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회정서학습에 기반한 교실 속 문제행동 예방 및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 지원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유리(Yuree Kim),용정순(Joung-Soon, Ryong),이유정(You-jo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서학습에 기반한 교실 속 문제행동 예방 및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의 특징을 기반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문제행동과 사회정서학습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교실 속 문제행동 예방교육과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지원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은 문제행동 학생 지도를 위해 사회정서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지원과 자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문제행동 학생 유형은 수업 방해, 폭언 및 폭행, 생활지도 불응 등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지도 과정에서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사회정서학습이 문제행동 예방과 학생들의 정서적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교육과정임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사회정서학습 도입과 운영을 위한 체계적 지원과 연수를 요구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을 통해 문제행동을 사전에 예방하고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이 필요한 사회정서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사회정서역량을 포함한 기본역량의 개념 확장,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국가교육과정 명문화, 사회정서학습 제도 마련, 교원양성과정에 사회정서학습 편성・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방안을 토대로 교육의 공공성과 책임성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prevent classroom misbehavior and support students who exhibit misbehavior based on social emotional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problem behavior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their practices in preventing problem behavior and supporting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need for social emotional learning to guide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 but lacked support and resources to effectively apply it in practice. The types of behaviors included classroom disruptions, verbal and physical assaults, and noncompliance with guidance.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and stress in their efforts. Teachers recognized that social emotional learning is an effective curriculum for preventing behavioral problems and helping students grow emotionally, and they requested systematic support and training for implementing social emotional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o expand the concept of basic competencies includ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and develop necessary social emotional competencies for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s through social emotional learning. It suggested to specify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to establish a social emotional learning system, and to organize and operate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is hoped that the public and accountability of education will be realized based on the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심,전정민,김정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in the study variables. Five hundred fifty five mothers and two hundred sixty two fathers of 3 to 5 year-old children from 10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oungki-Do were participated and conducted a total of 777 survey questionnaires. In additi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ere measured by five hundred fifty five daycare cente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23.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ere found. Second, both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were found in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elation to the behavioral subdimension in problematic behaviors. Third,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on children’s overall problematic behaviors, behavioral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Finally, the impacts of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에 따라 영유아 문제행동에 차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10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를 둔 부모 777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문제행동 평가척도는 담임교사가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이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 유아의 문제행동 변인간 관련성은 서로 높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의 차이가 양친 모두에게 나타났다.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 독립변인이 유아의 문제행동(종속변인)에 높은 영향력을 미쳤으며,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부모의 정서표현양가성 그 다음 정서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문제행동(정서문제/행동문제)을 일으키는 변인으로 부모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그다음으로 정서표현도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들은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서양가성을 낮추고 정서표현을 높이려는 노력해야 한다.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23 학습장애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수준, 유형과 전이양상 및 영향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중1패널 자료, 3, 5차년도(2020, 2022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3, 5차년도(중3, 고2) 조사에 모두 참여한 1,990명의 학생이다. 이 중 저성취 학생은 중학교가 351명(17.64%), 고등학교는 318명(15.98%)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고등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중 위축과 주의집중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정서․행동문제 유형은 정서․행동 안정형, 외현화문제 우세형,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정서․행동문제 관심형,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등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 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의 비율이 높았다. 저성취 학생이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중․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의 영향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이 모든 유형에서 일관되게 부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행동문제의 종단적 전이확률을 분석한 결과, 외현화문제 우세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간 이동 비율과 정서․행동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간 이동이 많았다. 외현화문제 우세형이 정서․행동 안정형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이 과정에 스마트폰 의존, 친구관계, 스스로 공부, 저성취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typ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in learner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low achiever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3rd and 5th years (2020, 2022) of the 3rd and 5th year of middle school panel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9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survey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nd year of high school). 351 (17.64%) low-achieving students were in middle school and 318 (15.98%) were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mo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drawal and attention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evere. Second, the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emotional and behavioral stability typ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ttention․withdrawal problem dominant typ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concern type. Third, smartphone dependence was consistently shown to be a negative factor in all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urth, there was a high rate of movement between th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nd the attention․withdrawal dominant type, and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oncern type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김자경,강혜진,강영심,박재국,안성우,황순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LD), emotional/behavioral disorder(EBD), learning disabilitie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children who were referred for LD or EBD diagnosis to the Center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They were grouped into children at-risk for LD, children at-risk for EBD, children at-risk for LD with EBD, children without academic or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K-CBCL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problem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them. KISE-SAB was used to measure the adap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adaptive behaviors. Third,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total problem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at-risk for EBD.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total problem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at-risk for LD. But, there are no correlations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at-risk for LD with EBD and normal childre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at-risk for LD and EBD have differ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problem type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variou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hen developing education plan for different groups. 본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에 행동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대학 장애진단·평가센터로 의뢰된 아동 중, 검사 결과에 따라서 학습장애 위험집단, 정서·행동장애 위험집단,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집단, 일반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네 집단에 대한 문제행동과 적응행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위험 유형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 외현화 문제행동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네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 위험 유형에 따라 적응행동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적응행동 총점과 개념적 적응행동, 사회적 적응행동, 실제적 적응행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네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 위험 유형별로 문제행동과 적응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습장애 위험집단에서는 문제행동 총점과 적응행동 총점, 그리고 내면화 문제와 적응행동 모든 하위영역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행동장애 위험집단에서는 문제행동 총점과 적응행동 총점, 그리고 외현화 문제와 사회적 및 실제적 적응행동 하위영역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집단과 일반집단에서는 문제행동과 적응행동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집단은 학습장애 위험집단이나 정서·행동장애 위험집단과는 구별되는 이질적인 집단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공존장애 집단과 단일집단에 대한 행동 중재를 제공할 때 차별적인 접근방법으로 이뤄져야 하며, 특히 학습장애 위험아동과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행동영역에 대해 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문제행동 유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른 청소년의 인물화검사 반응특성 연구
유경미,조용태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at the DAP:SPED has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or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416 adolesc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north Gyeonggido by cluster sampling. Then, 53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60 students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selected by basing on high rank 15%(T score more than 60) and low rank 15%(T score less than 40) according to the total behavior problems scale of the K-YSR. Additionally, the study subject were administrated DAP:SPED and were analyzed 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e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test and discriminant/class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female, self, and total scores on drawings,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tom placement, right placement, lettering/numbering, eyes omitted, slash mouth, inconsistent position, and background filled in, 3) Possibility of classif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ed diagnostic accuracy by 85%. Therefore, this study was quite meaningful to make use the DAP:SPED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a clinical ut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의 유무에 따른 인물화검사의 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1,2,3학년 416명을 군집표집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 총 문제행동 척도의 상위 15%(T점수 60점 이상)인 대상 53명을 정서․행동문제 집단으로, 하위 15%(T점수 40점 이하)인 대상 60명을 일반 집단으로 정하였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선별 인물화 검사(DAP:SPED)를 실시하고 집단에 따라 나타난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른 두 집단의 인물화 점수 차이와 55개 채점기준의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55개 채점기준으로 정서․행동 유무의 판별력과 예측정확도를 보기 위해 판별분석 및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라 남자상, 여자상, 자기상,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채점기준 중에서 그림위치(하단), 그림위치(우측), 문자 및 숫자 표시, 눈 생략, 사선 입, 부조화 자세 팔, 배경 채우기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DAP:SPED가 정서․행동문제 유무를 분류하는데 85%의 예측정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DAP:SPED는 일반 청소년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간 반응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투사검사로써 의의가 있다.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놀이치료 현장 적용 사례연구
권지은(Ji-Eun Kwon),정재은(Jae-Eun Jung),김성현(Seong-Hyu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문제행동을 지도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의 효과적인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K도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보이는 만 5세 유아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부모 기초검사를 수행하고,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놀이환경을 구성한 후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를 시행하였다. 기초검사는 부모상담, 원장님 면담, 유아의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를 측정하였으며 놀이치료에 기반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는 본 연구자가 매주 1회, 40분씩, 총 20회기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놀이치료가 이루어진 이후 부모상담도 함께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양적 및 질적으로 이루어졌다.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전과 후에 따른 차이의 양적 분석을 위해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과정의 비디오 녹화 및 전사, StainBack & StainBack 현장노트기록, 부모 상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주의력결핍 및 유아행동문제에서도 모두 정상군의 수치로 나타났고, 자신감 있게 정서를 표현하고 사회적 유능감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놀이치료에 기반한 본 연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change in children throug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and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 children who have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They were 5 year olds children who go to the S daycare center in K-do. For the study, parents counseling,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s counseling, K-ARS and K-CBCL, and SSCT were used to examin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were carried out in the playroom.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for each child. Each case consisted of 20 sessions and each 40 minutes session was conduced once a week.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were the video clips and scripts of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StainBack & StainBack's(1984) field note, and records of parents counseling. The quantitative data K-ARS and K-CBCL were used. In conclusion,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과 특수교사의 대처전략 및 지원요구
박명화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ppeara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upport needs and coping strategy of teacher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special education teachers, 322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stribution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normal, quasi-clinical and clinical level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 and 4 low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ppeared in students of special school higher than students of special classroom. Seco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Ⅱ fo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Ⅰ, Ⅱ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Finally, Both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most highly support need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ere supply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tervention manual and arrange behavioral intervention specialis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이 어떠하며,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대처전략과 지원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사 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특수교사 161명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장애학생 322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수학교․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및 8개 하위유형 모두 임상범위와 준임상범위, 정상범위에 분포되어 있었고, 외현화문제와 총행동문제 및 4개 하위유형은 특수학교 초등학급 장애학생의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내재화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은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문제에 대해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는 내용면에서는 학급에서 실시할 수 있는 예방 및 행동중재 메뉴얼 개발 및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지원형태는 전문가 배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권과 안전은 물론 특수교사의 교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질적인 교사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게 되었다.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과 학급차원의 지원방안
노원경,김태은,정은주,김의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의 문제 행동 특성과 이러한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64명의 교사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는 정서 및 행동문제가 있는 초등학생의 행동 특성과 그 정도 및 이러한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방안에 관한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사한 후 총 3차례에 걸쳐 코딩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은 내면화 행동 특성과 외현화 행동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내면화 행동 특성으로는 감정 기복이 심함, 불안, 선택적 함묵, 우울, 위축, 자살충동 등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행동 특성으로는 가장 많이 언급된 공격행동, 과잉행동을 비롯해 TV/컴퓨터게임/인터넷중독, 고자질/거짓말, 자기 미조절, 반항/욕설, 권력에 복종/역이용, 자폐적 성향, 도벽, 주의력 결핍, 학교거부, 성(性)적인 행동, 부정적 반응/자기방어, 언어기술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 방안은 행동 지원 영역과 학습 지원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행동 지원 방안은 대상 학생에 대한 정서적 지원, 학급 운영 전략의 변화였으며, 학습 지원 방안은 교수 전략의 변화, 학생의 개별 학습 수준과 속도를 고려한 자료 제공, 소그룹 운영 또는 개별 지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문제 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가의 도움도 중요하지만, 교사의 학급 내 지도 역량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초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개선을 위한 학급관리와 상담방안
임경희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학습장면과 생활지도 장면에서 다루기 어려운 문제로 제기하고 있는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개입 실태를 살펴보았 다. 더불어 정서행동 문제를 가지고 있는 초등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학급에서 담임교사 로서의 역할을 포함한 학급관리 방법과 개별적인 상담을 위한 상담교사로서의 역할과 상담개입 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위축, 고립의 문 제를 가진 아동이 포함되어 있는 학급에서의 학급관리와 문제를 겪고 있는 개별 아동을 위한 상담방안을 고찰하였으며, 끝으로 초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개선을 위한 학급관리 와 상담개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difficult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ich were brought up by teachers and the teachers' interventions about them. The effective management devices of classroom which were included the children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were examined. And the counseling intervention skills for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withdrawal, and isolation were surveyed. Finally, th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counseling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의 다중매개효과
최정은,이소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gender. Fathers and mothers of 166 preschoolers from 7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parenting behaviors and only mothers complete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internalizing behaviors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acceptance/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Also, both mothers and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Second, boy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For girls, parent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while mothers’ warmth-acceptance parenting affect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positive emotion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and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to decrease internalizing behaviors, while taking the effects of preschoolers’ gender on these variables into account.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매개분석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에서 6세 유아를 둔 부모 166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 내재화 문제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온정․수용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긍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낮추는 반면, 어머니의 허용․방임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거부․제재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을 유아의 성별에 따라 각각 분석한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거부․제재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만이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 반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이 긍정정서를 통해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이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차별적 개입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통제나 부정적 정서를 유아의 성별에 따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