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포필리아 관점에서 본 휘주(徽州) 전통마을의 건축 유산 활성화 방향 연구 -기억 재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향량,이선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2

        전통마을은 중요한 역사문화유산으로서, 전통마을의 발전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전통마을의 건축유산은 무형문화유산을 수용한 공간으로, 재생불가한문화자원이다. 그러나 산업의 경제적 효과만을 추구하는 가운데 많은 건축 유산이 무분별하게 개조되면서건축 유산의 진정성과 전체적인 모습이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통마을의 건축 유산을 활성화하기 위한 올바른 방식을 탐색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휘주 전통마을 건축 유산의활성화 현황을 파악한 후, 실제 사례 및 데이터 분석결과와 토포필리아 이론을 결합하여 전통마을 건축유산의 가장 효과적인 활성화 방식(기억 재구성 방식) 과 구성 요소. 본 연구는 사례 분석 방법과 이론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범위는 중국휘주 전통마을 중 보호 등급이 높은 전통마을인 독원촌, 양산촌, 파산촌, 이강촌, 벽산촌, 정감촌, 도원촌, 병산촌으로 설정하였다. 그후, 휘주 전통마을 건축 유산 8곳의 활성화 방향을 <Burra Chart>에서 제시한활성화 방법을 근거로 분석을 진행하여 각 건축 유산의 활성화 방법의 유형을 건축 유산 복원, 건유축산의상업적 리모델링, 건축 유산 보호와 개조활용의 결합세 가지 방향으로 분류하였다. 데이터 및 현황 분석을바탕으로, 건축 유산 보호와 개조활용의 결합 방향을활용한 휘주 전통마을 건축 유산의 활성화 수준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 수준이 높은 사례를토포필리아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각기 다른환경에서 생성하는 새로운 문화와 신정보를 건축 유산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정보와 재구축하여 활성화를 진행하는 방식은 심리학적으로 기억 재구성 방식에도 상응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본 연구는 기억 재구성 활성화 방식이라고 정의하였다. 각 사례 속 건축유산이 기억 재구성 활성화 방법을 활용하여 활성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기억 재구성 방식의 구성 요소(예술 스타일, 예술 작품, 건축 문화, 풍수 문화, 역사 장면, 영화 장면) 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근거로활성화를 진행한 전통마을 건축 유산에는 공간의 다양성과 환경의 융합성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공간의 다양성과 환경의 융합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전통마을 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 제시했고 후속 진행할 학위 논문연구를 위한 기반 자료와 이론적 근거롤 제공했다. As an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villages has attracted attention, and the architectural heritage of traditional villages is a non-renewable cultural resource as a bearing spac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ivation of Huizhou traditional village architectural heritage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ases and data results, and to derive the most effective activation method and components. The research scope was selected from Shuyuan Village, Yangshan Village, Poshan Village, Likeng Village, Bishan Village, Chengkan Village, Taoyuan Village and Pingshan Village.The researchers analyzed the activation directions of eight Huizhou traditional village architectural heritage, and classified the corresponding directions of eight Huizhou traditional village activation cases according to the activation methods proposed in the Barra Charter.It is mainly divided into three activation directions: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commercial re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and utiliz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Based on Topophilia theory, Huizhou traditional village architectural heritage is activated by integrating new culture and memory information into the old memory information retained by architectural heritage and reconstructing it.In this paper, the components of memory reconstruction mode are obtained by analyzing the specific elements used in the activation of memory reconstruction mode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the course of the study, it is found that the village architectural heritage activated by these three elements shows two characteristics: spatial diversity and environmental fusion,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direction to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village space,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also serves as a reference for the dissertation research.

      • 중국 전통건축과 그 장작기예의 연구

        곽화유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3 No.11

        중국은 지역이 넓고 민족이 많기 때문에 지리적 구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전통 건축 유형 계 보가 많다. 사회 문화가 풍부한 장인의 장인정신도 다양하다. 오랜 역사의 과정에서 중국 전 통 건축과 그 장인의 기예가 수시로 축적되고 변화하여 중국 전통 건축의 특징 형성에 영향 을 미쳤으며, 그 다원적이고 복잡한 특징도 연구와 요약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 은 중국 전통 건축의 분류와 그 장인의 계보의 특징, 그리고 고대 건축 장인의 조직 기구와 그 작업 법칙에서 시작으로 하여 중국 전통 건축과 그 장인의 기예의 근대 전환이후의 연구 과정 및 대표 성과에 대한 정리를 통해 중국 학계의 전통 건축과 그 장인의 기예에 대한 인 식, 현황과 연구의 단계적 성과, 그리고 향후 중국 전통 건축 장인의 기예 업무 연구 내용의 예비 전망을 설명하였다.

      • KCI등재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한국 전통건축의 이론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현 한국건축역사학회 2015 건축역사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scholars and architects in Korea have theorised the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fter opening the door to foreign power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be resolved in Korea architecture has been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successful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depends on successful theorization of the tradition. However, many attempts to theorise the uniqueness of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had not been instrumental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reason why they were not successful lies in the lack of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upon how to approach the tradition. They were either trapped in ambiguous essentialism without systematic methods and theories, or simply inventing the tradi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present.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theorise the tradition, one need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contemporary architectural vocabularies. What is important in translating the tradition is not to directly apply contemporary concepts and perceptual frame of architecture to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to find the ga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will open hermeneutic spaces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useful principles and vocabularies of comtemporary architecture.

      • KCI등재후보

        메타볼리즘 건축의 사상과 세계관에 대한 고찰

        임희재(Lim, Hee Jae),이대준(Lee, Dae J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3

        1950년대 말, CIAM(Congres International d"Architecture Moderme, 세계근대건축회의)이 10차 회의를 마지막으로 해산되면서 세계 건축의 구도는 새롭게 재편되었다. 유럽이 중심이었던 세계 건축의 구도가 제 3세계까지 확대되면서 획일적이고 교조적이던 근대 건축의 양상은 다양한 경향을 띄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신생국들은 서양의 기능주의적 건축을 배격하고 자국의 문화와 전통을 건축을 통해 표현하는 시도를 하였다. 일본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식민지화 되면서 타의적으로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였던 것과 달리 19세기 메이지 유신을 기점으로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 메타볼리즘 운동이 시작되기까지 일본건축의 재발견을 시도했다.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은 2차 세계대전 후 정치적, 경제적 안정화와 더불어 시작된 일본 건축의 전통논쟁과 근대건축운동의 영향에 의해 생겨났다. 일본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불교의 영향은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이 유기적 성격을 띠게 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마에가와와 단계를 비롯한 일본 근대건축의 거장들이 CIAM회의에 참여하면서 서양의 건축계에 소개되었고, 근대건축회의에서 나온 주제들이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에도 차용되었다. 메타볼리즘 건축의 생물학적인 접근은 동시대 유럽의 Archigram의 움직이는 건축이나 확장 가능한 건축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TeamX이 시대정신을 반영하고자 했던 개념이나 건축적 방법론과 유사한 점을 찾아볼 수 있다. 메타볼리즘 건축이 시도했던 유기적인 건축은 새로운 시각으로 자연을 보게 했으며, 현대의 생태주의 건축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은 전통성 논쟁을 통해 일본문화가 가진 전통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였고, 과학기술에 바탕을 둔 근대도시의 구축을 실현하고자 시도했다. 그들은 TeamX이나 Archigram과 같은 아방가르드 건축운동이 전통을 단절하고 유토피아로서의 도시를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급진적인 성격과 표현된 형태에 있어서 유사한 점을 보인다. 이탈리아의 역사가 만프레도 타푸리(Manfredo Tafuri)는 자본주의 이념에 의해 퇴색한 건축의 의미를 전통과 유토피아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자본주의 이념을 공고히 했던 근대건축운동의 아방가르드성에 대해 주로 비판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건축운동의 영향을 받고, 급진적인 성향을 가지고 해석한 일본의 전통을 건축에 적용하였던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을 타푸리의 급진적 대도시 이념 비판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Japan optimistically embraces themodern European architecture. Through the European architecture brings confusion into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regulations‘ uncertainty and such consequence gave birth to the Eclecticism. After WWⅡ, Japan shows its astonishing improvement in economy that activated their exploration towards Japanese traditions and learns to differentiate the European and Japanese architecture.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however, denied the functional Modern Architecture and attempted to search their logic within the developing method of history. They were able to make a metabolistic approach with their fundamental spirit keywords (under the tradition of Buddhismand Transmigrationalismsuch as growth, change and flow. Conversely,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with leading technology and efficiency, functioned more as a concealing tool of capitalistic rapid growth threat rather than focusing on human life. By presenting the logical inheritance of traditions and technology applied architecture, they planted in citizens a thought of optimistic urban area and architecture. Though, what can be detected through Metabolic architects" works is that because of what they insisted in logic,miscarried the essence of theme, the human life. Functionalistic elements, which were influenced by Western Modern Architecture during the birth of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continue to appear in Japanese architecture. Though the rapid growing logic of Metabolic Architecture Movement presents the optimistic future, Utopia, the logic of functionalism is still being adapted to its culture. The fantasy of optimistic Utopia which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desired functioned as a transformer of just a comfortable urban structure and offered an urban image of manufactured goods not an urban with the fragrance of human life, an empty box. 1950년대 말, CIAM(Congres International d"Architecture Moderme, 세계근대건축회의)이 10차 회의를 마지막으로 해산되면서 세계 건축의 구도는 새롭게 재편되었다. 유럽이 중심이었던 세계 건축의 구도가 제 3세계까지 확대되면서 획일적이고 교조적이던 근대 건축의 양상은 다양한 경향을 띄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신생국들은 서양의 기능주의적 건축을 배격하고 자국의 문화와 전통을 건축을 통해 표현하는 시도를 하였다. 일본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식민지화 되면서 타의적으로 외국의 문물을 받아들였던 것과 달리 19세기 메이지 유신을 기점으로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 메타볼리즘 운동이 시작되기까지 일본건축의 재발견을 시도했다.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은 2차 세계대전 후 정치적, 경제적 안정화와 더불어 시작된 일본 건축의 전통논쟁과 근대건축운동의 영향에 의해 생겨났다. 일본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불교의 영향은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이 유기적 성격을 띠게 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마에가와와 단계를 비롯한 일본 근대건축의 거장들이 CIAM회의에 참여하면서 서양의 건축계에 소개되었고, 근대건축회의에서 나온 주제들이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에도 차용되었다. 메타볼리즘 건축의 생물학적인 접근은 동시대 유럽의 Archigram의 움직이는 건축이나 확장 가능한 건축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TeamX이 시대정신을 반영하고자 했던 개념이나 건축적 방법론과 유사한 점을 찾아볼 수 있다. 메타볼리즘 건축이 시도했던 유기적인 건축은 새로운 시각으로 자연을 보게 했으며, 현대의 생태주의 건축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은 전통성 논쟁을 통해 일본문화가 가진 전통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였고, 과학기술에 바탕을 둔 근대도시의 구축을 실현하고자 시도했다. 그들은 TeamX이나 Archigram과 같은 아방가르드 건축운동이 전통을 단절하고 유토피아로서의 도시를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급진적인 성격과 표현된 형태에 있어서 유사한 점을 보인다. 이탈리아의 역사가 만프레도 타푸리(Manfredo Tafuri)는 자본주의 이념에 의해 퇴색한 건축의 의미를 전통과 유토피아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자본주의 이념을 공고히 했던 근대건축운동의 아방가르드성에 대해 주로 비판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건축운동의 영향을 받고, 급진적인 성향을 가지고 해석한 일본의 전통을 건축에 적용하였던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을 타푸리의 급진적 대도시 이념 비판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Japan optimistically embraces themodern European architecture. Through the European architecture brings confusion into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regulations‘ uncertainty and such consequence gave birth to the Eclecticism. After WWⅡ, Japan shows its astonishing improvement in economy that activated their exploration towards Japanese traditions and learns to differentiate the European and Japanese architecture.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however, denied the functional Modern Architecture and attempted to search their logic within the developing method of history. They were able to make a metabolistic approach with their fundamental spirit keywords (under the tradition of Buddhismand Transmigrationalismsuch as growth, change and flow. Conversely,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with leading technology and efficiency, functioned more as a concealing tool of capitalistic rapid growth threat rather than focusing on human life. By presenting the logical inheritance of traditions and technology applied architecture, they planted in citizens a thought of optimistic urban area and architecture. Though, what can be detected through Metabolic architects" works is that because of what they insisted in logic,miscarried the essence of theme, the human life. Functionalistic elements, which were influenced by Western Modern Architecture during the birth of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continue to appear in Japanese architecture. Though the rapid growing logic of Metabolic Architecture Movement presents the optimistic future, Utopia, the logic of functionalism is still being adapted to its culture. The fantasy of optimistic Utopia which Metabolism Architecture Movement desired functioned as a transformer of just a comfortable urban structure and offered an urban image of manufactured goods not an urban with the fragrance of human life, an empty box.

      • KCI등재

        단게 겐조(丹下健三)의 건축에서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 형식적 측면을 중심으로 -

        권제중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단게 겐조는 현대건축의 창작 과정에서 전통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졌고, 일본건축의 전통성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현대건축에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단게는 자신이 주장했던 ‘新전통’의 관점에서 전통을 건축 재료나 구성요소적 측면에서 표현하였다. 단게는 건축재료와 구성요소 등에서 일본 전통건축의 조형을 서양의 기술과 조화시킴으로써 국제 건축계의 담론과 상응하면서도 서양의 것과는 구별되도록 전통건축에 근간을 둔 ‘일본적인 건축양 식’을 창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게가 건축에 사용한 건축재료와 구성요소에서의 전통의 표시나 흔적을 찾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서구의 문명을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 을 소화하여 전통건축과 접목하는 데는 일본과 매우 다른 과정과 결과를 가졌던 우리 건축계에 시사점을 갖고자 한다. Kenzo Tange was interested in how to express tradition in the process of creation of modern architecture and tried to express the traditionaluty of Japanese architecture in his own way. In particular, Tange expressed Japanese tradition in terms of 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 own ‘New Tradition’. Tange created the ‘Japanese style of architecture’ based o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match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architecture and distinguish it from the Western one, by harmonizing the plasticity of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the Western technology in 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igns and traces of traditions in the 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in his architecture.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have implications for our architecture, which had a very different process and result from Japan in digesting and combining it with traditional architecture although Western civilization was accepted at about the same time.

      • KCI등재

        중국회화 미학의 형신론을 기반으로 중국과 한국의 주거 건축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 -장영화와 승효상의 주거 건축을 중심으로-

        현걸,김남효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회화 미학의 관점에 따라 장영화 건축가와 승효상 건축가의 주거 건축 작품에서 전통의 형태적, 내용적 적용 방식과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중국회화 미학에서 형신에 대한 논의를토대로 두 건축가가 주거 건축설계에서 무엇을 더욱 중시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영화와 승효상의 건축 작품 중 전통성이 반영된 주거 건축작품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장영화와 승효상의 건축이론을 살펴보고 건축 미학에서의 형식미학과 내용 미학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건축의 형적 요소 및 신적 요소를도출한다. 둘째, 형신의 기원 및 발전과정과 중국회화 미학에서 형과 신의 관계를 살펴보고 형신 관계의 특징을 도출한다. 셋째, 분석 방법과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넷째, 중국회화미학의 관점에 따라 장영화와 승효상의 주거 건축 작품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두 건축가 모두주거 건축 설계과정에서 전통의 형적 요소보다 신적 요소를 더욱 중시하고 형태적 모방 보다는 전통의 내면적 특징을 활용하여 현대적 건축에서 전통성을 표현하였다. 동양의 미학과 이론이 중시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전통의 계승 방법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하면서 현대주거 건축에서 전통성의 표현 방법 및 적용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현대의 주거 건축에서전통성의 표현은 그 표면에 나타나는 형태적 요소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전통의 내면적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구현해야 하며, 전통의 형태를 추구하여 전통 주거 건축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 주거 건축의 특징을 해석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전통성의표현 과정에서 중형보다는 중신, 즉 형태보다는 내용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마샤 마 패션에 나타난 소주 전통정원 건축미학 특성 확장에 대한 논의 - 마샤 마(Masha Ma) 2014 S/S ~ 2016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이애진 ( Li Ai-zhen ),김현주 ( Kim Hyun-joo ),한설아 ( Han Sul-a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중국 소주 전통 정원 건축의 특성을 재해석 하여 현대적으로 표현한 마샤 마의 컬렉션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녀의 디자인과 소주 전통 정원의 조형적, 미학적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소주 전통정원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적 패션, 그리고 해체주의에 관련한 이론 고찰 및 소주 전통정원의 조형적, 미학적 특징 분석에서 출발하여, 마샤 마의 2014S/S ~ 2016 S/S 마샤 마의 파리 컬렉션 작품서 나타난 소주 전통정원의 재해석 과정과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샤 마의 패션 디자인은 전통 정원 문화의 영향과 중국 음양오행설 문화를 용합하여 새로운 방향성의 건축적 패션 디자인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창조의 방형성은 다음의 세 가지 흐름 안에서 압축 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 정원 문화의 영향과 중국 음양오행설문화를 용합한 음양(陰陽)적 색채 사용과 배색 특성을 보였다, 둘째, 중국 전통 건축의 기학 미의식(美意識)을 재해석 하여, 이를 패션디자인 조형 방식의 변화 및 착장 순서의 변화, 문양 등을 통해 그 특성을 표현하였다. 셋째, 소주 전통정원의 치경(置景)적 특성은 문양, 시스루 소재를 통한 레이어링 기법 등으로 재해석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마샤 마 디자인에 있어서 전통 건축 조형요소와 미학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방식으로 현대 패션디자인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그녀가 중국 전통 건축과 문화에 현대 패션의 미의식을 접목 시켜 새로운 중국식패션 디자인 흐름의 단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도 중국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세계 전통문화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어, 패션 디자인에 다각도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hinese modern costume designer Masha Ma`s collection has been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re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rom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design and the modeling and aesthetics of Suzhou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starting poin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architectural fashion of traditional garden of Suzhou, and researches the Masha Ma`s 2014 S/S~2016 S/S Paris`s collection that had been presented process of reinterpretation and fashion`s modeling features at the Suzhou garden. In order to know the impact of traditional garden culture and Yin - Yang theory for Masha Ma`s fashion design, a new way of architectural fashion design is conducted, the creative direction mainly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by the impact of traditional culture, the Yin-Yang mainly use opposite colors matching Yin and Yang includes brown, blue, white, black, etc. Seco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architectural geometry is reinterpreted. Geometric mainly utilize modelling of asymmetry which differs from other traditional architecture of Suzhou gardens. Third, the Suzhou garden scenery featur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fabrics and other forms is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modeling elements and aesthetic understanding of Masha Ma`s fashion design can be said that the new directions of the creative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design. It unfastens a new way of Chinese-style fashion design which fuse the architecture and culture of traditional China and fashion beauty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for the world`s traditional culture, it also deeper research the levels and aspects of modern modeling fashion design`s features.

      • KCI등재

        고궁의 현대화 활용을 위한 공간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베이징 고궁을 중심으로-

        한한,김영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사람들은 현대 생활에 점점 더 익숙해지고, 전통건축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멀어지고 있다. 전통건축은 민족 지역 문화의 매개체로서, 전시 가치, 연구 가치 및 교육 가치가 우수하다. 그러나 많은 전통건축이 사용되지 않아 보호의식이 결여되고 있다. 고대가 남긴 전통건축의 새로운 정체성을 현대 사회에서 찾는 것은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정부는 문화와 관광을 결합한 '문여융합(文旅融合)'을 제안하였다. 지역 문화를 보여주는 전통건축은 관광 발전에 중요한 자원이자 특색문화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궁의 현대화 과정에서 각 단계별 공간 역할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전통유형 공간이 현대적 기능 공간으로 변모할 때의 역할변화를 살펴본다. 나아가 미래 발전 경향을 도출하고, 전통건축의 현대화 이용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912년부터 2022년까지 베이징 고궁의 공간 역할 변화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문헌 조사와 건축 설계 도면을 통해 고궁의 현대화 및 활용 과정에서 다양한 공간 역할의 평면 분포 변화를 분석한다. 이후 현대 공간 역할의 발전 경향을 연구한다. (결과) 600여 년 동안 고궁은 Ⅰ봉건 시기(황궁), Ⅱ설립 초기(역사박물관), Ⅲ탐구 시기(예술 박물관), Ⅳ전면 발전기(종합 박물관)의 4개 기간을 거쳐왔다. 이 기간 동안 왕립궁전 건축그룹으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소장품을 보유한 박물관으로 탈바꿈하였다. 봉건시대 3개의 공간 역할이 현대박물관에 필요한 5개의 공간 역할로 전환되는 주요한 경향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공공 개방 전시 공간과 실내 전시 공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사무 공간과 창고 공간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셋째, 현대화의 심화와 공간 기능의 세분화에 따른 미활용 공간이 크게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 역할의 변화 추세에 따라 앞으로 고궁은 사무관리과학 연구의 학술 기능 공간과 고궁의 분할을 실현할 것이다. 이에 유물 장품을 전시하는 공간이 될 뿐만 아니라 고궁 자체가 완전한 전시물이 되어 중국의 황실 궁중 문화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 본 연구는 전통 건축의 현대화 이용 과정에서 기능적 위치 변화에 따른 공간 역할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연구 및 시연이다. 전통 건축의 현대적 이용성과는 궁극적으로 공간 개조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공간의 실제 이용 상황과 건축의 보존 상황에 따라 평가하게 될 것이다. 공간 역할의 변화는 전통 건축의 현대적 이용 상황의 가장 직접적인 표현으로서 현대적 이용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전통건축의 자연주의 미학에 관한 연구

        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4

        한국인들은 한반도에서 오랫동안 살아오면서 자생적인 자연신앙과 불교, 유교, 도교, 풍수사상, 음양오행사상 등 여러 사상을 수용하면서,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건축을 조영하였다. 한국 건축에 나타난 자연주의는 건축의 자연재료 사용, 자연원리 모방, 자연과의 일체감이라 할 수 있다. 전통건축이 자연스럽다는 것은 건물의 형태가 자연스럽고 그 속에 사용된 건축 재료가 대부분 자연재이며 사용된 표현기법 또한 자연의 물성이나 특성을 살렸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과 함께 새로운 시대의 건축적 요구가 새로운 사상과 변화에 어우러지면서 우리의 전통 건축은 시대가 달라져도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형태와 규모를 적정하여 왔으며, 건물을 배치함에 있어서도 지맥이 허술한 곳을 메우고 돋보이게 하는 힘을 발휘하였다. 조선시대 건축을 오늘날 인문학으로 접근하면, 자연과 함께하는 가운데 친환경적으로 건축하여 하늘과 땅 그사이 자연스럽고 건강한 삶을 꾸려가려는 한국인의 자연관, 세계관, 인생관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 전통건축의 하늘과 땅과 사람 즉, 천지인(天地人)에 대한 경외나 조화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이라는 자연주의 미의식을 밝히고 교육적 접근을 제시한다. Koreans have established architecture harmonized with nature, adapting Totemism,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Theory of geomancy, Yín-Yáng Schòol, and other thoughts, etc.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aturalism appealed on the Korean architecture can be found by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imitation of natural principles, and harmony with the nature. The natural senses of the Korean architecture derived from making and presenting the best use of the properties of matter with its cultural tradition. Korean thought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have changed according to new thoughts and trends each times, but the forms and size have kept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nature. The placement of the architecture has proved the power filling the missing parts of stratums and looking them better. Approaching to the Chosŏn dynasty architecture with humanities, it can be seen as reflecting Korean views of nature, world and life which lead to natural and healthy styles living in the space between heaven and lands, since they were established in the natural environments. This article suggests the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naturalism shown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examining the Korean thoughts called as worship of heaven and love of hu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