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학요원의 역할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들의 임상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시 현황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임싱장학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유아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장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임상장학의 개념은 잘 알지 못하지만 필요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임상장학이 도움을 주는 측면은 교수활동의 개선이고, 장점은 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장학 실시에 따른 문제점은 장학요원과 교사의 과중한 업무부담이며, 임상장학 활성화 방안은 장학요원을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의 제공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상장학의 실시 현황을 알아본 결과 65% 정도의 유아교사들은 임상장학을 연평균 1~3회 실시하고 있었으며, 69% 정도의 유아교사들은 장학요원 관련 연수 경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elementary knowledge for clinical supervision that can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ore effectively by investigating the understanding and current situ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clinical supervisi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research of 272 kindergarten teachers are like followings. 1.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clinical supervision, Most of kindergarten teachers are thinking that 1)they do not understanding what is clinical supervision exactly and 2)clinical supervision is necessity and 3)the clinical supervision is very helpful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ctivity and 4)the clinical supervision has a feature to improve reflective thinking and 5)the problem for performing the clinical supervision is that excessively heavy work is a burden for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supervisors and 6)Providing systematic training is necessity for activ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2. Regarding current situ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65% of kindergarten teachers has performed clinical supervision 1 to 3 times in a year, and 69% of kindergarten teachers has no experience of refresher course of supervision.
장학재단의 장학사업 제고를 위한 법제도 및 세제 개선방안
안병석,박훈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2
우리나라의 장학단체(특히 재단)는 전체 공익단체(종교법인 제외)의 2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단체에게는 다른 비영리법인의 경우와 동일하게 여러 세제상의 혜택이 주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장학재단에 대한 세제혜택만큼 장학사업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602개 장학법인의 결산서류를 분석하는 한편, 이를 미국 및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장학금 지급이라는 직접적 지출비중이 주요국에 비해 매우 낮다는 점과 재산을 상당히 비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이유는 현행의 장학재단 관련 법제도와 세제가 ‘기본재산’ 유지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장학재단의 재산적 활동범위를 ‘보통재산’에 한정하는 한편 ‘기본재산’의 처분을 주무관청의 허가로 봉쇄하는 등 재단소유 재산의 대부분을 직접적인 장학금 지급의 재원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장학사업 지출비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종전 ‘기본재산’의 처분을 자유롭게 허용하여야 한다. 장학재단은 장학사업의 특성상 특별한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아 출연재산의 처분을 엄격하게 규제하여야 할 이유가 없다. ‘기본재산’의 자유로운 처분을 위해서는 출연재산과 ‘기본재산’의 개념을 달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출연재산의 최소기준을 법제화하거나 ‘기본재산’을 ‘보통재산’으로 용도변경하기 위한 요건을 크게 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재산’으로부터 얻어지는 과실소득 즉, ‘보통재산’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학활동의 직접적인 재원은 ‘보통재산’이기 때문이다. ‘보통재산’의 경우에도 ‘기본재산’과 같이 설립허가시 출연하한요건을 신설하고, 일정 출연하한요건을 어긴 경우 세제상 불이익을 주는 방법, ‘기본재산’ 과 비교하여 ‘보통재산’의 출연비율이 높을수록 세제상 혜택을 부여하는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장학활동에 대한 지출이 높아지도록 순투자자산 대비 장학활동 지출이 적은 경우에는 미국연방세법상 유보소득 가산세제도와 같은 제재를 가하는 방법, 장학재단의 총비용 중 장학금의 지급금액이 일정비율 이하인 경우 가산세를 부과하거나 손금불산입하는 등의 불이익을 주는 제재방안도 필요하다. 선행연구들이 공익법인 전체에 대하여 주로 설립절차의 완화, 공익성 검증을 위한 기관의 설치, 주식출연 한도의 완화 등을 중심적 과제로 다룬 것에 비해 이 논문은 장학재단의 재산처분에 자율성을 보장함으로써 그 공익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함에 차별성이 있다. Scholarship organization occupies the largest share with 28.7% of the overall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except religious corporation in South Korea. These organizations have had many tax benefits have been given compared to other non-profit corpor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tatements of subsidiaries 602 scholarships to assess whether there is a scholarship program being implemented properly as tax incentives for scholarship. As a result, direct expenditure such as scholarship expenditure is very lower than U.S and Japan do. It is evaluated by management quite inefficient. The problem is our political regulations focus on ‘fundamental property’. Related laws allow scholarship foundations to use ‘general property’ for their business, but the disposal of the ‘fundamental property’ shall be approved. these limitations restrict to activate the scholarship busines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mentioned and increase the scholarship program expenditure, it may be presented to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it should be allowed to freely dispose of the former ‘fundamental property’. Scholarship Foundation as public organization does not require special tangible facilities, regarding of the nature of the scholarship,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to be strictly regulated the disposal of assets appearances. It is necessary that distinguish between ‘fundamental property’ and ‘general property’ for activating scholarship foundations. Legislated minimum standards of the properties are required or there is a need to alleviate the requirement for changes to the applications fundamental property and general property. In addition to improvement of ‘fundamental property’, ‘general property’ which is generated by ‘fundamental property’ should be more encouraged. Because the direct source of scholarship is from ‘general property’, like ‘fundamental property’, it also requires lower bound for ‘general property’. If lower bound requirement is hard to match establishment, there are two examples of alternatives. First, we can impose penalty if organizations do not to meet lower bound requirements. Second, as ratio of normal property is higher, the more tax benefits are granted.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xpenditure related to scholarships, penalty is required unless organization spent scholarship lower than net investment. such as additional taxes on reserved earnings. Another way is the inclusion in gross revenue if total expenses are lower than scholarship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discussed installation of the Institute for Public Interest verification, equity relief appearances limi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rocedures. Our study suggests ensuring the autonomy of property disposal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as a way to improve scholarship foundation.
FathimathNilfa,Mi-Lee Ahn(안미리),Hyunjin Cha(차현진),Yunja Hwang(황윤자)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0 학습과학연구 Vol.4 No.2
장학지도를 통해 이루어지는 교사의 평가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 외에 학교교육 전반에 걸친 질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장학지도를 통해 교사와 학교는 개선할 점과 우수한 점을 파악하고 전문가로서의 담화를 통한 변화 시도, 그리고 장학지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몰디브 학교 교육과 교사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교육부의 장학지도와 질관리 부서(ESQID)기 장학지도 전략을 책임지고 있다. 현재 교육부의 장학지도는 내부 장학과 외부 장학으로 나뉘어 학교에 대한 장학지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른 나라의 장학지도는 어떻게 진행되며 우수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 학교에 대한 장학지도의 효과성과 편리성, 그리고 창의적 시도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몰디브의 학교장학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뉴질랜드, 스리랑카, 그리고 말레이지아의 장학지도를 비교하였으며, 한국의 ICT 기반 장학지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한국의 ICT 기반 장학지도는 NEIS 라는 학교행정정보시스템에서 상당부분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NEIS 를 사용하여 관계자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자료의 공유가 매우 우수하였다. NEIS 는 아직 장학지도를 위한 부분을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지 않았으나,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 공유를 통한 간접 장학지도를 하고 있으며 NEIS 를 관리하는 한국교육정보원은 NEIS 를 통한 직접적인 장학지도를 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제시하고자 하는 몰디브 장학지도를 위한 전략은 크게 중앙정부, 지방단위, 그리고 학교 단위로 구성하며, 장학지도 팀의 유형을 달리하고, 각 단위에서 책임을 맡은 영역을 구획하고 차별화된 장학 기간을 둘 것을 제안하였다. 중앙정부는 매 4년 마다, 지방단위는 각 지방의 필요에 따른 유동성을 갖고, 각 학교는 매년 1회씩 장학지도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act of supervision is an evaluation process for teachers as well as for schools. It provides professional guidance and assists teachers to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and schools to accelerate quality education. With the process of supervision, teachers and schools can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s. Supervision, in addition, gives an opportunity to engage in professional dialogue and develop positive attitudes. The Educational Supervision and Quality Improvement Division (ESQI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in all the schoolsby the teams of internal and external supervisors. They are mobilized to implement quality supervision programs by monitoring and evaluating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have reviewed New Zealand, Sri Lanka, Malaysia supervision programs, and Korea, as a case study. Korean schools and related personnel use NEIS to share various database and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separate category for supervi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supervision strategies for three different sectors: the central government, province, and schools. The duration of supervision varies by the level of offices: the central government every four years, each province could be flexible, and the schools once a year.
신규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2012학년도 1학기부터 신규로 시행된 국가장학금사업은 무상장학금사업(Ⅰ유형)과 학비지원사업(Ⅱ유형)으로 구분된다. Ⅰ유형은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 국가가 직접 학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나, 신규 Ⅱ유형은 대학을 경유하여 학생에게 지원하는 유형으로 명목등록금 인하효과와 함께 대학의 자구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신규 Ⅱ유형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은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특성에 따라 Ⅱ유형 장학금 확보규모 및 대학내 배분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대학특성에 따라 대학의 자체노력에 있어서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보 중 중점을 두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 끝으로 선호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장학금 배분자료와 학생 개인별 지원자료 및 대학알리미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인 지원 인원과 지원액은 국공립대학이나, 대규모대학, 재정지원대학이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에 비해 더 큰 규모의 지원을 받았고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재학생 대비 수혜율이나 저소득층 중심의 수혜구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지원 결과를 분석했을 때에는 오히려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의 지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결과로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지방소재대학이 수도권소재대학에 비해 대학의 자체노력 방식에 있어 장학금 확충 보다 등록금 인하를 선호하는 정도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임교원비율, 신입생 충원율이 높을수록 자체노력 유형으로 장학금 확충보다는 등록금 인하를 더욱 선호했고, 학생 1인당 교육비의 경우에는 수치가 높을수록 등록금 인하보다는 장학금 확충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구조조정 효과의 실효성, 대학 간 및 학생 간 장학금 배분의 형평성 및 우수 인재 양성의 효과성 측면에서 다각적인 검토와 개선이 요구되며, 대학 자구노력에 대한 다양한 대체방안의 탐색, 등록금 부담 경감이 대학교육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지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장학금을 수혜한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Initi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2, the Governmental Financial Aids Program consists of Grant (Type I) and Grant (Type II): The former is to directly support tuition charged to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whereas the latter is to facilitate the efforts of self-reforming by colleges as well as to repress tuition increase. Newly initiated, Type II was designed to entail colleges' endeavors to lower tuition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scholarship. Draw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2012 governmental financial aids awarded, individual student, and Academy Info System, the current study analyzed 1)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ize of and distributing manner of the Type II scholarship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2) Are colleges/universities differentiated by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ocus of self-efforts; lowering tuition or securing scholarship money, and 3) What factors are affecting on determining the preferred typ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overall financial aids size and the number of students awarded were larger for public, bigger in size, and financial aids eligible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mid to small size,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counterparts. Considering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uch as the percentage of beneficiary and the portion of students from lower income family, however, higher performance score was given to private, mid to small,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institutions. Second, pertaining to the preferred type and determining factor of self-efforts by colleges, tuition restraint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ly used by public and local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and metropolitan area residing peers. The same was applied to the institutions with high proportion of tenure-track faculty and high enrollment ratio whereas securing financial aids was preferred to the universities with higher per student education cost.
신혜숙(Shin, Hye Sook),최정윤(Choi, Jeung Y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장학금 수혜수준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대학적응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영향이 가구소득과 대학소재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7~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등록금 대비 장학금이 50% 이상인지에 따라 '높은충당율' 집단과 '낮은충당율'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때 성별이나 가구소득, 부의 교육연한 등의 학생 배경변수와 학교 소재지 및 설립유형 등의 대학 특성 외에도 장학금 수혜 이전의 사전점수를 통제하여 '장학금의 순수한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장학금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와 대학적응이 더 높았다. 특히 장학금을 충분히 받은 학생들이 장학금을 적게 받은 학생들에 비하여 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 수혜 대상에 따른 장학금의 차별적 효과를 보면, 수도권 대학에 비하여 비수도권 대학에서 학업성취도 및 대학적응에 대한 장학금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장학금을 충분히 받은 경우 대학적응에 대한 장학금의 효과가 두드러졌다. 장학금을 통한 등록금 부담 경감이 학업성취도 향상과 대학적응 제고에 효과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장학금 지원 확대의 논리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비수도권 대학 재학생과 가구소득이 낮은 학생 집단에서 장학금의 긍정적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는 소외 계층에 속한 학생이 학자금 지원 효과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정된 재원 내에서 장학금 지급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현실적 여건으로 인해 정책적 타깃 설정해야 할 경우, 정책 결정에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inancial aid in the form of grant affects two college outcomes(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especially focusing on whether the grant effect differs by family income and institutional location. This study defines the extent of benefits of receiving grant by categorizing student samples into three groups; "no coverage" group(the reference group) includes students who don't receive any grant; "high coverage" group includes those whose total amount of grant covers more than 50% of tuition; "low coverage" group includes those whose total amount of grant covers less than 50% of tui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grant, each of the "low coverage" and the "high coverage" group is compared to the "no coverage" group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results show that receiving grant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outcomes; both group 2 and group 3 have higher scores on achievement and adjustment than group 1,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covariance including pre-test scores. This study also finds out the differential effect of grant by income and institutional location; the effect of receiving grant for students of local universities is strong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Also if students receive grant enough to cover 50% of tuition, the effect of receiving grant gets stronger for students with less family income. This study shows that reducing burden of tuition by offering grant can improve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grant is stronger for lower income students and students attending local universities than for their counterparts. This suggests that the financial aid policy should be targeted to a certain group, if necessary.
정수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new paradigm of supervision suitable for the era in which the initiative of learners is emphasized by suggesting the meaning, necessity, and procedures of learning supervision in contrast with existing supervision as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First, focusing on the fact that supervision is guidance and advice fo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upervision by distinguishing learning-centered supervision from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and comparing learning supervision with learning consulting. Subsequently, the necessity of learning supervision is presented in terms of restoring the nature of supervision,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according to changing conditions, and relieving the excessive responsibility of teachers. The types and principles of learning supervision are exemplified and the example of the process of learning supervision present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settlement of learning supervision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장학이 교수 중심 장학이라고 보고 그와 대비되는 학습 장학의 의미와 필요성, 절차 등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적합한 장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우선, 장학이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지도․조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교수 중심 장학과 학습 장학을 구분하고 학습 장학과 학습 컨설팅을 비교하여 학습 장학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어서 학습 장학의 필요성을 장학의 본질 회복, 여건 변화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교사의 과도한 책임 완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학습 장학의 유형과 원리, 절차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장학의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학교의 여건 및 문화, 장학의 계획 및 결과 활용이 교내자율장학 과정과 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화정,김병주,서지영,구성우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5 교육연구논총 Vol.46 No.2
본 연구는 장학 여건과 문화, 장학의 계획 및 결과 활용이 교내 자율장학의 과정과 그 효과에 대한 인 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거쳐 설문지를 개발하고, 50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하였다.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은 중,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더 높다. 둘째, 학교 관리자의 리더십, 물리적 공간, 장학 관련 자료 구비 등의 학교 여건은 장학의 과정과 효과에 영향을 주 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의 문화는 교사들의 교내자율장학의 과정과 효과에 대한 인식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장학 계획 및 결과 활용이 대부분 교내자율장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학 계획의 체계성과 결과 활용의 실효성이 교사들의 교내자 율장학 참여 의식 및 효과에 대한 인식에 직·간접적 영향을 줌을 시사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교내자율장학을 수립하는 학교에서는 계획 수립의 형식성을 탈피하고, 교 사 차원과 학교 차원에서도 장학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교육청에서는 학교급별로 활용가능한 교내자율장학 절차별 가이드라인 제공과 함께 학교자율장학의 질을 관리하고, 학교 간 자율장학 역량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체계 정립을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mpact of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school condition, culture, supervision planning, and utilization of results. Our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more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based supervision compared to thei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 conditions, including the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the phys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availability of supervision-related materials influence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supervision. Third, school 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supervision. Fourth, the planning and result utilization of supervi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based supervision. This indicates that the systematic nature of supervision plan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result utiliz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impact teachers'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its effectiveness. In conclusion, schools should move beyond merely formal planning of school-based supervision initiatives and concretely define how supervision results will be utilized at both the teacher and school level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chool-level-specific guidelines for -school-based supervision procedures, manage the quality of school-based supervision, and work to establish a system that addresses the disparities in supervision capacity among schools.
Clinical Supervision As a School Supervis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Korea
윤기옥(Yoon Ki o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1
교사교육의 연속체 상에서 초임교사를 위한 교육은 현 사회에서 요구되는 헌신성, 자율성, 창의성과 연구능력을 갖춘 전문가로서의 교사를 육성하기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에서의 초임교사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학교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다.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에서 제시하는 방법이 적절히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통해 임상장학대상자와 비대상자의 교내 임상장학에서의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의 적용에 대한 생각,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임상장학체제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고, 면담을 통해 임상장학의 현황, 문제점, 발전방향을 살펴보았다. 면담이 연구문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결과 교내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에서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론이 적절히 그리고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장학대상자와 담당자 간에 민주적 동료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고,참관전 협의회에서 교사중심으로 교사의 관심사에 대하여 논의 하며,함께 수업안을 짜는 등의 협력적 활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수업관찰에서 관찰도구가 적절히 이용되고 있지 않았고, 그 결과 참관후 협의회에서 피이드백이 체계적이며 교사중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임상장학은 l년에 1-2회, 주로 교감의 지도하에 이루어지고 있었고, 임상장학기간은 주로 5년이나 3년간 이었다. 임상 장학이 내실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수업장학으로서의 임상장학이론에 대한 탐 색이 장학대상자와 장학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이든 교감이든 수업장학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장학담당자가 되는 가운데, 임상장학기간을 적절히 줄여가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 In the continuum of teacher education. inservice education for the beginning teachers is important to help them become professionals with commitment. creativity. autonomy, and research ability. In Korea for the beginning teachers. clinical supervision is provided in the school level for three to five years. For the clinical supervision as a school supervision to be implemented successfully. the methods of clinical supervision as a modern instructional supervision. which has become the basi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re expected to be used properly. In this study a survey was used to find out what the supervisee and non-supervisee think about the clinical supervision as a modern instructional supervision implemented in the schools. what the supervisee think about the present clinical supervision system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explore what were the present state,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clinical supervision. Major findings were that the colleague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ee and the supervisor was not established. that the clinical supervision was not teacher-centered. that intensive cooperative lesson planning of the supervisee and supervisor was not established. that the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were not properly and widely used. and the feedback provided was not based on concrete data and needs of the teacher. In order to build a strong foundation for clinical supervision. research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as well as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needed to be shared among th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rough. for example. the year round in-house training. On top of this with a cycle of clinical supervision rather than a one-shot approach, and the supervisors equipped with expertise. present clinical supervision period could be reduced. raising teachers that we need.
유평수(Yu Pyeong-su),최은이(Choi En-hee) 교육종합연구원 2005 교육종합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교내 자율장학의 전반적인 사항, 운영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이 변인별(성별, 규모별, 지역별, 직위별, 그리고 학교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의 자료를 제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의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373명에 대해 자료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에 대해 그 개념을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그 중점적 기능은 교수․학습의 개선으로 주체는 교사이다. 둘째, 장학 담당자들은 교내 자율장학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이지만, 자율장학에 임하는 교사의 자세는 다소 소극적이다. 교내 자율장학의 주된 저해요인은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연구 시간 부족, 그리고 장학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다. 셋째, 중등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시간은 평균 1일 1시간 정도이고, 1년 간 수업연구 횟수나 다른 교사의 수업을 참관하는 횟수는 년1-2회 정도이다. 넷째, 장학 담당자는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수업 지도 능력을 갖춰야 하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교내 자율장학 개선을 위해서는 자기 장학과 각종 연수를 강화하고, 교수․학습 여건 개선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도움을 얻고 싶은 대상은 동 교과 또는 동 학년 동료 교사이다. 다섯째, 중등 교원에게 자기 성장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교과 교육 연구 활동, 직무나 자격 연수 참여이고, 자율장학은 그에 비해 자기 성장 면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교내 자율장학의 유형 중 유익한 형태는 자기 장학과 동료장학이며, 장학 담당자가 실시하는 약식장학은 가장 유익하지 못한 형태이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이 활성화를 위해 교내 자율장학의 담당자인 교장․교감은 건강한 학교 풍토 조성과 장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증대하고 각종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A purpose of the study is showing the improvement of the point at issue, Which is being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about the recogniti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econdary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s contents were set up as follow: Firs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 backing key figure of self-supervision such as sex, scale, region, position, school. Seco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background characteristic. Third, showing the improvement plan of self-supervision. As practicing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put in operation, the subject of a questionnaire were 400 secondary teachers in the Cheollabuk-do. 373 of the Questionnaires were taken statistics. The questionnaire used this study was made out revising by asking advice of a tutor and finding items related it in the theory, a bibliography and a preceding study on the logical base. The substance of questionnaire was made three fields such as general recognition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the improvement plan. Statistic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materials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SPSS/PC+10.0 for the purpose of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n performed x2-test(chi-square) to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group, with a significance lever of p<.05, p<.01, p<.001. The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if secondary teacher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is necessary and helpful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Secondly, although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much interest promotions of learning in the school, they participate in self-supervision with preparation in the negative. Key figures of hamper are shortage of study through too heavy work, negative recognition for learning promotion. Thirdly, studying time in average for professional extension is about an hour a day and the number of time that teachers have teaching research or visit a class is about once or twice an year. Fourthly, responsible teachers for learning promotion have to get a professional knowledge of a subject and guidance ability.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Self-supervision in the school need to be reformed towar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method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settings. Also it need to enhance self-promo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rough visiting other classes. Teachers should try to teach with excellent teaching skills and read professional text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a class. Fifthly, research activities for subject, official and qualifying training is the best ways to secondary teacher. It is real that voluntary learning promotions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guidance, instruction-based and coworker-oriented learning promotions are mainly performed. Sixthly, The man in charge of self-supervision, principal and vice-schoolmaster must create for sound school natural features and augment the specificity. It needs the diffusion of diverse educational information and data related learning promotion in the education institution. It is considered good human relationships and leadership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self-supervision. They also should prosecute their studies for years such as attending graduate school, reflecting on oneself about their own classes. Judging from the results above, Firstly, Study range needs to include a group such as principal, vice-schoolmaster related promotion of learning and professional school inspector and analyze the improvement plan of autonomous supervision having a through grasp of the problem of self-supervision in school.
김병주(Kim, Byoungjoo),김태완(Kim, Taewan),홍준영(Hong, June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교의 질적 관리에 비교적 성공적인 모습을 보이는 영국과 프랑스의 장학행정제도를 우리 나라와 비교해 보고 장학행정제도 의 개선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과 영국․프랑스 장학행정제도의 비교 준거로는 장학행정의 조직구조, 장 학담당자의 구성과 직무, 장학행정의 절차, 장학행정시스템의 특징의 네 가지 준 거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준거에 따른 비교 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 은 네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에도 장학업무만을 담당하는 전문기 구가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학담당자의 위상에 대한 새로운 정립이 필 요하다; 셋째, 궁극적으로는 학교교육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단위학교의 책무성 을 강화하는 장학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교평가와 장학에 대한 새로운 관 계정립을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upervision system of education among Korea, United Kingdom, and France. Criteria for comparison are organizational structur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inspector, process of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al system of supervis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the conclusion and further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supervisio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status and position of inspectors should be reconsidered. Third, supervision strengthening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schools focused on improving quality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Fourth, based on establishing new relation between school evaluation and supervision, supervis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should be carri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