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심,전정민,김정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in the study variables. Five hundred fifty five mothers and two hundred sixty two fathers of 3 to 5 year-old children from 10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oungki-Do were participated and conducted a total of 777 survey questionnaires. In additi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ere measured by five hundred fifty five daycare cente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23.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ere found. Second, both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were found in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elation to the behavioral subdimension in problematic behaviors. Third,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on children’s overall problematic behaviors, behavioral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Finally, the impacts of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에 따라 영유아 문제행동에 차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10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를 둔 부모 777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유아의 문제행동 평가척도는 담임교사가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이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 유아의 문제행동 변인간 관련성은 서로 높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의 차이가 양친 모두에게 나타났다.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양가성 독립변인이 유아의 문제행동(종속변인)에 높은 영향력을 미쳤으며,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부모의 정서표현양가성 그 다음 정서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문제행동(정서문제/행동문제)을 일으키는 변인으로 부모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그다음으로 정서표현도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들은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서양가성을 낮추고 정서표현을 높이려는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23 학습장애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수준, 유형과 전이양상 및 영향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중1패널 자료, 3, 5차년도(2020, 2022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3, 5차년도(중3, 고2) 조사에 모두 참여한 1,990명의 학생이다. 이 중 저성취 학생은 중학교가 351명(17.64%), 고등학교는 318명(15.98%)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고등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중 위축과 주의집중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정서․행동문제 유형은 정서․행동 안정형, 외현화문제 우세형,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정서․행동문제 관심형,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등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 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의 비율이 높았다. 저성취 학생이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중․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의 영향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이 모든 유형에서 일관되게 부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행동문제의 종단적 전이확률을 분석한 결과, 외현화문제 우세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간 이동 비율과 정서․행동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간 이동이 많았다. 외현화문제 우세형이 정서․행동 안정형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이 과정에 스마트폰 의존, 친구관계, 스스로 공부, 저성취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typ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in learner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low achiever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3rd and 5th years (2020, 2022) of the 3rd and 5th year of middle school panel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9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survey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nd year of high school). 351 (17.64%) low-achieving students were in middle school and 318 (15.98%) were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mo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drawal and attention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evere. Second, the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emotional and behavioral stability typ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ttention․withdrawal problem dominant typ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concern type. Third, smartphone dependence was consistently shown to be a negative factor in all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urth, there was a high rate of movement between th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nd the attention․withdrawal dominant type, and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oncern type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유아에 대한 연구 동향 및 문제행동 분석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유아에 대한 최근 5년간의 연구논문 78편을 분석하였다. 4개 학술지 전체 논문 빈도 중에서 유아에 대한 연구 논문은 약 13% 이며 총 23개의 연구주제가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내용에 따라 유아를 위한 중재와 지원, 유아의 지원자를 위한 중재와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아를 위한 연구 중에는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으며, 유아의 지원자를 위한 연구는 진단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관심을 갖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시각과 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논문 12편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문제행동의 유형, 측정과정 및 방법, 문제행동의 정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문제행동의 유형은 공격행동이 가장 많았으며,측정은 교사의 직접관찰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문제행동의 심각성은 빈도와 지속시간에 따라 구분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기준을 명시하지 않고 있었다.문제행동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의 측정 시에는 다양한 환경과 요인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문제행동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포괄적인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대체행동을 교수하는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정서 및 행동상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논의와 함께 현장 적용을 위한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reviews 78 articles in major journal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4 that were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research on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consisted of 13% of total articles of the 4 journals. The major topics were 23 and experimental research was the main method for the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he 78 articles contained several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fficulties who exhibited challenging behaviors and for teachers or families supporting them. The interventions for the young children were mainly focused on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 researches for teachers or families were on assess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2 experimental articles of the researches on the behavior problems of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in detail on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measuring methods, and the degrees of the challenging behaviors. The main type of challenging behaviors was aggressive behavior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ing method was direct observation. However, criterion of the measurement was not specified in most articles. Finally, discussion of these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field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백승영 ( Seung Young Baek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와 임상위험이 학교급(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고등학교)과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90명,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90명, 중학생 105명, 고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부모용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총 264부(회수율 76.5%)가 회수되어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교급과 성별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둘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임상위험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와 총행동문제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나 외현화문제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and clinical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school levels(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gender. To do this, parents of 345 students(90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90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105 middle schoolers, 60 high school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K-CBCL. Two hundred sixty-four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76.5%) and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however,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no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chool levels and gender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but not in the clinical risk of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의 다중매개효과

        최정은,이소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gender. Fathers and mothers of 166 preschoolers from 7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parenting behaviors and only mothers complete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internalizing behaviors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acceptance/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Also, both mothers and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Second, boy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For girls, parent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while mothers’ warmth-acceptance parenting affect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positive emotion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and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to decrease internalizing behaviors, while taking the effects of preschoolers’ gender on these variables into account.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매개분석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에서 6세 유아를 둔 부모 166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 내재화 문제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온정․수용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긍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낮추는 반면, 어머니의 허용․방임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거부․제재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을 유아의 성별에 따라 각각 분석한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거부․제재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만이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 반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이 긍정정서를 통해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이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차별적 개입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통제나 부정적 정서를 유아의 성별에 따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른 청소년의 인물화검사 반응특성 연구

        유경미,조용태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at the DAP:SPED has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or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416 adolesc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north Gyeonggido by cluster sampling. Then, 53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60 students with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selected by basing on high rank 15%(T score more than 60) and low rank 15%(T score less than 40) according to the total behavior problems scale of the K-YSR. Additionally, the study subject were administrated DAP:SPED and were analyzed 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e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test and discriminant/class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female, self, and total scores on drawings,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tom placement, right placement, lettering/numbering, eyes omitted, slash mouth, inconsistent position, and background filled in, 3) Possibility of classif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ed diagnostic accuracy by 85%. Therefore, this study was quite meaningful to make use the DAP:SPED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a clinical ut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의 유무에 따른 인물화검사의 반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1,2,3학년 416명을 군집표집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 총 문제행동 척도의 상위 15%(T점수 60점 이상)인 대상 53명을 정서․행동문제 집단으로, 하위 15%(T점수 40점 이하)인 대상 60명을 일반 집단으로 정하였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선별 인물화 검사(DAP:SPED)를 실시하고 집단에 따라 나타난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른 두 집단의 인물화 점수 차이와 55개 채점기준의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55개 채점기준으로 정서․행동 유무의 판별력과 예측정확도를 보기 위해 판별분석 및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정서․행동문제 유무에 따라 남자상, 여자상, 자기상,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채점기준 중에서 그림위치(하단), 그림위치(우측), 문자 및 숫자 표시, 눈 생략, 사선 입, 부조화 자세 팔, 배경 채우기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DAP:SPED가 정서․행동문제 유무를 분류하는데 85%의 예측정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DAP:SPED는 일반 청소년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간 반응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투사검사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및 학업성취수준별 차이

        김은주 ( Eun Joo Kim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가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KCPI-T를 실시하여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불안, 우울, 신체화, 비행, 과잉행동)를 측정하고2012년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통해 국어, 수학, 영어의 학업성취수준에 대한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낮은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는 1.2%로 나타났으며, 정서행동문제(불안, 우울, 신체화, 비행, 과잉행동)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불안 12.5%, 우울 8.6%, 신체화 7.4%,비행 4.7%, 과잉행동 7.4%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불안, 우울, 신체화 비행, 과잉행동)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반적으로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정서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였으며 이는 정서행동문제의 유형(불안, 우울, 신체화, 비행, 과잉행동)과 교과목의 종류(국어, 수학, 영어)와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련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 및 과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of elementary students`` ego resilience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m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o do this, KCPI-T was administerd to 25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ego resilience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delinquency, hyperactivity) and the results of 2012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were used to collect data for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the students for three subjects(Korean, Math, English).Analyse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There was no student considered to have low ego resilience but 1.2% of the students were considered to have somewhat low ego resilience. Also 12.5%, 8.6%, 7.4%, 4.7%, and 7.4% of the students were considered to have clinical problems in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delinquency, and hyperactivity, respectively. (b)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go resilience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delinquency, hyperactivity). (c) The groups of low academic achievement had more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han the group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types of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delinquency, hyperactivity) and subjects (Korean, Math, English).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과 학급차원의 지원방안

        노원경,김태은,정은주,김의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의 문제 행동 특성과 이러한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64명의 교사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는 정서 및 행동문제가 있는 초등학생의 행동 특성과 그 정도 및 이러한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방안에 관한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사한 후 총 3차례에 걸쳐 코딩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은 내면화 행동 특성과 외현화 행동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내면화 행동 특성으로는 감정 기복이 심함, 불안, 선택적 함묵, 우울, 위축, 자살충동 등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행동 특성으로는 가장 많이 언급된 공격행동, 과잉행동을 비롯해 TV/컴퓨터게임/인터넷중독, 고자질/거짓말, 자기 미조절, 반항/욕설, 권력에 복종/역이용, 자폐적 성향, 도벽, 주의력 결핍, 학교거부, 성(性)적인 행동, 부정적 반응/자기방어, 언어기술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을 위한 학급 차원의 지원 방안은 행동 지원 영역과 학습 지원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행동 지원 방안은 대상 학생에 대한 정서적 지원, 학급 운영 전략의 변화였으며, 학습 지원 방안은 교수 전략의 변화, 학생의 개별 학습 수준과 속도를 고려한 자료 제공, 소그룹 운영 또는 개별 지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문제 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가의 도움도 중요하지만, 교사의 학급 내 지도 역량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초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개선을 위한 학급관리와 상담방안

        임경희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학습장면과 생활지도 장면에서 다루기 어려운 문제로 제기하고 있는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개입 실태를 살펴보았 다. 더불어 정서행동 문제를 가지고 있는 초등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학급에서 담임교사 로서의 역할을 포함한 학급관리 방법과 개별적인 상담을 위한 상담교사로서의 역할과 상담개입 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위축, 고립의 문 제를 가진 아동이 포함되어 있는 학급에서의 학급관리와 문제를 겪고 있는 개별 아동을 위한 상담방안을 고찰하였으며, 끝으로 초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개선을 위한 학급관리 와 상담개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difficult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ich were brought up by teachers and the teachers' interventions about them. The effective management devices of classroom which were included the children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were examined. And the counseling intervention skills for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withdrawal, and isolation were surveyed. Finally, th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counseling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과 특수교사의 대처전략 및 지원요구

        박명화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ppearan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upport needs and coping strategy of teacher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special education teachers, 322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stribution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normal, quasi-clinical and clinical level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 and 4 low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ppeared in students of special school higher than students of special classroom. Seco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Ⅱ fo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more often used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Ⅰ, Ⅱ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an special classroom teachers. Finally, Both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most highly support need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ers with disabilities were supply and development of behavioral intervention manual and arrange behavioral intervention specialis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양상이 어떠하며,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대처전략과 지원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교사 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특수교사 161명과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장애학생 322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수학교․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및 8개 하위유형 모두 임상범위와 준임상범위, 정상범위에 분포되어 있었고, 외현화문제와 총행동문제 및 4개 하위유형은 특수학교 초등학급 장애학생의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내재화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은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문제에 대해 특수학교 초등교사가 특수학급 초등교사보다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긍정적 예방전략Ⅱ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정서․행동문제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는 내용면에서는 학급에서 실시할 수 있는 예방 및 행동중재 메뉴얼 개발 및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지원형태는 전문가 배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권과 안전은 물론 특수교사의 교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실질적인 교사지원 및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