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전통시장의 보행 만족도 분석

        정금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4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활성화 추구하는 방법론적 모색에서, 시장내 보행환경, 보행성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통시장내 보행성 확보를 위해, 전통시장 이용자의 보행에 대한 인식과 전통시장의 물리적 요소와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전통시장내 보행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통하여 보행특성, 가로공간에서 보행의 기능,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통시장의 특성과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법 및 문제점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전통시장의 만족요소를 점포내부공간, 기반시설, 편의시설, 가로시설로 구분하고, 보행 환경요소를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흥미성의 항목으로 설문 구성하여, 여수시에 소재한 교동시장과 서시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은 관찰되지 않는 잠재적 요인들의 인과관계까지 검정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문헌고찰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보행환경이 전통시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시설개선 시 보행환경에 대한 고려가 보다 필요함을 파악했다. 또한 시설환경의 차이에 따라 보행요소 만족도가 다르며 이는 전체 전통시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스포츠교육모형의 적용이 핸드볼 수업에 미치는 효과

        김관우(Kim Kwan Woo),김승재(Kim Seung J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핸드볼 수업 후에 중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체육 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스포츠교육 모형을 비교집단은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는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을 수집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처치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4주(12시간)간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적 영역의 수업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의 사후검사에서 스포츠교육모형 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집단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교육모형의 적용이 학습자의 수업에 임하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의적 영역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사후검사에서 스포츠교육모형 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집단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얻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교육모형의 적용이 학습자의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정의적 영역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사후검사에서 스포츠교육모형 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집단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얻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교육모형이 사회적 측면의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what kind of changes were in the affective domai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by using the footage of the real-life games in teaching.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selected 106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of Ⅰ middle school in I county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which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one. The former was subjected to the sports-education model and the latter the general teaching model. The conclusions which have been gained through th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 of the both tests are as followings. First, as for the post-test about the basic attitude toward the affective domain class, the sports education model group got higher mark in all items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and from this result we can see the application of the sports-education mode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learners` preparing for the class. Second, as for the post-test about the psychological aspect of the affective domain, the sports education model group got higher mark in all items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which proved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This result represents the application of the sports education mode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spect. Third, as for the post-test about the social aspect of the affective domai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the sports education model group got high score in all, which proved to be a meaningful difference. This result means the sports education model i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social aspect.

      • 전통미술문화교육의 중요성과 교수ㆍ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김혜숙,이성도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4 敎育硏究 Vol.22 No.-

        미술과수업에서 행해지는 전통미술에 대해 대다수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전통미술을 배워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전통미술을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현재 미술교과서에는 회화에 편중하여 전통미술과 관련한 도판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미술과수업에서 회화, 조각, 공예, 서예, 건축, 조경 등과 관련한 전통미술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업자체도 전통미술과는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술과수업은 일반적으로 서양미술작품과 작가들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진행되고 이루어지므로 학생들이 전통미술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미술과 수업에서 전통미술을 학습한다는 것은 미래세대 세계문화의 주역으로 살아갈 우리 학생들에게 미술·문화적 정체성을 심어주고 민족문화를 바탕으로 한 한국문화의 기초적 토양을 마련해 주기 위해서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미술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전통미술문화를 활용한 수업모형개발에 있어 유의할 점과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들에 대해 논하였다. 전통미술을 활용한 학습활동은 학생들에게 전통미술을 이해하고 미적가치를 발견하게 하며 더 나아가 법고창신의 미술문화를 형성시키는 자생적 힘이 된다.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artworks in Korea has been created primarily out of its unique philosophy. In the Korean perspective, creating art allows the unification of man and nature, and the unification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ich in turn, will lead to diversity of individual expressions. Korean traditional art works often show such things as spontaneity, serenity, and tranquility of expressions. These expressions often spring from an artist's selfless mind and self-awakening, that is a state of mind with no external influence and fully focused on the self. The artist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rt culture of traditional art in Korea will give students various view points of Korean life style, thoughts, values, and beliefs. Students will learn to understand the ways of the country's natural environment, land formations, weather, life style, and social·cultural context through the contents of art works, which cultivate their deep insight for man's life beyond the visual understanding. Art education in general must teach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in addition provide a cultural context dealing with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Western and East Asian art. through this integrated art education, a teacher can open students' eyes to see the cultural phenomena with more depth and breadth. The art culture of Korea normally pursues the reconciliation of nature-centered, life-centered, and the unity of man and nature in general. Within the materialistic society in which we live today, the respect of nature and the spirit of Korea's artistic thoughts and culture is one of the alternatives and new paradigms to help students to undertake self-examination. It gives them the freedom to explore their own ideas and world around them. In this study, we fully discuss three things. First of all how it is important to teach Korean traditional art in art class. Second, What is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art beyond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Third, How to develop the teaching lesson mode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art.

      • KCI등재

        전통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의 학습 모형 개발 방안 연구

        김영아(Kim Young-A)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의 질에 대한 욕구는 점차 커지고 있으며 참여하여 직접 경험하는 체험에 대한 기대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체험은 ‘체험 마케팅’ ‘체험을 파는 신종 산업’ 등을 통해 일상에서도 우리에게 친숙한 용어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대부분의 축제나 문화행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체험 프로그램이다. 축제를 찾는 관람객에게 축제의 내용을 친숙하게 전달하고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체험 문화는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전통문화를 주제로 하는 축제의 경우 전통의 보존과 현대화 그리고 대중들의 흥미를 위해 체험 형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목표나 방향 제시, 해당 전통문화와 체험프로그램간의 유기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와 체계적인 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고는 전통문화축제의 활성화를 목표로 체험을 통해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그 구체적 사례로 풍물, 몸짓, 탈춤, 인형극과 같은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의 체험 프로그램을 교육적 목표와 심미적 체험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학습 체험 모형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로써 전통문화축제의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 체험으로의 변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체험 문화의 활성화 그리고 궁극적으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As the desire for quality life is enlarging with elevation of the standard of living, people’s expectation for on-site experience is also growing. Recently, hands-on experience programs are very popular in most festivals or cultural events. Such programs that deliver the content of the festival to visitors and let them appreciate its meaning are spreading over and in the case of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s, in particular, the programs are focused on the preserva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hands-on experience for the fun of the participants. However, in most cases, systematic studies on showing the objectives or directions of the progra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programs and the traditional culture concerned are not made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how a new direction for the on-site experience program and develop a learning model in a methodic manner.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through hands-on experience for its revitalization. More concretely,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learning model that satisfies both educational objective and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the on-site experience program of the Anseng Namsadang Baudeogi Festival, which provides access to the variety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hands-on experience programs of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s by devising in-depth learning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promoting experience programs and finally, coming up with an opportunity for the world to appreciate Korea’s traditional culture.

      • 전통시장 활성화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김준식 ( Jun Sik Kim ),김종진 ( Jon Gjin Kim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3 社會科學論叢 Vol.28 No.1

        소비자들이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는 상품의 유통이라는 기본 기능을 수행해왔던 전통시장은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주민들의 정서가 담긴 곳으로 영세상인들에게 고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중·저소득층에게 중저가의 상품구매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지 기능 등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해 오던 도심의 대표적인 상업 중심지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 소매업태의 등장 및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자 선호의 변화 등에 의해 전통시장은 지속적인 침체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침체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의 삶의 터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구도심의 침체 및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문가설문을 중심으로 다계층 의사결정모형(AHP)을 구축하여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모형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분류 분석결과 침체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이 가장 효과적이며, 노후된 상가건물 등을 개선하거나 개축하는 것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전통시장 관련 문화의 활성화를 통한 방안은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4개의 세부 활성화방안을 살펴보면,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재래시장 상품권인 온누리상품권 유통확대가 가장 효율적이고 그 외에 대부분의 전통시장의 문제점인 주차장의 확보가 중요하며, 또한 셔틀버스 운행 및 대형마트 규제가 쇠퇴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점적으로 지원해온 지속적인 상인교육, 문화적 측면의 재생방안 및 아케이드 설치 등은 기대와 달리 전통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재생 측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rovement schemes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establishing a revitalization model(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In larger category class, It is recognized by experts that the most effective scheme of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is economic assistance and an physical improvement or redevelopment of the blighted commericial buildings in traditional markets is a somewhat effective scheme. Whereas, a cultural revitalization scheme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focused on improving a condition of traditional markets is not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by experts. In a specific class level, it is suggested that an expansion supply of an onnuri merchandise coupon that is partly used in traditional marke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followed by running a shuttle bus and a regulation of large modernized markets. However, an education of merchants, Arcade and cultural festival that most local governments has put the first priority is not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thod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a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 KCI등재

        소비행태분석을 통한 전통시장과 경쟁시장 간 선택요인 및 이용확률 비교분석

        김현중(Kim Hyun-joong),조규영(Cho Kyu-young),이성우(Lee Seong-woo) 한국유통학회 2010 流通硏究 Vol.15 No.5

        본 연구는 전통시장 중심의 소비행태분석을 통해 전통시장과 경쟁시장 간 선택요인과 이용 확률을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전통시장의 이용확률을 제고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은 소비자의 이산적 선택을 설명하는데 효과적인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고, 규모가 크며, 주차시설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전통시장일수록 이용확률이 높은 반면, 전통시장으로의 소요시간 증가는 전통시장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통시장의 정책적 지원책은 전통시장의 이용빈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전통시장보다는 타 경쟁업태를 이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한편, 지역유형별 비교분석을 통해 전통시장이 타 시장과 비경쟁구도일 때, 전통시장의 활성화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장유형별 소비자들로부터 선택받을 확률은 인터넷 쇼핑이 가장 높았으며, 전통시장의 이용확률은 극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통시장의 이용확률을 가장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는 점포수 증가, 주차장 확대 등 물리적 요인이 주를 이루었으며, 뒤를 이어 전통시장에 대한 정책적 지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choice factors and possibility of traditional and other competing markets through consumer behavior analyses in order to suggest factors that can help reactivate traditional markets. Hence, Multinomial Legit Model is used as it is an optimum model to understand discrete selection. The results suggested some tendencies regarding traditional market. For example, traditional market is more activated when the market is large and has more parking spaces, and when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is high. While, increased travel distance and time have negative effects on visitor's choice. Governmental supports are turned out to have less to do with the consumer attraction. People with higher incomes tend to prefer other types of market.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ere is more likelihood of traditional markets being reactivated if the market is not fiercely competing with other types of markets. Internet market is ranked top in consumer's choice possibility, while traditional market is ranked at the bottom. The plausible factors to reactivate traditional market were physical factors(including increasing shops and parking facilities), which is followed by governmental support.

      • KCI등재

        인지갈등 수업모형이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국동식,김대영,Kook, Dong-Sik,Kim, Dae-Young 한국지구과학회 200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isconceptions on atmospheric pressur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eptual change of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The subjects are 184 students in girls' high school and divided into the controlled and test group. Before instruction on atmospheric pressure concept, their concept types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ptual changes were compared after instruction by the traditional and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 The students' understanding level on the atmospheric pressure was low before instruction and they had some misconceptions. But the concept levels related to their everyday life experieces and memorized concept were high. 2)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in the form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concept. 3)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est items,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was identifi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in terms of the durability of atmospheric pressure concept.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압에 대하여 전통적 수업모형과 인지갈등을 이용한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 전과 수업 2주후, 수업 3개월 후의 개념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습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184명이며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 전 개념이해 유형을 파악하고 전통적 수업모형과 인지 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학습 한 후 개념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 전에는 대기압과 관련된 기초개념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았으나 일상생활과 관련된 경험적이거나 암기적 개념에서는 비교적 이해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2)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이용한 수업 후의 개념 변화는 전통적 수업모형에 비해 과학적 개념 형성에 학습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 문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업 3개월 후 개념의 지속성 측면에서도 인지 갈등을 이용한 수업모형이 전통적 수업모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발달연구를 위한 통계모형의 고찰

        임시혁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1

        발달연구에 있어서 종단적 접근법은 교육이나 행동과학 분야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의 미있는 해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유용한 연구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발달연구를 위 해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던 통계적 모형들은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들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다층모형은 위계적 구조를 지니고 있는 자료들을 분석하는데 있어 종전의 통계모형들 이 지니고 있는 많은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비교적 새로운 모형으로 이론 적인 면이나 응용적인 면에서 계속 발전하고 있는 중이다. 최하위 위계에서 연구대상의 발달 형태를 성장곡선으로 모형화하여 다층모형을 발달연구에 적용함으로서 전통적 발달 연구의 통계적 방법들이 지니고 있던 많은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다층모형은 또한 성장곡선의 기술,성장의 개인간 차이,성장에 대한 상관인자의 효과 분 석,초기상태와 변화와의 상관관계 등과 같은 발달연구에 관련된 여러 가지 논쟁점이나 관심사를 다룰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을 제공해 준다. 다층모형을 세 개의 수준으로 확장하여 학교 관련 설명변수를 도입하면 학생의 학업성 취 성장에 대한 학교효과도 검정할 수 있는 둥(임시혁,1991) 이 모형의 발달연구에의 응 용 가능성은 대단히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고 생각된다. 다층모형은 그 자료가 물리적인 위계구조의 경우 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위계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모형의 활용에 대한 잠재력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층 모형에서는 고정효과와 더불어 확률효과에 대한 해석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확 률효과의 경우 모형의 잔차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모형을 적용할 경우 올바른 모형의 설 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전통무용공연 소비자그룹 분석

        성재형 ( Jae Hyung S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여 전통무용공연의 소비자그룹 분류를 통한 소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무용공연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함께 인지적 특성으로서 심리적 거리와 지식수준을 설명변수로 소비자그룹 분류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관람률이 가장 높은 그룹은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인지하면서,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성도 함께 갖춘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무용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멀게 느끼는 그룹일수록 관람률이 적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전통무용공연관람 여부라는 전통무용 소비행태에 대해 교육과 경험을 통해 개발 가능한 변수인 심리적 거리와 지식수준이 인구통계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Attending performing arts received much attention as the one of the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t much atten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because the most of performing arts were concentrated in the western performing arts and the popular arts.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s into som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income and cognitive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level of knowledge on traditional dance’. In particular, although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level of knowledge had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y had not been used for analysis for traditional dance market. Note that psychological distance and level of knowledge could be developed or learned by experiences and training. That is, if the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classify the consumer groups, we could make consumers in traditional dance to be more active by offering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watching experiences to the consumers.

      • KCI등재

        DEA에 의한 전통시장의 효율성측정 개선에 관한 연구

        이택림,유병국 한국물류학회 2023 물류학회지 Vol.33 No.5

        막대한 자금이 투여되는 전통시장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통시장에 대한 객관적이며 투명한 성과평가가우선시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전통시장에 관한 효율성 연구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DEA방식에서 대해서 2가지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즉,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2단계 접근방식을 이용하여 우선 편이수정된 효율성을 산정하고 외부 환경요인이 전통시장의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유한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과대평가되는 통상적인DEA 효율성지수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을 통해 편이수정된 효율성지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편이제거는 기존의 전통시장간 효율성순위에 상당한 변동을 초래하였다. 둘째, 전통시장 입지 등 외부적인 환경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전통시장간 효율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에 의한 절단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형 소매점의 존재는 전통시장의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집객 및 교통시설의 존재는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외부적인 환경이 전통시장 내부의 경영노력과는 무관하게 전통시장간 효율성의 차이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면 성과평가에 있어서 이에 대한 적절한 조정과 수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market policies, in which enormous funds are invested, it can be said that objective and transpar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traditional markets takes precedence. This study proposed two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DEA method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studies on traditional markets. In other words, by using a two-step approach using bootstrap, we first calculated the bias-corrected efficiency and examined how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efficiency of the traditional market.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DEA efficiency index, which is overestimated based on a finite number of samples, we tried to obtain a bias-corrected efficiency index through bootstrapping. This improvement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efficiency rankings among existing traditional markets. Second, trunc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bootstrapping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between traditional markets that inevitably occur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location of traditional marke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istence of large retail stor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of traditional markets, while the existence of public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If such an external environment becomes an important cause for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between traditional markets, regardless of internal management efforts in traditional markets, it can be said that appropriate adjustments and modifications are required in performanc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