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장학금과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제도 연계의 효과 분석

        이필남(Yi Pil Nam),김병주(Byoungjoo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1

        이 연구는 국가장학금 정책을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제도와 연계한 정책설계가 실제로 어 떤 효과가 있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에 지원된 국가장학금의 규모를 살펴보고,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대한 국가장학금 2유형 지급제한 정책으로 인해 2011 년과 2012년 재정지원 제한대학과 재정지원 대상대학간 신입생 충원율과 재학생 충원율 차이 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 국가장학금은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재학생 수 비중 보다 많이 지급되었다. 특히 국가장학금 2유형이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많이 지원되었는데, 이 는 재정지원 제한대학이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이라는 자체노력을 강화함으로써 정부의 장학금 정책에 적극적으로 순응한 결과이다. 이로 인하여 여타의 재정지원 제한이 결국 장학 금 재정으로 일부 보전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초래되었다. 둘째,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의 신입생에 대하여 국가장학금 2유형 지급을 제한하는 정책 을 시행한 후 재정지원 제한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이 0.17% 포인트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인 유 의성은 없었다. 재학생 충원율은 재정지원 대상대학에 비하여 1.9% 포인트 상승하였으나 역 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재정지원제한대학 중 평가 미참여 대학을 제외한 후 단순 이 중차분결과에서는 재정지원 제한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은 1.93% 포인트 하락하고 재학생 충원 율은 1.77% 포인트 상승하지만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은 아니었다. 재정지원 제한대학 의 재학생 충원율이 높아진 이유는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이라는 대학의 자구노력과 그 에 대응하는 국가장학금의 추가지원에 따라 재학생의 등록률이 상승한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2012년 국가장학금과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제도 연계의 효과는 다소 제한적이 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장학금의 원래 취지를 살리면서 효과적인 대학구조 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가장학금 정책 설계시 적절한 균형감각을 유지해야 한다는 시 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national scholarship program on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universities with respect to financing and student enrollments. Using the data from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and Higher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examined the amount of national scholarship distributed to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institutions and the effects of a program design that does not award national scholarship type II to freshmen in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institutions on freshmen enrollments utiliz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 larger amount of national scholarship was distributed to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ratio of enrollees. Specifically, national scholarship type II was heavily financed to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institutions. The institutions complied to the government policy that stresses reduction of tuition and increase of institutional aid more agressively. Thus, government funding constraints was compensated by national scholarship that students carried to the institutions. Second, the program design caused freshmen enrollments of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institutions to decrease by 0.17 percentage point,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ather, it contributed to increasing student enrollments by 1.9% percentage point,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program design that limits a part of national scholarship to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institutions was hardly effective. It was finally suggested that the policy of national scholarship and university downsizing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respective goals.

      • KCI등재

        한국, 영국, 프랑스의 장학행정제도 비교

        김병주(Kim, Byoungjoo),김태완(Kim, Taewan),홍준영(Hong, June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교의 질적 관리에 비교적 성공적인 모습을 보이는 영국과 프랑스의 장학행정제도를 우리 나라와 비교해 보고 장학행정제도 의 개선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과 영국․프랑스 장학행정제도의 비교 준거로는 장학행정의 조직구조, 장 학담당자의 구성과 직무, 장학행정의 절차, 장학행정시스템의 특징의 네 가지 준 거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준거에 따른 비교 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 은 네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에도 장학업무만을 담당하는 전문기 구가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학담당자의 위상에 대한 새로운 정립이 필 요하다; 셋째, 궁극적으로는 학교교육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단위학교의 책무성 을 강화하는 장학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교평가와 장학에 대한 새로운 관 계정립을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upervision system of education among Korea, United Kingdom, and France. Criteria for comparison are organizational structur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inspector, process of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al system of supervis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the conclusion and further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supervisio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status and position of inspectors should be reconsidered. Third, supervision strengthening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schools focused on improving quality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Fourth, based on establishing new relation between school evaluation and supervision, supervis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학습 장학의 개념 탐색

        정수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new paradigm of supervision suitable for the era in which the initiative of learners is emphasized by suggesting the meaning, necessity, and procedures of learning supervision in contrast with existing supervision as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First, focusing on the fact that supervision is guidance and advice fo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upervision by distinguishing learning-centered supervision from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and comparing learning supervision with learning consulting. Subsequently, the necessity of learning supervision is presented in terms of restoring the nature of supervision,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according to changing conditions, and relieving the excessive responsibility of teachers. The types and principles of learning supervision are exemplified and the example of the process of learning supervision present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settlement of learning supervision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장학이 교수 중심 장학이라고 보고 그와 대비되는 학습 장학의 의미와 필요성, 절차 등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적합한 장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우선, 장학이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지도․조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교수 중심 장학과 학습 장학을 구분하고 학습 장학과 학습 컨설팅을 비교하여 학습 장학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어서 학습 장학의 필요성을 장학의 본질 회복, 여건 변화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교사의 과도한 책임 완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학습 장학의 유형과 원리, 절차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장학의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규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2012학년도 1학기부터 신규로 시행된 국가장학금사업은 무상장학금사업(Ⅰ유형)과 학비지원사업(Ⅱ유형)으로 구분된다. Ⅰ유형은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 국가가 직접 학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나, 신규 Ⅱ유형은 대학을 경유하여 학생에게 지원하는 유형으로 명목등록금 인하효과와 함께 대학의 자구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신규 Ⅱ유형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은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특성에 따라 Ⅱ유형 장학금 확보규모 및 대학내 배분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대학특성에 따라 대학의 자체노력에 있어서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보 중 중점을 두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 끝으로 선호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장학금 배분자료와 학생 개인별 지원자료 및 대학알리미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인 지원 인원과 지원액은 국공립대학이나, 대규모대학, 재정지원대학이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에 비해 더 큰 규모의 지원을 받았고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재학생 대비 수혜율이나 저소득층 중심의 수혜구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지원 결과를 분석했을 때에는 오히려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의 지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결과로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지방소재대학이 수도권소재대학에 비해 대학의 자체노력 방식에 있어 장학금 확충 보다 등록금 인하를 선호하는 정도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임교원비율, 신입생 충원율이 높을수록 자체노력 유형으로 장학금 확충보다는 등록금 인하를 더욱 선호했고, 학생 1인당 교육비의 경우에는 수치가 높을수록 등록금 인하보다는 장학금 확충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구조조정 효과의 실효성, 대학 간 및 학생 간 장학금 배분의 형평성 및 우수 인재 양성의 효과성 측면에서 다각적인 검토와 개선이 요구되며, 대학 자구노력에 대한 다양한 대체방안의 탐색, 등록금 부담 경감이 대학교육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지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장학금을 수혜한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Initi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2, the Governmental Financial Aids Program consists of Grant (Type I) and Grant (Type II): The former is to directly support tuition charged to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whereas the latter is to facilitate the efforts of self-reforming by colleges as well as to repress tuition increase. Newly initiated, Type II was designed to entail colleges' endeavors to lower tuition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scholarship. Draw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2012 governmental financial aids awarded, individual student, and Academy Info System, the current study analyzed 1)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ize of and distributing manner of the Type II scholarship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2) Are colleges/universities differentiated by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ocus of self-efforts; lowering tuition or securing scholarship money, and 3) What factors are affecting on determining the preferred typ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overall financial aids size and the number of students awarded were larger for public, bigger in size, and financial aids eligible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mid to small size,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counterparts. Considering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uch as the percentage of beneficiary and the portion of students from lower income family, however, higher performance score was given to private, mid to small,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institutions. Second, pertaining to the preferred type and determining factor of self-efforts by colleges, tuition restraint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ly used by public and local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and metropolitan area residing peers. The same was applied to the institutions with high proportion of tenure-track faculty and high enrollment ratio whereas securing financial aids was preferred to the universities with higher per student education cost.

      • KCI등재

        능력기준 장학금정책의 변화동향과 쟁점분석 - 미국 주정부의 ‘광범위한 능력기준 장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남수경(Nam Soo-Ky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2

          이 연구는 1990년대 중반이후 미국의 14개 주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광범위한 능력기준 장학프로그램’의 운영 실제를 토대로 능력기준 장학금정책의 변화동향을 고찰하고, 능력기반 장학프로그램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장차 우리나라의 대학생 장학금정책의 개선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광범위한 능력기준 장학금정책’은 지원기준으로서 능력기준을 보다 완화하고 기준이상에 도달하면 누구나 장학금의 수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소수 엘리트 중심의 선별적 장학금정책과는 차이가 있다. 새로운 능력기준 장학금 정책을 설계함에 있어서 검토해야 할 쟁점으로는, 첫째, 능력기준 재정지원의 확대에 따라 필요기준 재정지원이 축소됨으로써 나타나는 공평성 저해 문제, 둘째, ‘능력’의 개념 정의와 측정방법에 관한 타당성과 공평성 문제, 셋째, 능력기준 장학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재원의 확보와 관련하여 공평성과 충분성 문제, 넷째, 다수에 대한 재정 혜택과 1인당 장학금 규모의 불충분성간의 상충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끝으로 미국 주정부의 광범위한 능력기준 장학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제도 개선에 주는 시사점과 관련하여, 정부지원 이공계장학금 가운데 ‘대통령과학장학생사업’과 구분하여 ‘이공계국가장학생사업’은 광범위한 능력기준 장학프로그램이 되도록 재설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교육여건이 열악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도내 고교졸업생 가운데 일정수준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도내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에 대하여 광범위한 능력기준 장학금정책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issues of "Broad-based Merit Aid Programs" that 14 states of U.S. are practicing, and to find ou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Aid system. I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lite programs, in that the standards of "merit" or the requir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are less strict, so that all students can take a benefit if they meet its essential conditions. The issues of broad-based merit aid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o find the sensible solutions that don"t decrease the need-based aids, as the merit-based aid increased. Second, to find how to define reasonably the concepts and measurements of "merit". Third, to fund sources for the programs and to develop over the ability of general fund revenues and lottery sales to continue to grow fast enough to meet the demand for the merit scholarships. Finally, to find how to aid adequately per student enough to meet cost of attendance as well as to give more students scholarship. And then, the suggestions to the korea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larship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should be improved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beneficiary of it and two more measur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applied. Second, it requires that local authorities make a positive use of broad-based merit aid program to maximize the value of local human capital.

      • KCI등재

        컨설팅 장학 담당 장학사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동의-실행도 분석

        김정현,박수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컨설팅 장학 담당 장학사들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동의-실행 수준 및 차이를 토대로 개선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공적인 컨설팅 장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컨설팅 장학의 목표, 관리, 수행 차원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컨설팅 장학의 근본 취지에는 높은 동의-실행 수준을 보였지만, 관리와 수행에 있어서는 이견을 보였다. 특히 컨설팅 장학의 성패를 좌우하는 컨설턴트의 전문성과 독립성 보장, 의뢰인의 자발적 참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동의-실행 수준을 보였고, 교육청과 장학사들이 컨설턴트를 관리,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낮은 동의 수준을 보였다. 또한, 장학사들은 과제 해결과 수업 및 학교의 질 개선, 의뢰인의 전문성 함양, 담임장학과의 차별성을 위해 노력이 더 필요하고, 시간 확보를 위한 노력, 컨설턴트의 전문성 개발, 교육청의 장학과 지원 노력, 컨설팅 절차에 따른 진행을 통해 의뢰인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어 학습의 기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장학 관리 체제의 구축과 컨설팅 장학을 수행하는 장학사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고, 이를 위하여 장학사와 컨설턴트의 업무 범위 및 역할 규정을 명확히 하고, ‘학교컨설팅의 방법과 절차’를 차용한 ‘관리 중심의 장학’이 아닌, ‘학교컨설팅 원리’를 적용한 ‘교원 전문성 개발 지원 중심의 발달 장학’이 되도록 인식과 제도를 전환해야 한다. This study has two major purposes: 1) trying to figure out improvement needs based on agreement-performance levels and differences of supervisors who are charged for the consulting supervision, 2) accordingly, attempting to derive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consulting supervision. After conducting a survey research about dimensions of purpose, management, and performance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the results show high level of agreement-performance on purpose whereas different levels on management and performance. Especially, this study found relatively low level of agreement-performance on two particular elements: 1) securement of the consultant’s expertise and independency which are the major keys for the success of the consulting supervision, 2) clients’ autonomous participation. This study found low level of agreement about direct management and support on the consultant from the educational office and the supervisors. Also, this study found that supervisors should need to make more efforts for project resolu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class and school, development of client’s expertise, distinction their roles from the home-school-supervision. Supervisors also should work hard for time securement, development of consultant’s expertise, support and supervision from the educational office, and drawing client’s autonomous participation and accordingly learning opportunity through management by process of the consulting. In conclusion, building consulting supervision management system and changing of supervisors' perception is required and two conditions should be necessary: 1) a clear classification of task range and role regulation between supervisor and consultant, 2) the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centered development supervision applying from school consulting principle rather than management centered supervision borrowing from method and process of school consulting.

      • KCI등재

        장학재단의 장학사업 제고를 위한 법제도 및 세제 개선방안

        안병석,박훈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2

        우리나라의 장학단체(특히 재단)는 전체 공익단체(종교법인 제외)의 2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단체에게는 다른 비영리법인의 경우와 동일하게 여러 세제상의 혜택이 주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장학재단에 대한 세제혜택만큼 장학사업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602개 장학법인의 결산서류를 분석하는 한편, 이를 미국 및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장학금 지급이라는 직접적 지출비중이 주요국에 비해 매우 낮다는 점과 재산을 상당히 비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이유는 현행의 장학재단 관련 법제도와 세제가 ‘기본재산’ 유지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장학재단의 재산적 활동범위를 ‘보통재산’에 한정하는 한편 ‘기본재산’의 처분을 주무관청의 허가로 봉쇄하는 등 재단소유 재산의 대부분을 직접적인 장학금 지급의 재원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장학사업 지출비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종전 ‘기본재산’의 처분을 자유롭게 허용하여야 한다. 장학재단은 장학사업의 특성상 특별한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아 출연재산의 처분을 엄격하게 규제하여야 할 이유가 없다. ‘기본재산’의 자유로운 처분을 위해서는 출연재산과 ‘기본재산’의 개념을 달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출연재산의 최소기준을 법제화하거나 ‘기본재산’을 ‘보통재산’으로 용도변경하기 위한 요건을 크게 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재산’으로부터 얻어지는 과실소득 즉, ‘보통재산’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학활동의 직접적인 재원은 ‘보통재산’이기 때문이다. ‘보통재산’의 경우에도 ‘기본재산’과 같이 설립허가시 출연하한요건을 신설하고, 일정 출연하한요건을 어긴 경우 세제상 불이익을 주는 방법, ‘기본재산’ 과 비교하여 ‘보통재산’의 출연비율이 높을수록 세제상 혜택을 부여하는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장학활동에 대한 지출이 높아지도록 순투자자산 대비 장학활동 지출이 적은 경우에는 미국연방세법상 유보소득 가산세제도와 같은 제재를 가하는 방법, 장학재단의 총비용 중 장학금의 지급금액이 일정비율 이하인 경우 가산세를 부과하거나 손금불산입하는 등의 불이익을 주는 제재방안도 필요하다. 선행연구들이 공익법인 전체에 대하여 주로 설립절차의 완화, 공익성 검증을 위한 기관의 설치, 주식출연 한도의 완화 등을 중심적 과제로 다룬 것에 비해 이 논문은 장학재단의 재산처분에 자율성을 보장함으로써 그 공익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함에 차별성이 있다. Scholarship organization occupies the largest share with 28.7% of the overall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except religious corporation in South Korea. These organizations have had many tax benefits have been given compared to other non-profit corpor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tatements of subsidiaries 602 scholarships to assess whether there is a scholarship program being implemented properly as tax incentives for scholarship. As a result, direct expenditure such as scholarship expenditure is very lower than U.S and Japan do. It is evaluated by management quite inefficient. The problem is our political regulations focus on ‘fundamental property’. Related laws allow scholarship foundations to use ‘general property’ for their business, but the disposal of the ‘fundamental property’ shall be approved. these limitations restrict to activate the scholarship busines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mentioned and increase the scholarship program expenditure, it may be presented to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it should be allowed to freely dispose of the former ‘fundamental property’. Scholarship Foundation as public organization does not require special tangible facilities, regarding of the nature of the scholarship,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to be strictly regulated the disposal of assets appearances. It is necessary that distinguish between ‘fundamental property’ and ‘general property’ for activating scholarship foundations. Legislated minimum standards of the properties are required or there is a need to alleviate the requirement for changes to the applications fundamental property and general property. In addition to improvement of ‘fundamental property’, ‘general property’ which is generated by ‘fundamental property’ should be more encouraged. Because the direct source of scholarship is from ‘general property’, like ‘fundamental property’, it also requires lower bound for ‘general property’. If lower bound requirement is hard to match establishment, there are two examples of alternatives. First, we can impose penalty if organizations do not to meet lower bound requirements. Second, as ratio of normal property is higher, the more tax benefits are granted.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xpenditure related to scholarships, penalty is required unless organization spent scholarship lower than net investment. such as additional taxes on reserved earnings. Another way is the inclusion in gross revenue if total expenses are lower than scholarship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discussed installation of the Institute for Public Interest verification, equity relief appearances limi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rocedures. Our study suggests ensuring the autonomy of property disposal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as a way to improve scholarship foundation.

      • KCI등재

        한국장학재단 장학금 수혜 대학생의 대학적응 유형 변화와 장학금의 영향

        안소영(Soyoung Ahn),홍세희(Sehee H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한국장학재단이 제공하는 장학금을 수혜한 대학생의 대학적응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잠재유형 전이에 있어 한국장학재단 장학금 지원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장학재단이 지원하는 장학금 혜택을 받은 2,179명이며, 대학적응 유형파악과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잠재전이 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학교 적응에는 적응 수준 차이에 따라 집단을 나눌 수 있었으며 등록금 부담감이 낮고 학자금 지원만족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적응도를 보이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적응 변화에 있어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 지원은 더 긍정적인 대학적응 양상을 보이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높은 등록금 부담감은 대학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만족스러운 학자금 지원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장학재단의 장학금 지원의 성과의 지표로써 대학생의 대학적응의 다양한 양상을 파악하고 장학금 혜택의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해당 연구결과가 장학금 지원정책 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classes underlying undergraduate students’ college adjustment and their transition pattern and to test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inancial aid by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applied using 2,179 students benefited from Korea Student Aid Foundation(KOSAF). The study found latent classes of students’ college adjustments depending on the levels of adjustment. Students who are less burdened with tuition fee and more satisfied with financial aid provided by KOSAF are more likely to be adapted for school. When it comes to the transition of latent classes, burden of tuition, continuity of study due to KOSAF’s financial aid and satisfaction with financial aid affects the change after a year. To sum up, financial aids provided by KOSAF are partially effective for improving students’ college adjustment.

      • KCI등재후보

        임상장학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소집단 과학활동 분석

        김경미,강성빈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장학을 통한 유치원교사의 소집단 과학활동 수업개선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계적 임상장학모형을 구성한 후 원내·원외로 연계된 임상장학요원 3명이 협동전략을 위해 상·중·하로 소집단화된 유아 18명과 함께 과학활동 수업을 하는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임상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성된 연계적 임상장학모형을 적용하여 임상장학을 실시하였을 경우 교사의 과학활동 수업개선에 효과가 나타났다. 교사의 수업개선을 도와줄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장학담당자를 체계적·지속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며, 과학활동 뿐만 아니라 교사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수업기술을 개선시킴으로써 궁금적으로 유아수업의 질을 개선하려는 교사와 장학진의 의지 및 임상장학의 일반화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mall group science activity of the kindergarten teacher on the clinical supervisio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 kindergarten teachers, 18 children, 4 clinical supervisors. Four clinical supervisors applied the clinical supervision on small group science activity in kindergarten teachers. And after various the model clinical supervision analyzed and developed in the model development of linking-clinical supervision. All of the contents the process of linking-clinical supervision were gathered and analy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development of linking-clinical supervision was composed of seven stage. Each stage was set up the object of clinical supervision, link between inside and outside clinical supervisor, Prior supervision conference, prior meeting, instruction observation, Post meeting, Post supervision conference. Second, it took effect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teacher the small group science activity on the linking-clinical supervision. Suggestions for follow up, one needed to develope the supervisor training program for speciality supervisor which the subject career teacher, head teacher and headmaster. The follow study needed to verify on the instruction effect by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

      • KCI등재

        농업인재양성 장학금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유경(Han You kyung),남수경(Nam Soo kyong),박상완(Park Sang wan),추지윤(Choo Ji yoon),서유진(Seo You ji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분야 인재양성 장학금의 운영 현황과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농어촌희망재단) 장학금 지원사업 현황 자료와 보고서를 분석하고, 장학금 수혜자 및 농대 학생 대상 설문조사(최종 분석 대상 479명)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농업분야 인재양성 장학금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영농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지원기준이 미흡하고, 둘째, 장학금의 지급범위가 등록금에 한정되어 있고 규모가 부족하며, 셋째, 장학생 선발절차가 복잡하고 매년 선발 및 지급됨에 따라서 연속성이 없으며, 넷째, 연수의 내용 및 다양성이 부족하고, 다섯째, 장학사업의 홍보 및 사후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분야 인재양성 장학금의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장학금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정책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즉, 대학입학 후 저학년 학생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장학사업에 대해서 사전 인지도 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농업인 자녀장학금보다는 후계인력 장학금을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장학금과 같은 저소득층 장학금과의 차별성을 위해서는 등록금 이외 학업경비 지원을 목적으로 장학금을 운영하되, ‘영농 의지 및 참여 실적’을 장학금 계속지원조건으로 부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후계인력 양성을 위한 목적형 장학금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장학금 지급에 국한하기보다 다양한 활동기반 지원 장학금으로 확대 개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신규 장학사업으로서 영농창업 우수 아이디어 공모전, 국내 농가·농업법인·연구소(실험실)·국가기관 연계인턴십, 글로벌 인턴십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cholarship programs an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tudents of agricultural area. For this, the current scholarship projects and policies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 (Hope Foundation for Rural Community), research reports and related materials are collected and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recipients of the scholarship is also carried ou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scholarship criteria are unclear and unsuitable for nurturing next-generation agriculturalist (farming successor). Second, scholarship is limited to tuition assistance only and the amount of scholarship is not sufficient . Third, the process of selecting scholarship student is complicate and lacks consistency every year. Fourth, contents and diversity of training is not enough to educate students. Fifth, publicity of scholarship programs and follow-up management are insufficient and inadequate. Improvement measures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to weigh the different needs of scholarship students are drawn as follows. Firs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scholarship criteria should be based on performance results and the determination of students working for the agricultural area. Second, as for college and university level, the scholarship is aimed at nurturing farming successor. For this, screening criteria for scholarship students should be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activities in the agricultural areas and scholarship programs be reshuffled. To put it more concretely, Presidential Agricultural Scholarship, idea contest for agricultural business start-up, internship system at domestic farms, agricultural corporation, agricultural research and government agency, global internship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