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靑銅器時代早期二重口緣土器의 觀察

        정대봉(Jung, Dae Bong)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早期부터 前期까지 장기간 존속하는 토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구연토기의 장기존속에도 불구하고 계통과 분류가 분명치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돌대문계토기와 공반하며 (석상)위석식노지를 갖춘 대형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의 계통은 크게 조기의 古式과 전기의 新式으로 구분되고 古式은 다시 조기전반의 재지계와 외래계로 분류 할 수 있다. 조기전반으로 편년되는 고식의 재지계이중구연토기는 상촌리식토기와 같이 점토띠를 기벽에 두르는 형태로 제작되고 외래계는 요동계이중구연토기와 같이 점토띠 자체가 구연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초창기 모습인 조기전반의 사례만 확인될 뿐, 한반도남부지역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전기 가락동식토기로 변모하였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에서 출토되는 이중구연토기군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기전반의 고식이중구연토기와 형태적 차이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부의 제작기법은 구연단을 꺾어 접는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제작방법 및 외형적 특징은 서북지역 및 동북지역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며 이는 원형에서 다소 변형한 형태로 파악된다. 요컨대, 이러한 제작방식은 조기 전반 외래계 古式이중구연토기가 서북지역에서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하면서 변형된 고유의 형태로 파악되며 중심연대는 조기 후반에 속하며 이를‘평거동식이중구연토기’로 지칭하여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즉, 고식이중구연토기는 조기전반 이중구연부를 별도로 제작하는 방식(재지계/외래계)에서 조기후반 이중 구연부를 꺾어 접는 방식으로 변형한 다음, 최종적으로 전기의 가락동식토기로 완전히 재지화되는 양상으로 파악한 것이다. It is a double-rimmed pottery and Doldaemun pottery which is marking a beginning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terial culture of Early Bronze Age has been identified by increasing data and continuous research. It is that their origin is from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me is from the northea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 far the Research trends have been focused on typical Doldaemun pottery and n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ouble-rimmed pottery in early Bronze 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double-rimmed pottery, and making a classifying between double-rimmed pottery by old and new type. An old type double-rimmed pottery is also divided traditional type and exotic typ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it is so difficult to divide double-rimmed pottery or Doldaemun pottery. Because of morphological resemblance. So I suggested that the way of division metho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I made a conclusion the origin of these pottery is individual variation of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So, to propose naming of these new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to “double-rimmed pottery of Pyunggeodong type”, It appears only early Bronze Age in the Nam river basin in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靑銅器時代早期二重口緣土器의 觀察 –진주 평거 3– 1지구 유적을 중심으로–

        정대봉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It is a double-rimmed pottery and Doldaemun pottery which is marking a beginning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terial culture of Early Bronze Age has been identified by increasing data and continuous research. It is that their origin is from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me is from the northea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 far the Research trends have been focused on typical Doldaemun pottery and n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ouble-rimmed pottery in early Bronze 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meaning of the double-rimmed pottery, and making a classifying between double-rimmed pottery by old and new type. An old type double-rimmed pottery is also divided traditional type and exotic type. Meanwhil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it is so difficult to divide double-rimmed pottery or Doldaemun pottery. Because of morphological resemblance. So I suggested that the way of division metho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I made a conclusion the origin of these pottery is individual variation of northwe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So, to propose naming of these new type of double-rimmed pottery to "double-rimmed pottery of Pyunggeodong type", It appears only early Bronze Age in the Nam river basin in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부지역 청동기시대의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早期부터 前期까지 장기간 존속하는 토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구연토기는 장기존속에도 불구하고 계통과 분류가 분명치 않아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돌대문계토기와 공반하며 (석상)위석식노지를 갖춘 대형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는이중구연토기의 계통은 크게 조기의 古式과 전기의 新式으로 구분되고 古式은 다시 재지계와 외래계로 분류할 수 있다. 고식의 재지계이중구연토기는 상촌리식토기와 같이 점토띠를 기벽에 두르는 형태로 제작되고 외래계는 요동계이중구연토기와 같이 점토띠 자체가 구연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본고에서는 제작기법상 이러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의 이중구연토기군에 대해 필자가 실견하여 관찰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부의 제작기법은 구연단을 꺾어 접는방식으로 제작한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방식은 서북지역 및 동북지역에서 전혀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다. 이러한 제작방식은 조기 전반 외래계 古式이중구연토기가 서북지역에서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남하하면서변형된 고유의 형태로 파악되며 중심연대는 조기 후반에 속하며 이를‘평거동식이중구연토기’로 지칭하여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공주지역 고분출토 백제토기

        김종만 ( Jong Man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3 백제문화 Vol.1 No.48

        이 논문은 공주지역의 백제고분에서 발견된 백제토기를 유적별로 부장양상을 알아본 후 타 지역의 토기와 비교검토를 하여 단계를 설정하고 편년을 실시한 것이다. 공주지역의 백제고분은 토광묘, 수혈식석곽묘, 횡구식석곽묘, 횡혈식석실묘, 옹관묘, 석곽옹관묘, 횡혈묘, 횡혈옹관묘가 있다. 부장된 토기는 단경호, 직구호 등 모두 21개여 종이 확인되었다. 각 유구별 백제토기의 부장 양상은 묘제 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장된 토기는 3단계로 나눠지고 각 단계는 기종의 변화에 따라 2기로 세분된다. Ⅰ단계는 한성시기, Ⅱ단계는 웅진시기, Ⅲ단계는 사비시기에 해당한다. 공주지역에서는 4세기경의 한성시기에 백제토기가 경부돌대부 광견호와 같은 재지계토기와 공반하여 나타난다. 백제토기는 웅진시기의 고분에서 많이 확인되고, 사비시기에도 약간 수습된다. 각 단계별 편년은 다음과 같다. Ⅰ단계는 중국도자기와 광구장경호, 흑색마연토기, 재지계토기 등을 통해 시간적 위치를 살펴보았다. Ⅰ-1단계의 상한은 광구장경호의 공주지역 출현을 계기로 4세기 3/4분기의 늦은 시점으로, 하한은 5세기 초를 넘어가지는 않는 것으로 보았다. Ⅰ-2단계는 5세기 1/4분기에서 5세기 3/4분기까지이다. Ⅱ단계는 고분의 축조구조, 무령왕릉 출토 금속품 등을 통해 편년을 추정해 보았다. Ⅱ-1단계의 상한은 5세기 4/4분기의 이른 단계이고, 하한은 무령왕릉이 축조되기 전까지로 보았다. Ⅱ-2단계의 상한은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금속유물을 근거로 해서 6세기 1/4분기로 정할 수가 있겠고 하한은 사비천도 이전까지이다. Ⅲ단계는 부여, 익산 등 사비시기 유적과 비교를 통해서 시간적 위치를 가늠해 보았다. Ⅲ-1단계는 사비천도 이후인 6세기 중엽 경부터 토기가 발견되고, 하한은 6세기 후반 경이 될 수 있다. Ⅲ-2단계는 7세기 이후가 될 것으로 보았다. This paper describes chronology and stage of Baekje potteries excavated from Baekje tombs in Gongju by examining burial aspects and comparing the potteries to other regions. Baekje tombs in Gongju area are categorized as pit tombs, stone-lined pit tomb, stone-lined tomb with lateral opening, stone chamber tomb with tunnel entrance, jar coffin tomb, jar coffin tomb with stone-lined chamber, corridor tomb and jar coffin tomb with corridor. There were 21 types of potteries buried in these tombs, such as short-neck jar and straight-neck jar. Their burial aspects were varied according to tomb style and area. The potter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stages, and each stage is sub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stage is Hanseong period, the second stage is Woongjin period, and the third stage is Sabi period. The Baekje potteries are usually accompanied by wide-shoulder jar with boss line on neck, a local pottery type, during Hanseong period in Gongju. And they are commonly found in the tombs in Woongjin period and sometimes in Sabi period. The chronology of each stage is follows. Upon a comparison with long-neck jar with large mouth, black polished pottery and local pottery in China, the I-1 stage can be dated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4th to the early 5th century AD when the long-neck jar with large mouth was appeared in Gongju area while the I-2 stage is ranged from the first to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As the second stage is estimated based on a structure of tomb and metal artifacts from Muryeong Royal Tomb, the Ⅱ-1 is dated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5th century to the time of construction of Muryeong Royal Tomb. The Ⅱ-2 stage is from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to the time of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Lastly, the third stage is determined by comparison of historic sites in Buyeo and Iksan. As results, Ⅲ-1 stage can be ranged from the middle to late 6th century, whereas Ⅲ-2 stage is dated after the 7th century AD.

      • KCI등재

        5~6세기대 안동지역 세력의 구성과 그 동향

        서경민 한국고고학회 2012 한국고고학보 Vol.83 No.-

        5~6세기대 안동지역은 토기와 묘제의 차이를 통해 임하댐수몰지구에 조영된 고분군 축조 집단과 안동시가지 및 그 주변 고분군 축조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임하댐수몰지구 고분군 출토 토기는 크게 경주양식토기와 의성양식토기로 구성된다. 여기에 보주형 꼭지가 부착되고 개신에 투공이 뚫린 개와 직구호 같은 재지계 토기가 더불어 출토되며 횡구식석곽(실)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을 띤다. 안동시가지 및 그 주변 고분군에서는 경주양식이나 의성양식 어느 곳에도 속할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의 고배와 대형 파배, 대형 대부완이 출토되며 횡구식석곽(실)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이되, 한쪽 단벽이 둥근 형태를 띤다. 4세기 말~5세기 초에 사의・임하동고분군을 중심으로 임하댐수몰지구의 고분군이 먼저 조영되기 시작하는데, 이 축조 집단은 동해안에서 안동 및 내륙으로 소금과 기타 해산물을 공급해 주던 길목에 자리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할 수 있었고 이를 배경으로 크게 성장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고구려와의 접근도 용이해 고구려와 신라 사이에 힘의 균형을 유지하며 어느 정도 독립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중・후반이 되면 신라는 고구려로부터 자립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경북 북부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당시 신라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던 의성지역과의 접근이 용이한 안동시가지 지역을 주목하게 된다. 그리하여 안동시가지 및 그 주변에는 신라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경주지역 적석목곽분과 유사한 안동 태화동 3호분이 축조되고 태화동 7호분에서는 화려하고 양질의 부장품이 다량 출토된다. 6세기 이후가 되면 임하댐수몰지구 인근, 정확히는 임하댐수몰지구와 동해안 사이에 지동・율리고분군이 소규모로 축조된다. 지동 2호분의 피장자는 신라의 영향이 강하게 미쳤던 안동시가지 고분군 축조집단이었던 인물로, 6세기 이후 지동고분군 일대에 자리한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를 대신하여 동해안에서 들여오는 해산물과 소금 등의 물자 이동을 통제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전상학 ( Sang Hak Jeon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진안고원은 지금까지 문화의 점이지대, 고대 교통의 중심지, 백제·신라·대가야의 각축장이라 불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진안고원을 크게 고총고분이 밀집 분포하는 장계분지와 장수분지가 위치하는 장수권과 금산·무주·진안권으로 구분하고, 고총고분의 주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수권에 밀집분포하고 있는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4~7세기대의 문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수권에서 새롭게 드러난 고총고분의 분포와 현황을 파악하여 장계분지 120여 기, 장수분지 80여 기, 총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고총의 규모나 배치·밀집도의 검토를 통해 삼봉리고분군과 월강리고분군을 중심고분군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장계분지에 자리한 120여 기 이상의 고총들은 금강 상류지역에서 최대 밀집도와 규모를 보이며, 이러한 고총들은 진안고원 가야의 지배자 집단이 조영한 고분으로 이해하였다. 고총의 입지는 분지 내에 펼쳐진 구릉과 들판이 내려다보이며, 분지를 감싸고 있는 산지에서 뻗어내린 지류에 자리하고 있어, 백두대간의 동쪽에서 조사된 가야계 고총의 입지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봉토의 평면형태는 동서로 긴 장타원형으로 그 가장자리에 호석을 두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가야계 고총 중 봉토 가장자리에 호석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은 하나의 분포권을 이룬다. 남원 월산리·두락리를 중심으로 함양, 산청, 장수지역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진안고원에는 5세기 전반에 가야토기가 등장하여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대가야 양식 토기가 많은 양을 차지한다. 5세기 중반 이후 대가야토기의 확산이 이루어지지만 재지의 묘제 또는 재지토기양식과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대가야 중심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자치권이 보장된 지역집단으로서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진안고원의 가야는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 산줄기에 산성과 봉수를 축조·운영하였고,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을 조영하였으며, 5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6세기 전반까지 가야계 소국으로 존속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Jinan plateau has been called transitional zone of culture, center of ancient traffic,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Baekje, Silla, and Daegaya,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it. Jinan plateau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Jangsu area with Janggye basin and Jangsu basin where ancient tombs are concentrated and the Geumsan/Muju/Jinan area, and the structure of Stone-Lined tombs, the main tomb style of ancient tombs and the overall trend of excavated articles were to be reviewed. Especially, centering on ancient tombs concentrated in Jangsu area, the cultural trend of 4th~7th century was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urrent status of ancient tombs newly found in Jangsu area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120 tombs in Janggye basin and 80 tombs in Jangsu basin to the total of 200+ of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were confirmed to be concentrated in distribution, and through reviewing arrangement/density of these ancient tombs, Sambong-ri ancient tomb site and Wolgang-ri ancient tomb site were taken as the central ancient tomb sites. Especially, 120 or so ancient tombs located in Janggye basin showed greatest density and size at the upper region of Geum River, and such ancient tombs were understood as those built by the ruler class of Gaya in Jinan basin. The location of ancient tombs had a view of the hills and fields within the basin and was in the tributary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area surrounding the basin, exhibiting relationship to the location of Gaya-style ancient tombs found on the east site of Baekdudaegan. The planar shape was a long ellipse to west and east, and there was no trace of stone tigers around the boundary. There is an area of distribution for Gaya-style ancient tombs without tiger stone facilities around the tomb, to which Hamyang, Sancheong, and Jangsu area belongs centering on Namwon Wolsan-ri and Durak-ri. Gaya potterys began to emerge around 5th century in Jinan plateau, and after mid-5th century, Daegaya-style potterys account for a large amount. After mid-5th century, Daegaya potterys began to spread, but as it is observed that it coexisted with the local memorial service or local pottery style, it appears that they maintained an alliance relationship to Daegaya as a local group with right of autonomy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It i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Gaya of Jinan plateau built and operated fortresses and signal-fire on the mountain range of Baekdudagan and Geumnam-Honam vein, built 200+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and existed as a small Gaya country from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