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인 가족 스키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황상현,노형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running the adaptive ski program (ASP)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family participants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APAI). To reach this end,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ction research solving the problems in society with practice. The project team was organized for action research with undergraduate, graduate students and instructors at K university interested in ASP and developed ASP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5 families, a total of 2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groups; 1. adaptive ski experts, 2. family participants, and 3. APAI. And, various materials were collected produced at all stages of action (including program documents, researcher field notes, videos, and photo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categorized to find core word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this action research was going into four steps such as program element exploration, program planning,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gram evaluation. Second, the finding of the experiences of the families with physical disability participating ASP could be summarized as "I can do as much as I have done!”, "Complexity of disability” and “Beyond disability right to family leisure”. Third, the interviews of APAI depicted the meaning of experiences as “Knowing through practice”, “Practice of humanistic sports education” and “Growing instructor”. In the conclusion, attending skiing activities gave each family possibility for semantic change. The meaning of ASP was depicted as uncanniness but that was the moment to find the alternative meanings of disability and family which were fixed images before. So, feeling uncanniness through sports is one of the mechanisms for cracking dominant discourse. Outdoor sports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would be activated as a practice of human right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fessional institution.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 가족 스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탐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인 가족과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경험이 갖는 체험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 내 존재하는 문제를 실천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K 대학의 장애인레저스포츠 운영진, 장애인레저스포츠에 관심 있는 K 대학의 학부, 대학원 재학생과 실행연구를 위한 프로젝트팀을 구성하여 5가족 총 20명의 지체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장애인스키 전문가 집단, 참여 가족 집단, 장애인스포츠지도자 집단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행의 단계에서 작성된 각종 문서(운영진 협의회 문서, 현장 지도자 협의회 녹음자료, 지도자 성찰일지, 연구자 필드 노트,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자료 포함 등)를 수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문제별로 도출된 의미단위는 연구문제 1은 30개, 연구문제 2는 26개, 연구문제 3은 20개였다. 도출된 의미단위를 범주화, 재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과 1의 핵심주제어는 ‘어제보다 새롭게: 프로그램 실행 요소 탐색’, ‘감동을 위한 준비: 프로그램 계획’, ‘함께 만들어가는 실천: 프로그램 실행’, ‘성장과 배움의 장: 프로그램 평가’, 결과 2의 핵심주제어는 ‘해본 만큼 할 수 있다!’, ‘드러나는 장애의 복합성’, ‘공감을 넘어 여가 권리로’, 결과 3의 핵심주제어는 ‘실천에 내재된 앎’, ‘인본주의 스포츠 교육의 실천’, ‘좋은 지도자로 거듭나기’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는 장애를 상호호혜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장애인(레저)스포츠를 실행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레저스포츠 종목과 가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정규적이고 안정적인 장애인레저스포츠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장애인레저스포츠 운영 주체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특수체육 분야에서 다양한 범위와 형태의 실행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 운영 방안

        성문정 ( Mun-jeong Seong ),이동철 ( Dong-chul Lee ),김인애 ( In-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장애인스포츠레저사업 현황 조사,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운영을 위한 인식조사,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스포츠레저 사업의 문제점으로 장애인스포츠·레저 활동 비활성화, 장애인스포츠·레저 전문 인력 부족, 지원환경 인프라 부족이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운영 인식조사 결과, 장애인체육단체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계자들은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조성 및 운영 시 셔틀버스 운영 등과 같은 접근성(52.3%)을 가장 강조했으며, 운영 방식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서 직영 운영(61.8%)을 선호하였다.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프로그램 운영 시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가족단위 캠핑(39.2%), 수상레저스포츠(23.7%), 동계스포츠(11.3%), 자동차 레저스포츠(9.5%)등을 선호하였다. 셋째, 전문가 회의결과,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 설치와 관련하여 적합지역은 평창올림픽 및 평창동계패럴림픽이 개최된 평창지역을 가장 바람직한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운영방식으로는 장애인스포츠·레저학교의 공익적 활용을 감안하여 대한장애인체육회 직접운영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으로는 동·하계스포츠·레저캠프, 교육연수프로그램, 가족 캠핑프로그램과 시설임대, 전시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specific plan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urvey and the recognition survey for manage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a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roblems of sports and leisure business for the disabled were inactivation and lack of experts, infrastructure for sports and leisure for the disabled.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about manage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disability sports organization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mphasized accessibility (52.3%), such as shuttle bus, and direct management (61.8%) by Korea Paralympic Committee. Also, as the program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camping with family(39.2%), water leisure sports (23.7%), winter sports (11.3%) and automobile leisure sports (9.5%) were preferred. Third, Pyeongchang where Winter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ere held was selected as the most desirable area for the establishment of sports and leisure school for the disabled and managed directly by Korea Paralympic Committee for public use. For the program, it was suggested to run the summer and winter sports leisure camp,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camping program with family, facility rental, and exhibition program.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본 장애인 생활체육

        김선희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2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 생활체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 최근 6년간 2017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까지 ‘장애인 생활체육’, ‘장애인 레저스포츠’를 중심으로 SNS분석을 시행한 결과 NEVER 2429건, DAUM 2863건, GOOGLE 306건으로 총 추출된 텍스트는 5598건으로 나타났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결과, 지원, 수급자, 노인, 자격증, 조성, 확대, 전문, 체육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N-Gram 분석결과, 노인-장애인, 장애인-비장애인, 노인-유소년, 유소년-장애인, 장애인-스포츠지도사 등으로 나타났다. TF-IDF 분석결과, 수급자, 지원, 자격증, 노인, 확대, 활성, 조성 등으로 나타났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지원, 노인, 자격증, 활성, 전문, 체육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첫째, 대회, 스포츠, 자격증, 활성, 유소년, 생활, 종목, 스포츠지도사 등 키워드로 구성된 영역은 ‘스포츠 복지의 다양화’로 명명하였다. 둘째, 확대, 조성, 추진, 운영, 체육시설, 체육, 생활체육, 설치, 확충, 지원 키워드는 ‘스포츠 환경의 변화’로 명명하였다. 선진 복지국가로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있어서 오랫동안 소외되었던 장애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유지, 증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필수조건이기에 장애인이 스포츠를 단지 즐기는 차원을 넘어 차별화되고 구체적인 장애 유형별 스포츠 참여 환경이 마련되길 기대하고 아울러 장애인들이 한층 선진화된 생활체육을 통해 건강한 스포츠문화와 스포츠복지를 충분히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장애인 가족의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황상현,노형규 한국특수체육학회 202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는 장애인 가족의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이 가진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van Manen(1997)이 해석학적 현상학에서 제안한 네가지 실존체(신체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을 분석적 틀로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다섯 가족, 총 16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이 제안한 4가지 실존체인 신체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을 토대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신체성은 ‘깨어남’과 ‘인정’, 관계성은 ‘보임’과 ‘동등’, 공간성은 ‘자유’과 ‘추억’, 시간성은 ‘몰입’과 ‘성찰’로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장애인 가족 구성원은 수상 레저스포츠 체험을 통해 완결적으로 닫힌 모습이 아닌 가능성의 시간 속에서 삶을 만들어가는 존재자의 실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상 레저스포츠와 같이 ‘일상적이지 않은 신체활동’에 참여하면서 가족 구성원은 수평적인 소통을 경험하는 동시 가능성을 찾아내고 실현하는 시선에서 가족의 의미를 재해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family water sports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W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van Manen (1997) presented, the four existentials (corporeality, relationality, spatiality, temporality) provided a basis for analysis and discussion. Participants were from five families, totaling 16 members with each family including IWD.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ssociating with the four existentials of their lifeworld and depicted the lived experience of family water sport: (corporeality) awakened, recognized; (relationality) visibility, horizontality; (spatiality) freedom, remembrance; (temporality) immersiveness, reflexivity. These findings led to discussing the meaning of family water sports from bodily communication and bodily deviation. Both of these aspects were combined with temporality to recreate human existence. Participant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alternative interactions during the family water sports program, and they also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family from a perspective of possibility.

      • KCI등재

        장애인의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활동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순(Choi, Mee-Soon),조혜영(Jo, Hye-Young),박동수(Park, Dong-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장애인의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활동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대회에 참여한 장애인 89명이다. 최종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활동 만족도는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자아성취감의 하위영역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이를 최종모형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활동 만족도는 자아성취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대인관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효능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대인관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S대학교에서 매년 시행하는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활동의 내실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 영산강 수상레저 스포츠 활동을 매개로 S대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유기적인 협동관계 형성을 통해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서 경제성장을 돕고, 대외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기대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of the disabled.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89 disabled people participated in S University Yeongsan River Water Sports Competi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with SPSS 18.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atisfaction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was not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esteem however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achievement. (2) Satisfaction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had influence on self-achievement directly. Interpersonal rel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satisfaction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and self-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did not affect self-esteem directly and indirectly,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d not mediate between satisfaction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and self-esteem.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substantiality of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held in S university every year. S university can buil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a local community by Yeongsan River water sports activity. That will b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 KCI등재

        장애인의 여가스포츠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재춘(Jeong, Jae-Choo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가 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배드민턴 대회에 참여하는 척수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1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답변이 불성실한 94부를 제외한 17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장애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경로 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수장애인들의 여가스포츠 참여와 자아존중감 형성간의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장애인의 신체적 불편함과 이로 인한 심리적 위축감을 극복하는데 스포츠와 같이 적극적인 여가활동이 긍정적 영향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와 척수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역시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는 적극적인 여가스포츠 활동은 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현재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하여 장애인들의 스포츠 참여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을 위한 여가스포츠 시설과 예산 확대, 운동 프로그램 개발, 전문 지도자 육성 등 장애인의 여가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긍정적 영향관계도 확인함으로써 자아존중감 향상이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여가연구 분야에서 소홀이 다루었던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스포츠를 통한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적극적 여가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isure-sport particip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study, survey samp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playing badminton. The first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The National Disability Badminton Tournament from April 10th to 11th, 2010. After the first survey, second surveys conducted in The National Spinal Cord Injury Conference in May 15th, 2010. All 177 data collected from survey were process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were also analyzed or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survey are as be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sport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So the spinal cord injury improve their self-esteem by participation in and interesting in leisure-sport activities like badminton. Second, the leisure-sport participation partl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e leisure-sport participation influenced self-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and health satisfaction but not economical satisfaction i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elf-esteem partl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e self-esteem influenced self-satisfac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but not health satisfaction and economical satisfaction i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 방안 연구

        이예훈 ( Ye Hoon Lee ),박재영 ( Jaeyoung Park ),노시현 ( Sihyeon Noh ),소호균 ( Hogyun So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4

        장애인들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와 사회적인 제약으로 인해 건강이 훼손되고 다양한 여가 활동 참여가 제한되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애인들의 필수적인 사회적 발달, 건강 및 복지의 기회를 박탈하고, 심리적/정신적 어려움을 겪게 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도와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가 활동의 한 형태로 최근 관심받고 있는 e스포츠의 잠재력을 고려하여 장애인의 e스포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교,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장애인 e스포츠팀,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들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였다. 전문가 자문 조사 결과,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접근성, 홍보/마케팅, 교육 4개 핵심 과제의 구체적인 방안과 추진 전략을 확인하였고, 분석 결과 총 10개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된 10개의 발전 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전략들을 논의함으로써, e스포츠가 장애인들의 삶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토대와 장애인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수립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individual disabilities and social restrictions,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inconveniences in which their health is damag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is restricted. This phenomenon deprives people with disabilities of essential opportunities for social development, health and welfare, which in turn causes them to experience psychological/mental difficulties, ultimately resulting in a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vitalization plan to activate e-sports for the disabled,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e-sports as a form of leisure activ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opinions on major issues for the vitalization of e-sports for the disable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special school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e-sports teams for the disabled, and academia. As a result of the expert advisory survey, specific plans and promotion strategies for the four core tasks of content, accessibility, public relations/marketing, and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e-sports for the disabled were confirmed,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0 development plans were derived. In this paper, by discussing detailed strategies for the 10 development plans derived, we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e-sports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overcome their difficulties in life.

      • KCI등재

        장애인e스포츠 현황 및 실태조사에 대한 연구

        박성희,정이루리,이예훈,김보미 한국여성체육학회 201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e-sports for disabled people in order to provide th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of this fiel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s, a total of 340 disabled people participated in the paper-pencil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how they got involved in playing e-sports, what happens during their participation, and the levels of their satisfactions and preferences on certain types of e-sport ev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tended to start playing E-sports because they had fun experience directly from the participation and indirectly from watching the events from various media channels. Secondly, the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E-sports because of a lack of e-sports programs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facilities. Thirdly, the participants usually ha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game itself, but the satisfaction levels were relatively low on the facility and the e-sport events. Finally, the participants had demands on developing accessibl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and creating games which all the disabled and general people can play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e스포츠의 올바른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장애인들의 e스포츠 활동에 대한실태와 현황을 e스포츠 시작단계, 활동지속단계, 만족도, 선호도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의 여가활동으로서의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340명의 장애인들이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및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들이 e스포츠에 참가하게 되는 계기는 e스포츠의 직접적인 활동과 미디어를 통해 경험한 간접적 e스포츠 활동이 즐거웠기 때문이며, 친구 및 형제자매가e스포츠를 시작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인들이 e스포츠 활동 시 경험하는 가장 큰 어려움은 e스포츠 관련 프로그램의 부족 및 시설 사용이 불편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인들은 e스포츠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설 및 대회 경험적 측면에서의 만족도는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e스포츠의 발전을 위해서는 접근성이 높은 e스포츠 시설들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대회 및 종목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가활동에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여가활동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e스포츠의현황 및 그 발전방안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장애인e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다각적으로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차 자료를 이용한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도 결정요인

        지윤호,문준호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3 관광레저연구 Vol.35 No.2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spect the determinants of subjective health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e dependent variable is subjective health;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ulture art watching, leisure sports watching, religious activity, and job satisfaction. Control variables are age, gender, personal assets, and level of disability. This study employed the panel survey for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s the data source. The number of observations is 1302. The study period is 2016-2018. For hypotheses testing, this study implemented panel regression models: ordinary least square, fixed effect, and random effect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ive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y is positively influenced by cultural art watching, and leisure sports watching. This research ultimately presents the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 of budgeting regarding people with disability.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설문지 개발

        이지현 ( Ji-hyun Lee ),김지태 ( Ji-tae Kim ),홍상민 ( Sang-min H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장애인들에게 적합한 여가스포츠 활동 저해요인의 설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538명의 여성지체장애인으로 크게 3단계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우선 여가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구성개념을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탐색한 후 여성장애인 93명에게 개방형 질문지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여가스포츠 활동 저해요인에 대한 32개의 예비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이후 작성된 예비설문지의 요인 탐색을 위한 예비조사는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여성장애인 101명을 대상으로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를 이용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설문지의 타당화 작업을 위하여 여성장애인 34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 구조관계를 검증, 개발된 설문지가 집단 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성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예비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1문항의 본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도출된 21문항들은 이론적 근거 하에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과정과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위배되지 않은 설문지로 개발되었다. 중년층, 장년층의 그룹과 중증장애, 경증장애 그룹으로 구분하여 동일성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개발된 설문지가 어느 집단에서도 동일성검증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 결과였다. 이와 같이 여성장애인의 여가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설문지 개발을 통해 여성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objectively measure the factors impeding leisure sport activity of women with disability.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538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survey of 3 stages. Specifically, in the 1st stage, constructs concerning factors impeding the first leisure activity were explored, and then open-en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distributed to 93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were drawn up 32 preliminary questionnaire items. In the 2nd stage, the average of the question items, standard deviation, kurtosis, skewne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sis were carried out on 101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last 3rd stage of survey, validation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which used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dent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on 344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were examined by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the final questionnaire of 21 items was developed. Also, to confirm whether the finally developed questionnaire could be equally applied to different groups, identity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groups of the middle and high-aged and the groups of severe disabilities and mild disabilities. The result of identity verifica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each set of groups, which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questionnaire passed identity verification for any group. This study would serve as a momentum for in-depth research on leisure activity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