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년층과 고령층의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보험료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차경욱 한국FP학회 202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5 No.1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related to the purchas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by late middle-aged adults (50 to 64 years old) and the elderly (65 years and older), who are close to each other in the life cycle stages, but show the greatest difference in private health insurance subscription rates. This stud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late middle-aged adults and the elderly with regar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each group,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based on whether people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or not. And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cision to purchase and the amount of premium of private health insurance. Data from the 2019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used, and 2,941 late middle-aged adults and 4,303 elderly people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both groups, females and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Both groups exhibited an inverted U-shape for the probability of signing up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which increases with age and decreases after a specific age. For the elderly, insurance premiums decreased as they increased in age. For both groups, household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amount of insurance premiums. For late middle-aged adults, total assets and debts held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the elderly,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d a positive effect on private health insurance purchases, but it was not significant for late middle-aged adults. For both groups, chronic diseases affected both the purchas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amount of premiums.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 단계상 인접해 있지만,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에서는 가장 큰차이를 보이는 장년층(50∼64세)과 고령층(65세 이상)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즉 장년층과 고령층의 국민건강보험 가입특성, 민간의료보험 가입특성을파악하고, 장년층과 고령층 각 집단의 사회경제적 특성, 국민건강보험 가입특성, 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민간의료보험 가입여부를 비교하였다. 또한 장년층과 고령층 각 집단의민간의료보험 가입여부와 보험료 지출액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비교하였다.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제 8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장년층 2,941명과 고령층 4,303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년층과 고령층 모두 여성,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할 가능성이 높았고, 장년층은 배우자 있는 경우에 민간의료보험 가입 확률이 높았다. 둘째, 장년층과 고령층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민간의료보험가입 가능성이 증가하다가 일정 연령이 되면 감소하는 역U자형 패턴을 보여주었고, 고령층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보험료 지출액이 감소했다. 셋째, 가계소득은 장년층과 고령층 모두에서 민간의료보험 가입여부와 보험료 지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장년층에서는 총자산과 부채보유가 민간의료보험가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고령층에서는 부채보유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장년층과 고령층 모두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가 민간의료보험에도 가입할 확률이 높았고, 장년층 직장가입자는 보험료 지출액도 많았다. 다섯째, 고령층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민간의료보험가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장년층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만성질환이있는 경우, 장년층과 고령층 모두 민간의료보험 가입 가능성이 높았고, 고령층에서는 보험료 지출도 많았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장년층의 주거선호 특성영향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규열(Lee, Kyu-Yeol),최민섭(Choi, Min-Seob)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100세 시대를 준비하는 수도권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호특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전제로서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중·장년층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예비노년층의 주거수요를 측정하기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측정방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 후 주거선호특성 연구를 위한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주거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위한 변수들을 선정하고, 각 요인별 중요도를 파악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설문조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100세 시대를 준비하는 수도권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호특성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미래주거수요에 대한 일련의 항목을 가지고 구매여력이 있는 집단의 주거수요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주거수요에 있어 인구통계학적요인 같은 양적 측면뿐 아니라 라이프스타일 같은 질적 요인도 고려하는 동시에, 주거선택 선호도에 따른 변수도 함께 고려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의 개별특성요인과 라이프스타일 요인은 주거수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인구통계학적특성만을 가지고 분석한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특성 변수가 주거수요를 기존연구들만큼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보다 적은 개수의 라이프스타일 변수가 주거수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둘째, 일반적 이론에서는 주거수요를 개인소득, 연령, 가족구성원의 규모, 가족 구성원의 요구, 주거소비태도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계량과 측정이 불가능한 변수도 존재함으로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라이프스타일이라는 다소 주관적인 요인을 추가함으로 미래주거수요를 예측하거나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요인과 라이프스타일요인 모두 주택유형에 따라 선택결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를 주로 연구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주택과 주거선택 시 선호하는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기존연구에서 분석된 주거선택유형과도 차별화된 관점을 제시한다. 임기흥(2015)은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이후 선호하는 주택이 전원주택 및 타운하우스(39.0%), 아파트(38.4%), 단독주택(8.6%), 도시형생활주택(7.1%), 장기임대아파트(2.8%), 빌라 및 연립주택(1.5%), 실버타운(1.5%), 오피스텔(0.5%) 순으로 조사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와 단독주택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활양식의 변화와 다양한 주거수요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중·장년층의 주거수요특성은 간과하기 쉬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까지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러한 중·장년층의 주거수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실증분석 하였다는 것이다. Globally, low birthrate and aging are common and are emerging as various social problems. Middle-aged and senior citizens who have to live in the age of 100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oice and planning of housing. It can be said to be the leading layer.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y of lifestyle measurement metho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the metropolitan area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according to lifestyle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and to measure the residential demand of the preliminary elderly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by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housing environment, housing satisfaction, and housing preference for the study of residenti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and then derived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have an effect on housing demand. Second, it was intended to help predict or analyze future housing demand by adding a somewhat subjective factor of lifestyle to the general theory. Third, both 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have different selec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 Fourth, a differentiated perspective from the type of housing choice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was presented. The above analysis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demand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need to be considered even the lifestyle of individuals that are easy to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aspects that influence the housing demand among the middle and the elderly.

      • KCI등재

        평생교육원 자격과정을 통한 중.장년층의 진로장벽 및 구직효능감의 변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인지활동지도사 자격과정을 중심으로

        이윤정(Lee, Yun-Jeong),김시은(Kim, Si-Eu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인지활동지도사 자격과정을 수강한 중⋅장년층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 전과 후의 진로장벽 및 구직효능감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1년 7월부터 11월까지 인지활동지도사 자격과정에 참여한 학습자 30명 중, 중⋅장년층 21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및 구직효능감에 대해 설문지 조사를 하였고,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중 장기 결석 등의 사유로 인해 15명이 최종 연구대상자가 되었다. 척도의 경우 IBM SPSS/WIN 28.0 Version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비교 분석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또한 진로장벽 및 구직효능감에 변화에 대해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면담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전화로 보충면담을 하였다. 연구결과 : 평생교육원 인지활동지도사 자격과정을 학습한 중⋅장년층의 학습 전과 후의 진로장벽 및 구직효능감 차이에 대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뷰 진행 결과, 중⋅장년층 학습자들이 가진 진로장벽이 인지활동지도사 자격과정을 학습 후 자기 효능감과 인지적 역량 증가로 해소되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구직효능감의 변화에 대한 인터뷰 결과, 중⋅장년층 학습자들은 인지활동지도사 자격과정이 학습자의 구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조성하여 구직동기를 높였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인지활동지도사 교육과정이 중⋅장년층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및 구직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중⋅장년층을 위한 심도 있는 전문자격과정 개발, 적절한 교육기간 및 교육 시스템 개발, 현장 실습 교육과정 추가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토대로 중⋅장년층 학습자들을 위한 진로교육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career barriers and job-looking efficacy for middle-aged and elderly learners who have taken the cognitive activity instructor qualification course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t University. Methods : From July to November 2021, out of 30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 activity instructor qualification course, 15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ere surveyed on career barriers and job-looking efficacy,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28.0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and job-look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learn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learners who took the cognitive activity instructor qualification course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interview suggested that the career barriers of middle-aged and elderly learners were resolved by increasing self-efficacy and cognitive competency after learning the cognitive activit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on changes in job-looking efficacy, middle-aged and elderly learners suggested that the cognitive activity instructor qualification course increased their motivation to find a job by creat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er s job search.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cognitive activity instructor curriculum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and job-looking efficacy for middle-aged and elderly learners. Therefore, follow-up studies such as in-depth professional qualification course development for middle-aged and elderly learners, development of appropriate training period and education system, and addition of required practical training courses are needed. Research for specific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suggested.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신청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청·장년층과 노년층의 차이를 중심으로

        허용창(Yong-Chang Heo),김동진(Dongjin Kim),한경훈(Kyounghoon Han),문혜진(Hyejin Moo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빈곤층을 대상으로 기초보장의 신청 과정에서 나타난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 청·장년층과 노년층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일반적 질적 연구에서 많이 활용하는 주제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청·장년층과 노년층의 주제분석 결과를 요약,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보장을 신청하게 된 원인은 청·장년층의 경우 불안정적인 경제활동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근로가 불가능한노년층은 불안정한 사적·공적 지원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어려움을극복하기 위해 청·장년층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한 반면 노년층은 동주민센터와 주변 지인을통해 소극적으로 또는 우연히 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기초보장 신청을 고려할 때청·장년층은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선정가능성을 가늠한 후에 신청을 결심하였다. 반면노년층은 신청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비춰지는 것을 부끄럽게느꼈다. 넷째, 청·장년층은 부양의무자와 관련된 신청서류를 제외하고는 서류를 준비하는 것에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에 반해 노년층은 서류를 작성하는 것조차 어려워했고, 부양의무자 관련서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신청을 포기하는 모습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초보장의신청 경험에서 청·장년층과 노년층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한편 향후 기초보장의 사각지대를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qualitatively explore and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 middle-aged, hereafter the young) and the elderly in Seoul when they applied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cheme.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qualitative method of thematic analysis. Key findings from thematic analysis of the young and the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asons to apply for the scheme, the young became poor due to unstable job whereas the elderly grew poor because of insufficient supports from others. Second, while the young sought information on public assistance to reduce poverty, the elderly came across or passively found information from neighbors or public community centers. Third, the young attempted to predict whether they could be beneficiaries when they decided to apply for the scheme.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felt shame at seeking help when they considered to apply for the scheme. Fourth, the young did not experience difficulty to submit evidential documents except ones from parents. Yet the elderly had significant difficulties to fill in application forms and often abandoned their application due to documents from offsprings. In conclusion, the result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at the experiences in the application for the public assistance scheme and solving poverty issues by drawing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장년층의 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참여의 순차적 매개효과 : 취업여부 다중집단 비교

        윤명숙(Yoon, Myeong-Sook),석소원(Suk, So-W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전환을 앞두고 있는 장년층이 경험하는 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장년층의 취업여부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령화패널 조사(KLoSA) 7차년도 자료(2018)를 활용하여 55세∼64세에 해당하는 장년층 2,5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Bootstrap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년층의 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참여 각각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장년층의 상대적 빈곤이 우울과 사회참여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취업여부에 따른 다중집단 경로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우울이 주관적 건강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은 미취업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취업집단에서는 상대적 빈곤과 사회참여 수준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미취업집단에서는 상대적 빈곤 수준이 높으면 사회참여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장년층의 정신건강과 복지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pover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late middle-aged population. The data set used for this study was from 201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data set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2,580 late middle-aged person(55-64 age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MOS 22.0 and Bootstrapping,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poverty and subjective health of the subject.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lative poverty in the late middle-aged population on subjective health status by sequentially mediating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as verified. Third, multi-group path analysis of employment statu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h in which depression levels affect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decreases subjective health levels in both groups, but its influence is stronger in unemployed groups than in employment groups. In addition, while relative poverty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employment group, high levels of relative poverty in the unemployed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mental health and welfare of the late middle -aged population.

      • KCI등재

        평생직업교육 참여 장년층의 사회적 지지와 경력실천행동과의 관계 : 주관적 경력성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종윤,김희동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a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for seniors who participated the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seniors who took a public guardianship training program in 2019, and 286 survey copie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a structural analysis, and a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the PROCESS macro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model fit was acceptable.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preparation were revealed as significantly positive. Third, social support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via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seniors who participated the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inally,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f seniors may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rough subjective career success. 이 연구는 평생직업교육에 참여한 장년층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와 경력실천행동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공후견인 양성과 관련한 교육과정에 참가한 장년층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286부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연구의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과 PROCESS macro를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진행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수용 기준을 상회하였고, 평생직업교육에 참여한 장년층의 사회적 지지, 주관적 경력성공, 경력실천행동 사이의 관계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구 변인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주관적 경력성공이 평생직업교육에 참여한 장년층의 사회적 지지와 경력실천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해당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장년층 학습자는 경력실천행동 수준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년층 학습자의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경력성공을 통하여 경력실천행동 수준을 더 높인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인스턴트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 20대와 장년층의 특성비교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이혜경,고은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현재 모바일 SNS 애플리케이션 중 인스턴트 메신저는 자신의 감정과 의견을 표현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인간관계적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기능 중 감성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이모티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세대에 따라 이모티콘의 이용 특성과 이용 시의 정황과 맥락은 차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20대 청년층과 50대 장년층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성 표현 양상을 살피고 그 특성의 그 차이와 이모티콘이 어떻게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고 행동을 표현하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1차 기존의 선행연구를 연구하고, 2차 20대 청년집단과 50대 장년층집단을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시행하였다. 3차 연구방법으로 카카오톡의 상업적 이모티콘을 제외한 기본 이모티콘 292종을 바탕으로 분류 설문지를 작성한 후 1:1 심층면접법(1:1 in-depth interview) 형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20대가 선호하는 이모티콘은 상대 대화자에게 이모티콘 사용자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동시에 모바일 대화에서 응결성이 있는 스토리를 제공하는 확장표현으로서의 행동 표현적 이모티콘을 선호하는 반면 장년층은 이모티콘을 단순 표현의 목적으로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모티콘 GUI개발에 있어 20대에게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하는 행위적, 스토리텔링적 이모티콘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장년층을 대상으로는 의미해석이 분명한 타이포가 포함된 이모티콘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하여 20대와 장년층의 주요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 이모티콘에 관해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특성으로 보이는지에 관한 차이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모티콘 개발함에 있어 연령대별 특성 중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할지 상용 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Instant Messenger among mobile SNS applications ha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lationship such as expressing user’s emotions & opinions and of forming/keeping relationship with others. Accordingly, this thesis found the need for researching emotion-expressing/conveying e-moticons used by Kakao Talk, one of the most used instant messengers in Korea . Since use characteristics, situations and contexts of e-moticons may differ by age, it compared those of young generation in their 20s with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 in their 50s to see how they express their emotions and based upon the difference of their use characteristics, it studied how e-moticons express their behaviors and emotions. For this purpose, the foregoing researches were looked into and the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targeting those in their 20s and 50s. Finally, a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the basic 292 e-moticons excluding Kakao Talk’s commercially used ones to conduct a survey in the form of one-on-one in-depth interview.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ose in their 20s prefer behavior-expressing e-moticons, as expanded expression, specifically depicting user’s situation to the other party yet providing concise stories during mobile conversation but those in their 50s use them for the purpose of simple expression. In this regard, the current researcher h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behavioral/story-telling e-moticons expressing various life styles should be developed for those in their 20s while e-moticons whose meaning is clearly interpreted should be developed for those in their 50s. In a try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the current study comparatively researched what differing characteristics are shown from the user’s side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50s in relation to Kakao Talk e-moticons, one of major mobile messengers and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ercial use,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among by-age characteristics when e-moticons are developed.

      • KCI등재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하는 노인복지주택 특성

        이수부,김미희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a welfare house for the age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s of the middle class middle-aged.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 welfare house for the aged are categorized into preferred physical characteristics, preferred service & program characteristics, preferred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web-survey targeting the middle class middle-aged in 40-59 as potential consumers of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apital area, and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during October, 2019.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308 subjects, an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χ2), and one-way ANOVA. This study has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middle-aged middle class preferred store, sauna, physiotherapy clinic, and trail among common-use spaces. In the provision of services, it would be needed to provide more various services such as basic emergency management & nursing service, and cleaning & laundry service. Regarding the programs, they preferred the horticulture, vegetable gardening, swimming, and learning musical instruments. 2) Lifestyles were classified into‘Fashion·creativity-type’, ‘Achievement·creativity-type’, ‘Passive-type’ and ‘Leader-type’. In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welfare house for the ag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lifestyle. Overall, the ‘Fashion·creativity-type’ preferred such leisure space and program compared to other groups while the ‘Leader-type’ relatively less preferred such leisure space and program than other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주택의 예비 수요자인 중산층이면서 40세부터 59세까지의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노인복지주택 선호 특성을 규명하여 노후의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노인복지주택을 계획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과 6대 광역시(인천,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울산)에 거주하는 노인복지주택의 예비 수요자인 만 40세부터 59세까지의 중․장년층 중에서 중산층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일부터 2019년 10월 7일까지 온라인 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를 통하여 온라인 웹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과 카이제곱검증(x2), 그리고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첫째, 중산층의 중ㆍ장년층 노인복지주택의 공용공간 중에서 상점, 사우나, 물리치료실, 산책로에 대해서 보다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공용공간 계획 시 이들 공간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기본 응급관리 및 간호서비스, 청소 및 세탁 서비스 등을 좀 더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고, 특히, 의무식 식사제공 서비스에서는 비용부담의 이유로 1일 2식 의무식을 보다 더 선호하였다.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원예ㆍ텃밭 가꾸기, 수영, 악기배우기를 보다 선호하였고,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원예ㆍ텃밭 가꾸기이었으므로, ‘원예ㆍ텃밭가꾸기’ 프로그램에는 좀 더 세심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중상층 중ㆍ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은 군집분석 결과 ‘유행ㆍ창작형’, ‘성취ㆍ창의형’, ‘소극적 수동형’, ‘지도자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의 구성비율을 보면, 유행창작형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성취 창의형과 소극적 수동형이 비슷하게 분포되었으며 리더추구형이 제일 적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주택의 선호특성에 있어서는 여가공간과 여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유행창작형은 전체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이러한 여가공간과 프로그램을 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반하여, 지도자형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이러한 여가공간과 프로그램에 비교적 덜 선호하였다. 즉, 중산층 중ㆍ장년층은 이전 세대보다 사회경험이 많고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노후에도 활발한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를 짐작할 수 있으며, 자기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참여의지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조사는 웹을 이용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했기 때문에 이메일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장년층의 자살생각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윤지연,정규형,우현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 Research topics: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in late middle-aged adults (50-64 years) were identified by dividing them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familial factors. · Research background: The discusiion of deaths of despair by Anne Case and Angus Deaton is that macroscopic socioeconomic changes acted as a more desperate factor for a specific working class. Accordingly,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in late middle-aged adults in Korea, who have experienced relatively unstable working life, were analyzed at this poi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Many of the baby boomers in Korea moved to poverty as they experienced a currency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they are now reaching their advanced age. This study is timely in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 of poverty and inequality in the elderly generation will worsen when these generations enter the elderly population. ·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the 16th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in 2021,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Firth Method was performed with the Stata 15.1 and M-plus 8.0 program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 Research results: Age,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late middle-aged adult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equalized annual inco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late middle-aged adult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and improving policies related to the baby boomer’s entry into the elderly population. · 연구 주제: 장년층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연구 배경: 앤 케이스와 앵거스 디턴의 절망사 논의는 거시적인 사회경제의 변화가 특정한 노동계급에게 더 절망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에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노동생애를 경험해온 한국 장년층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을 현시점에서 조명해보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경험하면서 상당수가 빈곤 지위로 이동하였으며, 이들은 현재 장년기 연령에 도달해 있다. 이들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인인구에 진입하게 되면, 노인세대 빈곤과 불평등 문제는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의성을 갖는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1년에 실시한 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Stata 15.1과 M-plus 8.0 프로그램으로 Firth Method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 연구결과: 장년층의 연령, 우울, 가구원 수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년층의 학력, 취업 여부, 균등화 연소득 등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의 노인인구 진입 관련 정책 수립 및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