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보불평등 측정지표 연구

        최흥석(崔興碩),구상회(具祥會),이정준(李禎駿)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불평등 현상에 관한 사회과학적 이해를 반영한 지표체계를 구성하고, 한 집단내의 정보불평등 정도를 하나의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요약측정치를 개발하여 실제 자료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의 정보불평등 정도를 ‘각각의 개인이 정보화된 정도의 차이’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개인정보화 지표를 정보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보기술 및 정보에 대한 접근, 정보기술의 사용정도, 그리고 정보화에 스스로를 적응 및 학습시킬 수 있는 역량의 크기라는 구성개념들의 집합으로 파악하였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인식조사자료에 개인정보화 지표를 적용해본 결과, 정보화인식과 역량의 불평등보다는 정보화접근과 정보이용의 불평등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한계로는 개인정보화 지표를 구성함에 있어 정보기술 및 정보 사용의 양적인 측면을 주로 고려했을 뿐, 질적인 측면을 본격적으로 포함시키지 못했음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질적인 측면을 체계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 및 정보 사용과 생산성간의 관계에 관한 과학적 이론체계의 발전이 선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정보불평등의 영향 :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태룡,김진석,송정현 대한지방자치학회 200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정보불평등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의 결과, 정보불평등의 구성요소인 정보활용요인과 정보인식요인이 사회자본을 형성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배경적 변인이나 정보불평등의 영향요인들도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에 따라달리 나타났으며 사회자본의 수준 또한 차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의 형성을 위한 대안으로, 영향력을 달리하는 변인들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기여도가 높은 정보불평등의 인식요인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끝으로 사회자본의 형성 전략은 획일적인 방식이 아니라,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요인별로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 개발 연구

        노영희,장로사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4

        The 3rd Libra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19-2023) of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under IFLA-UN 2030 Agenda emphasize the role of libraries in practicing social inclusion. At home and abroad, this is shedding new light on libraries as the public service institutions aimed at resolving information inequality. This study thus developed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optimized for libraries. For this purpose, FGI and Delphi technique were implemented as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expert group. As a result, the final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ree evaluation areas, twelve evaluation items, and 30 evaluation indicators. Specifically, first, 3 evaluation items and 8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access evaluation area; second, 5 evaluation items and 12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competency evaluation area; and third, 4 evaluation items and 10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utilization evaluation area.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s optimized for libraries were developed, the first of its kind. IFLA의 UN 2030 Agenda,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함에 따라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공공서비스기관으로서 도서관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적합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검증단계로서 FGI 및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지표는 총 3개의 평가영역, 총 12개의 평가항목, 총 30개의 평가지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접근 평가영역에서는 3개의 평가항목, 8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으며, 둘째, 역량 평가영역에서는 5개의 평가항목, 12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고, 셋째, 활용 평가영역에서는 4개의 평가항목, 10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범지구적으로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가 전무한 상황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그 의미와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의 디지털 불평등: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4~2019 분석

        정인관 ( Inkwan Ch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대 이후 한국 성인들의 정보 불평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경험적으로 확인해보기 위해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의 6개년도 자료(2014~2019)를 이용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평균적인 정보화 수준은 꾸준하게 높아져 왔으며, 사람들 사이의 격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분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 불평등이 연령, 성별, 학력, 그리고 가계소득에 의해 얼마만큼 설명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2014~2018년에 걸쳐 각각의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정보 불평등을 설명하는 비중이 줄어들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2019년에는 네 요인들 모두 이전 해에 비해 정보 불평등을 설명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10년 이후 감소한 정보 불평등의 수준이 다시 높아질 수 있을 가능성을 함축한다. 특히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보다 높은 수준의 활용능력 및 비용을 요구할 때 불평등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후속 연구들은 새롭게 수집되는 자료들을 통해 불평등의 경향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발전된 분해분석 기법을 이용, 복수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의 효과 변화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digital inequality among Korean adults has changed since the 2010s. We achieve this by utilizing the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2014~2019). Over the six-year period, the average level of digital ability has continued to rise, and the gap between people has decreased. Next, we used decomposition analysis to determine how much digital inequality is accounted by age, gender,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Findings show that the rol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 explaining digital inequality has decreased across this period. However, the proportion of all four factors explaining inequality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2019. This implies that the level of digital inequality, which has temporarily decreased since 2010, could rise again. This will be particularly true when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requires a higher level of skill and cost. Future studies need to continually identify the trend of digital inequality through newly collected data. It would also be necessary to consider multiple factors simultaneously through more advanced decomposition analysis techniques.

      • KCI등재

        기혼여성의 인터넷 이용과 정보 불평등

        정숙경(Jung Sook-Kyung)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기혼여성, 주부1)의 인터넷 이용에 따르는 정보격차와 정보 불평등에 관한 것으로 주부집단 내 인터넷 이용을 중심으로 정보격차 실태를 파악하고, 집단 내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을 분석하여 연구결과의 합의를 살펴보았다. 정보격차(information divide)란 ‘디지털 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사회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연령, 학력,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정보격차는 사회구조적인 정보 불평등을 합의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기혼여성(918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 컴퓨터 보유율이 87.8%로 높게 나타나 주부의 인터넷 접근정도는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연령, 학력, 소득, 자녀수, 거주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이용은 55.1%였으며, 연령, 소득, 학력, 자녀수, 거주규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터넷 이용수준은 정보검색(48.2%), 전자메일 이용 및 채팅(26.4%), 자료의 다운로드(29.0%) 등 대체로 주로 기본적인 이용을 하였다. 넷째 인터넷 활용의 경우 글, 의견의 개진경험은 23.6%였으나, 인터넷 쇼핑의 경우는 34.4%정도였다. 다섯째 주부의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직업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는 유의미하였다(p<001). 이상 연구결과에서 주부의 인터넷 이용은 연령, 소득, 학력, 자녀의 수, 거주지역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변인에 따라 격차를 보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사회구조적으로 정보 불평등이라는 합의를 지니며, 정부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대안의 마련이 없는 한, 정보사회에서도 성 불평등(gender inequality)이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is about information divide and inequality by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Recently It seems to bring to serious problems about information divide and inequality around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that is being diffusion of them. In terms of it this is article researched that how many married women use internet and which variables result in signifiant difference on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and what is implications from that the research's result is, and that whether it is information divide or information inequality, in which married women's internet use is broadly in spread. Information divide means that access and use of digital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social status and positions. Specially because social factors which are age, education levels, income are brings to information divide it is not simple digital divide but it is a serious information inequality Also this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comtemporary society. In this article, it is used the data that is the result of social survey, in which it' samples are consist of 918 case of married women and for researching difference in internet use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ummarise such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internet access the rate of computer possession per household is 87.8%, in which the degree of internet access of married women is comparatively high and there are social-structural information inequality among housewives because of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education level, house income, the members of child and the region of residence. Secondly, In terms of internet use the rate of internet use is 55.1%, in which the degree of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is not comparatively low and it's implication that there are social-structural information inequality in terms of internet use among married women. Thirdly, The levels of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are searching information(48.2%), e-mail and chatting(26.4%), up and down load of data(29.0%) and married women are being used internet basically. Fourth, The married women who have been presented own opinion are 23.6% and the housewives who have been internet shopping are 34.4%. Fifth, 'work effects' has been verification with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significantly(p<001). To be summarized the research's result,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has been divided with access, use and application by variables that age, education level, house income, the members of child and the region of residence. So this result has implication that this is informations inequality in the social-structural level because of variables' social-economic characters and in effect it is make dark hopeful vision of women's role in information society. It is implicated that gender inequality will be enforce without continuos efforts and preparation for policy alternative.

      • KCI등재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이명진,박기태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정보화정책 Vol.16 No.3

        이 연구는 정보사회의 여러 문제 중에서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가 정보화에 대한 낙관적 기대, 정보접근의 문제 그리고 정보격차활용의 문제로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정보화 초기에는 정보격차에 대한 논의가 미약하고, 상대적으로 정보화가 가져다 줄 긍정적인 이익에 초점을 둔 논의가 많았다. 정보격차 문제는 정보화의 역기능을 사회 불평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정보격차에 대한 초기 연구는 주로 정보에 대한 접근성에 초점을 둔 것이다. 실제로 정보접근성을 해결하여 정보격차를 줄이려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는 정보에 대한 단순한 접근성이 아니라 정보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논의가 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양적인 측면을 넘어서 질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아울러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가 정보에 관한 활용 욕구나 수용 태도도 고려하는 방향으로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논의도 늘어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the studies of digital divide. Especially, it stresses the fact that the focus of the studies has changed from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literacy. Despite of rapid growth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e existing digital divide had raised the concern of the inequality in term of quantity of information gap. The recent issue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knowledge divide had further brought our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widening inequality in terms of quality of information gap. In view of the high possibi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being used as the ways for better social reward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needs and acceptance attitud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studies of digital divide.

      • KCI등재

        소외집단에 대한 정보행태 연구의 방법론적 특성

        이제환,이연옥,장덕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2

        This study intends for providing a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To the end, we classify the 'Minority Groups' into two separate groups, ethnic minority and socio-economic minority. Then we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with emphasis on analyzing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 details, our focus was on identifying the queries and variables of the collected major articles, and on introducing the method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in those articles. 이 연구의 목적은 소외집단의 정보행태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방법론적 토대를 세우는데 있다. 이를 위해, 소외집단은 크게 다민족사회에서의 소수민족집단과 사회경제적 소외계층으로 분류하고, 각 분야 별로 정보행태와 정보빈곤 문제를 다룬 주요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연구의 논점과 내용 그리고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각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방법론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는 이 분야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질의와 변수, 그리고 데이터의 수집과 해석 방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 지역간 정보격차의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임병연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행정논집 Vol.32 No.-

        정보격차의 다양한 공과 가운데, 특히 지방화시대의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하여 심도있게 논의되고 그 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하는 문제가 지역간의 정보격차이다. 지역간 정보격차의 문제는 그 자체로서의 격차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이것이 원인이 되어 지역간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문제의식 하에 광역자치단체간에 존재하는 정보격차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해소방안을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격차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해소방안을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격차의 실태를 정보접근, 정보이용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수준이라는 세가지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지방자치단체간에 정보격차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대도시 지역과 도지역 간에 확연한 정보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유기적인 협조 아래 정보접근성 제고를 위한 컴퓨터와 통신망의 보급과 아울러 정보기술 활용교육, 그리고 자치단체의 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alities of the interregional digital divide in korea. To this purpose based on the three aspects: the access to information devices or database(information accessibility);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resources(information utilization), and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level. This study uses the survey data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Korean Association of Local Information, korean Computerization Agency,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of Korea. The analysis reveals that widening information gaps exists among regions, especially betwee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 On the basis of this result, suggests the policy recommendation for bridging interregional digital divide, achieving universal access, universal utilize direction and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 KCI우수등재

        정보불평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룡 ( Tae Ryong Kim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3

        본 연구는 공무원의 정보불평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의 결과 첫째, 공무원의 정보불평등은 개인적·조직적 변인과 정보격차유형에 따라 다르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효과성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보격차유형은 정보활용격차와 정보수용격차로 나타났으며, 정보수용격차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무원에 대한 정보화교육이 현재와 같은 획일적인 정보기기이용 중심의 교육체계를 탈피하여, 정보활용과 정보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공무원의 정보문화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정보복지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복지정책이 전환되어야 한다. 끝으로 자치단체의 정보화에 대한 투자와 함께 이익 효과성을 정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