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평적 관점으로 본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 +

        심정민 무용역사기록학회 2023 무용역사기록학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task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artistic develop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ince its launch in 2016. The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role of the Korean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as follows: 1) the promotion of basic cultural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2) the pivotal role of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3) the establishment of stable performance production conditions, 4) the promotion of social awareness and interest in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5) the conne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t home and abroad. Tasks to promot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include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content, training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can act as a cornerstone for the progress of discussions on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2016년 출범한 이래로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 기여해 온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를 논의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실증적, 논리적 입증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하는 한편 2016년부터 2022년까지 해당 축제를 현장에서 참관한 경험과 관련 저술을 망라한다.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역할은 장애인의 문화기본권 신장 기대, 장애인무용의 구심점 역할, 안정적인 공연제작 여건 확립, 장애인무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 고취, 국내외 장애인무용네트워킹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장애인무용의 전문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로는 대표성을 띤 콘텐츠 개발, 장애무용가 양성 및 지원, 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을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여전히 장애인무용에 대한 논의가 적은 현실에서 관련연구의 진척에 일종의 초석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장애를 넘어 춤추는 사람들 : 춤추는 장애인 개념과 실제, 가능성 탐색

        홍애령 한국장애인재단 2013 장애의 재해석 Vol.2013 No.-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무용활동을 통해 삶의 진정한 가치를 탐색하고 비장애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춤추는 장애인과 관련된 개념, 현장, 실제를 탐색하였다. 장애인들이 춤추고 만들고 공연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신체상을 확립하고 자유로운 자기표현 및 문화를 향유하며, 사회적 소외 및 고립에서 벗어나 비장애인과의 조화로운 삶을 영위하는 것은 진정한 복지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춤추는 장애인에 관한 개념의 확인, 현장의 탐색, 실제의 발견 단계에서 문헌조사, 인터넷 조사,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전문가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Bereday(1964)의 비교연구방법과 Spradley(1979)의 문화연구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 및 연구윤리를 위해 연구자의 성찰, 삼각검증법, 동료간협의를 거쳤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춤추는 장애인의 개념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간주하는 특수무용, 무용치료와 주체로 바라보는 장애인 무용, 커뮤니티 댄스가 있었다. 둘째, 춤추는 장애인의 현장에서는 미국, 영국, 호주, 우리나라의 무용단을 조사한 결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이루어진 구성원, 공연과 교육 중심 활동, 다양한 춤 장르 소화, 지원기관 및 조직, 제도 등이 특징적이었다. 셋째, 춤추는 장애인의 실제는 혼, 창, 통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애인들이 춤추는 이유는 내재적 동기로서 춤의 묘미, 가치, 의미를 발견하고, 외재적 동기로서 춤을 통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안정감을 느끼고 춤에 관한 꿈을 갖게 됨으로써 춤의, 춤에 의한 “혼”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장애인들이 춤추는 활동은 보다 완성도 높은 작품을 창작하고 공연하기 위한 노력과 도전의 과정으로 연습, 공연,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무용단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핵심요소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이해와 배려로서 소통과 경제적, 환경적 이해와 배려로서 지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무용의 학문적 이론화, 특화된 프로그램 및 자료의 개발, 전문 무용인 양성,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무용축제의 특성과 방향

        이미희 영남춤학회 2023 영남춤학회誌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무용축제의 특성을 살펴보고 축제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데 있다. 장애인무용축제는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와 한국장애인무용협회의 라라미댄스페스티벌을 살펴보았다. 장애인무용축제는 축제를 진행하면서 실질적으로 장애인 시설이 부족한 공공장소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공간을 변화시키는 역할, 한정적인 장애인무용단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단체 및 전문인력 발굴, 동류애가 강한 장애인 문화를 조화롭게 정리해줄 수 있는 교차적 역할, 국제 규모의 축제는 국내 축제가 되지 않도록 국제로서의 방향성을 재고하고, 국내 축제는 장애인 예술 컨텐츠 개발에 집중해야할 것, 장애인들에게 안정된 공연 환경 제공, 장애인을 위한 예술을 할 수 있는 전문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기회 마련 등에 기여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Festival for the Disabled’ and to suggest a role and direction for the festival henceworth. The ‘Dance Festival for the Disabled’ used the Korea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for the Disabled and the LALAME Dance Festival of the Korea Dance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as a viewpoint. The dance festival for the disabled should play a role in changing the space as problems in public places that lack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an be found during the festival. It should also play a cross role in finding new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who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imited dance troupe for the disabled, and harmonizing with the culture of those with disabilities, with its strong connection with society. In addition, international-scale festivals should review their plans as an international festival in ensure that it does not become a domestic festival, and domestic festivals should focus on developing art contents for the disabled. Finally, it was suggested to provide a stable performing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to contribute to preparing opportunities for cultivating talented people with the expertise and character to do art.

      • KCI등재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의 개념화 및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김지안 ( Jian Kim ),윤지은 ( Ji Eun Yun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과 학계에서 전문 용어로 정립되지 못한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을 개념화하고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원리를 적용한 실천적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과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다년간 무용수업 경력을 가진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조사(modified delphi survey)’를 실시하였다. 이에 개념적, 실천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첫째, 장애인무용교육은 특수성으로 무용수업의 차별화된 전략을 요구하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교수 내용과 방법을 적용하여 무용의 다양한 경험과 가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맞춤형 무용교육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장애인무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로 인한 제약 없이 누구나 ‘무용소양(dance literacy)’을 함양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반성적 무용수업의 ORDER 모델(최의창, 2009; Lavender, 1996)과 문화예술교육표준 (무용교육)(서예원 외, 201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을 기초로, 장애인무용교육에 적합하도록 교육 영역을 ‘표현(춤추기)’, ‘창작(춤만들기)’, ‘감상(춤읽기)’, ‘소통(춤나누기)’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무용수업에 모든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무용교육에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하여 ① 공평한 수업 설계, ② 상황별 융통성, ③ 간단하고 직관적인 교수, ④ 다양한 표현 수단, ⑤ 실수에 대한 포용력, ⑥ 학습자의 신체적·인지적 특성 고려, ⑦ 무용수업을 위한 적절한 환경의 일곱 가지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무용교육에서의 ‘인지적 표상 수단’, ‘전략적 표현 수단’, ‘정서적 참여 수단’을 ‘접근’, ‘구축’, ‘내재화’의 실행 단계에 맞추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인무용교육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는 무용수업의 특정한 방법이나 테크닉이라기보다는 교수자의 노력과 학습자의 주도성이 시너지를 내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전인적 관점이자 패러다임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무용참여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커뮤니티댄스(community dance)’ 또는 ‘특수무용 교육(special dance education)’이라는 광의적인 개념으로부터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의 개념과 보편적 학습설계를 제안함으로써 예비 무용교육자를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현장에서의 실천적 가이드라인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dapted dance education', which has not yet to be established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and to propose practical guidelines for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modified delphi survey with experts in dance education and professionals who had teaching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s well as advice from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This allowed the following results to be presented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s. First, adapted dance education is defined as individualized dance education to reach various experiences and values of dance by applying appropriat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for those who need tailored educational strategies due to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The ultimate goal of adapted dance education is set to foster 'dance literacy' without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due to the disability conditions.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domains suitable for adapted dance education such as "expression (dancing)," "creation (dance making)," "appreciation (dance reading)," and "communication(dance sharing)" based on ORDER model (Choi, 2009; Lavender, 1996). Second, this study proposed seven UDL principles : ① equitable class design ② contextual flexibility ③ a simple and intuitive teaching ④ various expression tool ⑤ tolerance for mistakes ⑥ consid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⑦ appropriate environment for dance clas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so that all learners with/without disabilities can participate in the dance classes. In addition, guidelines were suggested to align 'cognitive representation means', 'strategic representation means' and 'emotional participation means' with the implementation stages of 'approach', 'construction' and 'internalization' in adapted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probably appropriate to view UDL as a whole perspective and paradigm in which the teacher's efforts and learner's initiative can create synergy and grow together, rather than a specific method or technique of dance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adapted dance education' with UDL is a better approach than the broader concepts of 'community dance' or 'special dance education.' This finding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indicates a direction for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raining pre-service dance educators and providing practical teaching guidelines in the field of dance.

      • KCI등재후보

        중국 장애인 무용교육 연구

        란쉰,김미숙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3

        The disabled deserve attention from all walks of life as a special group of society.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should be valued to ensure that the lives of the disabled are improved. Dance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a new education that adapts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is also an objectiv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abled themselves. China is increasingly placing importance on dance education for the disabled, but many problems exist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of teachers and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e text is a humanities research method utilizing literature material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China; it presents the development plan of dance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stimulus policies, fund support, curriculum construction, education system construction, etc. and accelerates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for the disabled. 장애인은 사회의 특수한 집단으로서 사회 각계의 주목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 이전의 중국은 장애인의 물질생활에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사회가 진보하고 장애인 자체 발전의 수요에 따라 장애인의 정신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교육사업의 발전을 중시해야 한다. 장애인 무용교육은 현대에 부흥하는 교육으로 시대의 추세에 순응하는 동시에 장애인 자신 발전의 객관적인 요구이기도 하다. 장애인 무용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장애인의 정신문화적 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자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중국은 갈수록 장애인 무용교육을 중시하고 있지만 교사진과 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장애인 무용교육체계의 부족함 등으로 여러 가지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활용한 인문학 연구방법으로 중국 장애인 무용교육 발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양 정책, 자금 투입, 커리큘럼 개설, 교육시스템 구축 등의 장애인 무용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동시에 장애인 무용교육의 발전을 가속화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무용 및 스포츠 분야에서의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 대상 연구동향 및 과제

        박수선 ( Park Su-sun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장애인과 가족대상 무용 및 스포츠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해당 주제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 복지와 관련된 무용 및 스포츠 학문분야의 융합 과제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학회지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장애인·장애인 가족 무용`, `장애인·장애인 가족 스포츠` 등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탐색하여 제시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이 된 논문들을 주요 연구주제어,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분석한 후 연도를 2년 단위로 5기로 구분하여 재분석하여 연구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장애인가족 대상 주요 무용 및 스포츠 프로그램 연구를 선별하여 내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근들어 꾸준히 장애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장애인 대상 운동이나 신체 활동에 대한 논문이 연구주제어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인 가족을 지원하는 주제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수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장애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청소년이었다. 넷째, 연구방법으로는 프로그램 효과분석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양적 연구방법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가족 대상 주요 무용 및 스포츠 프로그램 관련 연구 내용 분석결과로는 치료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장애아동 부모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부모와 함께 하는 스포츠 효과성 분석 등 장애인 형제자매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논문들이 시행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tudies related to dancing and sports in the subjects with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analyzing the study trends from the published articles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06 to 2015, and to seek the future projects related to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people in dancing and sports areas. The study method was to analyze the articles upon searching with the key words of `the disabled, dancing of the family with the disabled,` `the disabled, sports of the family with the disabled,` and so on in the subjects of publications using searching engine of scientific journals. After analyzing major key words, study subjects, and study methods in the subject articles determined by key words, the study trends were investigated upon reanalysis by two-year terms for 5 periods. As a result, first, increasing trend of the studies was shown in the subjects with the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continuously. Second, the most popular key words were sports for the disabled people or physical activities, while the number of topics to support the families with the disabled was relatively low. Third, the most frequent study subjects were the disabled children followed by the adolescents. Fourth, the studies on the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 were shared the most followed by the quantitative studies in terms of study methods. Fifth, a variety of program articles were tried in the subjects of the siblings and parents of the disabled people such a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treatment programs, physical activity programs of the parents of the disabled children, sports outcome analysis together with parents, and so on, upon the analysis results on dancing and sport programs in the subjects of the families with the disabled.

      • KCI등재후보

        장애인무용에 관한 연구동향분석

        배주옥 ( Ju Ok Ba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장애인무용과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대별 분석결과 1980년대는 장애인무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였으나 2000년대 이후부터 장애인의 문화 복지 및 요법의 한 방법으로써 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체장애와 청각장애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대상의 범위는 정서적인 측면에서 점차 신체적인 측면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둘째, 무용과 장애관련 연구는 무용치료·요법과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교육, 복지문화 측면에서 활용되었다. 연구방법의 측정항목은 정서, 심리, 사회적응, 인성을 측정하는 항목이 많았다. 셋째, 분석결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아직은 각 개인의 장애나 연령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거기에 반해 무용이 공연이라는 활동을 통하여 장애인들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장이 생겨나게 되었고, 문화 활동 및 사회적응에도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장애인을 위한 무용교육 및 요법이 댄스 스포츠나 K-pop 같은 생활무용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순수 무용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용가들의 적극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dance for disabled people. The finding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chron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is topic had been treated actively from 2000 but very limited studies in the 80``s. Traditionally the research topic focused on the physically challenged or hearing-impaired people. However, recently the research scope expanded from emotional aspect to physical aspect. Second, the most topics were about dance therapy and treatment among the researches on the dance and disability, and those were applied to the welfare culture, education and physical training. The primary measurement variables were questions about personality, psychology, sociality and emotion. Third, mostly the research topics were about activities for program development. While there were rare research about program for specific types of disorder and age. On the contrary, disabled people could participate in public affairs through the activities of dance performances, and helped them to adjust to society and cultual activities. But, since the dance sport or leisure dance like K-Pop were mostly used for the dance education and dance therapy for the disabled people. Therefore this required more proactiv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dancer to make the dance to do social function and role.

      • KCI등재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장애인무용의 가치 인식

        서해인,김지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pper and lower factors that could be recognized as the value of dance for the disabled for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value of dance for the disabled between the person with the disability and their family guardi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method using domestic academic database search sites KISS(Korean Academic Information), Google Scholar, Kyobo Scholar, DBPIA, KERI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Delphi survey method, and a quantitative survey (independent t-test) method was us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value elements of dance for the disabled as social and cultural arts education were deriv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he 'meaning' and 'role' of the refined literature. Second, 'meaning', which was one of the upper-order elements of the value of dance for the disabled as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was composed of sub-elements of 'purpose', 'role', 'field', and 'classification'. 'Role' consisted of sub-elements of 'internal function', 'external function', 'social role', and 'sharing and empathy'. Third,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dance for the disabled as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between the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ersons with disabilities, family guardians) and the group of experts (dance, disabled, sports) is divided into 'professional field', 'function', and 'purpose' in 'meaning'. ' Among them, only 'fun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 'rol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ll elements of 'internal function', 'external function', and 'social role'.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장애인무용의 가치로서 인정할 만한 상위요인 및 하위요인을 탐색한 이후, 장애당사자와 가족보호자 간의 장애인무용의 가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학술 데이터베이스 검색사이트 KISS(한국학술정보), Google Scholar, 교보스콜라, DBPIA, KERIS 및 국회도서관 등을 이용한 문헌고찰 방법, 무용계, 장애계, 체육계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 방법, 장애당사자(가족보호자 포함)와 전문가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양적조사(독립 t-검증)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장애인무용의 가치 요소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정제된 문헌을 중심으로 하여 ‘의미’와 ‘역할’이 도출되었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장애인무용의 가치에 대한 상위요소 중 하나인 ‘의미’는 ‘목적’, ‘역할’, ‘분야’, ‘구분’의 하위요소들로 구성되었고, ‘역할’은 ‘내적기능’, ‘외적기능’, ‘사회적역할’, ‘공유와 공감’의 하위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셋째, 장애당사자(장애인, 가족보호자) 집단과 전문가(무용계, 장애계, 체육계) 집단의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장애인무용에 대한 가치의 차이는 ‘의미’에서는 ‘전문분야’, ‘기능’, ‘목적’ 가운데, ‘기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역할’에서는 ‘내적기능’, ‘외적기능’, ‘사회적역할’의 모은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배소정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on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of autistic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study targeted a total of 7 people residing at the H Welfare Foundation in U City with autism-pron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which a combination of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4 times, 50 minutes once a week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in a total of 4 stages: the stage of forming a sense of trust → the stage of the environment to protect and hug → the stage of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to play → the stage of coordination and relationship for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inguistic and non-verbal interactions through social interaction scales (Jung, 1988) the scores of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omparison. In order to see the change of non-verbal interaction through motion observation, Samuel and Chaiklin's motion observation scale (Ryn, 2019), was used. Among the elements of LMA, the images of the body, effort, shape, and space were analyzed, and the movement changes of the subjects were observ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pre- and post-scale verbal interactions of autistic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erformed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the verbal interaction scales were improv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non-verbal interactions of the autistic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erformed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the non-verbal interaction scales were improved. Third, the degree of non-verbal interaction was improved when the movement was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video analysis of the autistic-minded with a disability who conducted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Summarizing the conclusions, dance/movement therapy influenced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of the autistic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l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short periods for group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자폐성향 지적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주 1회 50분씩 총 14회에 걸쳐 신뢰감을 형성하는 단계 → 지켜주고 안아주는 환경의 단계 → 놀이하는 촉진적 환경의 단계 →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조율 및 관계성 단계 총 4단계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정정순, 1998)와 움직임 관찰을 통한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기 위해 Samuels & Chaiklin의 동작관찰척도지(류분순, 2019)를 대상자들의 움직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전·사후 척도 평균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전·사후 척도 평균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비언어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셋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영상분석에서 움직임을 관찰하여 분석하였을 때,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정도가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하면,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이 후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그룹을 대상으로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 좋을 것으로 보여지는 바이다.

      • KCI등재

        장애무용의 실존참여를 통한 공연예술의 확장성 의미-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를 중심으로

        정지민 한국무용학회 2024 한국무용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KIADA)를 통해 장애무용의 실존참여를 통한 확장성의미를 고찰하는데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문헌연구를 통해 KIADA의 현황을 프로그램 내용,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참여빈도, 관객수 등 축제 운영 내용을 살펴 장애무용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앞으로 장애무용의 확장성을 찾아보는 것에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KIADA는 영속적인 개최를 위한 바탕으로 장애무용가 육성의 문제, 장애유형에적합한 무용프로그램 개발 및 적절한 무용교육자 배치, 장애유형 구분 없는 통합된 장애무용공연으로 확장성등 다양한 문제가 존재하며 향후 이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alability of disability dance through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KIADA). Accordingly, the study was conducted by focusing on finding the social meaning of disability dance and the expandability of disability dance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IAD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ch a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and the number of audiences. KIADA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of fostering disabled dancers, the development of dance programs suitable for disability types, the placement of appropriate dance educators, and the scalability of integrated disability dance performances without discrimination of disability types, and in-depth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