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영환 ( Kim Young Hwan ),강갑원 ( Kang Kab W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인지왜곡, 절망감, 우울, 자살생각의 인식이 어떠한지와 이들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인지왜곡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지, 또한 인지왜곡이 절망감과 우울에 영향을 주어 자살생각에도 영향을 주는지,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학생이다. 총 2,336명에게 자살생각 여부를 조사하여 이 중에서,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학생 402명이 최종 분석대상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과 AMOS 24.0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분석과 집단간 비교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왜곡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망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높을수록 자살생각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왜곡이 높을수록 절망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왜곡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절망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지왜곡이 절망감과 우울에 영향을 주어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여덟째, 인지왜곡, 우울, 절망감이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사회적 지지가 조절 역할을 하였다. 인지왜곡이 자살생각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으나 우울이나 절망감을 더욱 증폭시켜 자살생각을 높여주므로 인지왜곡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ndency of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distortion,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though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distortion affects suicide thoughts, whether cognitive distortion affects suicide thoughts by affecting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nd whether social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is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high school students ba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2,336 students were surveyed to figure out if they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and 402 students who had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he final subjects of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26 program, AMO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ognitive distortion, the higher the suicide thought. Second,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suicide thought. Third, the higher the feeling of despair, the higher the suicidal thoughts. Fourth, the higher the cognitive distortion, the higher the depression. Fifth, the higher the cognitive distortion, the higher the despair. Sixth, the higher the despair, the higher the depression. Seventh, cognitive distortion influenced despair and depression,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suicidal thoughts. Eighth, cognitive distortion, depression, and hopelessness increased suicidal thoughts and social support played a moderating role. Cognitive distor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suicidal thoughts, but efforts to reduce cognitive distortion are important because they increase suicidal thoughts by amplifying depression or despair.

      • KCI등재후보

        주요 우울 장애에서 절망감, 역기능적 태도 및 설명 양식

        임주현(Ju-hyun Lim),박영남(Young-Nam Park)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2

        목적 :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단기 치료 경과 중 우울 증상의 변화와 절망감, 역기능적 태도와 설명 양식의 변화를 평가하여 주요 우울 장애에서 절망감, 역기능적 태도와 설명 양식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에 의하여 주요 우울 장애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를 받는 환자들 중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30명의 환자들이 참여하였으나 설문지 응답 항목이 누락된 7명은 제외하였다. 대상 환자는 입원 후 1~2주 사이에 1차 평가를 하였고, 4주 후 2차 평가를 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은 4주 간격으로 두번 평가하였다. 평가도구는 DAS, BHS, BDI, SESQ를 사용하였다. 결과 : 입원치료를 받는 주요 우울 장애 환자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절망감과 역기능적 태도가 높았으며, 설명 양식 평가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긍정적 안정성과 긍정적 광범위성이 낮았으며 부정적 안정성과 부정적 광범위성의 점수가 높은 비관적 설명 양식을 보였다. 주요 우울 장애 환자 중 4주 간의 단기 치료에서 호전된 군에서 절망감과 역기능적 태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설명 양식 평가에서도 유의한 호전이 있었으나 비호전군에서 절망감, 역기능적 태도 및 설명 양식은 유의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는 주요 우울 장애에서 절망감, 역기능적 태도 그리고 설명 양식은 우울 증상이 호전되면서 호전되었다. 그러나 인지적 특성이 우울 장애의 선행 요인인지 혹은 부수 현상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장기적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This study evaluated hopelessness, dysfunctional attitudes, and explanatory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depressive symptoms during the short-term treatment cour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Method:The self-rating scales for dysfunctional attitudes(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DAS), explanatory styles(Short-form Explanatory Style Questionnaire, SESQ), hopelessness(Beck Hopelessness Scale, BHS) and depressive symptom(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ere administered to 23 hospitalized patients with MDD twice in 4 weeks interval and so did to 28 normal controls. Results:MDD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BDI, BHS, and DAS scores than normal control in the first test. Regarding SESQ items, the stable positive score and global positive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MDD patients than in normal controls, and the stable negative score and global negativ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DD patients. Dividing MDD patients into improved and not-improved by mean improvement ratio of BDI, the improve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BHS and DAS scores, and improved SESQ scores in the second test, but notimproved group did not improve in BHS, DAS, and SESQ scores. Conclusion:This results confirmed that depressive symptoms, and hopelessness, dysfunctional attitude and explanatory style co-vary in MDD.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iscern whether cognitive characteristics is either epiphenomena or precedents of depressive symptoms in MDD.

      • KCI등재

        대학생이 느끼는 절망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인균(In-Kyun Seo),이연실(Yon-Sil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느끼는 절망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망감은 행복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절망감과 사회적 지지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절망감은 행복감에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절망감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향상과 사회적 지지 같은 긍정적 기제 마련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which college students may feel in the process of their emotional transfer from hopelessness to happines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734 students enrolled in the 4-year-course colleges located in Jeollabuk-do.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process the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Major outcomes of the analyse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hopelessness turned out to reduce happiness. Second, from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happiness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opelessness and social support were input gradually, it was learned that hopelessness affected happiness negatively (-) while social support exercised impa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as hopelessness had influence on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a view to prepare positive mechanism such as promotion of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서인균,이연실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control effect of social support while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influences on depression and despai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734 university students in jeollabuk-do. A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measuremen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job-seeking stress, academic stress and family environment stress increased depression. Secondly, job-seeking stress, academic stress and family environment stress increased despair as well.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ocial support reduced an advers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nd despair. A practical and political method was discussed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and prepare a mechanism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is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인 성격스트레스,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취업불안스트레스가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인 성격스트레스,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취업불안스트레스가 절망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우울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절망감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절망감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향상과 사회적 지지 같은 긍정적 기제 마련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절망감과 자살사고의 관계: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의 매개효과

        윤소미,김은경,김대호,박용천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3 정신신체의학 Vol.31 No.2

        연구목적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절망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벡 절망 척도(Beck Hopelessness Scale),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모호한 상황에서의 시나리오 척도(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Ultra-Short Suicidal Ideation Scale이 사용되었다. 231명의 자료를 기초로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연구 결과, 절망감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는 절망감이 낮은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거쳐 자살사고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에서 절망감이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함에 있어 낮은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and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psychiatric patients. Methods:A total of 231 psychiatric outpatients and inpatients completed the Beck Hopelessness Scal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nd Ultra-Short Suicidal Ideation Sca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gression analyses and bootstrap sampling. Results: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opelessness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that sleep quality and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oubl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and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s: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sleep quality and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to prevent hopelessness from leading to suicidal id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idering both sleep quality and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may be important in preventing hopelessness from leading to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리처드 2세』에 나타난 절망감 우울증

        오수진 ( Sujin Oh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리처드 2세』에 나타난 리처드의 비극을 정치적ㆍ역사적인 관점이 아니라 갑작스럽게 겪는 그의 절망감과 우울 증상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3막 2장을 중심으로 나타난 리처드의 행동 변화의 원인을 절망감 우울증으로 설명하고, 리처드의 절망감 우울증에 대한 설득력 있는 근거로 뇌 과학의 이론을 제시한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우선 3막 2장의 리처드의 긴 대사를 통해 그의 절망감과 우울 증상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리처드의 우발적인 행동과 다이나믹한 감정 변화를 뇌의 영역인 심층 변연계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그리고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결론 및 제언: 셰익스피어는 뇌과학자처럼 인간의 마음이 작용하는 원리에 관한 가설들을 실험하여 뇌 과학과 유사한 결론에 이른 것이다. 이 연구는 『리처드 2세』를 정치극과 역사극의 관점에서 벗어나 뇌 과학의 영역을 활용하여 분석 가능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Richard’s tragedy in Richard Ⅱ is not a political or historical perspective but a sudden hopelessness and depression. The method of research explains the cause of Richard’s behavioral change centered on Act 3 Scene 2 a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presents the theory of brain science as a convincing ground for his hopelessness depression. First, through his long lines in Act 3 Scene 2, this analyzes hi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Second, this analyzes Richard’s accidental behavior and dynamic emotional changes by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the deep limbic system, which is an area of the brain, and neurotransmitters such as serotonin, norepinephrine, and dopamine. Like a brain scientist, Shakespeare tests hypotheses concerning the ways in which the human mind works, leading to a conclusion similar to brain science.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Richard II using brain science, beyond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and historical dramas.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최형임,채현탁,송인욱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3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negative stressful life events among elderly population evidently have an impact on happiness in their later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hypothesis by means of analyzing the buffer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rustration of the elderly and investigating whether such effects can play a crucial role in reducing their hopelessness. Three hundred ninety eight home living elderly Daegu resi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empirical data analy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s that the home living elderly's hopelessness apparently seems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ir stressful life events and indirectl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Research findings strongly support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can be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olving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stress that result from the elderly's immediate surroundings and also suggest the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implementation systems. 노인이 경험하게 되는 부정적이고 스트레스적인 생활경험은 건강한 노후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노인의 절망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이들이 절망감을 완화하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지를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398명을 대상으로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의 절망감은 본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적인 생활경험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동시에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년기 삶에서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스트레스적인 생활사건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완화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농촌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지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 of drinki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of rural elderly using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205 old people who had been lived in 5 rural region. Participants completed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Beck hopelessness scale (BHS), and Scale for suicidal ideation(SSI) by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ose who had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hopelessness had significantly higher suicidal ideation. There were showed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were religion, family relationship, health condition, visiting of hospital, level of drinking, and full model accounted for 37.5% of the variance in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depression and level of drinking were significantly influence factors by suicidal ide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llow up study about intervention to reduce of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relations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음주정도, 우울, 절망감, 자살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노인으로, 5개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25명을 대상으로 음주정도, 노인우울, 절망감,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울감과 절망감, 자살생각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우울과 절망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 정도가 증가하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우울과 음주문제가 자살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교, 가족관계, 건강상태, 병원방문횟수, 우울감, 음주정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회귀모형의 39.6%를 설명하였으며, 우울감과 음주정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타나났다. 따라서 우울감과 음주정도가 농촌 요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이 되어 요인인 우울감 감소와 알코올 사용 감소를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신체인지 왜곡 청소년의 스트레스, 슬픔과 절망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권명진,김선애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신체를 왜곡되게 인지하고 있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 되었으며 제 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전체 대상자 중 정상체질량 지수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체형을 살이 찐 편이라고 인지한 13-18세 청소년 9,635명으로 남자 3,640명과 여자 5,995명이었다. 주요 분석방법은 신체인지왜곡을 가진 청소 년의 성별에 따른 정서와 일반적, 신체적 및 심리적 요인간의 관계는 복합표본통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 였다. 주요 결과는 패스트푸드를 많이 섭취할수록 남녀 모두 스트레스와 슬픔과 절망감이 높았으며 대부분 유의하였다 (p<.05). 또한 신체활동을 안하는 경우 남녀 모두 스트레스를 더 받았으며 슬픔과 절망감은 신체활동을 안하는 경우 더 적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본 연구결과는 신체인지 왜곡 청소년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istorted body image in adolescents according to sex.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The subjects included 9,635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body type as overweight, despite having a normal body mass index. The main finding indicated that high levels of fast food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feelings of stress, sadness, and despair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addition, both males and females experienced elevated levels of stress, sadness, and despair when they perceived that they were not sufficiently physically a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istorted body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