비판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비판되는 것은 익명의 유식인물이다. 『법화경』 화성유품(化城喩品) 중 “멸도의상을 보인다”를 변화성문(變化聲聞)의 화작(化作)이라고 해석해서 비판받고 있는 유식인물은 기가 아니다. 왜냐하면 기도 역시 그런 해석을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장의 비판대상이 되는 유식학자에 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BR>  원효의 정성이승 회심에 관한 설은 법장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원용된다. 그리고 그런 법장의 설이 다시 동아시아 화엄사상에 영향을 미친다.<BR>  원효는 『법화종요』에서 유식설을 비판하고 있지만, 삼론사(三論師)의 입장에서 정성이승회심설의 타당성을 주장하고, 다음 단계에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낸다. 또, 원효는 유식사와 삼론사의 회통을 시도하는데, 결국은 일체개성(一切皆成)설이 오성각별설(五姓各別)설보다 우수함을 인정한다. 법장이 종교를 통해서 유식설을 비판하는 것이나 양 경론의 회통을 시도하는 방법이, 원효의 이러한 방식과 닮았다.<BR>  한편, 원효(元曉)는 정성이승이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기 위해서, 그리고 열반에서 나와 회심하기 위해서 부처의 동체대비(同體大悲)가 필요함을 특히 강조한다.<BR>  의상(義相)의 강의록인 『화엄경문답』에서는 정성이승의 회심에 성기(性起)의 기능(果藥)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바로 부처의 자비이다. 이러한 의상의 사유는 지엄의 수현기(搜玄記) 「성기품석」에 의거하는 바가 크다.<BR>  한편, 균여(均如)에게는 정성이승의 회심설에 대한 특필할 만한 주장이 없다. 반면에, 균여는 별교일승의 입장에서 본 이승회심에 대해서는 상세히 주석한다.<BR>  다음, 일본에 있어서는, 수령(壽靈)이 열반사 법보(法寶)의 설을 정성이승회심의 중요한 전거로서 인용한다. 그러나, 수령은 유식설과의 사상적인 대립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수령의 시대는 일본에서의 불성 론쟁이 시작되기 이전이기때문일 것이다. 한편 증춘(增春)의 시대가 되면, 화엄종과 법상종과의 논쟁의 형태로서 정성이승의 회심ㆍ불회심의 문제가 다루어진다.<BR>  증춘의 설은 여러 가지 점에서 독특하다. 우선, 변역신(變易身)과 『기신론』의 아라야식의 5의와 관련시키고 있으며, 둘째, 회심한 정성이승이 화엄일승 세계에 직접 들어간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 회심 할 때에 타력과 자력의 양쪽 모두를 필요로 하지만 마지막에는 자력의 「지(知)」가 강조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Huayan Buddhism originated in China and was mainly constituted by the philosophy of the One Vehicle of Huayan with its distinctive view of doctri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Huayan thought, it is understood that reaching the world of Huayan is equal to attaining buddhaphala. Then, how we can reach the world of the Huayan One Vehicle. That is possible by conversion.<BR>  Conversion theory in Huayan Buddhism was originated by Zhiyan and succeeded by Fazang. But, that theory was not the main thought in Chinese Huayan Buddhism, but was regarded as of importance in Korean and Japanese. Especially, conversion theor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uayan Buddhism differ considerably. In this paper, I examine how Conversion theory of Huayan Buddhism was interpreted by East Asian Huayan masters including such a problem.

      • KCI등재

        민족주의 경합의 장으로서의 "정성공(鄭成功)" 역사영웅 만들기

        김란 ( Lan Jin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4

        본 연구는 중국, 대만, 일본에서 모두 숭배되고 있는 정성공을 둘러싼 민족적기억 구성의 차이점을 시기별로 탐구함으로써,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성격을 탐구하는 사례 연구이다. 민족주의 담론에서 중요한 자원 중 하나는 민족영웅이다. 민족 영웅은 근대의 위기상황 속에서 ‘국가 또는 국민의 구원자’로 표상될 뿐 아니라, 저항과 국가건설의 비전을 결합할 수 있는 상징이 된다. 중국, 대만, 일본 세 나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정성공을 역사영웅으로 만들어 민족정체성을 문화적으로 구축하는 자원으로 삼았다. 정성공에 대한 해석에는 ‘저항, 식민, 국가건설’ 등 민족주의가 작동하는 다양한 국면들이 다채롭게 담겨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 동아시아 근대화의 특수한 경험과 관련된다. 중국과 대만처럼 저항적 민족주의가 요구되는 곳에서 정성공은 항일 운동의 표상이 되었다. 해방 이후 국가건설이 시작되자 중국은 정성공을 항미(抗美) 영웅으로 수정했고, 대만은 대륙으로부터의 패퇴를 한족주의적이고 중화주의적 가치로 정당화하면서 반공산당 영웅으로 활용했다. 반면 일본은 정성공의 일본 출생을 적극 활용하여 대만 식민화를 정당화했다. 현재 중국과 대만은 정성공을 양안관계 개선과 향후 ‘통일’의 역사적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렇듯 정성공에 대한 해석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유동적인데, 이는 정성공이 다민족적, 다국적, 탈경계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에서 탈민족주의의 흐름이 강화될수록, 그는 더 많이 관심을 받는 인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into the configuration of Koxinga as a national memory across China, Taiwan and Japan, focusing on the periodic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East Asian nationalism.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is ‘National Hero’. The term ‘National hero,’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its crisis, is not only represented as in the form of ‘savior of the nation or people,’ but also as a symbol that combines the vision of resistance and nation-building. Likewise, facing modernization, China, Taiwan, and Japan, actively utilized Koxinga as a national identity. Koxinga was interpreted in diverse aspects, including ‘resistance, colonialism, and nation-building,’ which were accompanied with nationalism, highly related to the distinct experience of the East Asia and its modernization. As in the case of China and Taiwan, where such resistant nationalism were highly sought after, Koxinga became the symbol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Subsequently, after liberation, as nation-building took place, China had to modify Koxinga and its image as an ‘Anti-American’ hero, whereas Taiwan, an ‘Anti-Communist’. Approaches were also made by Japan to justify the colonization of Taiwan through Koxinga’s Japanese origin. At present, China and Taiwan, are both taking advantage of Koxinga as steps toward advanced bilateral relations and an eventual unification.In summary, the interpretation of Koxinga shows spatial and temporal flexibility due to its multi-ethnic, multi-national, and trans-border characteristics. Intensified post-nationalism in East Asia will possibly arouse further attention on Koxinga.

      • KCI등재

        민족주의 경합의 장으로서의 ‘정성공(鄭成功)’ 역사영웅 만들기

        JINLAN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4

        This research explores into the configuration of Koxinga as anational memory across China, Taiwan and Japan, focusing on theperiodic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East Asiannationalism.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the discourse ofnationalism is ‘National Hero’. The term ‘National hero,’ in theprocess of modernization and its crisis, is not only represented asin the form of ‘savior of the nation or people,’ but also as a symbolthat combines the vision of resistance and nation-building. Likewise,facing modernization, China, Taiwan, and Japan, actively utilizedKoxinga as a national identity. Koxinga was interpreted in diverseaspects, including ‘resistance, colonialism, and nation-building,’which were accompanied with nationalism, highly related to thedistinct experience of the East Asia and its modernization. As in thecase of China and Taiwan, where such resistant nationalism werehighly sought after, Koxinga became the symbol of theAnti-Japanese movement. Subsequently, after liberation, asnation-building took place, China had to modify Koxinga and itsimage as an ‘Anti-American’ hero, whereas Taiwan, an‘Anti-Communist’. Approaches were also made by Japan to justifythe colonization of Taiwan through Koxinga’s Japanese origin. Atpresent, China and Taiwan, are both taking advantage of Koxingaas steps toward advanced bilateral relations and an eventualunification. In summary, the interpretation of Koxinga shows spatial andtemporal flexibility due to its multi-ethnic, multi-national, andtrans-border characteristics. Intensified post-nationalism in East Asiawill possibly arouse further attention on Koxinga. 본 연구는 중국, 대만, 일본에서 모두 숭배되고 있는 정성공을 둘러싼 민족적기억 구성의 차이점을 시기별로 탐구함으로써, 동아시아 민족주의의 성격을 탐구하는 사례 연구이다. 민족주의 담론에서 중요한 자원 중 하나는 민족영웅이다. 민족영웅은 근대의 위기상황 속에서 ‘국가 또는 국민의 구원자’로 표상될 뿐 아니라,저항과 국가건설의 비전을 결합할 수 있는 상징이 된다. 중국, 대만, 일본 세 나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정성공을 역사영웅으로 만들어 민족정체성을 문화적으로 구축하는 자원으로 삼았다. 정성공에 대한 해석에는 ‘저항, 식민, 국가건설’ 등 민족주의가 작동하는 다양한 국면들이 다채롭게 담겨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 동아시아 근대화의 특수한 경험과 관련된다. 중국과 대만처럼 저항적 민족주의가 요구되는 곳에서 정성공은 항일 운동의 표상이 되었다. 해방 이후 국가건설이 시작되자 중국은 정성공을 항미(抗美) 영웅으로 수정했고, 대만은 대륙으로부터의 패퇴를 한족주의적이고 중화주의적 가치로정당화하면서 반공산당 영웅으로 활용했다. 반면 일본은 정성공의 일본 출생을 적극 활용하여 대만 식민화를 정당화했다. 현재 중국과 대만은 정성공을 양안관계개선과 향후 ‘통일’의 역사적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렇듯 정성공에 대한 해석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유동적인데, 이는 정성공이 다민족적, 다국적, 탈경계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에서 탈민족주의의흐름이 강화될수록, 그는 더 많이 관심을 받는 인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東アジアの華嚴學における二乘回心說の展開

        金天鶴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Theories Regarding the Conversion of the Śrāvakas of Determinate Nature in East Asian Huayan Thoughts Kim, Cheon Hak (Himeji Dokkyo University) Huayan Buddhism originated in China and was mainly constituted by the philosophy of the One Vehicle of Huayan with its distinctive view of doctri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Huayan thought, it is understood that reaching the world of Huayan is equal to attaining buddhaphala. Then, how we can reach the world of the Huayan One Vehicle. That is possible by conversion. Conversion theory in Huayan Buddhism was originated by Zhiyan and succeeded by Fazang. But, that theory was not the main thought in Chinese Huayan Buddhism, but was regarded as of importance in Korean and Japanese. Especially, conversion theor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uayan Buddhism differ considerably. In this paper, I examine how Conversion theory of Huayan Buddhism was interpreted by East Asian Huayan masters including such a problem. 동아시아 화엄학의 정성이승회심설(定性二乗廻心説) 본고는 동아시아 화엄학 중에서 정성이승(定性二乗)의 회심설에 대해서 논한다. 현장계의 유식설에 의하면 정성이승은 끝내 성불할 수 없다. 이에 대해 현장의 역장에 참가했던 영윤(靈潤)의 반발이 있은 후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커다란 논쟁거리가 되었다. 화엄학파에서도 이 문제는 유식설에 대한 대응이라는 면에서 중요한 일면을 차지한다. 당의 법장(法藏)에게는 유식학파의 교리를 넘어 화엄의 별교일승을 선양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법장은 화엄의 오교판(五敎判) 중 종교(終敎)의 교리를 통해서 유식설을 비판한다. 이러한 방법은ꡔ오교장(五敎章)ꡕ에서ꡔ탐현기(探玄記)ꡕ까지 견지된다. 한편, 종교의 경론과 유식계 경론의 회통(會通)도 시도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언제나 종교의 경론을 유식계 경론보다 우위에 둔 회통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법장은 현장이나 기(基)를 정면으로 비판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법장이 법상종의 기를 비판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비판되는 것은 익명의 유식인물이다. ꡔ법화경ꡕ 화성유품(化城喩品) 중 “멸도의 상을 보인다”를 변화성문(變化聲聞)의 화작(化作)이라고 해석해서 비판받고 있는 유식인물은 기가 아니다. 왜냐하면 기도 역시 그런 해석을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장의 비판대상이 되는 유식학자에 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 원효의 정성이승 회심에 관한 설은 법장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원용된다. 그리고 그런 법장의 설이 다시 동아시아 화엄사상에 영향을 미친다. 원효는ꡔ법화종요」에서 유식설을 비판하고 있지만, 삼론사(三論師)의 입장에서 정성이승회심설의 타당성을 주장하고, 다음 단계에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낸다. 또, 원효는 유식사와 삼론사의 회통을 시도하는데, 결국은 일체개성(一切皆成)설이 오성각별설(五姓各別)설보다 우수함을 인정한다. 법장이 종교를 통해서 유식설을 비판하는 것이나 양 경론의 회통을 시도하는 방법이, 원효의 이러한 방식과 닮았다. 한편, 원효(元曉)는 정성이승이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기 위해서, 그리고 열반에서 나와 회심하기 위해서 부처의 동체대비(同體大悲)가 필요함을 특히 강조한다. 의상(義相)의 강의록인 ꡔ화엄경문답」에서는 정성이승의 회심에 성기(性起)의 기능(果藥)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바로 부처의 자비이다. 이러한 의상의 사유는 지엄의 ꡔ수현기(搜玄記) ꡕ「성기품석」에 의거하는 바가 크다. 한편, 균여(均如)에게는 정성이승의 회심설에 대한 특필할 만한 주장이 없다. 반면에, 균여는 별교일승의 입장에서 본 이승회심에 대해서는 상세히 주석한다. 다음, 일본에 있어서는, 수령(壽靈)이 열반사 법보(法寶)의 설을 정성이승회심의 중요한 전거로서 인용한다. 그러나, 수령은 유식설과의 사상적인 대립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수령의 시대는 일본에서의 불성론쟁이 시작되기 이전이기때문일 것이다. 한편 증춘(增春)의 시대가 되면, 화엄종과 법상종과의 논쟁의 형태로서 정성이승의 회심・불회심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증춘의 설은 여러 가지 점에서 독특하다. 우선, 변역신(變易身)과 ꡔ기신론ꡕ의 아라야식의 5의와 관련시키고 있으며, 둘째, 회심한 정성이승이 화엄일승 세계에 직접 들어간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 회심 할 때에 타력과 자력의 양쪽 모두를 필요로 하지만 마지막에는 자력의 「지(知...

      • KCI등재후보

        「鄭聲淫」, 「鄭衛之音」에 대한 考論

        오창화(Oh Chang-Hwa)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학논총 Vol.13 No.2

        주지하다시피 고대 중국의 음악은 제작주체와 운용주체에 따라 개인적인 성격과 제도적인 성격으로 이원화되어 발전하였다. 제도적인 입장에서 음악을 제정한 목적은 개인적인 향락을 위해서가 아니라 교화를 통한 윤리도덕의 회복과 정도를 확립하기 위해서였다. 그리하여 역대 봉건왕조에서는 음악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화 자체가 정치를 저울질하는 표준이 되기도 하였다. 物心의 조화를 이룬 음악은 중국 고대사회에서 인치의 이상적인 경계인 “和”의 표상이었다. “和爲貴”를 강조한 공자가 이런 음악을 개인수양과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는 덕목으로 중시한 것은 당연하였다. 마음이 평화로워지면 덕이 조화를 이루고 덕이 조화를 이루면 선정을 베풀게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런 이념적 배경하에서 봉건 지식계층을 비롯한 정치적인 지배세력은 전동적으로 음악의 형식과 내용, 예의 형식과 내용이 완벽하게 결합되도록 추구하였다. 이러한 결합은 아악의 심미적 이상을 제고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모든 예술을 측량하는 미학의 표준적 가치를 지니게 만들었다. 이렇게 정치와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인 효험이 입증되면서부터 전통음악은 봉건 유교사회에서 줄곧 지배적인 문화사상의 하나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으나, 그와 대립각을 세웠던 제자백가들의 反儒的인 음악론, 가령, 墨家의 〈非樂篇〉 등은 관심대상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본고는 바로 「鄭聲淫」에 관한 해묵은 논쟁이 계속된 이면에는 상술한 이념적 가치와 모순대립에 기인하는바도 적지 않다고 보는 측면에서 문제의 본질에 접근해 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鄭聲淫」과 「放鄭聲」은 중국 봉건 유교사회의 문화사상의 성격과 노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鄭聲淫」의 발원주체가 공자였으며, 공자에 의해 가장 비판적으로 제기된 문화현상 중의 하나였다. 「鄭聲淫」은 중국 고대 최고 예술단계인 궁중아악의 심미적 이상을 방어하기 위한 문화적 마지노선이었고, 「放鄭聲」은 예악문화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문화적 자구책이었다. 그러나 「鄭聲淫」은 공자의 다른 담론에서도 흔히 보이는 현상처럼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물증이나 부언설명이 뒤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문화규범의 테두리 안에서 그 심미가치의 대역폭을 가늠하기는 쉽지 않다. 도대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러야 「淫」의 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이는 매우 모호하고 우려되는 부분이다. 공자 이래 「淫」의 심미가치에 대한 논쟁은 그칠 줄 몰랐지만 막상 심미기준에 대해서는 분명한 잣대를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에 훗날 송대 도학자들에 의해 극심한 가치혼란을 초래한 빌미를 제공한 것처럼 문화권력의 잠재적 충동을 자극하여 사회적 문제로 비화될 소지를 남기게 되었다. 「鄭聲淫」은 제도적인 제약이나 문화지리적인 편협성에서 벗어나 서민적인 순수성을 지향하던 속악의 발전과정애서 이해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 「鄭聲淫」으로 표방되는 춘추전국시대의 속악의 유행 범위나 제작주체, 성격 등에 대해서는 역시 해묵은 과제이기는 하지만 재조명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하겠다. As we all knows, according to production subject or user subject the music of ancient China was developed with the character which is personalized or institutionalized. The objective which establishes music from the position which is institutional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per reason and recover the ethical morality which leads an edification instead of personal enjoyment. It did so and music it led the standard where edification oneself which becomes accomplished weighs a politics becoming, it did from successive feudal dynasty. The music where the mind of nature and the human being accords the guard which is an ideal of man governed system from the Chinese ancient society is the ideal [harmony. [The ideal harmony is most valuable thing at any case] is Confucius whom it emphasizes like this music must be personal moral culture and considering seriously with the virtue which comes true the above politics was natural. As the mind which accords in peace, the virtue will be in harmony, also able to control lascivious status. The dominative influence which is political including a feudal knowledge class from under like this ideological background traditionally form and matter, ardent form and matter of music perfectly, in order to be combined, it was pursued. Like this combination it raises the above esthetic appreciation of imperial court music did the duty which is decisive. And it made the standard value of the aesthetics keep which measures all arts and it made make. When like this with politics the effect which is actual from education field was given proof, the western traditional music all the time as one of the cultural ideologies which are dominative was made to do every place from the feudal Confucianism society. It draws the music theory where the disciples hundred who builds the opposing angle is opposed in gas price of the field, for example, the Mjia’s 〈non-music chapter〉 etc, made become more distant from the interest object. The sample it boils and that to the back where the argument which about rightly [Sound of Zheng is lewd] gets old is continued it originates to tlle ideological value which it states above and a contradictory opposition it does not write the reporter to approach the essence of problem from the side which it sees to attempt. Conclusively [Sound of Zheng is lewd] and [keeping away Sound of Zheng] is an instance which shows the character and the route of cultural ideology of the Chinese feudal Confucianism society symbolically. [Sound of Zheng is lewd] is the origin subject of Confucius, in compliance with Confucius cultural actual condition public opinion one critically it is proposed most it was. [Sound of Zheng is lewd] defends the above esthetic appreciation of Chinese ancient highest performing art company joint seal Royal Palace imperial court music to be a cultural route for [keeping away Sound of Zheng] attains the political objective of example evil culture it was a cultural selp-help plan for. But [Sound of Zheng is lewd] must be Confucius different discussion like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visible frequently the real evidence or postscript explanation which is concrete and in-depth without following and because of the esthetic value from inside outline of cultural norm, it is not easy. [lewd] is a matter of which approach the level of degree, the possibility of saying it is proper or not? Ths is the part which is dimly worried. [Sound of Zheng is lewd] restriction or the culture which is institutional the narrow-minded frost which is geographic it stands and to escape aims the purity which is popular that must come to understand from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vulgarity which it sees. Popularity scope or production subject of vulgarity of the spring and autumn dynasties which really country music it is lewd, is professed, it is a subject which gets old as well but the necessity of re-illumination will be earnest about characteristic etc.

      • KCI우수등재

        정성적 요인을 반영한 초단거리 접근수단의 선택 행태 연구

        김지혜,김익기,유한솔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1

        Feeder modes on First and Last Mile recently have been getting attention. To carry out relevan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oice behavior about feeder modes on first and last mile. Therefore we analyzed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about electric scooter, autonomous bus, sharing bicycle and walking which can be introduced on First and Last Mile. On the mode choice behavior, the qualitative factors have influence as well as the quantitative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quantified the qualitative factors which were implied “feeling danger” related to bicycle and electric scooter, and “concerning health” related to walking. The values of qualitative factor were estimated by using a binary logit model with socio-economic attributes and personal prefer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ode choice models were calibrated in the form of a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traveler’s socio-economic attributes, mode service attributes, and qualitative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qualitative factors on traveler’s choice behavior was interpreted as unit of travel time. And the calibration analysis of transportation mode choice behavior at very short distances show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alibrated model explained that the people in age 20s preferred to electric scooters comparing with other age groups and that houseperson tended to avoid walking. The passengers tended to feel danger to electric scooter more than bicycle. The effect of “feeling danger” and “concerning health” on the mode choice behavior in time unit, their effect was found as same as between 3.17 and 5.06 minutes. When considering that it is a very short-distance mov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ative factors of “feeling danger” and “concerning health” affect greatly on the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The study contributed to quantifying the qualitative factors for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at very short distances. This made it possible to express the influence of qualitative factors numerically. 최근 First and Last Mile(FLM) 영역에서 초단거리의 접근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통행자들의 수단선택 행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FLM에서 도입될 수 있는 접근 교통수단인 전동 킥보드, 자율주행버스, 자전거, 도보 수단에 대한 통행자의 선택행태를 분석하였다. 통행자의 교통수단 선택행태는 정량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전거, 전동 킥보드 수단과 관련된 위험성이라는 정성적 요인과 도보 수단과 관련이 있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라는 정성적 요인을 계량화하여 수단선택모형에 반영하였다. 정성적 요인은 개인 속성 및 개인 선호도를 독립변수로 하는 이항로짓모형으로 계량화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은 개인 속성, 통행 속성, 정성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항로짓모형 형태로 구축하였다. 또한 정성적 요인이 수단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통행시간과 대체효과를 검토하였다. 초단거리에서 교통수단 선택행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결과가 나왔다. 정산된 모형은 20대의 경우 전동 킥보드를 선호하는 행태를 설명하고 있으며, 주부는 도보수단에 대해 거부적인 경향의 행태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통행자들은 자전거보다 전동 킥보드에 더 위험성을 느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성 및 건강에 대한 인식의 정성적 요인이 수단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단위로 검토해보면 약 3.17-5.06분 통행시간의 규모이다. 이는 초단거리 통행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성적 요인이 수단선택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접근수단 선택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을 수단선택모형에 적용하였으며 그 규모를 수치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程明道 『定性書』에 대한 霞谷의 이해

        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5

        霞谷 철학에 대한 연구도 이제 상당한 정도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일반 사람들이 『霞谷集』을 읽어 내려가는데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우리가 보는 『하곡집』은 옛날 그대로 것이 복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복사되어 있다보니 정확히 무슨 글자인지 알기 어렵고, 또 어떤 부분이 하곡의 말인지, 혹은 원저자의 말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그리고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 대부분은 하곡 사상 전체를 다루고 있다. 전체 사상을 알고 세부적인 부분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은 당연한 학문의 입문과정이다. 그러나 그러다 보니 세부적인 부분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작은 주제를 통해 하곡의 전체 사상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하곡의 『年譜』 의하면 하곡은 宋 程明道를 흠모했고, 그래서 평소에도 정명도의 말을 외우고 음미했다고 한다. 하곡은 28세 때 당대의 대학자 宋 時烈에게 올리는 글에서 “心體가 과연 얽매인 바 없이 고요하여 움직이지 아니한다면 사물에 대한 생각이 아무리 많더라도 고요함에 무슨 방해가 되겠는가? 이것이 정명도가 『정성서』에서 말한 뜻이다”라고 말했다. 『정성서』란 張橫渠의 서신에 대한 정명도의 답장이다. 정명도는 이 짧은 답장에서 자신의 ‘一本’ 사상 즉 ‘主客’으로 대립되어 있는 ‘二本’을 대립이 아닌 혼연된 ‘一本’論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하곡의 『定性書解』는 정명도의 『정성서』에 대한 해석으로 66세 때 쓴 글이다. 그러나 그는 이미 젊은 시절부터 정명도의 사상에 깊이 빠져 있었다. 하곡은 一本 즉 理氣合一, 體用-源의 관점에서 程朱學의 二元性 및 퇴계와 율곡에 대해서도 비판을 한다. 하곡철학을 양명학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다. 그러나 하곡 사상에는 양명학 못지않게 程明道의 一本 思想도 중요한 요소다.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study of Hagok's philosophy. A good number of papers on Hagok have been delivered through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gresses held by the Korean Yang-Ming Society. This is an inspiring phenomenon,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there still are certain discouraging difficulties in reading Collection 0/ Hagok(霞谷集). Since the copies of the worn-out manuscript of this book are the only available source to us for now, some letters are unreadable; and in certain parts, it is hard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 is Hagok's own words or someone else's. Most of the papers published so far have dealt with the whole of his thoughts comprehensively. Although it seems to be a natural procedure of academic research to proceed to the details after adequately understanding the whole,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ay no careful attention to the detail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Record(年譜) which recorded Hagok's entire life, he so much admired Cheng Ming-Tao(程明道) of Song(宋) Dynasty that he always memorized and appreciated Cheng's words. At the age of 28, in a letter he sent to Song Si-Yeal(宋時烈) who was an eminent scholar in his days, Hagok said that "if Xin(心) is unbounded, serene, and unmoving, then, no matter how many thoughts on things you might have, how could they possibly disturb the serenity of Xin? This is the meaning of what Cheng, Ming Dao said in Ding Xing Shu(定性書)." Ding Xing Shu is Cheng's reply to the latter of Chang Heng-Qu(張橫渠). In this short reply, Cheng fully expresses his idea of 'One Substance(一本)', that is, the theory of a united 'One Substanc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Two substance(二本)'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ubject-object' opposition. Jeng Sens Se Hae(定性書解) is a book which Hagok wrote at the age of 66 as a commentary on Ding Xing Shu. From his youth, however, he was already deeply immersed into Cheng's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One Substance, i.e., the perspective of 'Li Qi he yi(理氣合一)' and 'Ti Yong yi yuan(體用一原)', Hagok criticized the duality of Cheng-Chu(程朱) philosophy as well as the theories of Yulgok and Toegye. It is a general view to classify Hagok's philosophy as a theory of Yang-Ming philosophy. In his philosophy, however, Cheng's idea of One Substance is an element no less important than Yang-Ming philosophy.

      • KCI등재

        『논어(論語)』 중의“사무사(思無邪)”와 “정성음(鄭聲淫)”에 대한 검토

        박재희 ( Jae-hee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論叢 Vol.63 No.-

        『논어(論語)』에 기록된 “사무사(思無邪)”와 “정성음(鄭聲淫)”은 역대로 많은 논의가 있었다. 본고는 주요 연구자들의 논의와 유가 전적을 검토하여 『논어』 중의 “사무사”와 “정성음”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아울러 『시경(詩經)』 「정풍(鄭風)」에 대한 공자의 인식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공자는 『시경』을 “사무사”라는 한 마디로 총괄하였다. “사무사”는 본래 『시경』 「노송(魯頌)·경(駉)」편에 보이는 시구로 말을 기르는 사람의 사특함 없는 순수한 생각을 읊은 구이다. 공자는 이 시구를 취해 작시자의 순선무악(純善無惡)한 사상을 논평하여 『시경』은 인간의 참 마음[實心]을 이끄는 ‘경전’임을 명시했다. 또한 공자는 ‘정성(鄭聲)’을 음란하다고 평가하였다. ‘정성’은 신 음악이자 음란하여 사람을 빠지게 하는 음악으로, 군주 된 자가 탐닉하지 말아야 할 음악이다. 즉, 공자는 통치자의 수양 및 치국의 도리를 강조하기 위해 ‘정성’을 음란하다고 평가한 것이지, 『시경』의 「정풍」을 음란하다고 평가한 것은 아니었다. 『공자시론(孔子詩論)』에서 공자는 「정풍」이 가지는 도덕적 역량과 정치적 효과에 주목하였다. 이는 공자가 『시경』의 「정풍」을 순선무악한 시편으로 인식하였다는 의미이다. “Si Wu Xie” and “Zheng Sheng Yin” recorde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have been discussed a lot throughout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cussions by major researchers in the past and analyses from Confucian records, aiming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s of “Si Wu Xie” and “Zheng Sheng Yi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explore Confucius' perception of 『Zheng Feng(鄭風)』 in 『Shi Jing(詩經)』. Confucius summarized 『Shi Jing』 as “Si Wu Xie”. “Si Wu Xie” comes from a phrase in『Shi Jing』, 『Lu Song(魯頌)』Jiong(『)』, which describes the pure thoughts without evil of a horse breeder. Confucius borrowed this line to comment on the author's pure thoughts, indicating that『Shi Jing』is a scripture that draws to one’s moral nature. Confucius also evaluated ‘Zheng Sheng(鄭聲)’ as obscene. ‘Zheng Sheng’ is new music, music that is obscene and deceives people, and is music that a ruler should not indulge in. In other words, Confucius evaluated ‘Zheng Sheng’ as obscene in order to preach the principles of discipline and governance of a ruler, and did not evaluate 『Zheng Feng』 in 『Shi Jing』 as obscene. In 『Kongzi Shilun(孔子詩論)』, Confucius paid attention to the moral capacity and political efficacy of 『Zheng Feng』. This means that Confucius recognized 『Zheng Feng』of 『Shi Jing』 as a pure poetry without evil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