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필요한 재입원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신민선,이원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2

        Unnecessary readmissions could be the result of the inadequate and unnecessary treatments. Adequate quality indicators for readmission are important because they can identify inadequate spending by inpatients as well as quality screening.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cost incurred by unnecessary readmissions. The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of 18 years or older who were admitted in the tertiary hospitals in 2014 were analyzed. Admissions and readmissions were sorted and readmissions were classified into planned and unplanned readmissions. We adopted 28 days as a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readmission. Proportion of the patients were higher in readmissions among cancer, accompanied diseases, and special rehabilitation patients. Cost of the readmissions were 50% of the total cost of the admission among the patients of same diseases, same departments, and same hospitals. Almost 1,000billion Won were used by the unnecessary readmissions. We need to reduce the readmissions in regions, departments, and diseases studying the pattern of the readmissions. National level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quality of care and reduce cost by the unnecessary readmissions. 입원기간동안 적절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처치로 발생될 수 있는 재입원관련 질지표는 질스크리닝 뿐만 아니라 입원환자의 적절하지 못한 지출을 파악할 수 있어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예방할 수 있는 재입원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료비 규모를 파악하고자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4년도 청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종합병원이상 의료기관에 입원한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입원 유형을 1회 입원군과 재입원군으로 분류하였고, 재입원군은 다시 계획된 재입원과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으로 분류하였다. 재입원 간격은 28일 이내로 설정하였다. 암질환, 동반질환, 전문재활 환자의 경우 1회 입원군보다 재입원군의 분포가 더 많았다.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 유형 중 동일 기관, 동일 진료과목, 동일 질병군 입원의 경우 재입원에 지출된 총 진료비가 전체 재입원 진료비의 50%가량을 차지하였다. 불필요한 재입원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료비는 2014년 1년간 9,990억원 정도였다. 재입원이 잦은 지역, 진료과목, 질병군 등의 패턴을 활용하여 재입원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조기 재입원 영향요인

        김은영,서희정,서가진,홍상범,임채만,고윤석,허진원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유지하며 퇴원하는 만성 호흡 부전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질환의 진행, 응급 상황 등으로 인한 재입원은 입원기간 및 의료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 후 퇴원한 환자의 조기 재입원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8월 31일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하여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처음 적용하고 퇴원 후 1년 이내 재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0일 이내에 재입원한 군(조기 재입원 군)과 31일부터 1년 이내에 재입원한 군(후기 재입원 군)으로 나누어 퇴원 시점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성적: 퇴원 후 1년 이내에 재입원한 환자는 총 50명으로, 조기 재입원 환자는 23명(46%)이었다. 조기 재입원 환자의 기저질환은 급성폐질환(65.2%), 악성종양(60.9%), 만성폐질환(47.8%) 순이었고,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 원인은 이탈실패(43.5%), 만성폐질환의 악화(26.1%), 신경계질환의 악화(17.4%) 순이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 설정은 침습적 환기가 높았고(65.2%), 흡기 압력은 평균 15.2±4.3cmH2O 이었으며, 24시간 적용은 43.5%로 나타났다. 조기 재입원 환자의 비계획적 재입원은 95.7% 이었고, 원인은 폐렴(52%)이 가장 높았으며, 후기 재입원 환자보다 중환자실로의 입실이 많았다(0% vs 26.1%, p=0.006). 다변량 분석 결과 악성 종양, 급성 폐 질환, 위루관 영양, 30일 이상 재원일수가 조기 재입원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론: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환자의 기저질환, 식이형태, 퇴원 전 재원일수가 조기 재입원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제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재발 개념에 대한 푸코 관점의 비판을 중심으로

        이용표(Lee, Yongpyo)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는 푸코의 사회통제라는 관점에서 정신장애인의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정신장애인실태조사에서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된 성인정신장애인 600명의 자료이여, 통계방법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의 재입원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통제요인으로는 장애등록여부(B=-.486, p<.05), 교육수준(B=.206, p<.05), 가구원수(B=-.309, p<.01), 외래빈도(B=-.251, p<.10)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함의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재발 혹은 재입원은 사회통제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일상적 권력의 훈육에 순응할 가능성이 높은 고연령층과 정신장애 등록자일수록 재입원경험이 감소하며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은 재입원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적 훈육체계인 가구원의 수가 많아지거나 외래 정신의료서비스와의 접촉빈도가 증가할수록 재입원경험은 감소한다. 둘째, 불명확하고 재입원에 의존하는 재발개념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식적 통제도구로 기능하고 있어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재발은 재입원의 필요가 아니라 더 많은 돌봄의 요구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적 전환을 통해 재발상황은 당사자가 타자의 통제에 순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본인의 원하는 방식으로 더 많은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적 도구로 변화해야 한다. 넷째, 사회통제의 도구로서 기능하는 재발개념을 새로운 언어와 개념으로 대체해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readmission of mentally disabilities persons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 s social 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ata of 600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in the National Survey of Mental Disabiliti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control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admission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include disability registration (B=-.486, p<.05), and education level (B= .206, p<.05),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309, p<.01), outpatient frequency (B=-.251, p<. 10), etc.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hospitalization experience. The implications of such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pse or readmission of a person with a mental disabiliti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ocial control. It was found that the readmission experience decreased for the elderly and those with mental disorders, and the readmission experience for those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creases o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outpatient psychiatric services increases, the experience of readmission decreases. Readmissions decrease in groups that are likely to comply with the discipline of ordinary power, and readmissions decrease if there are many discipliners or contact frequency. Second, the concept of relapse, which is unclear and dependent on readmission, functions as a knowledge tool to control the mentally disabilities and needs to be reviewed. Third, relapse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 demand for more care, not a force for readmission. Through this conceptual shift, the relapse situ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an intellectual tool that provides more care in the way the person wants, rather than the way the person adapts to the control of oth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concept of relapse functioning as a tool for social control with a new language and concept.

      • KCI등재

        입원단계 심장재활 프로그램 참여가 관상동맥 우회 술환자의 재입원과 의료비용에 미치는 영향

        홍수인 ( Hong Su In ),최원호 ( Choi Won Ho ),윤정호 ( Youn Jung H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 술을 받은 환자의 입원 단계 심장재활 참여가 재입원 횟수, 기간, 의료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대상자들은 심장재활에 참여한 실험군 (n=60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n=51명)으로 나뉘었으며 실험군은 입원단계 심장재활에 참여하여 수술 전, 후에 호흡 운동, 조기 보행, 계단 걷기 활동, 위험요인 관리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두 군 모두 퇴원 후 2년 동안 실험군과 대조군의 재입원 횟수, 재입원 기간, 의료비용을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에서 재입원 횟수, 재입원 기간, 의료비용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임상에서 관상동맥 우회 술 환자에게 입원단계 심장재활이 재입원 횟수, 재입원 기간, 의료비용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들 중 하나로 고려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CR) program on the number of readmission, length of hospital stay and total medical costs. Subjects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CR, n=60) and control group(Non-CR, n=51). The inpatient CR program was included with breathing exercise, early gait, stair exercise and education about risk factor to preventing recurrent. And we follow up after discharged for 2 years. Our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ffectively decreased number of readmission, length of hospital stay and medical cost(<0.05). These mean that Inpatient CR program considered as one of effective interventions to decrease the number of readmission, length of hospital stay and medical costs in patient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KCI등재

        의료급여수급자의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 만족도 및 재입원의도에 관한 연구

        김선미 ( Sunmi Kim ),홍미영 ( Miyoung Hong ),이요셉 ( Yoseb Lee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2

        서론 : 2019년 정부는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와 복지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서비스를 시행하도록 하여 통합돌봄 사업과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의료급여수급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은 장기입원 하던 의료급여수급자들이 퇴원 이후에 집에 돌아가서도 의료, 돌봄, 이동, 식사에 대한 서비스를 필요시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며 의료급여관리사들이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시범사업에 대한 효과평가를 위해 만족도와 재입원 의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시범사업 참여자들의 시범사업에 대한 서비스 경험과, 둘째, 이용자의 경험에 따른 시범사업 만족도차이 및 만족도 영향요인, 셋째, 재입원 의도에 따른 시범사업에 대한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업의 확대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3개 시범사업 지자체의 참여대상자 116명에게 2020년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2주간 전화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시범사업 서비스 만족도, 재입원의도, 장기입원사유, 서비스이용경험, 사회적 관계 등을 질문하였다. 주요결과 : 시범사업 참여대상자 116명 중 103명(88.8%)이 사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중 가장 만족하는 서비스는 돌봄이었고 식사서비스와 주거개선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 중 92명(79.3%)이 재입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여 시범사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의료급여관리사에 대한 만족도가 이용자의 사업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재입원의도에 따라 삶의질, 의료급여관리사에 대한 만족도와 사업전반에 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만족도 조사결과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을 이용한 대상자들은 지역사회연계서비스에 대부분 만족하였으며, 재입원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사업이 목적한 바에 따라 성과를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업의 확장과 지속성을 고려했을 때, 의료급여관리사의 친절도를 높이고 사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질을 높여 재입원의도를 감소시킨다면 성공적인 Aging in Place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cal aid community care program was analyzed using the experien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hospital readmission of medical aid recipients. Methods :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16, and they were living in 13 areas. We surveyed from May 15th to 28th. We aske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degree of intention to readmission, the reason for long-term hospital admission, experience regarding service utilization, frequency of social contacts before and after hospital discharge. Results : Overall, 103 people out of 116 (88.8%)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roject. Ninety-two respondents(79.3%) answered that they do not consider hospital readmission, proving that the pilot project is practical. Satisfaction was different between people who used mobility, meal, personal care assistant and those who do no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want hospital readmission and those who do not want to. We found the satisfaction with the case manager to be a factor affecting the overall service satisfaction of users. Conclusion : Most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and did not consider re-hospitalization. So the project achieved promi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purpose.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case manager can cause increased overall satisfaction. Also, overal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case manager, increasing quality of life can be a strategy to extend the length of residence in their community.

      • KCI등재

        정상 만삭아에서 신생아실 퇴원 후 재입원에 대한 연구

        최은정 ( Eun Jeong Choi ),홍수영 ( Su Young Hong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1

        목적: 출생 후 산모와 함께 퇴원하였다가 생후 4주 이내에 재입원한 만삭아들의 특징과 산모의 특징, 입원의 원인과 이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1년 6개월 동안 부산 일신기독병원에서 태어난 만삭아 중 생후 4주 이내 재입원한 4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재입원율은 9.9%였고. 남녀 빈도 차이는 없었고 모유수유아 245명(59.0%), 분유수유아 149명(35.9%), 혼합수유아 21명(5.1%)이었고 출생체중 2,500 g에서 4,000 g이 407명(98.0%)이었다. 고졸 이상 산모가 299명(72.1%), 21~35세 산모가 378명(91.1%)이었고 자연분만 353명(85.0%), 제왕절개분만 53명(12.8%), 흡입분만 9명(2.2%)이었다. 7일 이내 재입원이 311명(74.9%), 입원 기간 7일이하가 383명(92.3%)이었다. 재입원 원인은 황달 343명(82.7%)으로 이들 중 223명(65%)이 모유수유아, 119명(34.7%)이 혼합수유아로, 모유나 모유를 포함한 혼합수유에 있어 황달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로타바이러스 장염 26명(6.3%), 기타 장염이 7명(1.7%), 패혈증 의증 13명(3.1%), 탈수 17명(4.1%), 폐렴 3명(0.7%), 요로감염 1명(0.2%), 요로감염 이외의 신장 문제 1명(0.2%), 심장 문제 2명(0.5%), 뇌수막염 2명(0.5%)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나 산모의 여러 요소와 재입원의 특징에서 재입원과의 연관성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지는 못했다. 하지만 황달로 인한 입원에서 모유를 포함한 수유에서 유의하게 증가함으로써 퇴원 시 보호자에게 조기모유황달이나 모유 황달에 대한 정보 및 예방에 대한 교육 및 원내감염 예방활동을 통해서 재입원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ll-term neonates admitted in neonatal period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mission and perinatal, maternal factors. Methods: W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neonatal readmissions who were born in Il Sin Christian Hospital during the 18-months period (January 1, 2007 to June 30, 2008). Results: After discharge, 415 neonates were readmitted during the first month of life. The most common cause for readmission was jaundice (82.7%). Among them, 211 (61.5%) neonates were fully breast feeding and 119 (34.7%) were mixed feeding infants. The second cause was rota enteritis (6.3%). Others included dehydration (4.1%), suspected sepsis (3.1%), other enteritis (1.7%), pneumonia (0.7%), cardiac problem (0.5%), meningitis (0.5%), urinary tract infection (0.2%), and other urinary problem (0.2%).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eadmission and neonatal, maternal factors. Conclusion: While newborns discharged from hospital are at risk for readmission, but relationship among neonatal, maternal, and other factors are not proven. Education of risk factors for jaundice to parents should be done and prevention of hospital acquired infection is important. Further research should include relationships between neonatal, maternal factors and the other factors influencing neonatal readmission.

      • KCI등재

        심장판막수술 환자의 비계획적 재입원 영향요인: 전자의무기록분석

        이정선,신용순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unplanned readmission and factors affecting readmission within 30 days of discharge in patients who underwent heart valve surgery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participants were 423 unplanned re-hospitalization within 30 days after heart valve surgery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2018 to August 2019. A total of 48 patients (11.3%) were unplanned readmissions, and the most common causes were atrial fibrillation in 13 cases (27.1%) and pain at the surgical site in 13 cases (27.1%). Other causes were: 10 cases (20.8%) of warfarin inappropriate treatment concentration, 7 cases of general weakness (14.6%), 5 cases of hypotension (10.4%), 4 cases of pericardial effusion (8.3%), 3 cases of surgical wound infection (6.3%), 3 cases of hemorrhage (6.3%), 3 cases of high fever (6.3%), and 1 case of cerebral infarction (2.1%). Variables influencing readmission were history of cancer (OR = 2.60, 95% CI 1.13-6.03, p = .025) and the patients who went to a home rather than a hospital after discharge (OR = 2.91, 95% CI 1.33-6.36, p = .008), as a type of valve surgery, mitral valve valvuloplasty had a higher readmission rate than aortic valve replacement (OR = 1.21, 95% CI 1.21-4.98, p = .012). In order to reduce unplanned readmissions, an tailored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able patients and caregivers to manage their comorbid chronic diseases before discharge and assess risk factors for readmission in adv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심장판막 수술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퇴원 후 30일 내 비계획적 재입원군의 특성과, 재입원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S시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에서 2018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심장판막수술을 받고 포함기준에 맞는 퇴원환자 423명이었다. 비계획적 재입원 대상자는 총 48명(11.3%)이었고, 그 원인은 심방세동 13건 (27.1%)과 수술부위 통증이 13건 (27.1%)으로 가장 많았고, 와파린의 치료농도가 안 맞는 경우 10건 (20.8%), 전신 위약감 7건 (14.6%). 저혈압 5건 (10.4%). 심낭삼출 4건 (8.3%), 수술상처 감염 3건 (6.3%), 출혈 3건 (6.3%), 고열 3건 (6.3%), 뇌경색 1건 (2.1%)이었다.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암의 병력 (OR=2.60, 95% CI 1.13-6.03, p=.025), 퇴원 후 거주지는 병원이 아닌 집으로 간 경우 (OR=2.91, 95% CI 1.33-6.36, p=.008), 판막수술종류로서 승모판막 성형술이 대동맥판막 치환술보다 재입원률이 높았다(OR=1.21, 95% CI 1.21-4.98, p=.012). 비계획적 재입원 감소를 위해 환자와 돌봄 제공자에게 퇴원 전 만성질환병력관리와 재입원의 위험 요인을 미리 사정하고 병원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개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재입원 예측

        송유정,박지수,김동욱,김찬수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5 No.1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으로 다양한 합병증으로 인해 환자의 재입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은 환자의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의료 시스템의 재정적인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정부와 의료기관은 환자의 재입원을 줄이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30일 이내 재입원 여부를 예측하고자 한다. 사용된 데이터는 미국 전역의 병원에서 10년 동안 수집된 환자 자료로 불균형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Random Under Sampling을 적용하고 환자의 재입원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7개의 기계학습 모델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자의 중복된 입원 기록을 제거하고 당뇨병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파생 변수를 추가하는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처리 작업을 통해 기계학습 모델의 예측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특히, Light GBM 모델은 AUC가 0.7238로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또한, 모델의 변수 중요도 분석을 통해 시술 및 약물의 수와 입원 기간이 30일 이내 재입원한 환자를 예측하는 모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Diabetes, a globally increasing chronic condition, frequently leads to patient readmission due to various complications. Unplanned readmission leads to serious health problems for a patient and increases the financial burden on healthcare systems. Therefore, governments and healthcare institutions pay attention to reducing patient readmission.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readmission within 30 days for diabetic patient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The dataset comprises patient records collected over a decade from hospitals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it displays an imbalanced distribution. Therefore, we applied Random Under Sampling to address the imbalanced issue and utilized 7 machine learning models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readmission. Additionally, we conducted a preprocessing process, which involved removing multiple admission records and generating a derived variable by leveraging nominal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an overall improvement in the predictive performances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Specifically, the Light GBM model exhibited superior predictive performance with an AUC of 0.7238.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eature importanc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lab tests, medications, and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edictive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일 년 이내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임상 요인: 일 대학병원 후향적 조사

        서만석,정종현,서호준,임현국,김태원,박민현,홍승철,한진희 대한정신약물학회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5 No.3

        Objectivezz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ho were rehospitalized within a year in a naturalistic setting at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zzIn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Data on patients’ demographic factors, clinical variables-age, sex, education year, socioeconomic state, marital state, illness duration, length of stay, severity of illness, presence of psychotic features, number of past depressive episodes and hospitalization, family history, comorbidity-were collected. Use of antidepressants, antipsychotics, mood stabilizers and hypnotics were investigated. ResultszzA total of 238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one-year rehospitalized group and the non-rehospitalized group in demographic factors and clinical variables except for the number of previous psychiatric hospitalizations. The mean number of previous psychiatric hospitaliz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ne-year rehospitalized group than the non-rehospitalized group (0.41±0.83 times vs. 0.23±0.83 times) (p=0.048).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hospitalized rates were observed among the disparate treatment types. One-year rehospitaliz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discontinued antidepressants than the patients who continued the antidepressants (15.9% vs. 0%) (p=0.002). Conclusionzz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the number of previous psychiatric hospitalizations is higher in patients who were rehospitalized within a year and the discontinuation of antidepressant might be an influencing factor. Further controlled studies are recommended to confirm our findings. 흔히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중에 만날 수 있는 주요우울장애 환자들 중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입원을 하는 환자들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1년 이내 재입원을 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이전의 정신과적 입원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항우울제의 종류와 약물치료의 종류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하였으나 여러 대상군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항우울제 중단을 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재입원을 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정신과적 입원의 과거력과 항우울제의 중단은 재입원을 예측하는 인자로서 임상적인 의의가 있고, 이외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