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 개발

        남순임,유형근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of supervision model and to improve abilities that is required in an educational field for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the supervision model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mposed of the developmental stage,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nd the supervision methods was developed. Then, the results and validity of the model were examined using the Delphi method with 42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results yielded 59 supervision contents and 13 areas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oles such as ‘counseling’, ‘consultation and instruction’, ‘linkag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and ‘reinforcement of profes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areas that should be supervised with priority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stage; ‘counseling’, ‘linkage’, and ‘planning and administration’ for formation stage, ‘consultation and instruction’ for growth stage, and ‘reinforcement of profession’ for proficiency stage. Moreover, the contents that should be supervised with priority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stage were classified; 38 contents for formations stage, 22 contents for growth stage, and 6 contents for proficiency stage. Regarding the supervision metho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vision by expert appeared suitable for ‘counseling’ and the supervision by peer appeared suitable for the rest of the areas such as ‘consultation and instruction’, ‘linkag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and ‘reinforcement of profess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ask-oriented supervis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stages,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range of required competencies as well as the methods to reinforce them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이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켜 전문성 발달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 수퍼비전 내용, 수퍼비전 방법을 구성요소로 하는 수퍼비전 모형을 구안하고, 수퍼비전 내용 도출과 타당화를 위해 42명의 전문가들에게 3차에 걸쳐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상담교사 직무전반인 ‘상담활동’, ‘자문 및 교육’, ‘연계’, ‘기획 및 행정’, ‘전문성 증진활동’ 에서 13개 영역 59개의 수퍼비전 내용이 도출되었다.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우선적으로 수퍼비전 받아야할 영역은 ‘상담활동’, ‘연계’, ‘기획 및 행정’ 영역은 형성기 교사들에게 더 필요한 수퍼비전 영역이고, ‘자문 및 교육’ 영역은 성장기 교사들에게 보다 더 적합하며, ‘전문성 함양’ 영역은 형성기, 성장기, 숙련기 전문상담교사 모두에게 수퍼비전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각 발달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수퍼비전 받아야 할 내용과 관련하여 형성기에는 38개, 성장기는 22개, 숙련기는 6개의 수퍼비전 내용이 도출되었다. 수퍼비전 방법과 관련하여 ‘상담활동’은 전문가 수퍼비전이 적절하고, 그 외의 ‘자문 및 교육’, ‘연계’, ‘기획 및 행정’, ‘전문성 함양’ 영역 등은 대부분 동료 수퍼비전이 적절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적 개입이 가능한 직무중심의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학교상담의 주체인 전문상담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범위와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채현순,장유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과 이 과정에서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5년 이상의 학교상담 경력과 상담 관련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상담교사 1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일대일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면접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102개의 개념, 3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의 중심 현상은 ‘전문상담교사로서 나의 존재를 물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연결시키는 과정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열정과 무지, 혼돈과 갈등, 의문과 고민, 실천적 고투 그리고 개별적 정체성 구성과 같은 다섯 단계를 거치며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택 코딩 과정을 통해 개념화된 핵심 범주는 ‘전문성 함양과 직무환경의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며 전문상담교사가 되어감’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 발달을 촉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현직 및 예비 전문상담교사들을 위한 전문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he major factors operating in this process.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school counselors, who had a minimum of fiv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in school and also have an advanced-level certification in counsel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auss and Corbin(1998) approach to grounded theory. The process of open coding extracted a total of 102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The core phenomenon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as 'questioning one's existence as school counselor'. The process analysis that links the categories with the flow of time revealed the detailed process of the participa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omprising the five stages, including 'enthusiasm and ignorance', 'confusion and conflict', 'doubts and concerns', 'struggles in practice', and 'forming an individual identity'.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process, the core category, which was labeled as 'becoming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by cultivating expertise and overcoming various difficulti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was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how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ould be facilitated and thus will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a professional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school counselors.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개관연구

        정진철,양난미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4

        This study reviewed the studies regarding Korean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ity to find out how to develop Korean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ity. First, we summarized the task in 7 categories and the role of Korean School Counselors. Second, we presented three kinds of Korean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ity factors, such as clinical, program, and administration. Third, we presented the current problem divid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counseling teacher into professional development before the appointment and after appointment. Fourth, we suggested supervision model for Korean School Counselors. Finally we discussed to set guidelines of Korean School Counselor’s task and role, changing of Korean School Counselors training course, and set of continuing education system to after appointment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 방안을 찾기 위해 전문상담교사와 관련된 국내 연구 중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개관하였다. 첫 번째로 상담교사의 직무를 7가지로 정리하였으며, 상담교사의 역할 또한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 영역을 임상, 프로그램, 행정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세 번째로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임용 전의 전문성 발달과 임용 이후의 전문성 발달로 나누어 현재의 문제를 제시하였고, 네 번째로 상담교사 수퍼비전 모형을 제시하였다. 논의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직무 및 역할에 대한 지침 마련의 필요성과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변화, 임용 이후의 계속교육체계 마련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조윤경(Cho Youn Kyung),정지영(Jeong Ji Young),임은미(Lim Eun 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 8개 영역의 39항목으로 구성된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제시하고, 각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2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는 5점 만점 중 4.50으로 매우 높았으며,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의 순이었다. 순회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기대가 낮은데 비해,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위기상담’, ‘아동이해를 위한 정보제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상담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들은 전체 하위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높은 기대를 보였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평가는 5점 만점에 3.65로 전체적으로 기대(4.50)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등이었다. 상주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들은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평가를 내렸다. 전문상담교사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기대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초등 상담의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와 가장 긴밀한 협조를 해야 할 담임교사의 시선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ctations and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in Jeonbuk.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9 items of 8 sub-factors fo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Jeonbuk. The role expectation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bout school counselors were very high(M=4.50 points out of 5.00). While the expectations of the Client Protection, the Crisis Counseling,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were high, that of guidance was low.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schools which have visiting school counselors had low expectations in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Crisis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whereas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had high expectation about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risis Counseling,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counseling training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in all sub-factors.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M=3.65 points out of 5.00) was lower than expected.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s received high evaluation were the client protection , the crisis counseling ,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 Homeroom teachers who have full-time school counselors evaluated high about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such as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evaluated significantly lower than expected about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Par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the expectations and evalua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view of homeroom teachers who should cooperate closely with school counselor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 초등학교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일 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한숙경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2003 敎育硏究 Vol.- No.22

        학교상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는 현재까지 학교상담, 특히 초등학교 상담 및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들이 매우 부족하며, 특히 도입 4년이 지난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상의 문제점과 배출 후 그들의 위상 및 역할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 활동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합학교상담프로그램 중, 가장 최근의 이론인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국가모델에 기초하여 학교상담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초등 전문 상담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 초등학교 상담의 실태와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및 역할 수행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전문상담교사 자격 취득의 동기 전환, 상담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개선, 상담활동의 공식화, 전문상담교사의 적극적 활용, 체제지원, 상담 인력 및 상담 지원인력의 확보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방안 연구

        유형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직과목으로 상담관련 과목을 이수하여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을 받게 되는 학생들의 교육실습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그 방안으로 첫째, 학교상담의 전문성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의 영역과 목표를 제안하였다. 둘째,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을 이끌어갈 인적 주체인 대학 실습지도 교수, 협력학교 실습지도 교사, 교육실습생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직과목 이수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을 받게 되는 학생이 2009년에 처음으로 배출되어 당장 내년부터 이들에 대한 교육실습을 실시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준비와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교육실습 운영과 효율성 제고방안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고, 나아가 이러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전문성 있는 전문상담교사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unselor education programs prepare students to be effective in a profession. It is imperative that programs explicitly prepare students to be counselors first and counseling specialists seco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tudent-teaching practic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school counselors. The result from this study include as following : a) The specialty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b) The area and goals of student-teaching practice for school counselors. c) The role of university supervisors and site supervisors. d) The tasks for development of student-teaching practic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school counselor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 to improve effectiveness of student-teaching practic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school counselors and to cultivat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ossessing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 및 특수교사의 특수아상담에 대한 인식 분석

        주형진,문지혜,하수경,이임숙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etency required for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throug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chool counselo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in the educational field. A 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wo school counselors,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d worked at a special school or non-special school for more than one year.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used for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key terms referring to th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hool counselors recognized couns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hool counselors recognized counseling that could not use verbal intervention as ‘special child counseling’. Second, In the process of educating counselors, they did not take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or experienced counseling practice at special schools. The competency required for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was suggested as training focusing on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disability. Third, counsel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s almost nonexistent, and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by a school counselor working at a special school is being conducted for students who can communicate verbally.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 specialized curriculum should be opened and operated in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in the process of educating schooll counselors, and it was necessary to discuss the scope of duties of counselors with special needs related to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특수아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 및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전문상담교사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아상담에 대한 정의와 특수아 상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들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것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수학교 또는 비특수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교사 세 명(전문상담교사 2명, 특수교사 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해 특수아상담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위한 면담 질문지를 제작하여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핵심 용어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에 대한 개념과 특수아상담의 상담에 대한 개념을 다르게 받아들이며 언어적 중재를 사용할 수 없는 상담을 ‘특수아상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정에서 특수아상담을 수강하거나 특수학교에서 상담 실습을 경험하지 않았다. 특수아상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은 장애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중심으로 하는 연수의 필요성이었다. 셋째, 특수아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의 특수아상담은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특수아의 특성에 초점에 둔 전문화된 상담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설과 운영이 필요하고 더불어 특수아상담과 관련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범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이지희,이상민,김희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As there is a doubt about expertise of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t requires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of counseling. Even though Korean school counselors need to be reeducated, few studies are there on systematic analysi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y of educational needs. First, to establish the list of duties,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asked to answer what are their current works. In addition, the special panel of school counseling review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ties were made up of 24 duties. Second, by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chkowits' critical functional formula, the areas of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school counselors desired to be reeducated for small group counseling, large group guidance, and educ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Especially, career and academic areas were needed to improve school counselors' experti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tilized to promot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tise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전문상담교사들이 현재 하고 있는 업무를 파악하고, 그 업무를 기준으로 하여 어떠한 부분에서 교육이 필요한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요구분석의 내용이 되는 전문상담교사의 업무 목록 구성을 위하여 전국 16개 시도에서 현재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도는 보리치의 요구도 공식과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 영역의 24개 현행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들 중에서 집단상담과 집단교육의 교육요구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교육청과 학교 소속 전문상담교사 모두 학부모와 교직원의 집단교육 및 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내용에 있어서는 진로와 학업 영역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이 미비한 실정에서 실제로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함으로써 그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요구 업무가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 탐색

        김지연,김동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djustment process pattern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ovide an appropriate basis for the ideal role model to adapt in schools.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patterns were classified within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djustment process?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each work adjustment pattern? To accomplish this purpose, 15 professional incumbent school counselors who have adjusted relatively well and have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in school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s(1990, 1998). In order to achieve the validity of the result, a valida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2 patterns of adjustment process were revealed: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pursuing type” and “the counseling professionalism pursuing type”. In additi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pursuing type” was classified as ‘a taking-charge adjustment type’, and ‘a life experience center adjustment type’. Understanding the specific aspects of the adaptation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uld be helpful to conduct in providing support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을 탐색하여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역할 모델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 각 직업 적응 유형은 어떠한 적응의 과정을 거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상담교사로서 잘 적응하였다고 평가되는 학교 근무경력 만 2년 이상의 전문상담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각 참여자들의 적응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고 각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사한 특징을 지닌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적응의 모습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적응의 단계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 1998)이었으며 각 단계에서 현직 전문상담교사와 학교상담 및 진로상담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현상에 대한 사실적 가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경험 유형은 교직전문성 추구형과 상담전문성 추구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직전문성 추구형은 그 적응의 특징에 기반하여 변화주도형, 경험통합형이라는 2가지로 세부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직 전문상담교사의 구체적인 적응의 양상을 이해하고 각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원 노력을 위한 기초자료가 제공되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