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이어 배지 이용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시 급액량이 근권부 무기이온에 미치는 영향

        최경이(Gyeong Lee Choi),여경환(Kyung Hwan Yeo),최수현(Su Hyun Choi),정호정(Ho Jeong Jeong),김승유(Seung Yu Kim),이성찬(Seong Chan Lee),강남준(Nam Jun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1

        수경재배에서는 근권내 양분의 집적 정도는 급액의 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급액의 양(횟수)이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코이어를 이용한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에 급액량이 근권의 무기이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적산일사량을 기준으로 급액량을 조절하였으며 생육시기별로 적산일사량 설정치를 변경하며 급액량을 4수준으로 처리하였다. 처리별 매일의 급액량과 배액량을 조사하였고 배액율을 계산하였다. 급액량이 많을수록 토마토의 수분 흡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High 처리구는 2월과 3월에 Medium high 처리구에 비하여 수분 흡수가 감소하였다. 월별 평균 급액량과 배액율을 계산하여 배액율이 20-30%되는 급액 구간으로 1월은 120-140J/cm², 2월은 100-120J/cm², 3월은 80-100J/cm², 4월은 70-90J/cm², 5월은 60-75J/cm²로 적정한 범위를 정할 수 있었다. 급액량이 많을수록 이온들의 농도가 낮아서 근권의 양분집적을 상당 부분 방지할 수 있었는데 양분을 흡착하는 코이어 배지의 특성 때문에 배액율이 20-30%인 경우 근권의 무기이온의 농도는 상당히 높았다. 그런데 P와 K는 처리에 관계없이 배액에서 급액농도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급액량이 많은 처리에서도 Mg와 S가 가장 잘 집적되는 이온이었다. 일사량이 적은 시기에는 급액량에 따른 배액내 무기이온의 농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일사량이 많은 시기에는 급액량이 적을수록 배액의 무기이온의 농도가 높았다. 특히, 3월 이후에는 급액량 조정만으로는 배액의 이온농도 상승을 방지하기 어려워 우선적으로 급액 EC를 낮춰 근권에 양분이 집적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었다. Also, t-cincreaseisdecreasein order In hydroponics, the accumulation of inorganic ions in the root zone are closely related to the irrigation volume. Therefore, the effects of irrigation volume on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es are very signigic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igation volume on inorganic ions of root zone in hydroponic culture using coir substrate. The irrigation volume was adjusted to 4 levels depending on the integrated solar radiation for each growth period. The drainage ratio was calculated by daily amount of irrigation and drainage. The higher irrigation volume is, drainage ratio and water absorption tended to increase. But, the water absorption in the treatment of high irrigation volume was decreased in February and March compared to the treatment of medium high irrigation volume. By calculating monthly average irrigation volume and the drainage ratio, 120 to 140 J/cm² in January, 100 to 120 J/cm² in February, 80 to 100 J/cm² in March, 70 to 90 J/cm² in April and 60 to 75 J/cm² in May was detected as appropriate irrigation volume ranges which drainage ratio was 20-30%. The higher irrigation volume,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ions decrease, which could prevent the accumulation of nutrients in the root zone.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ir substrate that absorbs ions, concentration of ions was significantly high when the drainage ratio was 20-30%. However, concentrations of P and K were sometimes lower in the drainage than that of irrigation water regardless of the treatment. Mg and S were the most highly accumulated ions even in the treatment of high irrigation volume. In low radiation seas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on concentration in the drainage depending on the irrigation volume. In high radiation season, the lower irrigation volume, resulted to the higher ion concentration in the drainage. After March, it was difficult to prevent the increase of ions concetration in the drainage by only adjusting irrigation volume. Thus,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EC of irrigation solution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nutrients in the root zone.

      • KCI등재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급액제어 방법에 따른 배지의 수분변화

        심상연(Sang Youn Sim),이수연(Su Yeon Lee),이상우(Sang Woo Lee),서명훈(Myeong Whoon Seo),임재욱(Jae Wook Lim),김순재(Soon Jae Kim),김영식(Young Shik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3

        자루재배에서의 효율적인 급액관리법을 규명하기 위해서, 배액 전극법, Timer법 및 적산일사량법으로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를 하였다. 배지의 무게변화는 배액 전극법의 경우 일사량이나 생육단계에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반면에 일사량법과 Timer법에서는 일사량과 생육단계 등에 따라 매우 변동이 심해서 안정적인 급액관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수량은 배액전극법에서 가장 많았으나, 상품수량은 일사량법 이외에는 차이가 없었고, 당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생육은 배액전극법이 가장 좋았고, 일사량법과 Timer법에서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사량법은 적절한 Timer 제어를 병행하고, 부단히 보정을 해주어야 안정적인 급액이 가능한 반면 식물의 요구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배액전극법은 급액횟수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급액방법으로 나타났다. Tomatoes were experimented in perlite bags for various irrigation control methods to elucidate the efficient method for nutrient solution management. The irrigation control methods were for 3 different types such as control by drainage level sensor (PROBE), control by integrated solar radiation (ISR), and control by time clock (Timer). The substrate weight was maintained stably in the proper range in PROBE treatment, regardless of daily solar radiations or growth stages. The bed weights in the treatments of ISR and Timer were changed largely. Growth as well as total yield was the highest in PROBE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luble solids (Brix %) among the treatments. Consequently, ISR control could be useful only with appropriate timer control and also calibration. Control by drainage level sensor was suggested to be the most satisfactory as irrigation management method.

      • KCI등재

        단동 온실 방향에 따른 씨 없는 수박의 생육 환경 요인 및 과실 비대

        우승미,김가영,임정현,정주형,조승현,안병구,이은영,배종향,김호철 한국원예학회 2022 원예과학기술지 Vol.40 No.5

        본 연구는 2021년 7월 8일부터 8월 4일까지 온실 방향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요소, 광합성 요소, 그리고 이에 따른 과실 비대 량 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온실은 전북 고창에 위치한 수박 재배 단동 온실(폭 × 높이 × 길이 = 6.0 × 3.3 × 100m)로 방향은 동서(동 → 서, EW)와 남동북서(남동 → 북서, SENW)였다. 과실 비대기 4주 동안 일평균 광도, 일평균 기온, 일평균 주간온도 모두 SENW 온실에서 EW 온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중 광도는 일출부터 13:00 정도까지 SENW 온실 에서 EW 온실보다 높게 유지되었고, 이에 따라 조사기간 동안 일평균 적산일사량도 높게 유지되었다. 오전 11시경 착과 부위 엽 근처의 평균 광도는 SENW 온실에서 EW 온실의 408.13µmol·m-2·s-1보다 2배정도 높았고, 평균 증산속도도 SENW 온실 에서 6.53mmol·m-2·s-1로 EW의 4.75mmol·m-2·s-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엽온 - 기온은 SENW 온실에서 –6.16°C로 EW 온 실의 –8.46°C보다 작았고, 두 온실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엽온과 엽온 - 기온은 수증기압포차(R = 0.904**, 0.799*), 광도는 증산속도(R = 0.856**)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광도는 엽온에, 엽온은 엽온 - 기온에 영향을 유의하게 주 었다. 4주 동안 총 과실 체적 증가량은 SENW 온실에서 6,226.8cm3·fruit-1로 EW 온실의 4,755.3cm3·fruit-1보다 약 1.5배 많 았고, 그것은 적산일사량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따라서 여름철에 수박을 재배하는 단동 온실의 방향은 광 환경 및 과실 비대에 영향을 주고, 온실 방향은 동서보다 남북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일사비례제어에 의한 절화장미(Rosa hybrida cv Cardinal)의 급액량 규명

        나택상(Taek Sang Na),김정근(Jeung Gun Kim),최경주(Kyong Ju Choi),기광연(Gwang Yeon Gi),유용권(Yong Kweon Yo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7 No.3

        본 시험은 펄라이트 배지에서 적산일사량에 따른 급액이 장미 ‘Cardin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배지내의 pH는 6.0에서 6.7사이로 안정적이었고 EC는 급액보다는 배액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후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무기성분은 비순환식 C. Sonneveld처방 기준으로 보면 인산과 칼리, 마그네슘이 집적됨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칼리와 마그네슘은 각각 기준량 195ppm, 18보다 집적됨을 알 수 있었다. 배지의 배액율은 전체적으로는 일사량이 많으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장미 수액은 오전 9시 경부터 12시까지 흐름이 있었는데, 10시 30분에서 11시 사이에 273gㆍhr?¹이었는데 일사량에 비례하여 수액흐름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양액소모량은 250Wㆍhr?¹에서는 50㎖구에서 212.8㎖로 많았는데 수량도 154.6본/10a로 많아 양액소모량이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펄라이트 배지에서 양액공급량은 11월부터 3월에 200Wㆍhr?¹에서 50㎖를 1일 6~10회 급액하고 일사량이 많을 때는 250Wㆍhr?¹에서 30㎖를 1일 22~30회 급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ptimum accumulative solar radiation in 'Carnidal' of Perlite Media. The pH was stable from 6.0 to 6.7 during cultivation. Electric conductivity by drainage was higher water than by supply water and electric conductivity was increased at later. Inorganic compound, such as phosphoric, kalium and magnesium were accumulated in crossed system. Especially, kalium and magnesium were highly accumulated. When solar radiation high, consumption of th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were increased. Sap flew was 273 gㆍhr?¹ per hour from 10:30 to 11:00 AM.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and the mount of sap flew. When amount of solar radiation was 250 Wㆍhr?¹, cut rose 'Cardinal' nutrient consumption was 212.8 mL at nutrient supply of 50 mL. The yield of cut rose 'Cardinal' was 154.6 ea/10a in perlite media. In the cut rose 'Cardinal', nutrient solution was 50 mL as supplied at solar radiation of 200 Wㆍhr?¹ and nutrient solution was 30mL as supplied at solar radiation of 250 Wㆍhr?¹ at low solar radiation in perlite.

      • KCI등재

        타이머 제어에 의한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적정 관수시간 도출

        심상연(Sang Youn Sim),이수연(Su Yeon Lee),이상우(Sang Woo Lee),서명훈(Myeong Whoon Seo),임재욱(Jae Wook Lim),김순재(Soon Jae Kim),김영식(Young Shik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4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 배지종류별 유효수분 함량을 분석하여 관수안정성을 구명하고, 배지 내 수분이 시간의 경과 및 일사량에 따라 변해가는 양상을 조사함으로써 타이머 제어시 관수 전략을 수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5단 수확이 끝난 토마토 6그루가 심겨져 있는 40L 크기의 펄라이트 배지를 배양액으로 포수시킨 후 배지 내 수분감소를 무게로 측정하였다. 배지 내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일중 무게 변화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게 감소가 계측된 시간에서 다음으로 무게 감소가 계측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을 볼 때, 일중 최장 무게 변화와 흡수속도가 모두 점차 늦어지는 현상이었다. 즉, 수분스트레스에 의해 식물활력의 회복이 일출 후 점차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의 경우 유효수분량은 30% 정도로 12㎏이므로 배지의 수분보수력은 토마토의 수분 요구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와 같은 상황일 경우 일일적산일사량이 1,519W/ ㎡ 혹은 601W/㎡일 때, 관수를 하루에 5회 혹은 10회 타이머를 이용하여 공급할 경우의 적정 시간을 도출했다. In tomato perlite bag culture, the available water content was analyzed for several sorts of perlite so that the irrigation safety was investigated and thus the irrigation strategy controlled by time clock was established. The reduction trends of water content in perlite bags were monitored for tomatoes, of which fruits were harvested until the fifth cluster. The amount of daily reduction of water in the bag was on the decrease as the total water in the bag was decreased. In terms of time interval from when the water content based on weight was reduced more than 50g to when it was dropped again, the longest time interval in a day was retarded gradually. It means plant activity was recovered later than the previous day. The available water content in perlite bag of 40 liters was about 30% which was 12 ㎏ in weight, which satisfied daily water demand of 6 tomato plants. The appropriate time irrigated by time clock was recommended for the case that it was irrigated 5 or 10 times a day with the daily integrated solar radiation of 601 or 1,519 W/㎡.

      • KCI등재

        고층 건물이 인근 주택지에 미치는 주거환경영향 분석

        황혜영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damages of the nearby houses by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s. The overshadowing is representative damage by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s but the obstruction of skylight, view and ventilation are also the important factors in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new evaluation method that focuses on the openness problems as well as solar access. In this paper, solar access means access to sunlight and solar heat whereas openness means access to skylight, view, ventilation and privacy. The indicators to calculate solar access are the duration of sunshine on the winter solstice and the solar radiation on a vertical surface during the winter. The indicator to calculate openness is Vertical Sky Component which measures unobstructed sky component. These indicators are available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n case study, the one house seemed to be more damaged by high-rise buildings than the other house when used only duration of sunshine, but the estimation used three indicators showed that is not true.

      • KCI등재
      • KCI등재

        온실의 냉난방시스템 설계용 외부기상조건 분석

        남상운(Sang-Woon Nam),신현호(Hyun-Ho Shi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온실의 냉난방시스템 설계 기준에 적용하기 위한 외부기상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난방 설계용 외기온, 난방 degree-hour, 냉방 설계용 건구온도, 습구온도, 일사량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평년값 기준인 1981~2010년까지 30년간의 매 시각 기상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의 이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30년간의 전체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설계용 기상조건을 구하고, 전체 자료기간의 평균값을 설계기준으로 제시하였다. TAC방식으로 위험률 1, 2.5, 5%에 대한 설계용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설계기준에서 추천하고 있는 난방용은 위험률 1%, 냉방용은 위험률 2.5%의 기상조건 분포도를 제시하였다. 지역별, 위험률별 및 설정온도별로 최대난방부하, 기간난방부하 및 최대냉방부하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제시된 각종 설계용 기상조건은 온실의 냉난방시스템 설계에 직접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난방 설비 보강이나 에너지 절감대책의 수립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후변화로 인하여 최근 여름철 폭염이나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기적인 설계용 기상자료의 분석이 필요하고, 최소한 10년 주기로 설계기준을 개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후평년값 기준인 1981~2010년까지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였으나 이 기준이 1991~2020년으로 바뀌는 2021년에는 즉시 이 기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새로운 설계기준으로 제공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set the outdoor weather conditions to be applied to the design standard of the greenhouse heating and cooling system, outdoor air temperature and heating degree-hour for heating design, dry bulb temperature, wet bulb temperature and solar irradiance for cooling design were analyzed and presented. For every region in Korea, we used thirty years from 1981 to 2010 hourly weather data for analysis, which is the current standard of climatological normal provided by KMA. Since the use of standard weather data is limited, design weather conditions were obtained using the entire weather data for 30 year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entire data period was presented as a design standard. The design weather data with exceedance probability of 1, 2.5, and 5% were analyzed by the TAC method, and we presented the distribution map with exceedance probability of 1% for heating and 2.5% for cooling which are recommended by design standards. The changes of maximum heating load, seasonal heating load and maximum cooling load were examined by regions, exceedance probabilities, and setpoint temperatures. The proposed outdoor design conditions can be used not only directly for the greenhouse heating and cooling design, but also for the reinforcement of heating and cooling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nergy saving measures. Recently, due to the climate change, sweltering heat in summer and abnormal temperature in winter are occurring frequently, so we need to analyze weather data periodically and revise the design standard at least every 10 years cycle.

      • KCI등재

        토마토 자루재배 충진용 펄라이트의 적정 입도분포

        심상연(Sang Youn Sim),이수연(Su Yeon Lee),이상우(Sng Woo Lee),서명훈(Myeong Whoon Seo),임재욱(Jae Wook Lim),김순재(Soon Jae Kim),김영식(Young Shik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3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법의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입도분포가 다른 7가지 충진용 펄라이트를 대상으로 물리성 및 수분특성을 조사했다. S-1(1.2-5㎜), S-2(0.15-5㎜) 및 S-5(Parat No. 1)에서는 1.0-2.8㎜의 입자 및 2.8㎜이상의 입자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1-3㎜), S-4(Parat No. 2), S-6(OTAVI) 및 S-7(Agroperl B-3)에서는 1.0-2.8㎜의 입자가 84.66, 58.67, 32.11 및 41.75%이었고, 2.8㎜ 이상의 입자가 8.85, 8.84, 15.73 및 22.26%로 비교적 대립이 적게 분포하였다. 특히, S-4, S-6 및 S-7은 1㎜ 이하의 입자가 많이 분포하였다. 공극률은 59~62% 정도로 제품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기용수량은 S-2에서 27.7%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35-40% 사이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모든 배지는 수분장력 0㎪에서는 약 60%정도의 수분을 보유하였으나 4.90㎪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식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수분 량이 많았다.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7가지 배지 중에서 업도분포가 다른 3가지 배지 S-1, S-2 및 S-3에 대하여 자루 재배 적응성을 평가하였다. 공시 토마토는 로꾸산마루 (사카타종묘)이었다. 자루 규격은 길이 120×폭 34㎝ (배지량 4리터, 흑백PE비닐 두께 0.1㎜)였다. 생육열수에 따라 일사량과 급액량 및 배액율을 조사한 결과, 배지 간에 일정한 경향을 발견하기 어려웠으며, 처리 간에 급액 및 배액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배지 종류별 자루단면의 뿌리분포를 나타낸 결과, S-1과 S-2에서 S-3에 비해 뿌리 분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에서 생육은 비슷하였다. 수량은 S-l 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해 총수량이 8,628㎏/10a로 다소 높았다. 과실 당도는 처리간 차이가 없이 4.9~5.1 °Brix 수준이었으며, 소형과와 기형과는 S-3에서 많이 나왔다. 이상 연구결과에서 입도분포가 1.2-5㎜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ven perlites different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perlite bag culture in Korea. Particle sizes of 1.0-2.8 ㎜ and larger than 2.8 ㎜ were rather evenly distributed in S-1 (1.2-5 ㎜), S-2 (0.15-5 ㎜) and S-5 (Parat No.1). Larger particles were less in S-3 (1-3 ㎜), S-4 (Parat No.2), S-6 (OTAVI) and S-7 (Agroperl B-3). S-4, S-6 and S-7 contained lots of particles less than 1 ㎜ in size. Total porosity was similar among substrates with the value of 59~62%. Container capacity was between 35-40% regardless of substrates except in S-2 with 27.7%. Water content, which was about 60% at 0 ㎪, was decreased sharply at 4.90 ㎪ regardless of substrates, which meant the easily available water was plenty in any kind of perlite tested. Substrates, S-1, S-2 and S-3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for perlite bag culture. Six tomatoes (Licopersicon esculentum Mill. cv. Rokkusanmaru) were planted in a perlite bag of 40 liters with the dimension of 120 ㎝ in length and 34 ㎝ in width. Th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upplied and its drainage dependent on daily integrated radiation didn't show any regular trend during the growth. Roots in the bag were distributed evenly in S-l and S-2 than in S3. Plant grown in S-1 showed the highest total and marketable yield of 8,628 and 7,759 ㎏/10a, respectively. The number of small size fruits and malformed fruits were more in S-3. Consequently, S-1 with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1.2-5 ㎜ is suggested as desirable substrate for perlite bag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