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박은정(Park, Eun-Jung)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작품은 박경리의 파시와 이호철의 『소시민』이다. 이 두 작가는 한국전쟁 직후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전후작가로 그들의 작품 세계가 한국전쟁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50년대에 각각 전쟁으로 가장이 된 여성과 실향민이라는 개인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에는 장편소설을 통해 개인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는 단편소설에서 담아내기 어려웠던 등장인물들의 생활상이 제시된다. 두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 후방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이 작품을 통해 그 시대상을 포착할 수 있다. 두 작가가 작품을 통해 의도적으로 부산 등의 후방 도시를 그려내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작품들을 통해 드러나는 부산의 생활상은 전쟁 이전 시대의 사회상과의 차별성을 찾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쟁 이후의 시기인 196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가 이미 전시 후방 사회였던 부산에서 경험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전쟁 당시 부산의 모습을 살핀다. 부산은 한국 전쟁 당시 인적․물적 자원이 집합된 곳으로 전쟁 중임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풍요롭고 활기차게 보이는 곳이다. 전쟁으로 인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든 부산이 전쟁의 수혜지로 어떻게 비춰지고 인식되는지는 살피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쟁 수혜지에서 유통되고 소비되는 물자들로 인해 당시의 후방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핀다. 전시 후방 사회는 급격한 경제 변화로 부의 재편성이 일어났다. 기존의 부유층은 그대로 부를 유지하고 생활하기도 했지만, 전쟁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한순간에 몰락의 길을 걷기도 했으며, 전쟁이라는 혼란기를 이용하여 신흥 부유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이런 부의 재편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살피는 것은 타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이다. 한국전쟁은 한국사회에 경제적 변화만 이끌어낸 것이 아니다. 전쟁 당시 한국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이와 함께 한국 사회에 미국 문화의 영향도 크게 자리 잡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이질문화의 수용은 한국인들에게 많은 변화를 이끌어냈는데, 본 연구에서 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또한 살핀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혼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법과 부조리를 통해 신흥 부유층이 등장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외국문화의 수용과 함께 당시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성인식 변화를 살필 수 있는데, 이는 아프레 걸과 기존의 성 역할 인식에 도전하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당시 성 인식의 변화는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변화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부산 사회가 전후 한국사회의 변화를 앞서 보여주는 곳이었음 알 수 있다. 『파시』와 『소시민』은 전쟁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 당시 후방에서의 사회변화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소설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한국전쟁 소설의 폭을 광범위하게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전쟁사회와 북한의 냉전 인식

        한성훈(Han SungHoon)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1

        북한사회는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군인을 중심으로 사회를 조직하고, 군대를 거점으로 정치경제가 움직이는 체제이다. 이는 전쟁이 사회제도의 일부로 편입되어 인민과 사회와 국가는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유기체와 같은 조직이 된다. 그리고 군을 중심으로 체계화된 사회는 경제와 사회영역이 무력에 종속된 병영국가로 나타나고, 이것은 선군정치가 등장하는 데 매우 용이한 배경이 되었다. 1958년 북한은 한국전쟁 당시 주민피해로부터 모든 피해의 상징이자 반미인식을 고취하는 상징으로서 신천박물관을 건립했으며, 60여 년 동안 지속된 전쟁공포와 핵무기 위협은 이들의 냉전 인식을 강화시켰다. 북한 지도부는 이곳을 인민의 계급교양 거점으로 삼아 피해의식과 전쟁기억을 전승하고, 반미라고 하는 실천 이데올로기의 물질적 기초이자 선군시대 혁명 후속세대의 계급교양 전통으로 역사화하고 있다. DPR Korea is military community to combat readiness. This state organized social structure focus on military center and politics and economy system work order force base. War world become to garrison state, it is an organism that people, society and state to efficiently carry out war. The social order on centered military provide a backdrop for the Military-First Politics. The constructed Shincheon Museum in 1958, symbolize injury awareness of the Korean war and was just beginning to play a role as the hub of anti-Americanism. North Korean people was haunted by the fear of war and nuclear weapons as a threat in the past 60 years by the United States, they have taken effect political idea education to people against state of crisis. On the one hand, this museum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ar memory what injury awareness and war phobia and on the other, it is a physical basis on anti-Americanism as practical ideology and has educated traditionally succeeding generation in the Military-oriented Age.

      • KCI등재

        전후 독일 사회와 전쟁의 기억담론 -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문 밖에서’를 중심으로 -

        최선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5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4

        German society underwent drastic changes from extreme poverty and turmoil to post-war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I. German people shared the so-called "collective memory" during the war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into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Nowadays the generations who experienced World War II ha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war will become as a sort of myth in the near future. When there is no more living witness of history, society is bound to rely on two different ways in association with the past. One is academic, historical research, and the other is media-aided "cultural memory."A noteworthy thing related to memory is the form of autobiography. An autobiography requires the identity of the writer, the narrator and the main character. This is a story that a person reminisced his or her own personal life and life history in prose, and the subject matter of it is himself or herself. In this perspective, Wolfgang Borchert's text can be one of important themes for research into the memory of post-war Germ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 problem of generation" in German and European society after World Wars I and II and the memory of the wars in German society by analyzing Wolfgang Borchert's work "Drauβen vor der Tür." It's specifically meant to look into criticism by post-war returned generations including W. Borchert against "creating a myth of hero" through history or the arts in German society, and into another criticism against the new "anti-hero" era and discussion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wars. 2차 세계대전 후 독일 사회는 극도의 궁핍과 혼란, 전후 복구 사업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겪었다. 전쟁과 동․서독 분단이라는 상황 속에서 독일인들은 이른바 ‘집단기억’을 형성하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과 관련한 세대가 점차로 사라지고 있는 오늘날, 머지않아 2차 세계대전은 하나의 신화가 될 것이다. 역사의 산증인이 없을 경우, 사회는 과거와 관련한 두 개의 상이한 방식에 의존하게 된다. 그것은 학문적-역사적 연구와 매체에 의존한 ‘문화적 기억’에 의존하는 방식이다. 기억과 관련해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자서전의 형식이다. 자서전이란 작가의 상황과 극 중 화자와 주인공의 동일성이 완전히 충족되어야 한다. 자서전이란 한 실제 인물이 자기 자신의 존재를 소재로 하여 개인적인 삶, 특히 자신의 인생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야기한 산문으로 쓴 과거회상형의 이야기다. 이런 맥락에서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텍스트는 전후 독일 사회 기억 연구의 중요한 테마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양차대전을 전후하여 독일 및 유럽 사회에 등장한 ‘세대문제’를 살펴보고,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문 밖에서>에 반영된 독일 사회의 ‘전쟁의 기억 문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기존 독일 사회에서 보여 주었던 역사, 예술 활동을 통한 ‘영웅의 신화 만들기’ 작업이 보르헤르트(W.Borchert)를 대변하는 전후 귀환 세대들에게 비판받고 새로운 ‘반(反)영웅’의 시대 비판과 전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가는 양상을 고찰할 수 있다. 현대 사회 인류 최대의 비극인 제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전쟁의 비참함, 잔학성, 비인간성을 자각하게 되었고 전쟁에 대한 반성과 책임문제에 대한 논의로서 역사와 문학을 고찰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볼프강 보르헤르트는 실제 전쟁에 참전하여 전쟁의 충격과 고통을 몸소 겪었던 자신의 체험으로, <문 밖에서>를 통해 2차 대전 후 전쟁의 책임에서 도피하려고 한 전후(戰後) 독일 사회에 대한 고발과 경종을 울렸다고 할 수 있다. 세기말 이후 등장한 독일 청년운동은 독일 현대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00년을 전후한 시기에 태어난 이들은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부자(父子)관계의 변화와 수적인 증가, 삶과 노동의 성인세계로부터의 분리, 사회동질성의 전통적 형태의 약화를 통해서 자신들을 하나의 세대로 자각했다. <문 밖에서>는 "전쟁의 패망이 지난 후 전장과 포로수용소로부터 귀향하는 병사들의 운명과 현존하는 주변 세계와의 갈등과 긴장을 다루면서, 내․외적 세계의 새로운 가치와 질서의 수립, 그리고 파국을 청산하려는 생존자들의 재고 조사"라고 할 수 있는 전후(戰後)의 귀향문학이다. <문 밖에서> 작품 속 베크만은 기존 독일 사회에서 숭배받던 영웅이 아니라 전형적인 반(反)영웅이고, 독일 사회에 전쟁에 관해 책임을 묻는 질문자라 할 수 있다. 보르헤르트는 작품 <문 밖에서>를 통해 책임회피를 하는 동시대의 전쟁 책임자들에게 자기 인식과 독일 사회의 정체성 재정립의 계기를 마련하려 하였다.

      • KCI등재

        한국전쟁과 냉전의 사회과학자들-한국전쟁의 경험은 어떻게 미국 냉전 사회과학의 일부가 되었는가?-

        정준영 ( Jung Joon Yo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이 논문은 냉전 사회과학 확립의 전환적인 계기로서 미국 사회과학의 한국전쟁 개입 과정과 그 내용을 분석한 연구 성과들에 기반 하여 주요한 쟁점과 연구 과제를 조망한 것이다. 미 공군대학의 인적자원연구소(HRRI)가 한국전쟁에서 실시한 조사연구 프로젝트를 분석의 준거로 삼았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지식과 과학의 전쟁동원 역시 종료되었지만, 한국전쟁의 발발로 사회과학은 다시 국가에 복무할 기회를 부여받았다. 미국의 사회과학자들은 군의 요청에 따라 한국이라는 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그 조사 결과는 사회과학의 방법으로 가공되어 미국 사회과학 저널에 학술 논문으로 게재되기도 하였다. 전쟁동원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도 ‘프로젝트 발주-현지조사-보고서 작성-연구논문 제출’이라는 학술연구의 전형적 프로세스가 작동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 부각시키고자 한 것은 이 학술의 과정에서 추상화와 계량화를 통해 탈맥락화되고 은폐된 현실의 지점들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process of American social scientists’ intervention in the Korean Wa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cold war social science. The case of analysis is the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he Human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HRRI) of the U.S. Air University in the Korean War. The war mobilization of academic knowledge was terminated by the end of World War II, but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social scienc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serve the state again. At the request of the army, American social scientists carried out the project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the battlefiel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processed by the methods of social science and published as academic papers in the social science journals. Even in war mobilization, the typical process of academic research, “project ordering-field research-report preparation-submission of research paper”, worked normally. What is intended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are points of reality decontextualized and concealed through abstraction and quantification in the course of that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갑오농민전쟁과 일본사회

        임병택 동학학회 2010 동학학보 Vol.20 No.-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이 일본사회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있고 어떻게 자리매김이 되어 있는가? 또 일본에서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이해의 심화가 어떻게 동아시아 평화와 한반도 통일에 연결되는가? 이 같은 문제에 대한 해답의 일단으로 일본에서 민족운동 및 시민운동을 해온 재일한국인(在日韓國人)의 입장에서 필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첫 번째 자신과 재일한국인에 있어 갑오농민전쟁은 재일 2세로서의 자신, 민족적 소외에 대한 고뇌, 민족운동 참가와 한국 민주화운동, 갑오농민전쟁과 ‘민족의 긍지’와 민족운동의 입각점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두 번째 갑오농민전쟁, 일본사회의 수용 측면은 (1) 자신의 초․중학교 시대 교과서에 나타난 ‘산업의 발달과 대륙진출’에 있어서 청일, 러일전쟁, 한일병합(韓日倂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 삿포로시 현용(現用)교과서에서 새로운 일본 만들기는 전쟁과 일본, 아시아, 청일․러일 전쟁, 전쟁이 끼친 영향과 조선병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 갑오농민전쟁을 중심으로 한 교과서 기술에 대해 청일전쟁 관련 기술과 인식 속에 일본사회의 조선에 대한 부당한 경시의식, 일본에 대한 대국의식이 감추어져 있음을 살펴봤다. 세 번째, 갑오농민전쟁에 대해, (1) ‘조선을 주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본의 역사교과서 속의 갑오농민전쟁에 관련한 청일전쟁 기술에서 조중 관계를 예로 들어 조선에 대한 주체적인 이해가 불충분함과 일본의 침략성 인식의 불철저함을 지적했다. 일본은 대국(大國)인 중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데 의식을 빼앗겨 기본적으로 청일전쟁이 조선에 대한 침략전쟁이라는 사실은 명확하게 자리매김되고 있지 않다. 중국이 관련됨으로써 조선의 주체성에 대한 일본 측의 이해는 약해지고, 일본의 침략 행위는 애매하게 되어버리고 있는 면도 있다. 역사인식의 유사형태인 메이지시대에 대한 동경, 구미열강의 압박을 배제하고 근대국가를 형성)는 일본사회에 이미 존속하고 있으며, 금후 증폭되어 갈지도 모른다. 현재 일본사회에서는 아시아 태평양전쟁기 일본의 침략이나 전쟁 책임에 대해서는 불충분해서 자각(自覺)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처해 있는데, 그것을 대상(代償)하려고 하는 ‘일본의 국민의식’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일본의 침략, 제국주의 행위에 대한 반성은 ‘일본의 근대국가 형성기의 아시아 침략’에 대한 확실한 반성의식의 확립이 중요한 과제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갑오농민전쟁에 대해 일본과 중국의 아시아에 대한 주도권 다툼이라는 과제, 남북한 분단에 따른 대립과 긴장이라는 과제라고 생각한다. (2) 갑오농민전쟁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 통일’과 연관지어 일본에게 바라는 것은 일본이 통일을 저해하는 입장에 서지 않을 것, 평화통일을 위한 환경 조성을 지원할 것 등을 지적하고 싶다. 그것의 기초가 바로 일본의 조선과 아시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며 일본의 역사 문제에 대한 총괄이 요청된다. 그러할 때 일본의 침략·전쟁책임에 대한 인식이 철저할 수 있으며, 조선에 대한 주체적 이해도 가능해 질 것이다. 일본에서는 식민지 지배 이전 시기의 일본의 침략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조선 근대화의 분기점이 된 갑오농민전쟁 진압에 대해서는 의식되지 않고 있다. 갑오농민전쟁이 조선근대사상에서 차지하는 ...

      • KCI등재

        한국전쟁기 부산의 경제상황과 피란민의 경제활동 연구

        공미희(Kong, Mi-Hee) 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학 Vol.23 No.1

        본고는 한국전쟁 발발 후 피란수도 부산의 경제상황에 대해서 고찰했고 또 피란민들이 무엇을 해서 먹고 살면서 정착을 해 나갔는지에 대한 개별적인 경제활동을 당시 사회상황에 비추어서 분석해 사회현상에 대한 특징을 도출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사람들의 예금인출 격증과 통화 대량방출로 부산의 경제상황은 격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인플레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기관 예금지불에 관한 특별조치령」 공포 및 「국민저축운동 추진요강」 등의 금융정책을 실시했지만 물가는 여전히 급등했고 피란민들은 생계유지를 위해서 생업의 전선에 뛰어들어야만 했었다. 미제 깡통을 펴서 판잣집 지붕을 만드는 깡깡이 업을 하는 사람, 나무를 주워 땔감으로 파는 사람, 부두노무자나 지게꾼 등의 경제활동은 험난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일을 해서 당시 혹은 향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경제발전과 노동력을 창출하는 데 기여를 했다. 이처럼 힘겹게 법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경제활동을 한 사람이 있었던 반면, 반대로 곡류를 매점매석 혹은 은닉해서 곡가등귀를 꾀하는 사람들, 밀주제조 및 양주장을 비롯한 직물이나 물품에 대한 탈세자들, 마작도박판을 벌였던 고위정부간부들, 마약밀매를 한 사람들 등의 경제활동은 일명 지하경제로서 표면적으로 드러내어서 하고 싶었던 경제활동은 아니었으며 결과적으로 사회의 각계각층에 만연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런 기득권의 부정부패 의식은 전쟁혼란기에 더욱 더 잠재해 있었으며 퇴폐적인 이런 관습은 현재까지 존속해 여전히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사회발전을 저해시키는데 큰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한국전쟁기 부산의 경제상황과 피란민의 경제활동 분석을 통해 당시 사회현상에 대한 4가지 특징(전시상황에서도 일반적인 경제체제와 유통구조 지속, 전쟁기 피란민의 삶과 일상, 전쟁시 이중착취상황에 처했던 여성들의 일상, 전쟁시 가혹한 독점경제)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기 부산에 유입한 피란민들이 부산의 어려운 경제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부산에서 정착해가는 양상을 경제활동 특히, 당시 사회문제로 대두된 식량, 주택, 식수, 연료 등과 같은 사회현상에 반영되어 직업이 생겨났음을 고찰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사회적으로 부정정인 영향을 준 경제활동도 있었고 그것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특징도 제시했지만, 당시 그 어려웠던 피란시절에서 이들의 숨은 피땀 흘린 노력과 희생 등이 오늘의 부산을 있게 하는데 원동력이 되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in light of the social phenomena of the time and what economic activities they did to make a living.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people’s deposits and withdrawals surged, and there was severe inflation due to the mass release of currency. As a result, prices soared and the refugees had to jump into the front line of livelihood in order to make a living. Positive economic activities such as those who open American cans to make shack roofs, those who pick up wood and sell them as firewood, and pier laborers and bearers, etc. It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a workforc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soldiers were able to fight on the front line because they transported military goods as wharf laborers, and it can be said that these merchants, whether selling gum or cigarettes, were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it can be said that clothes and cosmetics stores, hawkers, and food sales businesses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Busan’s commercial facilities. While there were people who laborious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within the scope of not violating the law,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tried to earn money by buying up or hiding grains, tax evaders for fabrics and goods including moonshine and liquor, and gambling in mahjong. Negative economic activities such as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nd drug traffickers were not the economic activities that they wanted to show on the surface as the so-called underground economy. This sense of corruption of the vested interests was more latent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war, and this decadent custom continues to this day, still causing social problems and becoming a major factor in hindering 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reflects the pattern of refugees who migrated to Busan during the Korean War and settling in Busan despite the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of Busan in economic activities, especially social phenomena such as food, housing, drinking water, and fuel, which emerged as social problems at the tim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significance in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a profession. Of course, there were economic activities that had negative social impacts, but we must not forget that their hard work and sacrifice during the difficult evacuation period became the driving force that made Busan what it is today.

      • KCI등재

        1950년대 징병제로 본 국가 통제와 농촌사회 - 『삼계일기』를 중심으로-

        이성호(Lee, Sung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3

        이글은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에서 생산된 일기를 자료로, 한국전쟁 이후 농촌사회에서 징병제도가 시행·정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징병은 근대국가가 국가 구성원들의 신체를 통제하는 가장 대표적인 제도이기 때문에, 국가가 사회 및 사회구성원에 대한 지배를 강화해가는 과정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한국전쟁 이전, 재정적, 이념적, 행정적으로 시민사회에 대한 강력한 통제·통합력을 지니지 못하고 있던 신생국가가 사회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단일한 반공주의 이념으로 사회통합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전쟁의 결과였다. 결과적으로 한국 국가는 한국전쟁을 통해서 약한 국가로부터 강한 국가로 전환할 수 있었다. 1950년대 국가 통치의 가장 하부 단위가 ‘면’이었다. 면은 국가기구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행정조직으로 농촌사회와 공간적, 심리적으로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국가의 관료적 지배와 통제를 인격적 차원으로 용해시켜 주민의 생활세계 속으로 침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면은 농촌사회에 대한 가장 미시적인 통제 및 감시기구이다. 국가는 징병제도를 사회의 세부단위까지 침투, 확산하려 하였고, 면은 이러한 기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말단 행정조직이었다. 심지어 병역제도에 대한 사회적 불만과 저항이 팽배해졌을 때, 국가는 지배계급과 특권층의 혜택은 유지하면서 말단조직의 부정을 색출함으로써 대중의 불만을 잠재우려 했다. 이런 경우에조차도 면은 농촌사회 수준에서 국가 통치·지배체제를 완충하는 매개 역할을 맡고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implementing and establishing of the conscription system in rural society after the Korean War, using a diary produced in Samgye-myeon, Imsil-gun, Jeollabuk-do. Since the conscrip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system in which the modern state mobilizes its members, it clearly shows the process by which the state is strengthening its dominion over civil society. Korean state could not hold strong control and integration over civil society before the Korean War because of financial, ideological, and administrative weakness. But the result of the Korean War, this newly emerging nation was able to strengthen its control over society and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the anti-communist ideology. As a result, the Korean state was able to transform from a fragile state to a strong one through the Korean War. In the 1950s, the lowest unit of state apparatus was the ‘myeon(面)’. Myeon is an official organization located at the lowest level of the state administrative system. It plays a role of infiltrating the bureaucratic domination of the state into the everyday life of rural residents by spatial and psychological contact with the rural society. In other words, myeon is the most microscopic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rural society. The state tried to penetrate and spread the conscription system to the subdivisions of society. And myeon was the lowes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at performed these functions most efficiently. Even when social dissatisfaction and resistance to the conscription system prevailed, mey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buffering the state governance and ruling system at the level of rural society.

      • KCI등재

        해방이후 시민사회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성격(1945-1953)

        이혜숙 ( Hye Soo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시민사회 형성의 과정과 그 구체적인 모습은 국가마다 다르며 한국의 시민사회도 독특한 역사적 경로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전개과정과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시민사회의 성장과 민주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이글은 해방이후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형성된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의 역사적 구조화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시민사회의 재편과 저발전과 관련지어 보았다. 해방직후 팽창되었던 시민사회는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급속히 위축, 재편되었고 한국전쟁은 시민사회의 저발전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의 제도화 면에서 미군정기는 자유민주주의가 제도화됨으로써 시민사회 형성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이룬 시기였으나 시민사회 형성에 외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으며 제도와 시민사회적 기반의 괴리를 가져왔고 시민사회가 재편되었다.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가주의의 바탕 속에서 ‘국민’ 형성이 강조됨으로써 개별 ‘시민’으로서의 권리는 무시되었다. 둘째, 시민의식과 시민문화 면에서 한국전쟁은 가족주의와 연고주의, 편법주의와 기회주의, 물질만능주의,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가져옴으로써 시민사회적 기반이 되는 시민의식 및 시민문화의 위축을 가져왔다. 셋째, 조직적 기반과 활동 면에서 한국 시민사회는 분단국가 형성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 및 반공에 기반한 관변단체들에 의한 동원과 감시·통제 현상이 많아지고 다양한 자율적 조직 기반이 파괴되었다. 따라서 해방이후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는 구조적 불균형을 드러내었는데 무엇보다도 한국의 국가가 전쟁을 통해 대폭 강화된 것에 비해 한국의 시민사회는 자율성과 다양성의 기반이 약해진 것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한국에서의 국가의 우위현상과 권위주의 국가, 시민사회의 저발전, 한국 시민사회의 성격은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형성된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 특수성과 관련된다. The formation process of civil society goes through a unique historical path. It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ivil society in order to foresee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ical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liberal democracy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 But the explosion of civil socie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weakened in the collapse of civil society. Besides, Korean War led to the underdevelopment of civil society. ‘Nation’ was emphasized and individual ‘citizenship’ was ignored. Second, Korean war has brought familism, opportunism, materialism and anticommunism. So it was difficult to form civic consciousness and civic culture. Third, mobilization and social control were enhanced by Korean state and pro-governmental organizations. Various voluntary organizations were destroyed. With structural imbalance i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Korea came to hav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vulnerable to the rise of authoritarian state. The strong state over weak civi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 KCI등재

        백년전쟁과 왕국의 개혁, 그리고 정치체에 대한 권리

        홍용진(Yong-Jin HONG) 한국프랑스사학회 2016 프랑스사연구 Vol.-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14세기 전반기 프랑스왕국에서 봉건사회에서 정치사회로 이행의 문제를 1346년의 크레시 전투 패배와 1347년 신분회의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14세기 초만 하더라도 전쟁과 조세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국가체제는 예외적인 경우에 한정된 것으로 여겨졌고 따라서 국가체제가 전제하는 전국적 단일성과 체제의 영속성은 정치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안정적인 지지를 확보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기적인 전쟁준비를 요구하는 백년전쟁의 시작과 더불어 필리프 6세의 프랑스 왕정은 신분회의의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였다. 과세의 정당성은 전쟁의 발발에 있었기에 전쟁 발발 전에 준비를 위한 과세는 부당한 정책으로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프랑스의 연패, 특히 1346년 크레시 전투의 패배에서 보여준 왕과 귀족의 무능력함은 정치사회 구성원들에게 새로운 정치적 움직임의 동기를 부여하였다. 1347년의 신분회의 때부터 프랑스 정치사회 구성원들은 왕권 주도의 국가체제를 넘어서 신분회의를 통해 국가체제 운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이 신분회의는 과세에 대한 거부가 아닌 과세에 대한 통제를 처음으로 표명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이는 프랑스에서 본격적으로 봉건사회가 정치사회로 변화해 갔다는 것을, 또 정치사회의 관심이 지방주의적 성격을 탈각하고 수도 파리라는 중앙의 정치무대로 향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위기와 급격한 사회변동, 흑사병, 끝없는 전쟁과 민생파탄이라는 파국의 연쇄 속에서 이제 정치에 대해 권리가 없던 자들이 공동의 정치공동체라는 정치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정치체에 대한 권리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oncretely the transition from the feudal society to the political society around the defeat of the Battle of Crecy in 1346 and the assembly of the states in 1347. At the beginning of the 14<SUP>th</SUP> century, the state system operating around the war and the tax is considered limited to exceptional and necessary cases. So, the unity and the perpetuity presupposed by the state system could not get no stable legitimacy of members of the political society. In this context, with the beginning of the Hundred Years War, calling for the preparation of long-term, the government of Philip VI faced the severe challenge of assembly of the states. As taxation was justified only by the outbreak of war, the preparation before the outbreak of war was seen as unjust policy. Yet the successive defeats of France, especially the inability of the king and nobles revealed in the defeat of the Battle of Crécy provides members of political society a good reason for their new political movement. From the assembly of the states in 1347, they began to try to actively intervene in state government beyond the royal initiative. Specifically, this assembly show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axation, it no longer insisted the refusal but the control.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feudal society turns into political society for good in France and that the interests of political society were concentrated the central scene around the capital Paris, disengaging the regionalist character. In the situation of a series of economic disasters and social crises, the Black Death, chronic war and the failure of life of people, the deprived of political right began demanding the right to Policy based on a political affect for a respublica in common.

      • KCI등재

        일본인의 ‘전후’와 재일조선인관 - 미군 점령당국에 보낸 편지들에 나타난 일본 사회의 여론

        정용욱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일본비평 Vol.- No.3

        일본인들은 미군 점령기에 점령당국과 맥아더 장군에게 수많은 편지를 보냈다. 점령 당국은 이 편지들을 분석하거나, 일본인들 사이에 교환된 편지를 검열했고, 그것들을 일본 사회의 여론 동향을 파악하는 자료원으로 활용하거나 점령정책에 대한 일본인들 의 반응을 고찰하는 수단으로 이용했다. 대체로 일본인들의 편지는 식량난, 귀환 등 개 인들의 일신상의 이해관계를 반영했지만 천황제 폐지, 전후개혁, 전범재판 등 당시의 중요한 정치·사회적 의제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반응했다. 패전 직후 일본인들이 맥아더 장군과 점령당국에 보낸 편지들은 그 시기 일본인들의 생활세계와 생활감정을 잘 드러낸다. 이 글의 목표는 일본인의 보통사람들이 보고 겪 은 전후 일본 사회는 어떤 모습이었고, 또 일본인들은 그것에 어떻게 반응했는가를 살 펴보는 것이다. 특히 일본인들의 편지에 나타난 전후개혁, 전쟁책임, 재일조선인에 대 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점령당국의 주도로 수행된 이른바 전후개혁은 상징천황제의 확립, 대의민주주의 제도 의 수립 등 전후 일본 정치구조의 골격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고, 일본인들은 대체로 이를 환영하거나 수용했다. 하지만 편지에 의하면 보통의 일본인들이 일상 생 활에서 접하는 개혁과 민주화의 실상에 대한 불신과 불만은 매우 높았고, 그에 대한 비 판도 신랄했다. 특히 통치기구의 말단과 지방 사회에서 개혁과 민주화에 대한 반응은 비판적이거나 냉소적인 의견이 많았고, ‘특권계급’의 온존을 강하게 비판했다. 개혁과 민주화가 제도의 수립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고, 운영주체의 변화를 포함하여 운영 의 실상이 보다 중요한 평가기준이라고 할 때 편지에 나타난 이러한 반응은 전후개혁 자체에 대한 재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전쟁책임 문제를 언급한 편지들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은 점령 직후만 해도 전범 고발 편지가 많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전범 혐의를 부인하거나 무죄를 주장하는 편 지들이 많아지고 심지어 전범재판의 부당성을 주장하는 편지들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미국의 주도로 천황이 면책되는 등 전범재판이 일본과 미국의 합작에 의한 정치재판 의 성격을 띠게 됨으로써 전쟁책임이 희석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마련되었고, 전범 재판이 A급 전범재판에서 B·C급 전범재판으로 옮아가면서 전쟁책임이 부정될 수 있 는 사회적 여건이 확대되었다. 전쟁책임과 관련해 국민 사이에 지배자는 가해자, 국민 은 피해자라는 ‘피해자론’이 확산되었고, 전쟁책임의 방기는 지배층의 타민족 침략과 식민지화의 가담자로서 국민의 책임에 대한 자각도 봉쇄했다. 일본인들의 편지에서 재일조선인은 식량난의 원인, 각종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골치 덩어리, 정치적 불안을 일으키는 빨갱이로 인식되었다. 또 그러한 인식의 밑바닥에서 전전부터 존재하던 인종적·민족적 편견이 여전히 작동했으며, 한반도 분단, 냉전의 도 래와 같은 전후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가 그러한 편견에다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다. 당 시 일본 사회의 재일조선인관을 그것이 형성되는 정치·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까 지 시야에 넣고 보면 재일조선인은 전후 일본 사회가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할 식민지 배의 상징이었다기보다 일본 사회의 혼란과 모순을 은폐하거나 그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희생양으로 기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