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회계정보시스템(AIS)의 성과 제고 방안 연구

        차덕환,김부병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정보이용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회계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회계정보시스템은 중소기업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할 중요한 정보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회계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성과제고 방안을 연구하였다. 중소기업의 회계정보시스템의 성과 제고 방안으로 운영담당요원과 이용자 교육의 강화, 운영담당요원의 사기진작, 정보활용의 수준향상, 경영자의 적극적인 지원, 회계정보시스템의 개발시 회계담당자와 이용자 참여의 제고, 관리통제제도의 확립, 성과에 대한 평가 등이 제고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잘 정의된 회계정보시스템은 중소기업의 고질적인 병폐라고 할 수 있는 방만한 경영을 지양하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경영합리화를 이룩할 수 있는 초석이 되고 나아가 정보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치열한 시장 경제 하에서 경쟁력의 비교 우위를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기반 구조가 된다.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t is important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o build up a systematic and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furnish an useful accounting information for rational decision making is an important subject to be introduced to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r a systematic and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quired into improving outcome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AI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s for the usefulness of the AIS, knowledge acquisition of the managers, organized system education for the exclusive personnel, effective management more participation of the users, managerial control system, evaluation of the results, and special treatment for the personnel in charge of the operation might be considered. Consequently, the well-organized AIS will be the foundation on which resonable and effective management rationalization of the enterprises. And it can be fundamental construction for realizing comparative predominance of competition in the keen market economy by enlarging the range of information.

      • KCI등재

        환경공간정보를 활용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및 활용 방안

        이명진 ( Moung Jin Lee ),김경희 ( Kyeong Hui Kim ),박진형 ( Jin Hyung Park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4

        환경문제는 단순히 개별적 원인 및 단일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 원인과 영향으로 발현된다. 기존의 환경정보는 개별 구축 목적에 맞도록 수치 위주(통계)로 생산되었으며 더욱이 개별 시스템(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등 17개)에 관련 인자들이 산재되어 있어 다양한 원인 및 피해를 고려해야 하는 환경문제 해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허비되어 즉각적·적시적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한계점과 문제점을 인식하여, 환경공간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국가환경지도시스템 구축 및 정책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국내 산재되어 있는 환경공간정보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부 실·국, 산하 및 유관기관의 시스템 및 환경공간정보 담당 부서의 총 2,701개 업무 자료를 분석하여 총 275개(비점오염원 관리 확대를 위한 환경정보 구축 등)의 환경정보와 관련된 업무 및 정보현황 자료를 선별하였다. 둘째, 환경정책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환경정보 관련 업무 현황을 분석하여 총 64건(백두대간, 정맥 및 기맥 현황 및 보전지역 등)의 국가환경지도시스템 세부 업무지원 주제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업무지원 주제도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셋째, 업무지원 주제도 구축을 위한 정보 연계를 위해서 환경부 및 산하·유관기관의 전체 17개 시스템 및 환경 주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 총 1,314개 및 세부 항목 총 39,331개의 공간정보 기반의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선별하고 표준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넷째,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의 실질적 구축을 위한 단계별 이행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환경지도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구축되면 산재된 환경정보를 공간정보 기반의 공동 활용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고 또한 환경정책 수립에서 위치 기반의 정량적 정책 수립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nlike tradi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due to by complex reasons. These complexit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ecise spatial based analysis and expeditive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when an environmental problem arises. However, the tra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they are mainly numerical based and scattered in various systems. To overcome these problems, providing integrat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important. Thus, a research was conducted on establishing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Firstly, this study selects 275 out of 2,701 materials and inform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Secondly, total 64 thematic maps specific business support are Produced to support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addition, the produced thematic maps are privatized. Thirdly, the study analyzes total 17 systems an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of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connect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support thematic maps. As a result, 1,314 applicable spatial information and 39,331 applicable database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based are selected, and a standardization plan is established. Fourthly, the study suggests a stepwise implementation plan for developing a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nvironment atlas system will help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policy based on more relevant and accurale information.

      •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장문현,이정록,Jang, Mun-Hyun,Lee, Jeong-Rock 한국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3

        역사문화지도는 한 지역의 개별적인 유적에 대한 단순한 집성이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시.공간적 연관성에 대한 종합적인 반영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문명의 발상지라고 할 수 있는 수계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생활환경의 연구는 지금까지의 지역단위 차원을 넘어서 타 문화권의 비교, 나아가 국가 및 대륙간의 문명사 연구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토대로 문화적 유형화 및 지역적 정체성 파악을 위한 공용의 문화정보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즉,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은 수계권의 다양한 역사문화정보를 전자지도의 형태로 담아내고,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Web GIS 기반의 통합정보시스템인 것이다. 상기의 시스템은 고고, 건축 미술, 생태환경, 역사, 민속 문학, 음식 등 각 분야별 기초조사 자료에 의한 종합적인 산출물이며, 학제간 연구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공공의 자료로써 새로운 가치창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는 첫째, 영산강유역 분야의 연구에 대한 로드맵을 확인하는데 공헌할 수 있으며, 둘째, 영산강유역의 역동적 구조와 특성에 대한 학제적 탐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역사문화지도 연구를 위한 전문화 된 전자 학술자원 제공의 본격적 발판을 마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historical and cultural map needs an overall reflection of the links based on time and space among the various composite factors, instead of requiring a simple collection of the respective relics in a particular region. The study of history, culture and living environment of river system area, a place that is known to as a cradle of civilization, will be able to undertake a role in the research and comparison with other cultural regions, reaching beyond the regional units until now and moreover investigation the international and intercontinental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public use and the insight to the regional identity and materialization of culture based on Korea's peculiar history and culture. Thus, the information system for Youngsan River area aims to create a form of electronic map that contains various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on river system area, which is 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that is open to public use through the internet. The above mentioned system is a combined product from the basic research data o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archaeology, architecture, arts,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folk customs, literature, and food, while it aims for not only its utilization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but also creating new value as a public database. As a result, the expected effect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of Youngsan River area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verify a road map of the study on Youngsan River area. Second, it will take a role to stimulate the academical research on the dynam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ngsan River area. Third, we can also expect an effect of gaining a full foothold in providing an electronic academic source specialized for the study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ap.

      • KCI등재

        관광통계시스템 품질이 신뢰, 이용자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DeLone과 McLean의 수정된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 IS) 성공 모델의 적용

        이진희(Lee, Jinhee),홍순기(Hong, Soonki)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3

        최근 관광통계는 집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여 신뢰를 잃고 있으나, 관광학 분야에서 이 문제를 다루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통계의 신뢰성 확보와 이용자의 지속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통계의 어떠한 품질을 향상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통계시스템 품질이 신뢰, 이용자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는 최근 6개월 내 관광지식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371개의 유효 표본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시스템 품질인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시스템 품질 중 정보 품질과 서비스 품질은 이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시스템 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신뢰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뢰와 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관광통계나 정보시스템 관련 선행연구가 행동 관련 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 반면,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 이론을 바탕으로 신뢰 변수를 추가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고 일반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향상된 품질의 통계의 생산 및 관리와 관련한 정책수립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Recently, tourism statistics arose losing trust from various counted problems, however, it could not be tackled with this phenomenon to research in tourism.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quality of statistics for sustainable use and cred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hips with the quality for Tourism statistical system, trust, use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survey of Koreans who had used TKIS within the last six months was conducted to be based on 371 valid responses. In this result, information system qualities which wer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d a relevant effect on trust. Among information system qualit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satisfaction, by contrast, system quality had a non-significant effect. Also, trust had a si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trust an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While ordinary research in tourism statistics and information systems were focused on behavior factors, this research would help to support the theories which were based on the theory of information system, what it studied adding trus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fundamental data to set policies, which improve the quality of statistics and management.

      • 상황요인과 IS특성이 병원정보시스템의 수용수준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영길,강문식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2

        본 연구에서는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상황요인과 정보시스템의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상황요인과 정보시스템 특성과 수용요인인 매개변수가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상황요인과 정보시스템(IS)특성을 선정하였다. 상황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업무특성, 조직특성, 사용자특성을 도출하였고, IS특성으로는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을 도출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로 시스템사용과 사용자만족을 성과변수로 직무성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모형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의 업무의 구조화, 조직 구성원의 참여, 정보의 질과 전산부서의 서비스능력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병원조직의 상황하에서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가 높아질 것이고, 이는 새로운 병원정보시스템의 도입과 개발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는 조직의 외부환경이나 특성,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과지표로 비용절감효과, 의사결정의 질, 고객만족도, 환자대기시간 단축 등 병원의 특성을 나타내는 좀 더 유연한 변수들을 사용하는 연구범위로 확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형사사법절차의 전자화에 따른 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박혜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論集 Vol.26 No.1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은 법원, 법무부, 검찰청, 경찰청, 해양경찰청을 포함한 형사사법기관이 수사, 기소, 재판, 집행 등 형사사건의 처리 업무에서 작성하거나 취득한 정보를 가지고 구축한 전자적 관리체계를 말한다. 형사사법기관의 문서 작성을 전산화하고 각 기관의 정보를 공동 활용하여 신속하고 투명한 형사사법절차를 실현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형사사법공통시스템은 2010년 처음 구축되어 시행된 지 10년이 넘어 현 시스템의 수용적 한계에 부딪히면서 새로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에 2018년 법무부, 검찰, 경찰, 해양경찰청은 공동으로 최신 IT 기술 기반의 지능형 형사사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세대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 구축을 위한 계획 사업”을 밝힌 바 있다. 또한 법무부는 2021년 1월 29일 형사사법절차의 전자화를 실현하기 위해 형사사법정보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형사사법절차에서의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안을 제출하여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형사사법절차의 전자화를 통해 모든 문서가 전자화되고 전자문서를 시스템상에서 이전하는 형태로 진행되면서 형사사법절차의 편의성과 신속성이 높아질 것이지만 공유하는 전자문서의 급증함에 따라 정보 남용의 위험성, 정보수집자와 정보주체자를 포함한 정보청구권자 사이의 정보의 불평등성 심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유하는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의 차등적 관리와 폐기, 정보공개청구권자에 따른 차별적 정보공개에 대한 제도와 근거 법률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System (KICS) is an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built with information prepared or acquired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including the court, the Ministry of Justice,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Korea Coast Guard, in the handling of criminal cases such as investigation, prosecution, trial, and execution. It was prepared to computerize the document preparation of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and realize a speedy and transparent criminal justice process by jointly utilizing the information of each institution. The Criminal Justice Common System was first established in 2010 and has been in operation for over 10 years. Accordingly, in 2018, the Ministry of Justice, the prosecution, the police, and the Korea Coast Guard jointly announced a “planned project for establishing the next-generation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system (KICS)” to provide intelligent criminal justice services based on the latest IT technology. In addition, the Ministry of Justice submitted a bill on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system to realize the digitalization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on January 29, 2021, and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will increase as all documents are digitalized through the digitalization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and electronic documents are transferred on the system. Problems such as deepening of information inequality among data subjects and data claimants may aris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and laws for the differential management and disposal of personal information for shared information, and discriminatory information disclosure according to the right to request information disclosure.

      • KCI등재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회계정보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최경아(Choi Kyung Ah),김성우(Kim Sung Woo),신영대(Shin Yung Dae) 한국국제회계학회 2004 국제회계연구 Vol.10 No.-

        회계정보시스템은 기업의 여러 정보시스템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정보시스템의 하나로 회계정보시스템은 일상적인 회계 상의 거래를 처리하는 자료처리시스템과 회계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정보처리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료처리시스템은 정보처리시스템을 포함한 기업의 각종 정보시스템을 포함한 기업의 각종 정보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자료원을 제공하는데, 정보시스템은 자료처리시스템을 통해 산출되는 정보와 그 밖의 정보를 처리하여 회계정보이용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를 산출시키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성격을 가진 회계정보시스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회계정보를 네트워크로 유포하고 투자자가 이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정보기술 중 네트워크가 가능해진 디지털 시대에서의 인터넷/인트라넷 웹을 기반으로 한 회계정보시스템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인터넷/인트라넷이 조직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인트라넷 웹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하는 정보기술을 연구하여 그에 적합한 회계정보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제시하고자 한다.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is one of most important information systems among several information system of enterprise an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can divide to data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suppor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decision making that handle usual account's transaction. Data processing system offers data resource that various information systems of enterprise including enterprise's various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need. Information system is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with personality which support decision making that produce accounting information that is useful in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ing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that is worked through data processing system. Purpose of this paper circulates accounting information to network and focused that investor uses this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Technology, examin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that network does based on Internet/intranet web in digital age that become possible. Wish to study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 architecture of suitable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to it, as enable latent influence, management of intranet Web-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and command that Internet/intranet gets to establishment.

      •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위한 환경가치 종합연구 : 통합분석 시스템 구축

        안소은,이홍림,박윤선,오치옥,이재혁,권영한,김현노,최새미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환경정책 및 개발사업 타당성 평가를 위한 절차는 일반적으로 분석범위 설정, 환경영향 정량화, 환경서비스 가치추정(화폐화), 종합분석의 순서로 진행됨 ○ 분석범위 설정: 환경영향의 확인 및 목록화, 영향의 시간적·공간적 영향범위 검토 등 ○ 환경영향 정량화: 영향의 물리적 크기 또는 정도 측정 ○ 가치추정: 정량화된 환경영향의 측정척도를 고려한 적절한 방법론 선택 및 화폐화 ○ 종합분석: 결과 및 불확실성 요인 검토, 정량적 정성적 정보를 반영한 종합평가 □ 환경가치를 고려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환경연구원(KEI)은 환경서비스의 ‘화폐화 가치’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도록 2011년 환경가치종합정보 시스템(EVIS 1.0)을 오픈함 □ 본 연구는 환경가치 DB를 업데이트하고, 환경가치 정보를 경로분석에 근거한 물리적 환경영향 사례분석 결과와 연계하여 EVIS(1.0)을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단계별·부문별·연차별 연구내용 및 범위 □ 본 연구는 방대한 연구범위를 고려하여 3단계 사업으로 기획됨 ○ 1단계(2016~2018년): 환경영향 정량화와 환경서비스의 단위가치 연계를 위한 시스템 기반 구축 - 부문별 통합분석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경로분석과 가치추정의 연계 가능성 제고 ○ 2단계(2019~2021년): 환경·경제 통합분석 사례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설계도를 제시하는 한편 일부 서비스에 대한 통합분석 지원 툴킷 구축 ○ 3단계(2022~2024년):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한편 국가 평가제도, 예를 들면 전략환경평가, 규제영향분석, 예비타당성조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정책 활용도 제고 □ 총괄, 생태계 평가 및 가치추정, 건강영향 평가 및 가치추정, 국민환경의식조사 4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연구 진행 ○ 총괄: 부문별 사례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분석 시스템 설계와 환경가치 DB 개선 (2018년 EVIS 2.0 오픈 후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반영) ○ 생태계 부문: 탄소흡수·저장, 물(담수) 공급, 오염물질 정화, 생태계 서식처질을 대상으로 통합분석 사례연구 진행 ○ 건강 부문: 대기오염, 화학물질(수은/납) 건강영향을 대상으로 통합분석 사례연구 진행 ○ 국민환경의식조사: 국민환경의식 관련 설문 수행(매년) 및 분석 결과 제시 3. 2021년도 연구내용 및 보고서 구성 □ 과제 종료시점이 2023년에서 2022년으로 수정됨에 따라 올해(2021년)부터 ‘시스템 고도화 및 정책 활용도 제고’에 초점을 맞춰 연구 진행 ○ 2016~2020년에 수행한 생태계 및 건강 부문 연구 결과를 종합검토하고 정책평가를 지원하는 통합분석 툴킷 개선에 반영 - 총괄: 환경가치 선행연구 DB 외 EVIS(2.0)의 통합분석 툴킷 서비스 강화 - 생태계 부문: 기 구축된 탄소흡수·저장 툴킷에 시간적·공간적 분석단위 다양화 및 입력 파라미터 업데이트,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툴킷 추가 예정 - 건강 부문: PM<sub>2.5</sub> 조기사망 피해비용 산정 툴킷을 정비할 예정이며, 화학물질(수은, 납)로 인한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 구축 및 서비스 제공 □ 방대한 연구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내용을 기준으로 3권의 보고서로 구분하여 발간함 ○ 1권: 환경가치 DB 업데이트 및 대푯값 도출, 통합분석 툴킷 구축 관련 내용 제시 ○ 2권: 현재 EVIS 내 통합분석 툴킷의 근거가 되는 부문별 통합분석 사례연구 내용 제시 ○ 별책부록(3권): 국민환경의식조사 설문지 및 주요 결과 제시 Ⅱ.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1.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구축 연혁 □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은 환경가치에 대한 기초정보와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통합분석 평가도구 제공을 목적으로 한국환경연구원(KEI)이 개발하여 운영 중인 온라인 시스템임 ○ EVIS(1.0): ‘환경가치 DB 구축 및 원단위 추정(2009~2011년)’ 연구의 결과물로, 국내 환경가치 선행연구 정보를 요약 제공하는 DB를 구축하여 제공(2011년 서비스 시작) ○ EVIS(2.0): 본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단순히 환경서비스의 화폐화 가치 정보 제공 기능을 넘어서 정책·사업 평가 시 환경편익·비용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역할 확장(2018년에 개편) - 매년 환경가치 DB 업데이트 진행 - 2019년부터 생태계 및 건강 부문 통합분석 사례의 툴킷화 진행 2.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구성요소 □ EVIS(2.0)은 크게 환경 단위가치 DB, 통합분석 지원 툴킷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됨 ○ 환경 단위가치 DB - 국내 선행연구에 제시된 환경서비스 단위가치(비용)와 그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요약 정리하여 제공 - EVIS(1.0)에서 제공하던 자료를 환경경제 통합분석 틀과 단위가치 DB의 구조적인 호환성이 충족되도록 EVIS(2.0)으로 개편함으로써, EVIS의 환경 단위가치 DB가 의사결정을 위한 환경경제 통합분석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구성 ○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 - 사용자가 환경가치 평가를 원하는 부문을 선택하고 필요정보를 입력하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경제 통합분석 도구 - 부문별 통합분석 툴킷에 내장된 기본값으로는 2016년부터 본 과제에서 진행한 생태계 및 건강 주요 부문의 환경영향 정량화, 가치평가(화폐화)와 같은 통합분석 사례연구 결과가 활용됨 - 2021년 말 현재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저장량 평가, 오염물질별·오염원별 PM<sub>2.5</sub> 조기사망 피해비용 산정, 수은으로 인한 태아 IQ 저하 피해비용 산정을 위한 툴킷 구축이 완료됨 Ⅲ. 환경경제 통합분석 지원을 위한 단위가치 DB 1. 생태계·생태계서비스 유형별 단위가치 □ 환경 단위가치 DB 생태계 부문 수록연구 현황 ○ 생태계 부문은 산림, 담수, 해안/연안, 습지, 경작지, 도시생태계, 해양, 초지, 기타의 9가지 중분류로 구분됨 - DB에서 제공하는 생태계 부문은 선행연구 315개, 가치추정치 1,438개임 ㆍ 생태계 유형별로는 산림(452개), 담수(367개), 해안/연안(228개), 습지(190개) 순으로 많은 가치추정치 정보가 수록됨 ㆍ 생태계서비스별로는 휴양·레저·경관미, 보전가치에 관련 정보가 다수 포함됨 2. 건강영향 유형별 단위가치 □ 환경 단위가치 DB 건강 부문 수록연구 현황 ○ 건강 부문은 대기, 실내공기, 물, 토양, 소음·진동, 악취, 기후변화, 기타의 8가지 중분류로 구분됨 - 건강 부문의 선행연구는 총 72편이며, 이로부터 도출된 가치추정치는 363개임 ㆍ 대부분 대기(air) 관련 연구이고, 물이나 소음·진동 관련 연구도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함 3. 환경가치 선행연구 메타정보 □ 본 연구에서는 환경 단위가치 DB에 수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부문별 주요 단위가치 값을 제시하고자 함 ○ 다수의 가치추정치 값을 합산·비교해야 하고, 단위와 기준연도를 통일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함 - 유형이나 평가하는 세부 환경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추정 방식, 단위가 사용되고 있어 통일된 단위로 값을 도출하기 어려움 - 현재까지 환경 단위가치 DB 보유자료 중 비중이 높은 생태계 및 건강 부문의 일부 항목에 대해서 대푯값을 도출하고자 함 □ 생태계 부문 선행연구 메타정보 ○ 생태계 부문에서 단위가치는 시장이 존재하는 경우(가격기반)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급기반, 수요기반)로 구분됨 - 시장이 존재할 경우 시장가격을 단위가치로 활용 가능함 ㆍ 대표적으로 탄소배출권 시장의 탄소 가격, 갯벌에서 제공하는 수산물 생산가치 등이 있음 -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공급받기 위한 지불의사액을 직접 질문하거나(진술선호법),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개인의 선택을 바탕으로 선호체계를 파악하는(현시선호법) 수요기반 접근법을 활용할 수 있음 - 수요기반 접근법이 어려울 경우 생태계서비스와 유사한 기능 공급을 위해 필요한 공급비용을 활용할 수 있음 ㆍ 하·폐수 처리장의 수질정화를 위한 단위비용 등 ○ 측정단위를 통일하여 비교 가능한 형태로 표준화해야 함 - 생태계 부문의 표준화된 단위가치는 원/방문·인, 원/연/ha, 원/연/가구, 원/가구의 4개 유형으로 제시함 ○ 비교적 단위가치 자료가 많이 축적된 생태계서비스인 ‘수질정화, ’휴양·레저·경관미‘, ’보전가치‘에 대한 대표 단위가치를 생태계 유형별로 정리함 - 생태계 부문의 표준화된 단위가치는 원/방문·인, 원/연/ha, 원/연/가구, 원/가구 4개 유형으로 제시함 □ 건강 부문 선행연구 메타정보 ○ 건강 부문의 단위가치 또한 앞서 생태계 부문에서의 표준화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입원 및 외래 환자의 질병 비용에 대한 단위가치로 원/발병(입원), 원/발병(외래) 형태가 추가됨 ○ 건강 부문에서 선행연구는 대기, 소음 부문에 집중되어 있어 두 가지 분류에 대해서만 대푯값 산정을 진행함 - 오염물질(오존, 먼지, 미세먼지 등), 추정기법에 따라 가치추정치에도 큰 차이가 나타남 Ⅳ.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 구축 1. 통합분석 개념과 절차 □ 환경·경제 통합분석은 인간 활동-환경질 변화-수용체(생태계, 인간 건강 등)의 영향경로를 추적하여 이를 물리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인간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계시킨다는 점에서 영향경로분석법(IPA)에 기반을 둠 □ 본 연구에서는 통합분석 절차를 ① 분석범위 설정, ② 환경영향 정량화, ③ 가치추정(화폐화)로 일반화하고, 주요 부문의 평가사례를 기반으로 환경경제 통합분석 툴킷을 구축함 ○ 부문별 연구가 개별적인 사례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의사결정을 돕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통합분석 개념과 평가절차를 체계화하였음 2. 생태계서비스: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 □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은 2019년부터 EVIS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사용자가 평가를 원하는 세부 생태계서비스(탄소흡수, 탄소저장)를 선택하고 환경 영향 정량화에 사용되는 계수와 가치평가에 사용되는 단위가치를 적용하면 가치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됨 □ 2021년도에는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의 탄소 부문 단위가치 입력 프로세스를 대폭 개편함(가격자료 선택 시 탄소시장 및 거래시점 선택 가능). 또한 시계열에 따라 우리나라 생태계가 제공하는 탄소흡수·저장서비스 변화를 살펴볼 수 있도록 시간적 분석범위를 확장하였음(2019년 토지피복도 추가 적용) □ 생태계 탄소흡수·저장 통합분석 툴킷을 이용하면 우리나라 지역별 누적탄소저장량, 연간탄소흡수량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한 가치평가 결과도 살펴볼 수 있음 ○ 평가하고자 하는 생태계서비스 및 생태계 유형과 평가를 원하는 기준 시점 및 공간을 선택한 다음,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관련 모델링계수(탄소흡수계수 혹은 탄소저장계수)와 단위가치를 선택(혹은 직접 입력)하면 환경영향 정량화 결과(탄소흡수 및 저장량)와 그 경제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음 3. 생태계서비스: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툴킷 □ 생태계 물(담수) 공급 통합분석 툴킷은 생태계가 제공하는 물 공급량과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도구이며, 2022년부터 환경가치종합정보시스템(EVIS) 내에서 평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작업 진행 중 ○ 본 연구의 2017년 사례연구인 ‘권역별 수량 모델링’과 ‘권역별 수량공급 가치추정’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툴킷 구축 ○ 사용자가 평가를 원하는 세부 생태계서비스(생활/공업/농업용수 공급, 생태계 잔존량)를 선택하고 환경영향 정량화에 사용되는 계수와 가치평가에 사용되는 단위가치를 입력하면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 4. 건강영향: 대기오염 통합분석 툴킷 □ 대기오염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은 2020년부터 EVIS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주요 대기오염물질(NOx, SO<sub>2</sub>, PM<sub>2.5</sub>, NH<sub>3</sub>, VOC) 배출로 인한 초미세먼지(PM<sub>2.5</sub>) 발생이 조기사망에 미치는 영향과 그 피해비용 평가를 지원하는 툴킷임 ○ PM<sub>2.5</sub>을 유발하는 다양한 대기오염물질별 피해를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 유형별(점오염원, 선오염원, 면오염원) 피해비용을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음 □ 평가대상인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해당 오염물질의 영향경로인 배출-확산-오염물질 농도-건강영향-경제적 피해 단계에 따른 입력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툴킷 구성 ○ 평가대상 오염물질 및 오염원 유형, 분석지역을 선택한 후, 오염물질이 전환 및 확산되어 초미세먼지 농도를 결정하는 전환율 값과 건강영향 평가를 위한 농도-반응계수를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사망위험감소가치(VSL)와 같은 단위가치를 입력 ○ 최종 결과인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연간 피해비용’ 결과 외에도, 중간 결과인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연간 조기사망자 수’에 대한 세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5. 건강영향: 화학물질 통합분석 툴킷 □ 화학물질 등 환경 유해인자가 매체를 통해 수용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사회에 미치는 전체 피해비용 추정치를 제공하고자 함 □ 이번 연도(2021년)에서는 화학물질 중 수은을 대상으로 통합분석 툴킷을 구축하였고, 분석절차는 다른 통합분석 툴킷과 마찬가지로 분석범위 설정, 환경영향 정량화, 피해비용 추정(화폐화) 순의 단계를 따름 □ 수은 건강영향 통합분석 툴킷 ○ 수은으로 인한 건강영향 종결점은 IQ 저하, 경미한 지적 장애(MMR),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조기사망이 있음 ○ 종결점에 따라 적용할 파라미터가 다르고, 종결점별 피해액을 도출하더라도 해당 피해액의 총합이 수은이라는 화학물질의 전체 피해비용을 의미하지 않음 ○ 수은-IQ 저하 - 수은이 IQ 저하에 미치는 건강영향 경로는 크게 산모 수은 노출→산모 혈중 수은 농도 증가→태아 IQ 저하→IQ 하락으로 인한 소득 피해→전체 피해액 산정으로 나타남 ㆍ 통합분석 툴킷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파라미터의 기본값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본값을 활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음 ㆍ 수은-IQ 저하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가임기 여성 모발 중 수은 농도, 용량반응함수 기울기 파라미터, 신생아 인구 수, IQ 단위당 가치임 ○ 수은-경미한 지적 장애(MMR) - 수은이 경미한 지적 장애를 유발하는 건강영향 경로는 산모 수은 노출→산모 혈중수은 농도 증가→태아 MMR 발생→건강 피해비용(DALYs)→전체 피해액 산정으로 나타남 ㆍ 수은-경미한 지적 장애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가임기 여성 모발 중 수은 농도, 장애가중치 파라미터, 성별 신생아 수, 해당 손실에 대한 단위가치임 ㆍ 장애 가중치의 경우 WHO(2008)의 수은 피해비용 산정 시트값을 기본값으로 활용하였고, MMR의 장애보정손실연수(DALYs)는 연간사망위험감소가치(VOLY)로 환산된 값을 제시함 ○ 수은-심혈관계 조기사망 - 수은이 심혈관계 조기사망에 미치는 건강영향 경로는 수은 노출→심혈관계 조기사망→건강 피해비용(VSL 적용)→전체 피해액 산정으로 나타남 ㆍ 수은-심혈관계 조기사망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40~59세 수은 노출에 대한 상대위험도(RR), 40~59세 성인 남성 인구 수, 40~59세 성인 남성 심혈관계 사망자 수, 사망위험감소가치(VSL)임 Ⅴ. 요약 및 향후 계획 □ 2022~2023년은 본 연구의 3단계 사업기간에 해당하며, 환경경제 통합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정책 활용도를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할 예정임 ○ 기존 연구내용을 업데이트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정책·사업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EVIS(2.0)을 고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3단계 사업에서는 주요 평가제도인 전략환경평가, 규제영향분석,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검토하고, EVIS의 환경편익/비용 정보나 통합분석 툴킷을 제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임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development projects is generally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valuation (monetiza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 and conducting an integrated assessment. ○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Identifying and cataloging environmental impacts, reviewing temporal and spatial ranges of impacts, etc. ○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Measuring the physical scale or degree of impact ○ Valuation: Selecting an appropriate methodology and monetizing, taking into account the quantified/measured scale of environmental impact ○ Integrated assessment: Reviewing results and uncertainty factors, and carrying out comprehensive evaluation refle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 To support rational decision-making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values,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launched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1.0) in 2011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onetized value’ of environmental servic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date the environmental value database and expand EVIS(1.0) to a platform that supports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by linking environmental value information with the case analyses of physical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pathway analysis. 2. Research contents and scope by stage, sector, and year □ This study was planned as a three-stage project, considering the vast scope of research. ○ Stage 1 (2016-2018): Establishing a foundational system for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linking unit values of environmental services - Conducting case studies of integrated assessment by sector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linking pathway analysis and valuation ○ Stage 2 (2019-2021): Presenting the system blueprint of the system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and building an integrated analysis support toolkit for some services ○ Stage 3 (2022-2024): Upgrading the integrated analysis system, on one hand, and Improving its efficiency in policy making by seeking ways to support the national assessment system such as strategic environment evaluation,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categories: overview, ecosystem evaluation and valuation, health impact evaluation and valuation, and survey on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 Overview: Designing an integrated analysis system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al value DB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studies by sector (Continuously reflecting research results since the opening of EVIS 2.0 in 2018) ○ Ecosystem sector: Conducting case studies of integrated analysis on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water (freshwater) supply, pollutant purification, and ecosystem habitat quality ○ Health sector: Conducting case studies of integrated analysis on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and chemicals (mercury/lead) ○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Conducting a survey (every year) on nationa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resenting the analyzed results 3. 2021 research content and the structure of the report □ As the completion date of the project has been advanced from 2023 to 2022,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system advancement and enhancing utilization in policy making’ from this year (2021). ○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earch results in the ecosystem and health sectors conducted in 2016-2020, and reflected the outcomes in improving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that supports policy evaluation - Overview: Reinforcement of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service of EVIS (2.0), in addition to the DB of preceding research on environmental value - Ecosystem sector: Diversifying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units and updating input parameters for the established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toolkit; a water (freshwater) supply integrated analysis toolkit will be added. - Health sector: The damage cost calculation toolkit of premature death by PM<sub>2.5</sub> will be overhauled, and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health effects of chemicals (mercury, lead) will be established and serviced. □ The report is published in three volumes based on the contents to enhance the readability. ○ Volume 1: Presenting content related to the DB update and deriving representative value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 Volume 2: Presenting case studies by sector that provide the basis for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in the current EVIS ○ Supplementary volume (Volume 3): Presenting the survey results of the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Ⅱ.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1. History of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is an online system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values and to support decision-making through an integrated analysis and evaluation tool. ○ EVIS (1.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Valuation On-line Database and Analysis of Empirical Valuation Studies I ‘(2009~2011), a DB that summarizes information on preceding research of environmental value in Korea was established (service started in 2011). ○ EVIS (2.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ole of the System was expanded so that it could support decision-making by reflecting environmental benefits and costs in policy and business evaluation, beyond the simpl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monetary value of environmental services (reorganized in 2018). - From 2019, the cases of integrated analyses in the ecosystem and health sector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a toolkit. - The environmental value DB is updated annually 2.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al Valuation Information System (EVIS) □ EVIS (2.0) is largely composed of two elements: an environmental unit value DB and an integrated analysis support toolkit. ○ Environment unit value DB - Provides a systematic summary of the unit value (cost) of environmental services and related information presented in preceding domestic studies - By reorganizing the data provided in EVIS (1.0) so that it can satisfy the compatibility of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of EVIS (2.0), EVIS’ environmental unit value DB is structured to efficiently support decision-making. ○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kit - An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 that allows users to obtain results by selecting a sector and inputt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 value evaluation - The results of integrated analysis case studies, that were conducted since 2016 within the project’s framework, were used as the default value built into the toolkit for each sector; such as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valuation (monetization) of major sectors of ecosystem and health. - As of the end of 2021, the toolkits are completed for; evaluating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by ecosystem type, estimating the damage cost of premature death by PM<sub>2.5</sub>, and estimating the cost of damage to intelligence of babies, a baby’s IQ due to mercury. Ⅲ. Unit Value DB to Support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1. Unit value by type of ecosystem and ecosystem service □ Status of Environment Unit Value DB for Ecosystem sector ○ The ecosystem sector is divided into nine major categories: forest, freshwater, coast/coastal (zone), wetland, arable land, urban ecosystem, ocean, grassland, and others. - The DB provides 315 preceding studies and 1,438 value estimates for the ecosystem sector. ㆍ By ecosystem type, ‘forests’ (452) had the highest number of value estimations, followed by freshwater (367), coast/coastal (zone) (228), and wetlands (190). ㆍ By ecosystem service, a large amount of estimations are presented relating to recreation, leisure, scenic beauty, and conservation value. 2. Unit value by type of health impact □ Status of environment unit value DB for health sector ○ The health sector is divided into eight major categories: air, indoor air, water, soil, noise and vibration, odor, climate change, and others. - The DB contains a total of 72 preceding studies in the health sector, and 363 value estimates were derived from them. ㆍ Most studies are related to air, and studies related to water and noise/vibration account for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3. Meta-information of preceding research on environmental value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ain unit values for each sector, us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environmental unit value DB. ○ It requires a process of summing up and comparing multiple value estimates, and additional work to unify the units and the base year. - It is difficult to derive a value in a unified unit because various estimation methods and units ar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r specific environmental service that is to be evaluated. - This study aims to derive representative values for some items in the ecosystem and health sector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data in the environmental unit value DB. □ Meta-information of preceding research in the ecosystem sector ○ In the ecosystem sector, unit value is divided into cases where a market exists (price-based) and where it does not exist (supply-based, demandbased). - If a market exists, the market price can be used as a unit value. ㆍ Typically, there are carbon prices in the carbon credit market and the production value of marine products from tidal flats. - When a market does not exist, a demand-based approach can be utilized such as directly asking consumers about the amount they are willing to pay to receive a service (stated preference method), or identifying a preference system based on individual choices in various situations (revealed preference method). - If a demand-based approach is difficult to apply, the cost of supply required to supply functions similar to ecosystem services can be utilized. ㆍ Unit cost for water purification i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etc. ○ Units of measurement should be unified and standardized in a comparable form. - The standardized unit value of the ecosystem is presented in four types: KRW/visitor (person), KRW/year/ha, KRW/year/household, and KRW/ household. ○ The representative unit values for “water purification”, “recreation/leisure /landscape beauty”, and “conservation value”, which are ecosystem services with relatively large amounts of unit value data, are organized by type of ecosystem. - The standardized unit value of the ecosystem is presented in four types: KRW/visitor (person), KRW/year/ha, KRW/year/household, and KRW/household. □ Meta-information of preceding research in the health sector ○ The standardization of the unit value in the health sector was also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cosystem sector, with the addition of KRW/onset (of disease, hospitalization) and KRW/onset (of disease, outpatient) as unit values for hospitalization and outpatient disease costs. ○ In the health sector, prior research is focused on the air and noise, so representative values are calculated for those two categories. - Depending on the pollutants (ozone, dust, fine dust, etc) and estimation techniqu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in the value estimation. IV.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kit 1. Concept and procedure of integrated analysis □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is based on the Impact Pathway Approach (IPA), which tracks the path of impact of human activity-changes in environmental quality-receptor (ecosystem, human health, etc) and directly links it to human activity. □ In this study, the procedure of integrated analysis was generalized to ①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② quantifying environmental impact, and ③ valuation (monetization), and an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toolkit was established based on evaluation cases in major sectors. ○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integrated analysis have been systematized so that individual research studies and studies by sector can constitute a system that helps decision-making, rather than being utilized for individual cases. 2. Ecosystem servic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 /storage □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ecosystem carbon absorption/storage has been provided by EVIS since 2019, which was designed to allow users to validate valuation results by selecting the service to evaluate (carbon absorption, carbon storage) and applying the coefficient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 well as the unit value used for valuation. □ In 2021, the unit value input process of the carbon sector in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carbon absorption/storage in the ecosystem has been significantly reorganized (the carbon market and transaction time can be selected when selecting price data). In addition, the scope of temporal analysis has been expanded to examine changes in the carbon absorption/ storage service provided by the ecosystems in Korea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dditional application of land cover map in 2019). □ Using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ecosystem carbon absorption/ storage, one may examine not only the accumulated carbon storage and annual carbon absorption by region in Korea, but also the value evaluation results that are converted into economic values. ○ A user may select a type of ecosystem service and ecosystem, as well as the reference time and space to evaluate, then select (or directly input) the relevant modeling coefficient (carbon absorption coefficient or carbon storage coefficient) and unit value to quantitatively evaluate it. The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sults of quantified environmental impact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and its economic value. 3. Ecosystem service: integrated water (freshwater) supply analysis toolkit □ Integrated water (freshwater) supply analysis toolkit is a tool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water supply and value provided by the ecosystem. Related work is underway to provide evaluation services within the Environmental Value Information System (EVIS) from 2022. ○ The toolkit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17 case studies on ‘water quantity modeling by region’ and ‘value estimation of water quantity supply by region.’ ○ Evaluation results can be derived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ecosystem service (living/industrial/agricultural water supply, ecosystem residual amount) that the user wants to evaluate, the coefficients used for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unit values used for value evaluation. 4. Health impact: integrated air pollution analysis toolkit □ The integrated air pollution analysis toolkit has been provided by EVIS since 2020, which supports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ultrafine dust (PM<sub>2.5</sub>) due to the emission of major air pollutants (NOx, SO<sub>2</sub>, PM<sub>2.5</sub>, NH<sub>3</sub>, VOC) on premature death and its cost of damage. ○ It evaluates not only damage by various air pollutants causing PM<sub>2.5</sub>, but also damage costs by type of pollution source (point source, line source, surface source). □ For air pollutants subject to evaluation, input data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emission-diffusion-concentration-health effects-economic damage, along with the impact paths of the pollutants. ○ After selecting the pollutant, its source type, and analysis area to be evaluated, a user may enter the conversion rate value that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due to the convers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s, the concentration-response coefficient for health impact evaluation, and finally the unit value such as Value of Statistical Life (VSL). ○ In addition to the final result of ‘annual cost of damage due to air pollutant emissions,’ an intermediate and detailed result of ‘annual premature death due to air pollutant emission’ can be validated. 5. Health effects: integrated chemical analysis toolkit □ This toolkit aims to provide an estimate of the total cost of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such as chemicals that affect the health of receptors through media. □ This year (2021), an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mercury was established among many chemical substances. The analysis procedure, like other integrated analysis toolkits, follows the steps of setting the scope of analysis, quantifying environmental impact, and valuation (monetization). □ Integrated analysis toolkit for impact of mercury on health ○ The end points of health effects of mercury exposure include the decline in IQ, Mild Mental Retardation (MMR), and premature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 Different parameters are applied depending on the end point, and even if the amount of damage for each end point is estimated, the total amount of damage does not mean the total damage cost of mercury. ○ Mercury-decline in IQ - The pathway of the impact of mercury on the decline in IQ largely follows the process of maternal exposure to mercury → increase in maternal blood mercury concentration → decrease in the baby’s IQ → income damage due to lower IQ → total damage calculation. ㆍ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suggests default values for parameters based on prior research, so a user can either use the default values or directly insert input values. ㆍ In the case of mercury-decline in IQ, the parameters are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hair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doseresponse function slope parameter, the number of newborn children, and the value per IQ unit. ○ Mercury - Mild Mental Retardation (MMR) - The health effect pathway by which mercury causes mild mental retardation follows the process of maternal exposure to mercury → increase in maternal blood mercury concentration → baby’s MMR development → health damage costs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 DALYs) → total damage calculation. ㆍ In the case of Mercury-MMR, the parameters that the user can select/ enter are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the hair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disability weight parameter, the number of newborns by gender, and the unit value for the loss. ㆍ For disability weights, the value of WHO mercury sheet (2008) was used as a default value, and the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of MMR are converted into Value of Life Year (VOLY). ○ Mercury - premature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 The health effect pathway of mercury on premature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follows the process of mercury exposure → premature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s → health damage cost (VSL applied) → total damage calculation. ㆍ The parameters that the user can select/enter for mercury-to-cardiovascular mortality are the relative risk (RR) for mercury exposure between 40-59 years of age, the number of adult males aged 40-59 years, and the number of adult males who died of cardiovascular diseases between 40 and 59 years old, and the Value of Statistical Life (VSL). Ⅴ. Summary and Future Plans □ 2022-2023 corresponds to the third phase of this project, and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with a focus on upgrading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system and enhancing utilization in policy making. ○ The purpose of EVIS (2.0) is to update the content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to use it in practical policy and project evaluation. □ In the third phase of the project, we plan to review the main evaluation systems including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the systems for a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nd to present ways to apply the environmental benefit/cost information of EVIS or the integrated analysis toolkit to the systems.

      • 정보시스템 감사의 투입수준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허봉구,이선화,김원신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8 No.2

        회계정보를 산출하는 기업들의 정보시스템이 고도화되어가는 환경에 대응하여 회계법인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회계감사 이외에 정보시스템 감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감사의 투입수준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정보시스템 감사의 투입수준은 2014년부터 공시되기 시작한 외부감사실시내용에서 전산감사 등의 시간을 이용하였으며, 감사품질의 대용치로는 재량발생액을 이용하였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KOSPI상장기업 1,686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전체감사시간에서 정보시스템 감사에 투입된 감사시간의 비중과 재량발생액(수정 Jones(1995), Kothari et al.(2005))은 음(-)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정보시스템 감사에 투입된 감사시간의 자연로그값을 이용한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기업의 정보시스템화로 인해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감사위험에 대응하여 정보시스템 감사를 실시하는 것이 감사품질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해당 결과는 Big4 감사인 표본에서만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Non-big4 감사인의 경우에는 유의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다. 이는 Non-big4 감사인의 경우 적절한 정보시스템 감사가 실시되고 있지 못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감사품질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서 정보시스템감사의 적절한 투입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정보시스템 고도화 및 새로운 감사위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정보시스템 감사의 투입수준과 감사품질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새로운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정보시스템 감사시간 측정 및 연구기간(4년)에서 다소간의 한계점을 가진다.

      • KCI등재

        U-Healthcare 서비스를 위한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방안

        정용식(Yong Sik Ju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0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2

        현대사회는 정보화의 개념을 넘어서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사회라고 말한다. 그리고 정보기술(IT)은 관련기술과의 융합으로 시스템들을 서로 통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의료정보 산업은 U-Healthcare 서비스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U-Healthcare 서비스 환경과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구성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의료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기본적 기술요소인 데이터웨어하우스, 네트워크, 통신표준화 및 U-healthcare 서비스 관련기술 등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술적 요소들의 관점에서 U-Healthcare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방안과 운영과제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고객들을 실시간으로 근접간호(POC : Point of Care)하고, 고객 개개인의 다양한 진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고, 그 정보가 다시 고객에게 전달됨으로써 고객만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Modern society can be described as ubiquitous computing over the concept of in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been developing in a way that relative technologies are integrated to each other. Especially in ubiquitous environment, medical information industry shows significant interest in the U-healthcare service area. This paper will first look into U-healthcare service environment and component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IMIS). Secondly, it examines the basic technological factors for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which is datawarehouse, network,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echnology related U-healthcare service. Finally it proposes how to implement and operate new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ubiquitous health care service. The system will do point of care(POC) for customers by real time and diagnose them using their various and personal medical data. The information will be communicated back to the customers, which will improve thei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