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란자조금의 효과적인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진(Dong Jin Kim),홍성규(Sung Kyu Hong),김윤두(Yoon doo Kim) 한국가금학회 2017 韓國家禽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란계 및 계란산업 활성화를 위해 ‘계란자조금의 효과적인 조성방안’을 제시코자 하였으며, 산란성계육에서의 자조금 거출방식과 계란에서의 거출방식을 비교함으로써 최종산물인 계란에서 자조금을 거출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거출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계란으로의 거출방식 변경에 따른 합리성, 효율성 등을 제시하여 향후 계란자조금 정착 및 발전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02년 “축산물의 소비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계란자조금은 2009년 6월에 의무자조금이 도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계란자조금은 타 축산물과 달리 최종산물인 계란이 아닌 산란성계육으로부터 거출하고 있으며, 산란성계육 가격 하락 등 변수가 나타나면서 거출률 저조로 원활한 사업을 이끌어 가는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의 자조금 거출방식인 산란성계육에서의 거출은 2015년 기준 농가부담률이 14%로 타 축종의 자조금 농가부담율 0.2∼0.3%보다 현저히 높아, 농가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설문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최종산물인 계란에서 자조금을 거출할 수 있는 여건이 성숙되기 까지는 현재의 자조금 거출방식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최종산물인 계란에서 자조금을 거출할 경우, 판매금액의 0.3% 거출시 65억 원의 거출금액이 예상되면서 자조금 조성액이 타 축종과 비교하여 적정성을 갖는데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자조금을 계란에서 거출하기 위해서는 GP센터를 통해 거출하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이나, GP센터를 통해 출하되는 계란이 약 35.7%에 머물고 있어 투명성 확보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단계적으로 지역별 GP센터를 건립해 생산자와 유통상인들이 GP센터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제화가 시급하다. 이는 산란업계의 고질적인 유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길이며, AI 등 악성 질병을 막는데도 효과적이다. GP센터 건립이 경제적, 시간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인프라가 구축될 때까지는 현재의 산란성계육에서 계란자조금을 거출할 수밖에 없으며, 단기적인 대안으로 미국,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축산물의무보고제’ 등을 도입, 국내에서 출하되는 모든 산란성계육 물량이 정확하고 투명하게 통계처리되어 거출률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산란계 DB구축을 통한 통계의 투명성 확보로 계란자조금 거출기반 마련 확보 및 산란성계육 가격유지를 위해 수출, 원료육 사용방안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Subsequent to the introduction of the “Laws on Consumption Promotion of Livestock Products” in 2002, a mandatory check-off system for the egg industry was introduced in June 2009. Unlike other livestock products, the check-off on eggs is financed not from the sale of the egg-the end product-but from the spent hen. Variables such as the falling price of spent hens lead to a low financing rate; The present farm allotment rate of 14%, introduced in 2015, is much higher than the 0.2% to 0.3% check-off rate in other types of business, thus placing a huge burden on farms. When check-off is financed from the egg, it is expected that 6.5 billion won will be raised using a rate of 0.3% of sale proceeds, Therefore, it is urgent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infrastructure to enable producers and merchants to do business through Grade & Packing centers. This can be achieved by the staged construction of local Grade & Packing centers. Check-off should continue to be financed from the present spent hen until this infrastructure is established, and an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raise the financing rate accurately and transparently using statistical treatment of supply data for spent hens as a short-term alternative.

      • KCI등재

        기독교 자조상담(Self-help Counseling) 확립 방안

        전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자조상담(自助相談, Self-help Counseling)은 자기 스스로 조력적 방안을 추구하는 치료적 접근으로 일반상담에서 연구된 새로운 상담기법이다. 이 연구는 이를 기독교상담으로 응용,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상담은 문제를 가진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적 대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자조상담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종래의 상담구조가 아닌 상태에서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기법이다. 자조상담은 그 역사가 길지 않고, 아직까지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생소한 개념으로서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극명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자조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면대면 상태에서 상담하는 형태가 아니라 자신이 상담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자신의 도움을 모색하는 것으로 상담학에서는 생소한 개념이다. 이는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치료한다는 입장에서는 ‘자기주도적 상담’이라 할 수도 있다. 국내외적으로 자조상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 수준이고, 양질의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기독교상담분야에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관련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자조상담의 개념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자조상담의 유익 및 필요성, 문제 등을 살펴보고, 자조상담의 구조와 방법에서 독서치료를 통한 자조상담과 성경을 기반으로 한 기독교 자조상담 확립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자조상담의 방법으로 자기분석과 직면 및 자기인식과 이해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성경적 입장에서 다루었다. 기독교 자조상담을 확립해 나가기 위해 성경을 상담자로 삼고 성경으로부터 반영된 자기분석, 직면을 통해 자기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하지만 성령의 도움 없이도 자신이 모든 문제를 스스로 완벽하게 치료할 수 있다는 확신은 기독교상담의 바른 입장이 될 수 없다. 이는 아직 체계화되지 않은 상담기법이며, 상담학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 권장하기는 어려우나 바른 지침을 제공한다면, 자조상담은 새로운 상담방법으로서 충분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향후 기독교상담으로서 대안적인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clarify self-help counseling in christian counseling. Self-help counseling is a recent developed research on counseling techniques. The definition of self-help counseling is that there are no face-to-face relationship and no counselor. A client (a counselee) of self-help counselor becomes not only a counselor but also a counselee at once. This is a different counseling style compared to traditional counseling style. Since the history of self-help counseling is not long, two extreme perspectives—expectation and concern—coexist and is under discussion in academic world. Self-help counseling is self-directed counseling that allows people who want to solve their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problems. Self-help counseling assist and complement the existing counseling techniques. A part of counseling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self-help counseling and the existing counseling. Research on self-help counseling as well as Christian counseling has not been studies through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esearches; thus, the research remains in an elementary level. The terminology of self-counseling has not been unified academically. The names are found in various terms ‘self-help counseling,’ ‘self-counseling,’ ‘self-therapy,’ ‘self-help,’ ‘self-directed counseling’ and ‘self-help supplemental counseling.’ among these terms, ‘self-help counseling’ is most appropriate in terms of wording. The process of self-help counseling involves 1) setting the purpose of counseling, 2) confronting the bible. 3) analyzing self-talk and 4) disputing irrational belief system. This researcher dealt with the analysis of precedence researches, profitability and necessity such as effective self-help couns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otherapy and self-help counseling, biblical self-help counseling and bibliotherapy. The researcher also studied that self-confrontation, self-analysis, self-talk, and self-disputation and effective self-help counseling technique in this research. Christian self-help counseling implies a reflection mirror through the bible. Biblical counselors should make self-confrontation, self-analysis, self-understanding, self-talk, self-disputation and self-awareness from the bible. Self-help counseling is not yet systematic. Therefore, it is too early to recommend without proper guidelines. Self-help counseling, however, has a sufficient meaning as a new counseling technique.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경제적 성공가와 『자조론』 아류 서적

        최희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70 No.-

        이 연구는 백대진의 저작 『입지성공미담』의 출간과 그 내용 분석을 통해 ‘한국적’ 『자조론』 아류 서적의 생산과 유통의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그리하여 1929년 『입지성공미담』의 출간은 1910년대 말 『반도시론』 이래 스마일즈 ‘자조론’의 가치를 실천한 식민지 조선 상인의 경제적 입신성공 경로를 식민지 사회에 유통시킨 자조론 계열 지식인 백대진의 ‘자조론’적 근대 기획 구도의 산물로 파악하였다. 특히 서구 근대 자본주의 정신을 실천한 위인들로 구성된 『자조론』을 식민지 조선에 응용한 『입지성공미담』의 출간을 ‘자조론’의 토착화 과정으로 검토하였다. 『입지성공미담』은 내용적 측면에서는 『자조론』의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핵심 문구를 뚜렷이 내세우며, 형식에서는 『자조론』의 인물열전의 형식을 차용하여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致富를 쌓은 상인 10명의 성공 스토리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입지성공미담』은 일본을 통해 유입된 『자조론』과 일본의 『자조론』 아류 서적의 번역본과는 달리, ‘한국적’ 『자조론』 아류 서적으로 기획·생산된 서적으로서 중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는 그동안 언론인·문학가로서 조명된 백대진을 성공주의를 유포한 자조론 계열 지식인으로 접근함으로써, 『입지성공미담』의 출간과 유통이 갖는 식민지 지성사적 의미를 찾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무엇보다 한국적 『자조론』 아류 서적 『입지성공미담』에 대한 이 연구는 ‘자조론’ 계열 지식인의 근대 기획에 대한 논의와 식민지 조선의 경제적 빈곤문제에 대한 식민주의 담론과의 공모성에 대한 논의를 풍부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 book that imitate Self-Help by publish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Bae Dae-jin's works. Thus, in 1929, the publishing of “Successful Korean business mens stories 『(현대상인) 입지성공미담』” was based on the self-help theory of Bae Dae-jin, an intellectual scholar who circulated the economic success path of the colonial Choson merchant to the colonial society, who practiced the value of self-hel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found the meaning of ‘Korean intellectuals who accepted Self-Help’ by approaching Baek Daejin, who was illuminated as a journalist and literary artist in the late 1910s. This study on “Successful Korean business mens stories”, a book that imitate Self-Help will enrich the debate about the colonial discourse on the economic poverty of the colonial Korea and modern project by theory of self-help.

      • KCI등재

        일반논문 : 1910년대 최남선의 『자조론』 번역과 "청년"의 "자조"

        최희정 ( Hee Jung Choi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9

        이 연구는 한말과 1920년대 ``자조론`` 번역 사이에서 육당의 『자조론』(1918)번역이 갖는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조론』 번역을 계기로 한말에서 1920년대로 ``자조``의 사회적 의미가 변화되는 것을 ``청년``의 인식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육당은 근대 지식인 ``청년``으로서 『자조론』 번역의 주체인 동시에 독자 대상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자조론』 번역은 육당으로 대표되는 1910년대 ``청년``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자조론``은 한말 언론에서 대한제국의 ``자강``과 ``독립``을 말하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로서 번역되거나 소개되었다. 하지만 1920년대 일본의 문화통치 시기 ``자조론``이 번역되었을 때, 그것의 키워드 ``자조``는 ``청년`` 개인의 ``입신성공``을 의미하였다. 한말에서 1920년대로 ``자조``의 기능과 의미가 전환되는 시발점이 육당의 『자조론』 번역이었다. 『자조론』 번역에서 ``자조``는 한말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탈피하여 개인윤리 덕목으로 범주화되었던 것이다. 육당의 ``자조론`` 이해는 한말에서 식민지 국가로 정치적 변동을 겪으면서 달라졌다. 한말에는 육당 또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로서 ``자조론``을 이해하였지만, 『자조론』 번역에서 ``청년`` 개인의 식민지 진출을 조장하는 ``자조진명주의``를 주장하였다. ``자조진명주의``는 ``청년``이 인내와 근면 곧 ``자조``로서 ``문명진보``를 추구하는 정신자세로서, 이와 같은 관점에서 1910년대 급선무는 식민지 해방이 아니라 개인의 인내와 근면을 통한 문명의 진보였다. 『자조론』의 독자 ``청년``은 과거 선배가 없는 단절적인 존재로 상정되었는데, 이것은 조선의 과거를 부정적으로 보는 육당의 역사인식이 반영된 것이었다. 따라서 ``문명진보``를 논리로 하고 있는 ``자조진명주의``의 구체적 내용은 과거 조선의 근간이 되었던 양반제도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었다. 결국 자조진명주의는 1910년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된 불행한 조선의 현실을 과거 조선의 지배층이었던 양반에게 그 책임을 모두 전가한 것이었다. 여기에는 과거 상층 지배층이었던 양반에 비하여 열등한 신분적 배경을 가진 중인 출신 육당의 입장이 투영되어 있었다. 식민지는 중인 출신 육당에게 과거의 신분적 배경이 원활히 작동되지 않는 자신의 ``능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새로운 세계였다. 서구 근대 지식 ``자조``를 활용한 ``자조진명주의``를 통하여 청년의 식민지 사회 진출은 객관적으로 정당화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조진명주의``가 1910년대 주장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3.1운동 이후 한국 지식인들이 분열된 근본적 요인을 일본의 식민정책 보다는 식민지를 새로운 세계로 인식하였던 육당과 같은 ``청년``들이 존재하였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aning of Self-help translated into Korean(自助論) by Choi Nam-Sun(崔南善) in 1918. It is a turning point in changing of the social meaning of ``self-help``, the keyword of Self-help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late of Great Han. The concept of ``self-help`` was the same meaning as ``Self-Strengthening``(自强) in the late of Great Han. In 1920``s, it changed one`s attention personal success(立身成功). Specifically, I try to relate thought of ``Youth(靑年)`` to change the social meaning of ``self-help``. ``Youth`` had been regarded as readers of Self-help even before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Choi Nam-Sun is the subject to translate Self-help and the object to read this book at the same time, because he was a young man educated in modern schools. Therefore I have a point of view to examine Self-help as represented thought of youth in 1910s such as Choi Nam-Sun. When Self-help was first introduced in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late of Great Han, the social meaning of ``self-help`` was conceptualized into national ideology. But in 1920`s, as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the military into enlightened administration, the social meaning of ``self-help`` was changed to personal success. It was Choi Nam-Sun who led this transform. The interpretation of Choi Nam-Sun was the occasion which ``self-help`` was related to personal affairs. In the late Great Han, Choi Nam-Sun understood Self-Help was different from to become a Japanese colony, the first phase of Japanese rule, 1910-1919. He understood Self-Help conceptualized in national ideology such as newspapers and journals. But he insisted on the concept of Self-Improvement(自助進明主義) when Self-Help was translated by himself in 1918. Choi Nam-Sun tried to encourage youth to go forth into colonial society. This point of view reflects that the most urgent necessity for Korean is to advanc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rather than to gain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Youth, the readers of Self-Help, were assumed to be discontinuation of previous ages, because Choi Nam-Sun had been negative thoughts about the dynasty of Choson. He was of the intermediary class(中人) extraction. The content of Self-Improvement, claimed by Choi Nam-Sun, was used to criticize the system of yanban(兩班). Self-Improvement implies the spirit of youth has to pursue the advanced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with diligence and endurance. In short, yanban, the ruling class of Chosen dynasty was blamed for the main culprit of Japanese colonization. His criticism veiled his social position in the dynasty of Choson. The colonial period allowed Choi Nam-Sun to achieve his full potential which hadn`t been materialized in the Choson dynasty due to his birth background. Youth to go forth into colonial society could be justified by the concept of Self-Improvement, which is a word derived from ``self-help`` of western modern knowledges. In conclusion, Self-Improvement claimed by Choi Nam-Sun in 1910s, demonstrates the division among intellectuals in Korea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not because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but because of youths in Korea society such as Choi Nam-Sun.

      • KCI등재

        1920년대 자조론 계열 지식인 최찬식의 『자조론』 아류 서적 출판과 그 의미 -『東西偉人少年時代』 출판을 중심으로-

        최희정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1 No.-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a book that imitate Self-Help, great persons’ boyhood in the world (『東西偉人少年時代』)written by Choi Chan-sik(최찬식(崔瓚植)) in the colonial Korea in 1927. Choi Chan-sik has been watching the flow of the juvenile movement group in the socialistic and cheondo-gyo’s(天道敎) line since the mid-1920s. Choi Chan-sik’s work for the boys and girls’ cultivation had been different from the juvenile movement group in the socialistic and cheondo-gyo’s line. It was a book that imitate Self-Help, great persons’ boyhood in the world published in colonial Korea, the content of that was influenced by Japanese colonialism. It imitated a book that imitate Self-Help, great persons’ boyhood in the world (『偉人の少年時代』) written by hukuda kinketsu(福田琴月) in 1908 in Japan. It is important that the content of Self-help written by Samuel Smiles in 1859, shows signs of indigenization colonial Korea in the mid-1920s. I examined the colonial intellectual historical location of Choi Chan-sik as Korean intellectuals who accepted Self-Help. This point of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As you know, Choi Chan-sik was studied as a novelist who wrote new novels(新小說) and journalist who worked in magazines, The World of New Culture(『新文界』) and Bando Siron(『半島時論』) during the colonial period. Specially, I found out that the publication of great persons’ boyhood in the world in 1927 was a product of Choi Chan-sik's intellectual journey, which propagate a discourse of one’s personal success since the 1910s. Choi Chan-sik propagated a discourse of one’s personal success through a novels of ambition(立志小說) and success stories in colonial Korea. In conclusion, I believe that the case study on Choi Chan-sik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colonial intellectuals who propagate a discourse of one’s personal success in modern Korea. Above all, this study shows that great persons’ boyhood in the world is a book that imitate Self-Help. 이 연구는 1927년 최찬식이 출간한 『동서위인소년시대』를 식민지 조선에서 생산된 『자조론』 아류 서적으로 검토하고, 이것이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갖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그리하여 『동서위인소년시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사회주의 계열과 천도교 계열 소년운동의 흐름을 주시한 최찬식이 일본의 식민주의에 공명하며, 일본의 『자조론』 아류 서적 『偉人の少年 時代』를 재모방하여 출간한 한국적 『자조론』 아류 서적으로서 스마일즈 ‘자조론’이 토착화되는 징후로 파악하였다. 1908년 출판된 『偉人の少年時代』는 메이지 후기 일본 국내 성공주의 붐과해외 식민주의 정책 아래 무수히 생산된 대동소이한 『자조론』 아류 서적 가운데 하나이다. 최찬식은 이 책을 단순히 번역한 ‘번역서’가 아닌 그 위인 구성을 새롭게 편제하여 ‘저서’ 『동서위인소년시대』로 출판하였다. 즉 『동서위인소년시대』는 일본의 『자조론』 아류 서적을 번역하는 차원을 넘어서, 최찬식에 의해 새롭게 재편성되어 식민지 조선에서 생산된 『자조론』 아류 서적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조명하였다. 무엇보다 ‘소년’이 수양을 통해 위인으로서의 업적과 성공을 이룰 것을 주장한 『동서위인소년시대』는 이 책이 출간될 즈음 소년운동의 양대 산맥인 사회주의 계열과 천도교 계열의 문예물과 차별화된 ‘소년’의 읽을거리로 기획되었음을 말하였다. 한편 이 연구는 『동서위인소년시대』의 저자 최찬식을 신소설가·언론인으로 파악한 기존의 문학적 논의와 달리 자조론 계열 지식인으로 파악하여, 최찬식이 갖는 식민지 지성사적 위치를 조명하였다. 특히 1927년 『동서위인소년시대』의 출간을 1910년대 『신문계』 이래 ‘자조론’에 기반하여 성공주의를 전파한 최찬식의 지적 여정의 산물로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최찬식이 1910년대「(立志小說)机上의 夢」이라는 ‘입지소설’의 문학 장르 및 『신문계』의 식민지조선의 성공가를 소개하는 연재물을 통해 성공주의를 유포하였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나아가 최찬식과 함께 『신문계』 『반도시론』에서 입지소설과 성공주의를 유포한 백대진의 활동을 비교·검토하여 자조론 계열 지식인으로서 양자의 동질성을 살펴보았다. 이렇듯 『동서위인소년시대』의 출판 보급에서 논의가 출발하지만 이 연구는 최찬식으로 표상되는 자조론 계열 지식인의 근대 기획 구도와 관련하여 식민지기 지성사의 조류를 파악하는 거시적 관점을 포괄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 생산된 『자조론』 아류 서적의 역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근현대 한국사회에 지속된 자조론 계열 지식인 연구에 구체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KCI등재

        좋은 자조모임에 대한결혼이주여성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의 적용 -

        최수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2 여성연구 Vol.115 No.4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은 결혼이주여성의 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이를 통해 아래로부터의 다문화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관점에서 가설을 형성하고 유형을 구조화하는 데 용이한 Q 방법론을 주요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P표본(참여자)은 자조모임에 1년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 20명이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좋은 자조모임에 대한 인식은 총 여섯 가지 유형으로, ‘정보와 연결되는 자조모임’, ‘일자리로 연결되는 자조모임’, ‘이주 어머니들과 연결되는 자조모임’, ‘권리 옹호로 연결되는 자조모임’, ‘치유로 연결되는 자조모임’, ‘문화가 연결되는 자조모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자조모임 운영에서의 결혼이주여성 관점의 철저한 반영과 지원 및 열린공간의 자조모임을 위한 정책적 지원,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및 자조모임에 관한 연구의 다양화, 자조모임 운영적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1910년대 윤치호의 식민지 조선 인식과 자조론의 정치적 상상력 -최남선의 자조론과의 비교를 통하여

        류충희 ( Chung Hee Ryu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본고에서는 1910년대 식민지 조선에 대한 윤치호의 인식의 특징을 그의 자유주의적 사상 특히 자조론적 사고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당시의 윤치호와 식민지 통치권력의 관련성을 폭력 성에 기초한 긴장관계로 파악하고 그의 행보를 조선지식인의 피식민자의 안전보장의 문제로 검토했다. 자조론적 사고는 윤치호에게 있어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는 논리인 동시에 조선인을 계몽하는 논리이자 식민지 통치권력을 비판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윤치호의 자조론적 사고는 현실주의적 특성의 발현으로 설명될 수 있다. 윤치호의 자조론적 사고를 입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1918년에 자조론을 번역하고 그다음 해인 1919년에 기미독립선언서를 기초한 최남선에 주목하여, 그의 자조론적 사고가 3·1 운동의 정치적 상상력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지 살폈다. 최남선이 기초한 기미독립선언서 에서도 자조론적 사고가 보이는데, 3·1운동이 일어나기 전년도에 출판된 자조론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자조론의 내용은 개개인의 “사람(人)”의 자조를 통해 “국가”의 강성은 물론 “문명”을 달성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이와 같은 최남선의 자조론적 사고는 그가 기초한 기미독립선언서 에 개인의 자유라는 보편성에 근거한 이상적 논리로 작용했다. 1910년대 윤치호는,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며 3·1운동에 참여한 조선인들과 3·1운동에 폭력적으로 대응한 식민지 통치권력, 이 모두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상반된 태도를 보인다. 그 이유는 윤치호의 자유주의적 사상, 특히 그의 현실주의적 자조론이 조선 독립불능론을 주장하는 근거가 됨과 동시에 조선인의 권익을 보장하지 않는 식민지 통치권력을 비판하는 근거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식민지기 조선인의 안정보장에 대한 윤치호의 추구는 현실주의적 자조론과 자유주의 정치사상에 기초한 틀 안에서의 것이며, 현실주의적 자조론은 식민지라는 현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사고하고자 한 논리로 작용 하게 된다. 3·1운동의 정치적 상상력을 제공했던 이상주의적 자조론은 1920년대 조선지식인들이 식 민지 상황을 용인하는 논리로 전화된다. 식민지상황 속에서 조선지식인들은 자신들, 나아가 조선인들을 계몽하고 자조·자립할 필요성을 주창하는데, 그들의 사상을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의 하나로 자조론의 정치적 상상력이 작용하게 된다. 윤치호가 그러하였듯이, 그들이 가진 자조론은 식민지 상황을 받아들이는 현실주의적 논리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Yun Ch``i-ho (1865-1945)’s perceptions of colonial Korea in 1910s by focusing on his thought on liberalism, and particularly on the principle of self-help. The paper shows that Yun’s notion of “self-help” was a realistic principle used on the one hand to justify the colonial situation, and on the other hand to criticize the colonial ruling power.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y also considering Ch’oe Nam-son (1890-1957)’s different conception of “self-help”. For Ch’oe, who had himself translated Self-Help into Korean as Chajoron(自助論) in 1918, the principle of self-help was a form of ideal political imagination. In Chajoron, the notion of “self-help”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of the state, and the accomplishment of civilization. Ch’oe re-articulated his conception of “self-help” based on the idea of the universal freedom of the individual in the “Kimi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he drafted in 1919. The study then turns its attention to Yun Ch``i-ho’s relationship with the colonial ruling power, and the circulation of the principle of self-help and liberalism among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10s. Yun criticized Koreans who suppor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who joined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he also took issue with the colonial ruling power’s repression of the Movement. This ambivalent attitude to Koreans and to the colonial ruling power was based on Yun’s own liberal ideas, and particularly on his notion of self-help.

      • KCI등재

        자살유족의 자조모임 참여 경험 탐색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작나무 마음이음1080 캠프 고인별 자조모임 사례

        김지선,노희경,오나언,천영서,유승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조모임에 참여한 자살유족의 실제 경험과 변화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자살유족 자조모임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진행된 자작나무 마음이음1080 캠프에 참여한 유족 35명을 대상으로 한다. 캠프 참가자들은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6개의 자조모임으로 나뉘어 약 1시간 동안 자유롭게 그룹 토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자조모임을 녹음하여 전사한 텍스트 자료를 질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코드북을 바탕으로 최종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유족의 자조모임은 자신의 경험을 풀어내는 자기 고백과 그를 이어주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졌다. 자조모임을 통해 자살유족은 가족의 자살로 인한 어려움을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른 자살유족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맺고, 삶의 의지를 다지게 되었다. 나아가, 서로 조언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타인과 사회로까지 자조모임 참여 경험을 확장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때,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자살유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는 차이가 존재하기에, 고인별 자조모임의 유용성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결론: 자조모임은 자살유족의 자살예방 및 일상으로의 회복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조모임 접근성 확대, 고인별 모임 특성에 따른 지지 전략 수립, 다른 유족을 도울 기회 마련과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자조모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장애아동부모의 자조집단 활동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한수정 ( Han Su-jeong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들의 자조집단 활동이 정서적, 사회적 부담을 완화시키고, 상호 지지 및 정치적 세력화를 통해 장애인 복지에 있어 적극적인 주체로 설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으며, 국내 부모자조집단 활동이 부모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부모자조집단의 방향성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조집단 활동내용은 지지적 활동 보다는 옹호적 활동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조집단 활동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조집단 참여기간이나 빈도는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지지적·옹호적 활동은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옹호적 활동의 투입 시 지지적 활동의 영향력 감소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집단이 발달하면서 구성원의 욕구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활동내용이 변화하게 되며,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도 변화함을 의미한다고 보여진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임파워먼트와 자조집단 활동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자조집단 참여기간 및 빈도는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간이나 빈도만으로 집단 참여 정도를 판단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둘째, 지지적 활동은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자조집단에서 지지적 관점의 활동을 강조하고 활발하게 이루어 질 때 임파워먼트는 높아질 것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옹호적 활동내용이 투입되면 지지적 활동내용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집단이 발달하면서 구성원의 욕구와 활동이 변화되므로, 구성원들의 욕구에 적합하지 않은 활동은 임파워먼트에 대한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조집단에 참가하는 구성원들의 욕구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그에 기초한 집단 목표 설정과 활동이 이루어질 때 자조집단의 효과성이 더욱 증가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방법의 다양화, 가족지원정책의 필요성, 전문가와의 협력 등 자조집단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domestic self-help group activities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on their empowerment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ir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eek ways of boosting their self-help activities on the assumption that self-help group activities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could contribute to letting them take the initiative in welfare for the disabl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participated a little more in advocative activities than supportive activities. Second, the length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empowerment, but supportive and advocative activities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One noteworthy finding was that supportive activities were less influential when advocative activities were performed, and it seemed to imply that the development of the groups brought a change to the needs of the members and then their activities, and that there was an ensuing another change in the influence of the activities on empower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empowerment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and their self-help group activities: First, the length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self-help groups exercis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empowerment, which signified that the length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weren't predictive enough to judg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self-help groups. Second, as the supportive activities affected empowerment in a significant manner, the empowerment of the parents will get better when the self-help groups stress and boost supportive activities. Third, the implementation of advocative activities made the supportive activities less influential. It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groups was concurrent with a change in the needs and activities of the members and then in the influence of the activities on empowerment. The activities that didn't suit their needs had a less impact on empowerment, and it could consequently be said that an accurate assessment of the needs of self-help group members and the selection of objectives and activities tailored to their needs will serv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help groups. Therefore in which way self-help groups could be more dynamized should carefully be studied. For instance, parents should be encouraged to take part in the groups in diverse ways, and more reinforced family support policies should be formulated. Besides, there should be collaboration between self-help groups and related experts.

      • KCI등재

        여성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자조모임 참여 경험 및 인식 고찰

        박윤하 ( Yun-ha Park ),김승연 ( Seung-yeon Kim ),김지민 ( Ji-min Kim ),김주성 ( Ju-sung Kim ),이숙향 ( Suk-hyang Lee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통합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여성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자조모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 자조모임에 참여 중인 여성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자조모임의 시작 및 정체성, 자조모임의 좋은 점, 자조모임 운영상의 어려움, 자조모임 참여의 어려움, 자조모임 내 관계 및 역할, 그리고 자조모임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것의 6개의 대주제와 2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통합 자조모임은 활동 목적인 기후 위기에 대한 장애 여성의 인식을 강화하고, 장애 여성과 비장애 여성 간의 동등한 관계 형성에 기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모임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나, 모임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재정적, 시간적, 공간적 자원의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통합 자조모임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금전적 지원, 역할 분담 및 참여자 확대, 그리고 기후 위기와 사회 정의에 있어 여성과 장애인의 취약성을 인식하고 지원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men participating in integrated support groups, and to identify the necessary elements for the operation of support groups involving both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12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men participating in integrated support groups.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six major themes and 25 sub-themes were derived: Initiation and Identity of the Group, Benefits of the Group, Challenges in Group Operation, Difficulties in Group Participation, Relationships and Roles within the Group, and Necessiti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Support Groups. Integrated support groups have strengthened the awareness of disabled women regarding climate crisi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equal relationship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women. Participants have had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group activities; however, the lack of financial, temporal, and spatial resourc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groups has been identified as a problem. Therefore, it suggests that systematic financial support, role allocation and expansion of participants, and social efforts to recognize and support the vulnerability of women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limate crisis and social justice are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and expansion of integrated support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