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최원욱,홍상기,안종욱,Choi, Won Wook,Hong, Sang Ki,Ahn, Jong Wo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2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VGI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10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10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하여 VGI를 생산하는 23개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체계를 분석하였다. 가치사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VGI의 생산, 수집, 전달, 이용 측면에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fact that the limits of information recency, diversity, and usability are mainly caused by the supply oriented geospatial data and service development is commonly recognized. It is recentl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by facilitating user experience and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everal geospatial web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10C framework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through review and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10C framework, the value chain system of 23 use cases relevant to the geospatial web service involving the creation of user's VGI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value chain analysis is applied to examine and formulate the strategies to generate value addition from public spati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creation, aggregation, delivery, and consumption process of VGI.

      • KCI등재

        u-병원 정보 시스템의 응용 서비스를 위한 멀티에이전트 기반 분산 프레임워크 구축

        정창원(ChangWon Jeong),신창선(ChangSun Shin),주수종(SuChong Joo)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11

        최근 병원 환경은 점차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응용 서비스 또한 새로운 요구사항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출현과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의 도입은 u-헬스케어의 실현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구축된 정보의 통합이나 다양한 응용 시나리오를 만족하기 위해 멀티에이전트 패러다임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병원 정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와 u-응용서비스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u-병원 정보 시스템을 위해 멀티에이전트 기반 분산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제시하고 있다. 이는 JADE와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의사와 간호사를 위해 환자의 건강 정보와 병실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u-응용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특히 기존 관련 연구에서 강조하고 있지 않은 보안 부분에 대한 상황기반의 동적 보안 메커니즘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사용자의 GUI를 통해 수행결과를 보였다. As the hospit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changed into a ubiquitous environment, the application services for the hospital environment are also faced with new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various mobile devices and the introduction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have accelerated the realization of the u-healthcare. The multi-agent paradigm has been introduced for satisfying both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the various application scenarios established from various environm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software structure and uapplications for u-hospit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s. And it suggested the construction of a multi agent based distributed framework for supporting u-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suggested framework includes the JADE and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And it implemented u-application services for supporting doctors and nurses, which provides the patient's health information and ward environment information. Especially, it is using a dynamic security mechanism on the security situation, which has not been emphasized in existing researches, and this paper shows the results for each user through the GUI.

      • KCI등재

        계층 발생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군집 계층 시각화

        신동화(DongHwa Shin),이세희(Sehi L’Yi),서진욱(Jinwook Seo)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6

        군집화 알고리즘은 그 종류에 따라 만들어낼 수 있는 군집의 종류와 보여줄 수 있는 정보의 수준이 차이가 난다. 밀도기반 군집화 알고리즘은 데이터 분포 상의 임의의 모양을 가진 군집을 잘 잡아내지만 보여줄 수 있는 계층정보가 매우 적거나 없는 수준이고, 반면 계층적 군집화 알고리즘은 자세한 계층 정보를 보여주지만 구 모양의 군집 외에는 잘 잡아내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군집화 방식의 대표적 알고리즘인 OPTICS와 응집 계층 군집화 알고리즘의 장점만을 취하는 계층 발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와 더불어 효과적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여러 시각화, 상호작용 기법을 지원하는 시각적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There are many types of clustering algorithms such as centroid, hierarchical, or density-based methods. Each algorithm has unique data grouping principles, which creates different varieties of clusters. Ordering Points To Identify the Clustering Structure (OPTICS) is a well-known density-based algorithm to analyze arbitrary shaped and varying density clusters, but the obtained clusters only correlate loosely. Hierarchical agglomerative clustering (HAC) reveals a hierarchical structure of clusters, but is unable to clearly find non-convex shaped clusters. In this paper, we provide a novel hierarchy generation framework and application which can aid users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two clustering methods.

      • KCI등재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최원욱,홍상기,안종욱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2

        The fact that the limits of information recency, diversity, and usability are mainly caused by the supply oriented geospatial data and service development is commonly recognized. It is recentl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by facilitating user experience and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everal geospatial web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10C framework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through review and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10C framework, the value chain system of 23 use cases relevant to the geospatial web service involving the creation of user’s VGI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value chain analysis is applied to examine and formulate the strategies to generate value addition from public spati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creation, aggregation, delivery, and consumption process of VGI.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VGI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10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10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하여 VGI를 생산하는 23개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체계를 분석하였다. 가치사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VGI의 생산, 수집, 전달, 이용 측면에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C2 시설을 위한 국방 I3A Framework 프레임워크

        김영동,이태공,이헌동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5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2 No.4

        미래 전장 환경이 플랫폼 전(Plat form Warfare) 기반에서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Warfare) 기반으로 변화하면서 C4I 체계를 이용한 지휘·통제 능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국방 정보기술(IT : Information Technology)과 시설이 잘 융합되어야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보장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방부도 시설 통폐합에 따른 C2(Command & Control : 지휘·통제) 시설의 정보통신기반과 설비의 구축을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에 맞는 정책, 설계 기준 및 운용 지침을 시급히 갖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군사 시설과 기지통신 기반구조의 합리적인 소요 기준선을제공하기 위해 NC(Network Centric) 기반의 C2 시설을 위한 국방 I3A(Installation InformationInfrastructure Architecture : 기지통신 기반구조) 프레임워크 개발을 제안한다. The future warfare environment will be changed from Platform basis to NetworkCentric Warfare basis, Command & Control capability of C4I system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Successful mission accomplishment can be secured by convergence of facility andDefense IT(Information Technology). So, MND should quickly prepare for the operational guidance,design criteria and policy that are suitable for Network Centric Warfare accomplishment,and implement infrastructure of IT and installation of C2(Command & Control) facility in conjunctionwith consolidation movement of military fac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fenseI3A ((Install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 Architecture) framework for C2 Facility in order toprovide the reasonable baseline for the scope of C2 Information Infrastructure requirements withmilitary facilities and to solve this problem.

      • KCI등재

        DOGF 기반의 모바일 프락시를 이용한 u-헬스케어 상황정보 시스템

        정창원,안동인,강민규,주수종,Jeong, Chang-Won,Ahn, Dong-In,Kang, Min-Gyu,Joo, Su-Ch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3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홈 서비스를 위해 가정 내에 설치된 센서/기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건강 그리고 쾌적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지원하는 u-헬스케어 상황정보 시스템(HCIS)을 구현했다. HCIS는 분산자원의 맞춤형 관리모델인 분산객체그룹프레임워크(DOGF)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홈 환경에서 다양한 상황정보, 응용 그리고 장치들을 논리적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그룹화하고 관리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DOGF의 구성요소인 모바일프락시와 컨텍스트제공자를 통해 가정 내 거주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헬스케어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거주자에게 필요한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본 시스템의 수행성을 검증하기 위해 홈 내에서 제공되는 헬스케어 응용으로 거주자 위치기반의 끊임없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처방 주의 및 스케줄 알림/알람 서비스를 구현했다. 그리고 시나리오에 따라 거주자가 위치한 영역의 서비스 장치를 통해 헬스케어 홈 서비스의 수행결과를 보였다. This paper implemented the u-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System (HCIS) supporting ubiquitous healthcare by using location, health and tit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s/devices equipped in home for healthcare home service. The HCIS is based on the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DOGF), a management model which can customize distributed resources, and manages various context information, applications and devices as a group in healthcare home environment, as one more logical units. Also, this system provides continuous healthcare multimedia service considering a resident's location using Mobile Proxy, and the 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through Context Provider to a resident in home. For verifying execution of our system, we implemented the seamless multimedia service based on resident's location and the prescription/advice and schedule notification/alarm service as healthcare applications in home. And we showed the executing results of healthcare home service by using service device existed in the residential space on which the resident is located according to the healthcare scenario.

      • KCI등재

        인지무선네트워크를 위한 회전자 기반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 설계

        김현성(Hyunsung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5

        최근 들어 IT 분야에 하나나 그 이상의 기술들이 하나의 장치에 결합되는 융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학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방송 및 통신 시스템으로 인해 무선 주파수 자원의 고갈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파수 고갈과 비효율적인 주파수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휴 주파수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융합기술인 인지무선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융합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기존 서비스에 새로 개발된 기술들이 결합됨으로서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보안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신 융합응용 기술로서 인지무선네트워크를 위한 회전자 기반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는 위치정보에 기반한 회전자를 프라이버시 및 다양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보안 기법들에 필요한 공유키 설정을 위한 기초로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는 인지무선네트워크 표준들을 포함한 다양한 융합응용의 보안 기반 구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nvergence is increasingly prevalent in the IT world which generally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technologies in a single device. Especially, the spectrum scarcity is becoming a big issue because there are exponential growth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in the spectrum demand. Cognitive radio (CR) is a convergence technology that is envisaged to solve the problems in wireless networks resulting from the limited available spectrum and the inefficiency in the spectrum usage by exploiting the existing wireless spectrum opportunistically. However, the very process of convergence is likely to expose significant security issues due to the merging of what have been separate services and technologies and also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devising an adaptive security framework based on carousel for CR networks as a distinct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application, which are still at the stage of being developed and standardized with the lack of security concerns. The framework uses a secure credential, named as carousel, initialized with the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from objects position, which is used to design security mechanisms for supporting privacy and various securities based on it. The proposed adaptive security framework could be used as a security building block for the CR network standards and various convergence applications.

      • KCI등재

        인지무선네트워크를 위한 회전자 기반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 설계

        김현성,Kim, Hyunsu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11

        최근 들어 IT 분야에 하나나 그 이상의 기술들이 하나의 장치에 결합되는 융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학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방송 및 통신 시스템으로 인해 무선 주파수 자원의 고갈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파수 고갈과 비효율적인 주파수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휴 주파수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융합기술인 인지무선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융합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기존 서비스에 새로 개발된 기술들이 결합됨으로서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보안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신 융합응용 기술로서 인지무선네트워크를 위한 회전자 기반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는 위치정보에 기반한 회전자를 프라이버시 및 다양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보안 기법들에 필요한 공유키 설정을 위한 기초로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응형 보안프레임워크는 인지무선네트워크 표준들을 포함한 다양한 융합응용의 보안 기반 구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nvergence is increasingly prevalent in the IT world which generally refers to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technologies in a single device. Especially, the spectrum scarcity is becoming a big issue because there are exponential growth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in the spectrum demand. Cognitive radio (CR) is a convergence technology that is envisaged to solve the problems in wireless networks resulting from the limited available spectrum and the inefficiency in the spectrum usage by exploiting the existing wireless spectrum opportunistically. However, the very process of convergence is likely to expose significant security issues due to the merging of what have been separate services and technologies and also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devising an adaptive security framework based on carousel for CR networks as a distinct telecommunication convergence application, which are still at the stage of being developed and standardized with the lack of security concerns. The framework uses a secure credential, named as carousel, initialized with the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from objects position, which is used to design security mechanisms for supporting privacy and various securities based on it. The proposed adaptive security framework could be used as a security building block for the CR network standards and various convergence applications.

      • KCI우수등재

        온라인 행동기반 맞춤형 광고를 위한 온라인 추적 금지 제도 분석 및 제안

        최진주(Jinju Choi),이충훈(Chunghun Lee),김범수(Beomso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7 No.4

        온라인 행동기반 맞춤형 광고(Online Behavioral Advertising)는 정보의 유용성과 사용자 편리성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동의 없는 행동정보 수집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로 Do Not Track 제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체계적이고 공통적인 기준을 제공하는 DNT 관련 법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NT 관련 제도를 수립하여 시행중인 주요 국가의 사례를 조사한 다음, OBA 의 이해관계자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법(제도), 기업, 개인, 사회 4가지 영역으로 분류 및 분석하여 DNT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통하여 행동정보 유형과 통제 유형, DNT 시스템 유형으로 구성된 DNT 매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이 관리해야 할 정보화 통제 방법 그리고 적합한 시스템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OBA시장 전체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각 이해관계자들 간의 DNT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후 OBA 관련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is dramatically growing with usefulness of information and user convenience in recent years, there are privacy issues caused by collecting user’s behavioral information without their consent. To tackle the problem, the need of Do Not Track regulations is getting much higher. In Korea, however, it has never existed. So, this study is examining the case of the major countries have been enforcing the law and regulations of DNT. After that, it is classified with four domain (law/regulation, corporation, individual, society) to include all stakeholders of OBA. Furthermore, this study may have academic significance by suggesting DNT framework through analysis of them. Providing DNT mechanism consisted of three type (behavioral information, control, DNT system), it can be useful guidelines for companies to support decision making as introduced DNT. As analyzed between DNT and stakeholders based on the study of OBA market, it will be useful basic material of OBA study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