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젊은 성인의 체중변동성과 사망 위험: 전국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

        박예빈,한경도 대한가정의학회 202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4 No.2

        연구배경: 비만은 심혈관 질환 등의 다양한 질환과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며, 체중변동은 건강 상태, 생활습관, 만성질환과 연관이 있다. 그러나 젊은 성인의 체중변동성과 사망 위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한국 젊은 성인의 체중변동성이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2010년 국가 건강검진에 참여한 20–39세 젊은 성인 1,771,152명을 2021년까지 추적 관찰하였다(평균 추적기간 10.8년, 표준편차 0.9). 체중변동성의 척도로는 평균 독립 변동성(variability independent of the mean, VIM)을 사용하였으며, 사분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체중변동성과 사망 사이의 관련성은 콕스 회귀 모델을 적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에서 11,708명(0.66%)의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이 발생하였다. 체중변동성의 가장 작은 사분위(Q1)에 속하는 군에 비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은 Q3군에서 1.07배(95% 신뢰구간, 1.02–1.13), Q4군에서 1.20배(95% 신뢰구간, 1.14–1.26) 증가하였다. 체중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자살 및 소화기 질환, 내분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역시 증가하였다. 성별, 체중 변화, 비만도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젊은 성인에서 큰 체중변동성은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및 자살, 소화기, 내분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개인적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젊은 성인의 지속적인 체중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Body weight variability is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lifestyle, and chronic diseases. However, there is limited evidence of its association with mortality in young adul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body weight variability on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risks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1,771,152 young adults aged 20–39 years who underwent health examinations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between 2009 and 2010 and were followed up until 2021. Body weight vari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variability independent of mean (VIM). The association between VIM quartiles in terms of body weight and mortality was analyzed using a Cox regression model. Results: During a mean follow-up period of 10.8 years, 11,708 all-cause deaths occurred. Compared to the lowest VIM quartile (Q1) group, the all-cause mortality risk was 1.07 times higher in the Q3 group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1.13) and 1.20 times higher in the Q4 group (95% CI, 1.14– 1.26). The all-cause mortality risk increased with higher VIM quartiles. Higher body weight variability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mortality from suicide,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endocrine diseases. These associations persisted across subgroups categorized by sex, weight chan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 This large-scale nationwide cohort study indicates that higher body weight variability in young adults may elevate the risk of all-cause mortality, mortality from suicide, and gastrointestinal and endocrine diseas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stable body weight in young adults.

      • KCI등재

        반복경두개자기자극에 따른 젊은 성인과 노인의 자동화된 운동수행변화

        김석진 ( Seok-jin Kim ),이지항 ( Ji-hang Lee ),강유석 ( Yoo-seok K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비침습 뇌자극(non-invasive brain stimulation)의 방법 중 하나인 반복경두개자기자극(rTMS) 기법으로 운동수행 자동성에 관여하는 뇌 영역 연결 중 대뇌피질흥분성에 임시적인 기능손상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자동화된 운동수행의 변화양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신체적, 기능적 및 인지적으로 정상인 오른손잡이 젊은 성인 8명(남: 2명, 여: 6명, 연령범위: 21~27세)과 노인 9명(남: 2명, 여: 7명: 연령범위: 58~68세)이 참여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12개의 연속된 숫자과제에 대하여 운동수행자동성을 획득한 후, 12숫자과제와 알파벳숫자세기과제가 복합된 과제로 구성된 사전검사(2회)를 실시하였다. rTMS(1Hz, 1500 pulses)를 운동보조영역(SMA)에 자극한 후 사후검사(4회)를 통해 12숫자과제의 세션별 총 소요시간, 블록별 평균소요시간, 12숫자과제 시행오류비율 및 알파벳세기오류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젊은 성인집단과 노인 집단에서 모두 세션별 총 소요시간과 블록별 평균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양상을 나타내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감소하였다. 젊은 성인과 노인모두 운동수행이 자동화 되어가면서 운동수행을 관여하는 대뇌영역은 대뇌피질에서 대뇌안쪽 영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젊은 성인과 노인 모두 자동화된 운동수행에 있어 보조운동영역에 일시적인 기능저하가 있다고 하더라도 재조직화를 통한 보상기전이 작용하여 운동시스템을 통한 기능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behavioral differences and changes in automated movements according to inhibitory stimulation induced by rTMS (1Hz) known as one of the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All right-handed 9 younger (M: 2, F: 7, age : 21~27) and older adults (M: 2, F: 7, age : 58~68), no neurological disease and psychiatric dysfunction, participated. All participants achieved automaticity which was evaluated by having a secondary task (lettering counting) with the sequential finger movements before the baseline tests. After achieving automaticity, the base line tests (session 1, 2) were progressed to examine response time of total time of 12 sequence movements for each session and average time of 12 sequence movements for each block as well as the error rate of 12 sequence and letter counting was detected. rTMS was applied on SMA (supplementary motor area). After rTMS intervention, post tests (session 3~6) were progressed as same protocol as the baseline tests.. There were similar types of differences in response time of total and average time of 12 sequence movements and error rate of 12 sequence and letter counting in both group. It is possible that the brain region in charge of automaticity has moved from cortex to subcortex as movements are automated for both younger and older adults.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system may work to maintain to perform automaticity though temporary interference on SMA by rTMS (1Hz).

      • KCI등재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서 결과에 미치는 영향 비교

        윤형구(Hyung Ku Yoon),조덕연(Duck Yun Cho),한수홍(Soo Hong Han),김재화(Jae Hwa Kim),김정열(Jung Ryul Kim),이승용(Seung Yong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서 무혈성 괴사 및 불유합 같은 잘 알려진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여러 가지 원인들이 주장되고 있어서 저자들은 골절 위치와 분쇄 유무, 수술 시기와 정복정도의 비교에 따른 임상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도수정복 및 경피적 다발성 유관나사 못으로 치료한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 51예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되었던 3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위치와 분쇄 유무, 수술시기 및 술 후 정복 정도가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총 39예의 환자 중 무혈성 괴사는 6예(15.4%), 불유합은 3예(7.7%)가 발생하였다. 골절의 위치와 후유증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1 & p=1), 경부 전방 분쇄상보다 후방 분쇄상을 보인 예가 무혈성 괴사(p=0.0066)와 불유합(p=0.0219)이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수술시기와 후유증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p=0.4984 & p=1), 양호한 정복보다 불량한 정복을 보인 예에서 무혈성 괴사가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나(p=0.0105), 불유합은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1011). 결론: 젊은 성인의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 있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 시기보다는 정복의 정확도를 기해야 하며, 골절 위치보다는 분쇄상이 더 중요한 예후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fracture level and comminution, time to operation and reduction quality on the results of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in young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6 to January 2003, 39 of 51 cases of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that were treated with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internal fixation using cannulated screws, were evaluated after at least two years of follow-up with respect to the fracture level, comminution, time to operation, and reduction quality. Results: The incidence of AVN and non-union were 6/39 (15.4%) and 3/39 (7.7%),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of complications among subcapital, transcapital, and subcapital fractures was not significant (p=1 & p=1).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AVN (p=0.0066) and non-union (p=0.0219) with posterior comminutions than anterior ones. The time to operation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p=0.4984 & p=1). Between acceptable and poor reductions, th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s of AVN was significant (p=0.0105), but not in the incidences of non-unions (p=0.1011).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good quality of reduc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time to operation for achieving good results, and that comminution is a mo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 than is the fracture level.

      • KCI등재

        한국의 젊은 성인에서 우울 관련 요인: 제7기 3차년도국민건강영양 조사(2018)

        공보경,신정호,이동욱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4

        Background: Mental health promotion in young adults is as essential as physical health promo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related to depression in adults aged 19–39 yea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20 adults aged 19–39 years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2018.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based on their scor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between-group differenc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between depression and associated factors. Results: The sample’s mean (±standard deviation) PHQ-9 score was 2.71±3.48 points. Weigh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perceived health status (odds ratio [OR], 3.179; 95% confidence interval [CI], 3.168 to 3.189), sex (OR, 3.149; 95% CI, 3.139 to 3.159), unmet medicalneeds (OR, 1.990; 95% CI, 1.982 to 1.998), pain and discomfort (OR, 1.980; 95% CI, 1.973 to 1.986), and health screening (OR, 1.404; 95% CI, 1.400 to1.408) were related to PHQ-9 score. Conclusion: Various factor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health,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young adults. Among these, perceived health status,unmet medical needs, pain and discomfort, and health screening are modifiable factors. As health promotion specialists, family physicians shouldconsider these factors in mental health screening. 연구배경: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20–30대 역시 다양한정신적, 신체적 건강문제에 노출되고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우울은총체적 건강관리에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공중보건 차원의문제로도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층의 우울과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여 개선책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자 하였다. 방법: 국 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3차년도(2018)자료를 활용하여20–30대 성인 1,6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증 선별도구인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을 활용하여 0점 이상 4점 이하인 정상군과 5점 이상 27점 이하인 우울군으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각 항목에 따른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 요인들이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20–30대 성인 1,620명의 PHQ-9 점수 평균(±표준편차)은 2.71 (±3.48)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PHQ-9 점수 5점 이상인 경우는 340명으로 20.99%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주관적 건강상태(OR, 3.179; P<0.001), 성별(OR, 3.149;P<0.001), 필요의료 미충족 여부(OR, 1.990; P<0.001), 통증 및 불편여부(OR, 1.980; P<0.001), 검진 수검 여부(OR, 1.404; P<0.001) 등의요인이 우울 정도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주관적 건강상태, 필요의료 미충족, 통증 및불편, 건강검진 등의 요인이 젊은 성인에서 우울 정도와 관련된 교정 가능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일차진료 현장에서 이상의 결과를토대로 우울증으로 선별된 수검자들에게 체계화된 사후관리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젊은 성인의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한 최신 치료 방법

        여인권(Ingwon Yeo),임승재(Seung-Jae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3

        젊은 성인 환자들에서 발생하는 대퇴 경부 골절은 비교적 드물게 고 에너지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골절 치유 과정에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불유합 또는 단축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런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고관절의 정상 해부학적 구조와 역학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된 내고정은 이러한 치료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아직까지 젊은 성인 환자의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한 이상적인 단일 치료법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본 종설을 통해 수술 시기, 관절낭 절개술의 역할, 골절 정복의 방법 및 적절한 내고정물의 선택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와 근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Femoral neck fracture in young adults represents a relatively uncommon, high-energy injury associated with higher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cluding nonunion,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nd significant shortening. Preservation of the natural hip anatomy and mechanics is a priority in their management and anatomic reduction and stable internal fixation are critical to achieving the goals of treatment in this young patient population. Current evidence is insufficient to recommend an ideal management method; however,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rationale and evidence for timing of surgery, role of capsulotomy, open versus closed reduction, and available internal fixation options.

      • KCI등재

        젊은 성인에서 사회불안 증상과 아동기 외상 경험 간의 관련성에서 긍정자원의 매개효과

        정영은,오수경,정유라,김문두 대한불안의학회 2022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8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social anxiety symptoms in young adul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resources. Methods : Data from 1,317 young adults aged to 18 to 29 years who took part in the university-based cross- sectional survey were analyzed. All participants completed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CE) scale, So- 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 and Positive Resources Test (POREST). Results : In young adults, 9.3% had severe social anxiety symptoms. Based on 10 ACE categories, 32.7% of participants reported one or mor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nd 4.5% reported four or more different form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Young adults with higher social anxiety symptoms were likely to report mor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less positive resource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ndi- cated that positive resource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social anxiety symptom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professionals need to consider early detection of adverse childhood ex- periences and comorbid social anxiety symptoms. In addition, various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re needed. (Anxiety and Mood 2022;18(2):65-71)

      • KCI등재

        젊은 정상인 남자에서 수면다원기록상의 '첫날밤 효과' 분석

        김의중,정도언,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수면다원기록에 따르는 첫날밤 효과가 수면연구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내 연구가 전무한 형편이고 한편으로는 이제까지의 연구결과들의 일관성이 없어 우선 건강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첫날밤 효과에 관해 연구 하고자 하였다. 방법 : 남자 의과대학생 8 명을 대상으로 2 일간의 야간수면 다원기록을 실시하여 산출된 수면 변인들에 대 하여 첫째 날과 둘째 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양 일간의 유의한 차이는 첫날밤에 수면기간 시간과 취침시간을 3 등분한 후반 1/3의 총수면 시간이 증가한 소견이었다. 그 외 제반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첫날밤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것은 1) 피험자들의 나이가 젊어 적응력이 뛰어났고, 2) 검사실 환경이 비교적 쾌적하여 집의 침실과 같은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피험자의 연령과 수면 검사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첫날밤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서 무조건적으로 첫날밤의 수면다원기록 자료를 경시 또는 제외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 : 'First-night effect' has been a well-known concept since 1960's. It is important because it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polysomnographic data. However, 'reverse first-night effect' has also been described, resulting in the inconsistency of conceptualization. We attempted to investigate on the first-night effect in adults by having each of them take two nights of polysomnography in a controlled environment. Young healthy adult volunteers were chosen as subjects in order to rule out age- or health-related confounders. Methods : Polysomnography was performed on eight male medical students (mean $age=23.5\;{\pm}\;0.9$) for two nights with Grass model 78 polysomnograph. We scored manually under the standard protocol each epoch of the sleep records. Sleep variabl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nights. Results : Sleep period time(SPT) and total sleep time(TST) of the third fraction of night were significantly longer on the first night than on the second night (p<0.05). However, other sleep variables such as percentage of each sleep stage, sleep latency, REM sleep latency, number of waking, and sleep efficienc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nights. Conclusion : We could not confirm the existence of first-night effect in this study. In healthy young male adults, it may not happen at all or may happen to a very negligible degree. Young healthy adults may have more adaptability to a new sleep environment. Also, the provision of a reasonably comfortable sleep environment could have helped them with abolition of first-night effect.

      • KCI등재

        젊은 성인에서 신체불만족을 예측할 수 있는 정신병리학적 요인

        이정석(Jungsok Lee),지익성(Ik-Seung Ch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2 No.3

        Objectives: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find psychopathological predictors of body dissatisfaction using Symptom Check List 90-Revision(SCL-90-R) in young Korean adults. Methods:Three hundreds and seventeen young healthy normal subjects, who were university students, asked to fill out the Body Dysmorphic Disorder Examination-Self Report(Korean version of BDDE-SR ; K-BDDE-SR) and Symptom Check List 90-Revision(Korean version of SCL-90-R). Results:Out of the 317 subjects, 123 were male and 194 were female. In analysis of total subjects, interpersonal sensitivity subscale was selec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In male group, depression subscale was selec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In female group,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somatization subscales were selec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higher score group, paranoid subscale was selec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Conclusion:Our study shows that increased interpersonal sensitivity, somatization, depression, and paranoid subscales of SCL-90-R may be factors related to body dissatisfaction. If a psychiatric patient complains of symptoms like self-deprecation, self-doubt, marked discomfort dur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depression, somatic symptoms, and paranoid ideation, which are related to those subscales, it is helpful to evaluate body dissatisfaction for the patient.

      • KCI등재후보

        젊은 성인에서 발생한 자발성 흉추 경막외 혈종 - 증례 보고 -

        정순택,김동희,조세현,남대철 대한척추외과학회 200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5 No.3

        A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SEH) of the thoracic spine is a rare space-occupying disease that accompanied with severe axial pain in the spine. Because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 significant neurological injury such as paraplegia, SSEH requires careful diagnosis and management. A SSEH is mainly caused by a coagulating disorder or anticoagulant medication, while certain cases have shown that this disease is related with spinal inflammatory conditions. A SSEH tends to occur in patients who have risk factors for hemorrhage. However, the incidence of SSEH is quite low, and there are few domestic reports of a SSEH in young adults who are without the risk factors for hemorrhage. We encountered a 25 years old young male without a prior significant medical history and he was suffering from severe back pain and paraplegia due to a SSEH at the thoracic spine. The early diagnosis was made via MRI. We report here on a favorable clinical outcome that was achieved with immediate operative treatment, and we include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