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자호란 이후 ‘심양(瀋陽)’에 대한 기억의 변이 양상

        김효정 ( Kim Hyo Joung ) 우리한문학회 2017 漢文學報 Vol.36 No.-

        사람들은 대개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를 오랫동안 기억을 한다. 또한 의미를 지닌 장소에 가면 잊혀졌던 기억이 소환되고 다시 회상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 기억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망각과 재구의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모습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이 글은 병자호란을 직접 체험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비롯한 조선인들에게 심양은 어떤 의미를 지닌 장소로 기억되고 있었는지, 또한 소현세자와 효종 사후 점차 망각되었던 심양이 후대에 어떤 장소로 기억되고 소환되어 나타나는지 그 변이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하나의 장소가 세대와 시간을 지나 기억과 망각의 과정을 거쳐 새롭게 재구되는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인들에게 ‘심양’은 매우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소이며 잊지 못할 기억을 떠오르게 하는 장소이다. 병자호란의 패배로 인해 심양에 볼모로 끌려가 고통의 세월을 겪었던 소현세자를 비롯한 당대의 조선인들에게 심양은 고통과 치욕의 장소로 기억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청과의 본격적인 교류와 사행이 이루어진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연행록 속의 심양은 과거의 오욕을 씻고 멸망시켜야 하는 복수의 장소가 아닌 ‘삼학사’와 ‘김상헌’의 절의가 깃든 충절의 장소로 소환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삼학사의 절의와 과거의 뼈아픈 기억을 소환했던 기억들은 과거보다는 현재의 기억에 충실하려는 변화를 보인다. 18세기 연행록의 저자 눈에 비친 심양은 삼학사의 절의가 빛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막강한 대국의 심장부로 번화하고 활기 넘치는 장소로 새롭게 기억되기 시작한다. Mostly, people remember places with special meanings long. Also, forgotten memories are recalled and reminded in some cases when they are in places with their own meanings. However, those memories may be remembered differently through the process of forgetting and reconstructing after a long time. This paper was written to consider the process in which a place is reconstructed anew through the process of remembering and forgetting over generations and over time, by examining which meaning Shenyang(瀋陽) had for Joseon people including Crown Prince Sohyeon and Royal Prince Bonglim, who experienced the Byungja Manchu War in person, and which place Shenyang was in the next generation’s recollection and how it was recalled, although it was forgotten gradually after Crown Prince Sohyeon and King Hyojong died. For Joseon people going through the Byungja Manchu War, ‘Shenyang’ was the place that had a very special meaning and reminded them of a unforgettable memory. Shenyang was remembered as a place of pain and disgrace for Joseon people of the day including Crown Prince Sohyeon, who was taken to Shenyang as a hostage due to the defeat in the Byungja Manchu War and spent painful years there. As times went by, Shenyang was recalled as a place of loyalty to show the fidelity of ‘Samhaksa(三學士)’ and ‘Kim Sang-Heon(金尙憲)’, not a place of revenge to get rid of and collapse shame of the past, in Yeonhaengrok(燕行錄) from the lat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that full-scale interactions with the Qing Dynasty and speculative behaviors started. Also, the memories reminding them of Samhaksa’s fidelity and the former pain were changed to be faithful to the present rather than to the pa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 of Yeonhaengrok in the 18<sup>th</sup> century, Shenyang began to be remembered anew as a place that highlighted the fidelity of Samhaksa, as a heart of a great power, and as a place full of vitality.

      • KCI등재

        장소의 상실과 기억

        신지은(Shin Ji-Eun)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2

        폴란드 유대계 프랑스 작가 조르쥬 페렉은 유년기에 부모를 잃었다. 그의 아버지는 전쟁에서 부상당해 죽었고 그의 어머니는 아우슈비츠(Auschwitz)로 후송된 후 사라졌다. 페렉은 자신의 유년기 기억의 부재를 회복하기 위해 글쓰기를 자신의 운명적인 작업으로 여긴다. 부모의 죽음과, 그에 따른 유년기 기억의 상실(상실의 기억) 및 집의 상실은, 뿌리 뽑힌 자기 정체성, 고아로서의 자기의식, 작가로서의 정체성 자각과 연관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페렉에게서 유년기의 상실은, 깊이 뿌리박힌 장소의 상실과 연관되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상실을 극복하기 위해 조각난 과거를 짜 맞추어 보는 것은 고통스러운 과정이다. 이것은 ‘기억의 정치’라 할 수 있는데, 이 때 기억은 단순히 역사 혹은 시간성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특정 장소(성)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깊이 뿌리박힌 장소는 우리를 보호해주고,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고 잊혀져가는 것에 대한 저항의 “기준, 출발점, 기원”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근대적 공간은 기술문명이 지배하고 근대적 이성이 발현되는 곳으로, 자본축적을 위해 추상화되고 계량화되면서, 인간의 삶과 장소는 괴리된다. 이 글에서는 페렉의 글쓰기를 참고하면서 장소를 기억하고 기록함으로써 장소와 인간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여지를 가늠해 본다. 사적이거나 공적인 기억은 언제나 장소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 대한 기억은 사라져 가는 것에 대한 끈질긴 추적이자 망각과 죽음을 늦추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s tre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dentity and places regarding the french author G. Perec's efforts to recover his memories of childhood through writings. Perec's father died of having hurt during the world war Ⅱ and his mother was disappeared in Auschwitz. This was why he taked the writing as fated task to recover his vanished memories of childhood, in which he lived without parents and any stable house.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erec and his effort to recover his memories through writ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 vanished memories of the author's childhood is inseparable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place, in which he could have been deeply rooted. This thes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modern everyday life, that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term "homelessness". Heidegger, Bachelard and Benjamin agreed on this diagnose of the modern with some differences. These philosophers were also trying to find out the way to resist against the more accelerated processes of forgetting in modern times. In the case of Perec, it was writing, that has lead to pay attention to the everyday life and placeness. Regardless of whether his writings recovered the authentic memories or invented them, the writing was an important agency for the task resisting against the forgetting process in modern times and making us know of the deep connection of placeness and memories in human life.

      • KCI우수등재

        서울의 일상적 장소기억을 기록한 독립출판물의 특징

        장원호,구선아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3

        Cities are now changing at a faster speed than that of the period of urbanization. It is very natural from a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cities develop, maintain, decay, disappear, and re-develop. However, disappearance of spaces where one used to live or has a specific memory of makes him or her feel sense of loss and nostalgia. Recently,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publications about emotions and activities in everyday space. Expand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Communication media and independent bookstores play a background role for the increase in independent publications about memory and emotion of spaces. This paper, based on place-memory publications about Seoul, analyzes how individuals remember their everyday places, why they write their experiences in these places, and w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lace-memory publications are. To do so, we have conducted text analyses of independent publications and semi-structural interviews of writers of place-memory publications. We have found that place-memory publications are closely related with SNS Communication in that both involve individuals sharing trivial memories and emotions. Most of the interviewees started to write their place-memory publications out of strong nostalgia of specific places. In addition, we have found that individual place-memory is related with respondents’ social memories and that place attachment is more strongly related to respondents’’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places than the length of time in which they lived there. The writers of place-memory publications wish to enhance their social ties by sharing their place-memories and in so doing they are creating a new sense of ‘placeness’ of the places they have memories and emotions. 현대 도시는 산업화 시기의 변화만큼이나 빠르게 변하고 있다. 도시의 장소가 생겨나고, 성장하고, 쇠퇴하고, 사라지고, 재구성되는 것은 도시생태학적 관점에서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개인에게는 자신이 살았던 동네 혹은 추억이 있는 장소가 사라지는 것은 자신의 과거가 사라지는 느낌을 주어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상실감을 가져오기도 한다. 최근 개인의 일상적 장소기억을 기록한 기록물이 늘고 있다. 이유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개인 표현이 확장되었고 독립서점의 증가로 독립출판물을 생산, 유통하기 쉬워진 출판 환경의 변화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일상적 장소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왜 개인은 자신이 경험한 일상적 장소를 기록하는지, 개인의 장소기억 기록물은 어떤 특징을 갖는지를 서울의 장소기억을 기록한 독립출판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독립출판물 텍스트 분석, 독립출판물로 개인의 장소기억을 기록한 기록자를 대상으로 반구조적 인터뷰를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개인의 장소기억은 개인의 경험이 중요하게 작용했고 장소성을 생성하거나 변화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장소애착이 강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적 기억과 개인의 장소기억은 연결되어 있었고, 장소애착은 거주한 시간보다 개인의 경험에 따라 생성되었다. 또한 장소기억의 기록자들은 자신들의 기록물 공개를 통해 사회적 연결감을 갖길 원했으며, 그 과정에서 그들은 기록된 장소에 새로운 장소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 문화경관 연구를 위한 장소기억 개념 고찰 및 사례 해석 - 근대 산업도시 장항(1920~2010년대)을 대상으로 -

        ( Park Jae-min ),( Kim Moo-h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6 No.-

        풍경화와 풍경식 정원의 전통에서 촉발된 경관 개념은, 이후 독일과 미국에서 문화경관 이론으로 발전하였다. 문화경관 연구 초기에는 눈에 보이는 대상에 관한 형태학 연구가 발전하였지만, 이후 현상학적 장소성 연구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거치며 텍스트와 상징, 문화정치, 젠더, 경제 등 경관을 바라보는 다양한 보는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장소기억 개념을 고찰하고, 그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근대산업도시 장항을 대상으로 경관에 투영된 문화적 이미지를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반표준화 인터뷰를 사용하여 지역주민의 집단기억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장항 지역 주민의 기억 속에 축적된 경관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억 속 경관이미지는 지층과 같이 쌓여져 있었으며, 이는 특정한 힘에 의해 왜곡, 변형 또는 강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관이미지는 시각성과 물질성이 강한 기억의 장소를 중심으로 축적되어 있었으며, 4가지 구별되는 문화적 층위와 기억의 장소들을 밝힐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도시의 정체성을 담은 장항제련소와 굴뚝, 노동자의 일상적 경관을 담은 항구, 창고와 정미소들, 산업화 번영의 상징인 황금과 황금정, 근대성을 상징하는 도로 시스템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 해석을 위한 기억의 장소 개념을 고찰하고 사례를 해석한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최근의 상징경관 연구는 주로 거시적이고 담론적 해석연구로 나아가고 있다면, 장소기억과 기억의 장소 연구는 보다 현장 중심의 미시적 연구로 설계가가 활용하기에 보다 실천적이고 용이한 연구 개념이며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장소기억 개념은 향후 근대역사경관의 해석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 The tradition of landscape painting and gardening provokes cultural landscape theory in 1900~20's. In the early stage of cultural landscape research focused on morphology with visual objects and images. It flows into phenomenological place or sense of place studies after World war Ⅱ. From postmodern paradigm in the 1980's, there is a various way of seeing a landscape such as text, iconography, politic, gender or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and classify the concept of place memory as a new way of seeing for cultural landscape study. And it interprets the industrial city, Janghang case by using Place memory. This study conducts semi-standardized interviews to extract for the collective memory of residents. As a result, the landscape images in collective memory were stacked like strata, which were distorted, shrank or emphasized by specific outer forces. In the case of Janghang, factors such as economic growth and the national system were in operation. These landscape images were accumulated around places of memory with strong visual and materiality. It illustrates four cultural layers based on places of memory; for instance, the identity of the city on Janghang smelter and the chimney, the ordinary and laboring landscape with port, mills, and warehouses, the symbol of industrial prosperity of city on gold and Golden village and the modernity on the road syst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basic study that examines the concept of place memory for cultural landscape theory. Unlike cultural landscape study goes to large-scale discussion recently, place memory theory starts from living place and locals. It can help to practical design and planning for landscape architects and designers. Place memory can be, especially, useful for Modern landscape disciplines.

      • KCI등재

        6.25전쟁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장소

        임은진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2

        본 연구는 6.25전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의 집단적이고 문화적인 기억과 이와 관련된 장소에 대한 것으로, 이론적인 접근과 설문 조사 및 분석을 병행하였다. 어떠한 역사적 사건을 실제적으로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억을 ‘문화적 기억’ 이라고 한다. 이러한 문화적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각되고 상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필요로 하는데, 장소는 문화적 기억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매체이며, 기억을 명확하게 해주고 지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6.25 전쟁과 관련된 장소와 관련된 문화적 기억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기억하고 있는 장소는 낙동강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인천, 거제도 포로수용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기억되고 있는 것들의 공통점은 기념의 장소와 공간이 있었으며, 이들은 현 정치체계와 사회의 공통관념을 표현하는 상징적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기념 공간은 역사적 사건이나 행위가 일어났던 바로 그 장소일 경우에 더욱 진정성과 가치를 갖고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collective and cultural memory and its place of the people who haven’t the 6.25War experiences, and consisted of theoretical approach, surveys and its analysis. In practical, the memory of the people who haven’t experience historical events is called ‘cultural memory’. This cultural memory requires a variety of media in order not to be forgotten and lost. Place is an important medium to form the cultural memory and can remember the memory clearly and allows it to be continued. According to survey results of cultural memory and place related to 6.25 war, Nakdong River was the most place people remember, followed by Incheon, Geoje POW, and so forth. The most common thing to remember is the place and space for memorial and it has a symbolic form that express current political system and common notion of society. Additionally it has more authenticity and value in case that the memorial space is the place occurred a historical event or activity.

      • KCI등재

        유휴 간이역 재생경관에서 역목(驛木)의 장소기억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등록문화재 지정 간이역을 중심으로 -

        강혁진,성종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는 유휴 간이역 재생경관에서 역목의 장소기억적 의미에 파악하고자 하며, 등록문화재 지정 간이역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역사건축물과 함께 식재된 역목이 경관형성에 있어 주요요소이며 장소기억적 측면에서 그 의미를 가진다. 특히 주체의 기억 속에 나타나는 역목의 의미를 고찰하여 재생경관에서 보존되어야 할 대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역목의 장소기억적 의미는 1. 주체자의 기억 속에 내용적 대상으로서 역목을 인식하고 있는 점 , 2. 수목으로서 감정적 유대가 있는 경관의 주요요소이며, 3. 장소적 기억의 대상으로 설명되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역목은 재생경관에서 주요 재현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다른 간이역 경관요소와 함께 통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대상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meaning of Yeokmok as place memory of unused small station renovated landscape concentrated on the heritage registered small stations. The study indicates that Yeokmok which was planted with station building is one of main elements for establishing landscape and has a meaning in the light of place memory. Especially, by evaluating of the meaning of Yeokmok in the memories of each subjects the study wanted to reveal that Yeokmok is an object to be preserved in the renovated landscpae. As a result, the meanings of Yeokmok as place memory are described that 1. every subjects cognize its signification, 2. Yeokmok is one of main landscape elements having emotional tie as a plant, 3. it could be a memorizable object as a place. So, Yeokmok could be an important representative object in the renovated landscape and it sh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with other landscape elements of small station area.

      • KCI등재

        한강 유역 국행 기우제 터에 대한 기억과 변화 - 한남동 용단마을, 보광동 우사단마을, 광장동 용당산을 중심으로 -

        김태우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lace of the past is now remembered and how these memories and experiences are forming and influencing the place in the past, do. For this purpose, we will use the concept of place and placeness. First of all, Hannam-dong is the place where Yongdan was the important altar that was set up in the past. In this firing range, a sparkling fire was used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Han River, so it also flourished commercially. Hannam-dong and its surrounding area share memories of Han River and sake barons, rituals for rain of national scale, and gut of shamans. These memories are again handed down as rituals of Bugundang, Dang-gut, and Yongwangje. On the other hand, the place called Yongdan was distorted from the beginning and caused the native people to experience a great embarrassment. Next, the case of Bogwang-dong, where the Usadan was located, is no longer remembered as the place of the national ritual for rain. It was also remembered as a displaced village built on the cemetery as a place of migration for the Dunjimmy people. Now, however, it forms a new identity called 'Usadan Road', and it is emerging as a famous spot in Seoul with many restaurants and attractions. Usadan is newly remembered as a ritual place, Usadan Road. Finally, it is a case of Gwangjang-dong where the place is going to disappear. In the past, there was a famous sacred party such as Yangjin-dang, but the reality is unknown, but the existence of the Yongdang is remembered by some native people. But the Yongdang was gone and a huge hotel was built instead. The empty spaces of the annihilated places had been replaced by Mireuk and Seonghwangdang which had been taking place in the past, but when the Seong hwangdang was lost, another place had to be annihilated. Currently, residents are eager for the restoration of the ruined place by building a new Seonghwangdang next to the Mireukdang. Thus, the location of an area is constantly affecting people living in the area. The memories of the past are distorted and created in new ways. They try to restore the lost place again. This is an essential property of the place and it is also why people have to seriously consider the place. 이 연구는 과거 국가적인 제사가 행해졌었던 세 지역을 사례로, 과거의 장소가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억과 경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현재의 장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한남동의 경우는 과거에 중사로 설정되었던 중요한 제단인, 용단이 있었던 곳이다. 이 용단에서는 수시로 기우제가 행해졌고 특히 침호두나 무당을 동원한 기우제가 행해졌던 곳이기도 하다. 또한, 한강나루가 있어서 상업적으로도 번성했다. 한남동과 그 일대는 과거 한강과 장삿배, 국가적 규모의 의례와 기우제, 무당들의 굿 등의 기억이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기억은 다시 부군당과 당굿, 용궁당, 그리고 용왕제 등의 의례로 전승되고 있다. 한편, 용단이라는 장소는 언제부터인가 왜곡되었고 원주민들로 하여금 커다란 당혹감을 경험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우사단이 있었던 보광동의 경우는 이제 더 이상 기우제의 장소로서 기억되지 않는다. 둔지미 사람들의 이주처이자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철거민촌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은 ‘우사단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맛집과 볼거리가 많은, 서울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우사단은 의식적으로 만들어진 장소인 우사단길로 새롭게 기억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의 소멸을 겪고 있는 광장동의 사례이다. 과거 양진당이라는 유명한 제당이 있었지만 그 존재에 대한 기억도 사라졌고 다만 용당산과 용당의 존재는 토박이 몇몇에 의해 기억되고 있다. 그러나 용당마저 사라졌고 그 자리에 거대한 호텔이 대신 세워졌다. 소멸된 장소들의 공백은 예전부터 모셔오던 미륵과 성황당이 대신해 왔지만 성황당이 소실되면서 또 한 번 장소의 소멸을 경험해야 했다. 현재 주민들은 미륵당 옆에 성황당을 새롭게 지어 소멸된 장소가 복원되기를 열망하고 있다. 이처럼, 한 지역의 장소는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 대한 기억은 왜곡되기도 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창조되기도 한다. 소멸된 장소를 다시 복원하려고도 한다. 이는 장소가 지닌 본질적인 속성이기도 하며 인간들이 장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한다.

      • KCI등재

        제주 4·3 ‘잃어버린 마을’의 장소기억 보전 방안 - 기억경관과 흔적경관을 중심으로 -

        김민하,정희선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3

        본고에서는 4·3 사건이 제주도 전역에 광범위한 사회공간적 변화를 초래한 것에 주목하여 제주 4·3 ‘잃어버린 마을’의 기억경관이 4·3으로 유발된 장소기억의 단절을 상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잃어버린 마을’ 이 4·3에 대한 대항기억의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억경관과 흔적경관의 존재 여부에 따라‘잃어버린 마을’의 유형을 장소기억 환기형, 재현형, 내재형, 단절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사례지역으로서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제주시 도남동, 그리고 제주시 조천읍 와흘리의 ‘잃어버린 마을’을 대상으로 경관 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잃어버린 마을’의 기억경관이 대안적 장소기억을 유지하고 전달하기 위해서는 4·3의 장소기억과의직접적인 시공간적 연결성, 경관의 물적 현재성 및 다원성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잃어버린마을’을 기억하는 것은 지배기억으로부터 배제된, 단절된 삶의 장소들을 기억 속에 형상화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잃어버린 마을’의 흔적경관을 보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socio-spatial transformations induced by the 4·3 Uprising on Jeju Island, illuminating the memory landscapes of the Jeju 4·3 ‘Lost Villages’ as a testament to the fragmented relations of place memories. In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posit that the ‘Lost Villages’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sites of counter-memories in response to the 4·3 Uprising. Initially, the ‘Lost Villag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distinct typologies based on the presence of memory landscapes: place memory evocation type, reenactment type, embedded type, and disconnected type. Subsequently, Donggwang-ri of Seogwipo-si, and Donam-dong and Wahul-ri of Jeju-si were examined as representative case areas for each typology. To ensure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alternative place memories within the memory landscapes of the ‘Lost Village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direct spatiotemporal connection with the 4·3 place memories, recognize the physical presence of the landscape, and acknowledge the inherent plurality within these landscapes. The urgency to preserve the trace landscapes of the ‘Lost Villages’ arise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act of remembering these communities is an endeavor to encapsulate in collective memories the places symbolic of lives and experiences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dominant societal memory.

      • KCI등재

        장소 기억하기를 통한 대학생의 장소 애착 구조에 관한 연구

        이형상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lace attachment an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place attachment elements by using grounded theory.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e study, 77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memory of place attachment,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it as a grounde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llege student was recalling the places of daily life, intense experience, the search and discovery of places as memories of attachment. Emotional priming effect, sensory priming effect, change of place, and the excell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as working as positive factors in remembering places, and personal resting place, kinship, group membership, and place convenience were affecting the college students equating themselves with place or giving meaning to place by individuals grew into independent identities, improving inner competency, form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were abstracted to derive a structured model of place attachment. The results verified that place attachment lies in causal correlation between place discovery and recognition, embodied cognition, place dependence, place identity, place meaning.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장소 애착의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대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장소 애착의 기억에 관한 글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근거 이론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은 일상의 장소나 강렬한 경험, 장소의 탐색과 발견을 애착의 기억으로 회상하고 있었다. 정서적 점화 효과, 감각적 점화 효과, 장소의 변화, 자연환경의 우수성은 장소를 기억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개인의 안식처, 친족 유대감, 집단 소속감, 장소 편의성은 장소에서 개인이 독립적 자아로의 성장하고, 내적 역량을 함양하며 관계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대학생이 스스로를 장소와 동일시하거나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를 추상화해 장소 애착의 구조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장소 애착은 장소의 발견과 인식, 체화된 인지, 장소 의존, 장소 정체성, 장소 의미와 인과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서울역>, <온양민속 박물관>, <옥포조선소>를 중심으로

        배윤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2

        한국의 근대화 시기는 1920년대 식민지 시기와 1960년대 경제개발시기 두 시기 나누어진다. 근대화시기에 만들어진 공간들은 대다수 국가주도형으로 생산된 공공의 공간들이다. 이러한 근대공간들은 기능성이 강조되는 공공 생산의 장소이자 근대 국가시스템의 장소정체성을 상징하는 국가권력 공간들 이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근대공간 들은 이제 더 이상 장소적 기능을 상실한 채 모뉴멘트 건축물로 존재하며 과거의 장소정체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 할 개념규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간이역, 발전소, 탄광, 물류창고, 폐 공장 등... 근대공간에 새로운 장소정체성이 확 립되는 과정과 장소와 기억의 문제를 영상기록 하여 근대화의 큰 특징인 사고의 변화과정과 공간에 투영된 근대적 개념들, 근대사회의 제도, 체계 수립 과정에서 장소성, 공간 속 사람들의 관계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근대공간과 기 억의 관계는 < 서울역 >에서 , 근대공간과 근대 기록의 관계는 <온양민속박물관>에서, 근대공간과 장소정체성은 <옥포 조선소>에서 찾아본다. 각 장소의 정체성과 기억의 관계는 구술목소리와 영상기록을 통하여 근대공간(장소성)과 개인구술(기억)의 모순된 힘의 관계를 알아본다.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of Korea is divided into two folds of the colonial era in the 20’s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in the 60’s. Most of the spaces buil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ere public spaces developed by the drive of the government. These spaces of modernization are functionality-oriented public places of production and at the same time, and they are the spaces of national power to symbolize the identity of national authorities. Along with changes in the society, modern spaces were reduced down to monument buildings without functionality and this requires new definition to renew the identity of modern spaces. Small stations, power plants, mines, warehouses, abandoned factories, and etc... the study has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ough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the relations of modern concepts projected in the spaces, framework of modern society, and placeness in the process of framework building and relations of people in the spaces with video records on the process of rebuilding new identity of modern spaces and memories of the spaces. The relations of modern spaces and memory were explored in < Seoul Station > while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paces and records and place identity were explored in <Onyang Folk Museum > and < Okpo Shipyard>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 between space identity and memory in each space, the ironic relations of power in modern spaces (placeness) and personal narrative (memories) were explored with oral narrative and video foo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