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왕양명 생명관의 생태 윤리적 고찰

        이종흔(Lee Jong-heu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본 논문은 현재 인류가 당면한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윤리적 논쟁에 있어서 왕양명 생명관의 생태 윤리적 해석이 담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서양 환경윤리의 다양한 갈래를 대체적으로 종합할 경우 크게 인간 중심적인 개체론과 비인간 중심적인 전체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간 중심적인 개체론은 생명과 생태에 대한 기계론적인 유물론적 해석을 통해 인간이라는 개별성의 가치 제고에 집중한 결과 인간과 여타 생명체 사이에 분명한 계서를 조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관계 설정에서 동반자적 혹은 친화적 관념을 간과하게 만들었다. 이에 반해 비인간중심적인 전체론적 접근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자연과 인간 사이의 이원화 해소에 주력한 나머지 모든 생명의 평등적 직관을 주장함으로써 실천과 행위 영역을 방기한 측면이 강하다. 이렇게 볼 때 현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 대안은 이 양자의 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포괄적 접근의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논자는 왕양명 생명관의 생태 윤리적 해석이 현대 서양 환경윤리의 격렬한 논쟁의 결과 노정된 난점의 극복에 어떤 총섭적 함의를 보여줄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왕양명은 환경생태에 대한 전일적(全一的) 이해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비인간중심적인 전체론과 비슷한 점을 보이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 책임과 실천에 있어서는 인간의 역할을 강조하는 보다 확장된 인간 중심주의의 일면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양 측면이 그의 생태 윤리 사상에서 어떻게 체계화되고 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첫째, 왕양명은 一氣相通의 우주론에 의거하여 생명가치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둘째, 萬物一體의 존재관과 생명가치의 연관구조에 비추어 개별생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一體的 관계에 의거하여 생명가치의 자각과 실천에 대해서 어떻게 보았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왕양명 생명관에 대한 생태 윤리적 해석이 현대 생태위기 극복에 있어서 어떤 가치론적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하였다. The paper considered what kinds of implications could have Wang Yang Ming’s ecological ethical interpretations on his life thought in various ethical debates for overcoming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risis. The western environment ethics is divided into human beings centered individuality and non-human beings centered holism. Human beings centered individuality encouraged to form discriminative orders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lifes as well as to make friendly notion neglect in 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by focusing on lifting values of individuality called human beings by dint of mechanical materialistic interpretations on life and ecology. On the contrary, non-human beings centered holism neglected practice and activity by focusing on emphasizing an equal intuition toward all of lifes to solve dualism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for overcoming a present ecological crisis. Therefore, a substantial alternatives for overcoming a present ecological crisis are viewed as comprehensive approaches which can improve the above two difficulties. From this kind of thinking, I have researched what kinds of comprehensive implications could exhibit Wang Yang Ming’s ecological ethical interpretations on his life thought for solving these difficulties which are resulted in various debates over the present western circumstances ethics. In fact, Wang Yang Ming can be said to support non-human beings centered holism from the fact that he pursues an holistic grasps on the ecological circumstance on the hand, and can be viewed as showing a more enlarged human beings centered viewpoint which emphasize human being’s role in practice and activity on the other hand. It was examined in this thesis how both of these viewpoints were combined in Wang Yang Ming’s ecological ethics, and whether it was useful for solving ecological crisis or not.

      • KCI등재

        왕양명의 생명존재론 - 왕양명의 자연과 생명에 대한 이해 -

        양선진 ( Sun Jin Y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5 No.-

        서양의 과학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시작했으며 이런 가운데 자연을 인간과 구별된 존재로 인식하면서 자연을 단순한 물질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물질을 더욱 쪼개면서 하나의 원자덩어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인간중심적 사고에 의한 자연은 하나의 물질 덩어리이며 물질 덩어리인 자연은 인간의 이용과 착취의 대상이 되었으며 결국 자연 세계를 왜곡하여 이해하면서 결국 자연을 착취하게 되었다. 또한 생명공학은 생명을 물질로 간주하는 기술적 사고와 관계를 맺기 시작했으며 과학기술의 중심에는 인간마자도 물질로 인식하는 유물론적 시각이 지배하게 되었다. 자연도 인간과 무관한 자연으로 인식하게 된 것처럼 인간 내부의 신체 부분의 유기적 속성을 부정하게 되었으며 인간과 인간 이외의 기타 존재의 관계망이자 공존성을 무시하고 주-객의 이분법적 사고를 낳았다. 과학기술적 사고를 야기했던 서양의 과학적이며 지성적 사고로부터 전환하여 왜곡된 인간의 시선을 교정하기 위해서 새로운 생명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유기체적이며 만물일 체적 사고로 전환해야하며 유학은 바로 이러한 정신이다. 유학은 인간이 자연 존재 속에서 지닌 독특한 위상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인간과 우주자연은 하나라는 유기체적이고 전체론적 존재론(organic and holistic ontology)이다. 왕양명은 인간이 지닌 고유하고 독특한 생명의 특성인 인간의 정신성을 무시하거나 간과하지 않는다. 인간 자신의 고귀한 생명을 존중하며 인간과 자연의 유기체적이고 전체론적 시각에서 생명문제를 바라본다. 인간의 고유한 존재론적 성격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자연을 포함한 모든 존재 그대로 인식하려는 존재론적 회복을 통해서 생명문제를 해결할수 있다는 것이다. The Western science is beginning to recognize the nature in view seen from a human perspective, Recognizing the nature different from the human and thinking the nature by a simple matter. The nature by human-centric thinking is one lump of matter and is subject to human use and exploitation. After all, we have the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world and finally exploited the nature. In terms of life, the biotechnology eventually start to the technical thinking and relationship to life. We have the materialism recognizing the life as matter and the nature distinct to the human being. In this sense, recognizing the nature as totality of the simples non interactional parts, the modernist ignores the network of the existences between human and human,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He gave birth to the dichotomy thinking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e Confucianism emphasizes co-existenc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ural and human. It help to convert the western scientific and reasonable thinking to the organic and holistic ontology. It does not to deny the unique role of the human being, at the same times the unity of the human and the nature. Wang, Yang-Ming does not ignore and the human spirit. He respect the nobility of the human life and the organic and holistic nature. In this context,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life and of nature.

      • KCI등재

        韓國仙道의 ‘一ㆍ三ㆍ九論(三元五行論)’과 日本神道

        정경희(Jung Kyung-hee)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한국선도의 존재론(氣論)인 ‘一ㆍ三ㆍ九論(三元五行論)’에서는 존재의 ‘본질’을 ‘1氣(天ㆍ地ㆍ人 3氣)〔一(3), 하느님(삼신)〕‘으로 바라보는데 이는 우주의 근원적인 기에너지로서 ’無善惡ㆍ無我ㆍ無ㆍ空’의 속성을 지닌 ‘약동하는 생명력’으로 이해된다. 한국선도의 ‘氣’는 일본신도에 이르러 ‘가미神’로 전화하는데, 『일본서기』나 『고사기』에서는 공히 ‘1기(3기)’를 ‘天御中主尊 1神(神皇産靈尊ㆍ高皇山靈尊ㆍ天御中主尊 3神)’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한국선도에서는 ‘1기(3기)’가 비롯되는 우주의 한 지점을 ‘북두칠성 근방, 하느님나라( 國, 天宮)’로 지적하는데, 신도 역시 ‘1신(3신)’을 북두칠성으로 인식한다. 한국선도에서는 존재의 ‘본질’이자 약동하는 ‘생명력’ 자체인 ‘1기(3기)’가 움직임을 시작하여 ’9기(5기)‘로 이루어진 ’현상‘의 물질세계가 만들어진다고 본다. 곧 ’1기(3기)‘는 음ㆍ양 이원적 분화 방식에 의해 물질세계를 구성하는 ’8기(또는 氣ㆍ火ㆍ水ㆍ土 4기)‘로 화하게 되는데, 현상의 물질세계는 음ㆍ양 이원의 원리에 의해 작동되므로 ’분리‘와 ’대립‘의 속성을 갖는다. 이때 본질인 ’1기(3기)‘의 원초적 생명력은 ’調和點‘으로써 현상 물질세계의 ’분리‘와 ’대립‘을 조화시키게 된다. ‘본질’의 ‘생명력’이 ‘현상’의 ‘이원적 분리와 대립’을 ‘調和’시켜 나가는 방향은 ‘全體’와 ‘公’의 방향이다. 곧 본질은 약동하는 생명력이자 무심한 緣起의 법칙이기에 ‘全體性’ 또는 ’公性‘, 좀 더 구체적으로 ‘공전을 우선하는 자전’, ‘공평을 우선하는 평등’, ‘구심을 우선하는 원심’의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는 존재계 전체에 적용되는 원리일 뿐아니라 존재계의 일부인 우리 인간이나 인간사회에도 꼭같이 적용되는 원리이기에 더욱 의미심장하다. 이는 선도의 실천론인 ‘弘益論(’弘益人間ㆍ在世理化論‘)의 구체적인 강령이기도 하다. 한국선도 ‘일ㆍ삼ㆍ구론(삼원오행론)’에 나타난 ‘9기(5기)’론은 신도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있다. ‘본질’이 ‘神’으로 의인화되었듯이, ‘현상’ 또한 그러하다. 먼저 『일본서기』의 경우 ‘본질’ 및 ‘현상’이 ‘神世七代’로 묶여 표현되었는데, 한국선도의 ‘9기(5기)’론과 꼭같은 접근법이었다. 반면 『고사기』에서는 ‘본질’은 ‘別天神’, ‘현상’은 ‘神世七代’로 분리되었다. 또한 ‘일ㆍ삼ㆍ구론(삼원오행론)’의 하위 이론이자 현상론인 ‘음양오행론’에 초점을 맞추어 ‘현상’인 ‘神世七代’를 음ㆍ양 이원적으로 더욱 자세하게 풀어 설명한 점이 『일본서기』와 달랐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본질’과 ‘현상’을 바라보는 기본 관점이 동일하며 무엇보다도 본질과 현상을 함께 표현해 내고 있으니 한국선도 전통의 연장 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한국선도와 일본신도는 공히 존재의 ‘본질’을 ‘약동하는 생명력’으로 보고 이러한 본질적 ‘생명력’이 ‘현상’의 물질세계를 주도한다는 존재론적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The basic ontology of Korean Sundo(韓國仙道) is the idea of ‘One-Three-Nine (一ㆍ三ㆍ九論)’, i.e.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In this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stance of being is ‘One Ki 氣’[Chun(天)ㆍJi(地)ㆍIn(人) ‘Three Ki’] or ‘God[ , three gods(三)]’. It is the original cosmic energy, i.e. ‘active vitality’ with the property of naught. ‘Ki’ of Korean Sundo turns into ‘Shin(神)’ in Japanese Shinto. Thus ‘One Ki’(‘Three Ki’) can be expressed ‘God[一神, three gods(三神)]’. The one spot of cosmos from which ‘One Ki’(‘Three Ki’) is originated used to be considered ‘the Big Dipper’ both Korean Sundo and Japanese Shinto. The substance of being, ‘One Ki’(‘Three Ki’) starts to move and makes the material world, i.e. the phenomena of being which is composed of ‘Nine Ki’(or ‘Five Ki’). ‘One Ki’(‘Three Ki’) divides into ‘Eight Ki’(‘Four Ki’) of the material world by the separation of Yin and Yang. ‘One Ki’(‘Three Ki’) plus ‘Eight Ki’(‘Four Ki’) makes ‘Nine Ki’(‘Five Ki’). Due to the separation system of Yin and Yang, the material world has the property of ‘separation’ and ‘confrontation’. The original cosmic energy, i.e. ‘active vitality’ becomes the core of harmony and harmonizes ‘separation’ and ‘confrontation’ of the material world. The standard of harmony is ‘the whole’ and ‘public’. Because the substance of being is ‘active vitality’ and the law of causality itself, it has the property of ‘the whole’ and ‘public’. In a word,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stance of being is just ‘active vitality’ and it makes and moves the material world in Korean Sundo and Japanese Shinto commonly. Since Yayoi period, an immigrant from Dangun Chosun(檀君朝鮮) had propagated Sundo to Japan and it had settled down and became Shinto. Since then Korean Sundo and Japanese Shinto has progressed separately and made different tradition. But the basic structure of the theory of being did not change and maintained common pattern. It is expected that the idea of ‘vitality’ and it’s social thought, the idea of Hongik (弘益) in Korean Sundo and Japanese Shinto is illuminated as universal value for all times and places.

      • KCI등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김일방(Kim, Il-Bang)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8 No.-

        생명윤리와 환경윤리는 동시대, 동공간을 배경으로 현실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학문들이었지만 현재는 그 거리가 아주 멀게 느껴지는 학문이 되고 말았다. 생명윤리, 환경윤리 각자가 서로 간의 학문적 교류 없이 자신들의 길만을 걸어갔기 때문이다. 양 학문이 서로 간의 교류를 통하여 상호보완해 나간다면 더욱더 생산적인 연구 성과를 거둘 수 있을 텐데도 여전히 양측은 독립독행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 하에 양측이 상호보완해 나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도록 양 학문을 비교 검토하고, 거기서 파악된 차이와 대립을 통일할 수 있는 절충점을 찾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양 학문을 비교 검토한 결과 ①생명윤리는 인간중심적 경향이 강한 반면, 환경윤리는 탈인간중심적 경향이 강하고, ②생명윤리는 개인에게 자기결정권이라는 형식으로 어떤 의미에서의 절대적 권한을 부여하는 반면, 환경윤리는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부인해서라도 지구 전체의 이익을 지키려 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었다. 필자는 전자의 입장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절충점으로는 ‘수정된 인간중심주의’를, 후자의 입장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절충점으로는 ‘포섭기준과 비교기준의 융통성 있는 적용 방식’을 제시하고 그 근거를 밝히고자 하였다. Bio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were born in the same era and in the same space to solve real social problems. Today however, quite a distance has grown between the two disciplines as bio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strode forward without maintaining academic exchanges between each other. If the two disciplines were to exchange more closely with each other, we would be able to achieve more productive research. To elucidate on their differences, I first examined and compared the two sides to find a compromise. I also tried to find a way both sides could complement each other on the basis of a trade-off. After comparing the two sides, I learned the following: ① Bioethics has strong anthropocentric tendencies, while environmental ethics has non-anthropocentric tendencies. ② Whereas bioethics grants absolute rights to individuals in the form of self-determination, environmental ethics tries to defend the interests of the entire global ecosystem even if the self-determination of individuals is ignored. I proposed ‘a modified anthropocentrism’ as a compromise to resolve the differences in position of the former, a‘flexible way to apply inclusion criteria and comparison criteria’ as a compromise to resolve the differences in position of the latter, stating the reasons for presenting the compromi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니체와 ‘불의 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In “Die fröhliche Wissenschaft” bezeichnet Nietzsche sich als Feuer, welches nicht nur die drei Dimensionen, das Wahre (Licht), das Gute (Kohle), das Schöne (Flamme), in sich schliesst, sondern auch die Gleichzeitigkeit von Sein und Werden, Entstehen und Vergehen, letztendlich Leben und Tod symbolish zum Ausdruck bringt. Ausgehend von zwei Feuermythen, nämlich Prometheus-und Agnimythos, analysiert die vorliegende Arbeit diese drei Dimensionen des Feuers,die unter dem Begriff der “Alchemie” als “Kunst der Transformation” zu subsumieren sind, und dann zeigt, wie der Prometheusmythos im Unterschied zum Agnimythos, von Wahrheits-und Nützlichkeitsdiskurs befangen, die dritte (physio)ästhetische Dimension vernachlässigt, die allerdings im Nitzscheanischen Sinne zu verstehen gilt. Der tanzenden Flamme, die im Rythmus von Ein-und Ausatmen das Wechselspiel des Erscheinens und Verschwindens zutage bringt,schreiben die ‘Upanischaden’ deswegen die heilige Göttlichkeit zu, weil hier der Gott des Feuers, Agni, zugleich als ‘Gott der Atmung’ jenseits der Wahrheit des Lichts und Nützlichkeit der Energie den Rhythmus der Atmung und ‘die dazwischenliegende Leere’ als ‘Wesen des Leben’ anerkennt und aufwertet. Wir werden sehen, wie Nietzsche’s ‘Alchemie des Feuers’ im Unterschied zu den heutigen Modebegriffen wie ‘Fusion, Konvergenz, Concilience’ und gegen alle totalitǟre und systematische Fusionsbegriffe uns das neue subtile und dynamische Ganzheitsmodell zum Vorschein bringt. 본 논문은 생명과 문명의 탄생, 진선미(眞善美: 빛과 열과 꽃)의 일체성,생성과 소멸의 동시성, 창조적 변형의 연금술, 그리고 중력에 저항하는 초월성을 떠올리게 하는 불의 상징을 통해 융합, 복합, 통합의 개념에 내재한 불의연금술적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통해 니체 사상의 생명미학적 융합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유기체론적이고 기계론적인 전체성의 토대가되는 서구적 인간관을 넘어 새로운 ‘으로서의 인간’이 소개되며 제 3의 전체성을 상징하는 ‘문화복합’과 카오스적 혼돈과 코스모스적 질서가 공존하는 제 3의역동적 상태를 개념화한 ‘카오스모스’가 논의된다.

      • KCI등재

        “민족생명력”을 위한 과학과 의료 ― 생리학자 우라모토 마사사부로의 “전체원리”를 중심으로

        홍수경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8 No.-

        본 논문은 생리학자 우라모토 마사사부로(浦本政三郎, 1891-1965)의 아시아태평양전쟁기의 활동과 저술을 통해 의학계에서 발신된 총력전 체제 구상, 즉 “의계신체제(醫界新體制)”의 일면을 고찰한다. 우라모토는 전전 일본의 생리학계를 이끈 의학자 중 하나로, 도쿄지케이카이(東京慈恵會)의과대학 생리학 교실에 몸담으면서 주로 자극 생리학, 반사 이론, 체력의학 등의 기초 의학 연구에 종사했다. 그는 193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의학 전문 이외의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하면서 민족, 과학, 민족생명력, 그리고 의학이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 등에 관한 논의를 전개해나갔다. 이러한 저술 및 연구 활동은 동시대의 의학자/생리학자들 중 특히 “일본의학”, “일본과학”을 지향하는 일군의 전문가 집단 속에 자리매김할 수 있다. 우라모토는 메이지기를 풍미했던 사회유기체론을 새로운 세포 이론의 지식을 원용하여 총력전기에 걸맞은 국민 국가(제국) 공동체를 상상하는 매개체로 활용했다. “전체원리(全體原理)”로 집약할 수 있는 우라모토의 전시기 의학 담론은 전시기 의학교육, 의료 시스템 변혁을 위한 의계신체제 운동에 접속해나갔다.

      • KCI등재

        대지윤리의 윤리적 쟁점들

        김남준 ( Kim Nam Joon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레오폴드의 ‘대지윤리’는 서로 밀접히 연관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진술에 기반하고 있다. (1) 대지윤리는 공동체의 범위를 흙, 물, 식물과 동물, 곧 집합적으로 대지를 포함하도록 확대하는 것이다. (2) 대지윤리는 호모 사피엔스의 역할을 대지 공동체의 정복자에서 그것의 평범한 구성원이자 시민으로 변화시킨다. 대지윤리는 대지 공동체의 동료 구성원에 대한 존중과 대지 공동체 그 자체에 대한 존중을 함의한다. 레오폴드는 이러한 전제 아래 “어떤 것이 생명 공동체의 온전함, 안정, 아름다움을 보전하는 경향이 있다면 그것은 옳다. 반면 어떤 것이 그 반대의 경향이 있다면 그것은 그르다.”라는 윤리적 명제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대지윤리는 부분에서 전체로, 개체에서 공동체로 그 강조점을 옮김으로써 인간중심주의에서 생태중심주의로의 윤리학적 전환을 도모한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대지윤리의 특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비판과 논쟁이 제기되었다. (1) 대지윤리는 윤리로 성립할 수 있는가? (2) 대지윤리는 환경 파시즘인가? (3) 대지윤리는 반인간적 윤리인가? (4) 대지윤리는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는가? (5) 대지의 가치는 내재적 가치인가, 본래적 가치인가? 이러한 의문들은 대지윤리에 내포된 공동체의 중첩성, 덕윤리적 특성, 인간의 가치 평가와 태도의 역할 등에 의해 해소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Leopold’s land ethic is based on the following closely related statements: (1) The land ethic enlarges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to include soils, waters, plants, and animals, or collectively, the land. (2) The land ethic changes the role of Homo sapiens from conqueror of the land-community to plain member and citizen of it. It implies respect for his fellow-members, and also respect for the community as such. Based on these premises, Leopold proposes the summary moral maxim of land ethic: A thing is right when it tends to preserve the integrity, stability, and the beauty of the biotic community. It is wrong when it tends otherwise. The two most revolutionary features of the land ethic are, first, the shift in emphasis from part to whole ― from individual to community ― and, second, the shift in emphasis from human beings to nature, from anthropocentrism to ecocentrism. Due to these features of the land ethic, there ar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oversies: (1) Can the land ethic be an ethic? (2) Is the land ethic an environmental fascism? (3) Is the land ethic antihuman? (4) Does the land ethic commit naturalistic fallacy? (5) Is the value of the land intrinsic value or inherent value? These questions are expected to be answered by the overlap of the communities, the virtue ethical account of the land ethic, and the role of moral agent’s evaluation in the land ethic.

      • KCI등재

        평화적 사유를 통한 교육 이해의 지평

        박보영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미래교육학연구 Vol.18 No.1

        평화교육은 '평화능력', 즉 평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다. 전쟁과 테러, 생태계 파괴와 같은 전지구적인 비평화의 상황에서 평화교육은 인류를 비롯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해야 할 교육적 과제이다. 본 연구는 평화교육이 교육철학적인 기반을 가지고 실천되기 위한 기반으로서, 평화적 사유의 원리를 통하여 교육을 보는 관점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교육 이해의 지평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평화의 개념을 다양한 문화권에 따라 살펴보고, 현대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 그리고 생명중심적 평화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화 개념에 근거하여 평화적 사유의 원리란 교육을 과연 어떠한 관점에서 보는 것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평화적 사유를 통하여 교육을 이해할 때, 어떠한 교육적 이해의 지평이 열리는가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peace education is building 'peace capacity', that is, the ability to create peace. Considering the global violent situation, for example, terrorism, war, ecological crisis, we urgently research and practice the peace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principle of peaceful approach.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concept of peace according to the various culture and modern concept of 'negative' and 'positive' peace by Johan Galtung. Then,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peaceful thought through the concept and to apply the peaceful thought for reconsidering and analyzing educatio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