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궤도 인공위성의 전자파 호환성 해석

        채태병(Tae-Byeong Chae),오승엽(Seung-Hyeub Oh) 한국항공우주학회 200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6 No.12

        우주환경에서 운용되는 위성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전자장비에서 방출하는 전도성/복사성 에너지 결합에 의해 다양한 잡음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잡음은 탑재체를 포함한 위성 시스템과 발사체의 전자기적인 영향에 의하여 주요 기능에 중대한 결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위성 시스템은 개발 단계에서부터 전자파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검증이 요구된다. 위성 시스템에서 검증하여야 하는 전자파 환경 요소는 위성으로부터 방출되는 전도성/복사성 잡음과 이러한 잡음 환경에서 위성의 정상운용을 검증하는 감응성 잡음이 있다. 통신해양기상위성 시스템의 전자파 호환성 설계 검증은 PSR의 출력을 각 유닛에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원선에서 방출하는 전도성 방출특성을 측정하여 시스템에서 통제하는 전자파 규격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방출 레벨로부터 6 ㏈ 시스템 안전성마진을 고려한 레벨의 전도성 잡음을 전원선에 인가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울러, 각 유닛의 전자파 복사 특성을 종합하여 시스템 수준의 복사성 잡음 수준을 예측하고 발사체 요구 규격과의 적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전자파 환경시험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수준의 전자파 호환 특성 및 발사체와의 적합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잡음요소 분석 결과는 FM EMC 시험에 반영될 것이다. Satellite generates a complex electromagnetic noise by conducted and radiated coupling effect of the various electrical instruments. This noise may cause serious problems on the satellite system. To minimize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effects and maintain the system safety margin, system noise reduction technique should be appli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ystem design. The COMS system i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onducted noise on system electrical power leads at PSR(Power Supply Regulator) and verifying a 6 ㏈ system safety margin under the complex noise environment with current injection. The radiated noise due to the complex transmit antenna configuration is evaluated by integrating all unit-level RE measurement results, and the RF compatibility between spacecraft and launch vehicle is analyzed with the above estima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COMS EMC compatibility analysis with respect to each unit level EMC test results, and RF compatibility analysis between spacecraft and launch vehicle. The analyzed results will be reflected on FM(Flight Model) EMC test.

      • KCI등재

        전도성 전자파환경에서의 다목적실용위성 2호 시스템 설계 검증

        김태윤(Tae-Youn Kim),임성빈(Seong-Bin Lim),최석원(Seok-Weon Choi) 한국항공우주학회 200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2 No.8

        우주환경에서 운용되는 위성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전자장비애서 방출하는 전도성/복사성 에너지 결합에 의해 다양한 노이즈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노이즈는 위성 시스템과 탑재체의 전자기적인 영향에 의하여 주요 기능에 중대한 결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위성 시스템은 개발 단계에서부터 전자파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검증이 요구된다. 위성 시스템에서 검증하여야 하는 전자파환경시험은 위성으로부터 방출되는 전도성/복사성 노이즈 레벨측정과 이러한 노이즈환경에서 위성의 정상운용을 검증하는 감응성 시험이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전도성 전자파환경에서의 시스템 설계 검증은 PCU기 전원을 각 유닛에 분배하는 과정에서 전원선에서 방출하는 전도성 방출특성을 측정하여 시스템에서 통제하는 전자파 규격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방출 레벨로부터 6 ㏈ 시스템 안전성마진을 고려한 레벨의 전도성 노이즈를 전원선에 인가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전도성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ETB에서 수행한 시스템 검증 결과 및 노이즈 요소 분석을 제시하였으며, 노이즈요소 분석 결과는 FM EMC 시험에 반영될 것이다. Satellite generates a complex electromagnetic noise by conducted and radiated coupling effect of the various electrical instruments. This noise may cause serious problems on the satellite system. To minimize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effects and maintain the system safety margin, system noise reduction technique should be appli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ystem design. The KOMPSAT-2 system i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onducted noise on system electrical power leads and verifying a 6 ㏈ system safety margin under the complex noise environment with current injec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KOMPSAT-2 system evaluation result performed on ETB(Electrical Test Bed) and the analysed noise element, the analysed result will be reflected on FM(Flight Model) EMC test.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 밀도의 변화에 따른 전자방출 안정성 연구

        임성훈,윤현식,유제황,문종현,박규창,장진,문병연,Lim Sung Hoon,Yun Hyun Sik,Ryu Je Hwang,Moon Jong Hyun,Park Kyu Chang,Jang Jin,Moon Byeong Yeon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4

        본 연구는 실리콘 질화막 박막을 덮개층으로 사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하고, 성장된 나노튜브의 전자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탄소 나노튜브는 triode PE-CVD 장치에 의해 성장되었으며,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는 실리콘 질화막의 두께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탄소 나노튜브의 밀도가 $10^{4}$/$cm^{2}$에서 전자방출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때 전자방출특성은 문턱전계 1.2 V/$\mu$m, 전류밀도는 3.6 V/$\mu$n의 전기장에서 0.17 mA/$cm^{2}$으로 측정 되었다. 또한, 진공 챔버에서 질소($N_{2}$) 분위기 하에서 전자방출 안정성을 조사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전자방출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10^{4}$/$cm^{2}$ 인 경우 $1\times10^{-4}$ A/$cm^{2}$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 경우 $1\times$$10^{-5}$ Torr의 압력하에서 방출 전류의 안정도는 최소인 $2\%$를 유지하였다. We report on the field emission properties from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CNTs) produced by a triode PECVD with a SiNx capping layer on metal catalyst. It is found that the CNTs density can be controlled by the capping layer thickness and decreases with increasing SiNx thickness. The CNT density of $\~$ 104/$cm^{2}$ exhibited highest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the threshold field of 1.2 V/$\mu$m and the current density of 0.17 mA/$cm^{2}$ at 3.6 V/$\mu$m. We have carried out investigation of electron emission stability under ambient gas of N2. The electron emission stability was improved with decreasing CNT density. Under $1\times$$10^{-5}$ Torr ambient pressure, the CNTs in 5 $\mu$m hole show electron emission current higher than $1\times$$10^{-4}$ A/cm2 and it's electron emission uniformity has $2\%$.

      • KCI등재

        전자파 환경의 전자기장 방출과 그 영향에 대한 고찰

        윤광렬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3

        EMF (Electromagnetic Field) is a valuable resource for living in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EMF is used in home appliances that make our lives easy and convenient, and in tele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computers, medical devices and broadcasting towers. However, the biological hazards associated with EMF exposure are also increasing in signal from telecommunication devices. Studies of the effects of EMF exposure on humans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but it has not yet been demonstrated whether the EMF effect is harmful.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from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ound living and its effect. EMF (전자기장)는 지식 기반 정보 사회에서 살기위한 귀중한 자원 중 하나다. EMF는 우리의 삶을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가전제품과 휴대 전화, 개인용 컴퓨터, 의료 기기 및 방송 타워 등의 정보 통신 기기에 사용된다. 그러나 EMF 노출과 관련된 생물학적 유해성은 전기 통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도 증가하고 있다. 인체에 대한 EMF 노출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수행되었지만 EMF 효과가 유해한 지 여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생활주변의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방출 되는 전자장과 그 영향에 대해서 고찰한다.

      • KCI등재

        전자파 환경의 전자기장 방출과 그 영향에 대한 고찰

        윤광열,Yoon, Kwang-Yeol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3

        EMF (Electromagnetic Field) is a valuable resource for living in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EMF is used in home appliances that make our lives easy and convenient, and in tele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computers, medical devices and broadcasting towers. However, the biological hazards associated with EMF exposure are also increasing in signal from telecommunication devices. Studies of the effects of EMF exposure on humans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but it has not yet been demonstrated whether the EMF effect is harmful.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from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ound living and its effect. EMF (전자기장)는 지식 기반 정보 사회에서 살기위한 귀중한 자원 중 하나다. EMF는 우리의 삶을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가전제품과 휴대 전화, 개인용 컴퓨터, 의료 기기 및 방송 타워 등의 정보 통신 기기에 사용된다. 그러나 EMF 노출과 관련된 생물학적 유해성은 전기 통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도 증가하고 있다. 인체에 대한 EMF 노출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수행되었지만 EMF 효과가 유해한 지 여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생활주변의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방출 되는 전자장과 그 영향에 대해서 고찰한다.

      • 전계방출 주사전자 현미경의 전자광학계 수치해석

        박근(Keun Park),박만진(Man-Jin Park),김동환(Dong-Hwan Kim),장동영(Dong-Young Jang)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6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s well known as a measurement and analysis equipment in nano technology, being widely used as a crucial one in measuring objects or analyzing chemical components. It is equipped with an electron optical system that consists of an electron beam source, electromagnetic lenses, and a detector. The present work concerns numerical analysis for the electron optical system so as to facilitate design of each component.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we investigate trajectories of electron beams emitted from a nano-scale field emission tip, and compare the result with that of experimental observations. Effects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electromagnetic lenses and an aperture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전원모듈의 전자파 적합성(EMC) 특성 분석

        채규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본 연구에서 전력 변환 회로의 전자파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에 관한 설계 및 측 정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 저장 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LT3652 칩을 사용한 DC-DC 전력 변환 회로 가 설계되어 제작되었다. 제작된 회로를 이용하여 원거리 방사, 근거리 전도성 및 복사성 방출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ANSYS SIwave로 수행되었으며 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불필요한 방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콘덴서와 접 지 포스트가 추가된 회로를 사용하였다. 전도 및 방사 방출은 CISPR 22의 표준화 된 시험 절차에 따라 EMC 전용 무반사실에서 측정되었다. 개선된 회로를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제시하였고 개선 전후의 값들이 비교되었다. 제시된 결과를 보면 EMI 감소 기술이 적용된 회로에서 원치 않는 방출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 서 제안 된 결과는 전력 컨버터 모듈의 설계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study on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s presented for power converter circuit. A DC-DC power converter circuit using LT3652 chip i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ANSYS SIwave for far field radiation and unwanted emissions are presented. To minimize the unwanted emissions, we design a optimized circuit by using capacitors and ground posts. The conducted and radiation emissions are measured in the EMC test chamber based on standardized testing procedures of CISPR 22. The measured EMI emission values for a power converter circuit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circuit. The results show that the unwanted emissions from the circuit are tremendously diminished due to the applied EMI reduction techniques. The results proposed here can be usefully applied on designing power converter modules.

      • 주사전자 현미경의 전자렌즈 설계 및 해석

        정현우(H. U. Jung),박만진(M. J. Park),박근(K. Park),김동환(D. H. Kim),장동영(D. Y. Jang)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11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s one of the most popular instruments available for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micro/nano structures. It is equipped with an electron optical system that consists of an electron beam source, magnetic lenses, apertures, deflection coils, and a detector. The magnetic lenses play a role in refracting electron beams to obtain a focused spot using the magnetic field driven by an electric current from a coil. A SEM column usually contains two condenser lenses and an objective lens. The condenser lenses generate a magnetic field that forces the electron beams to form crossovers at desired locations. The objective lens then focuses the electron beams on the specimen. The present work concerns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electron magnetic lenses so as to analyze their magnetic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agnetic lenses, the effect of the excitation current and polepiece design on the amount of resulting magnetic fields and their peak locations are analyz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 [논문]전계방출 표시소자용 캐소드 기술동향

        이지언,안영제,조영래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6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5 No.-

        차세대 평판표시 소자인 전계방출 표시소자가 기술적으로 성공해서 시장에 나오기 위해서는 캐소드 기술, 아노드 기술, 진공패키징 기술 및 구동 기술의 4가지 핵심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기술동향에서는 전계방출 표시소자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인 캐소드 기술의 동향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캐소드에서 전자방출 원리에 대한 기초이론을 살펴보고, 캐소드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현재 연구개발 중인 몇 가지 종류의 캐소드에 대해서는 동작원리와 기술적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이들 캐소드가 전계방출 표시소자용 패널로 적용되는 사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