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자조모임 참여 경험 및 인식 고찰

        박윤하 ( Yun-ha Park ),김승연 ( Seung-yeon Kim ),김지민 ( Ji-min Kim ),김주성 ( Ju-sung Kim ),이숙향 ( Suk-hyang Lee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통합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여성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자조모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 자조모임에 참여 중인 여성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자조모임의 시작 및 정체성, 자조모임의 좋은 점, 자조모임 운영상의 어려움, 자조모임 참여의 어려움, 자조모임 내 관계 및 역할, 그리고 자조모임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것의 6개의 대주제와 2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통합 자조모임은 활동 목적인 기후 위기에 대한 장애 여성의 인식을 강화하고, 장애 여성과 비장애 여성 간의 동등한 관계 형성에 기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모임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나, 모임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재정적, 시간적, 공간적 자원의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통합 자조모임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금전적 지원, 역할 분담 및 참여자 확대, 그리고 기후 위기와 사회 정의에 있어 여성과 장애인의 취약성을 인식하고 지원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men participating in integrated support groups, and to identify the necessary elements for the operation of support groups involving both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12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men participating in integrated support groups.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six major themes and 25 sub-themes were derived: Initiation and Identity of the Group, Benefits of the Group, Challenges in Group Operation, Difficulties in Group Participation, Relationships and Roles within the Group, and Necessiti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Support Groups. Integrated support groups have strengthened the awareness of disabled women regarding climate crisi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equal relationship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women. Participants have had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group activities; however, the lack of financial, temporal, and spatial resourc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groups has been identified as a problem. Therefore, it suggests that systematic financial support, role allocation and expansion of participants, and social efforts to recognize and support the vulnerability of women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limate crisis and social justice are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and expansion of integrated support groups.

      • KCI등재

        자살유족의 자조모임 참여 경험 탐색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작나무 마음이음1080 캠프 고인별 자조모임 사례

        김지선,노희경,오나언,천영서,유승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조모임에 참여한 자살유족의 실제 경험과 변화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자살유족 자조모임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진행된 자작나무 마음이음1080 캠프에 참여한 유족 35명을 대상으로 한다. 캠프 참가자들은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6개의 자조모임으로 나뉘어 약 1시간 동안 자유롭게 그룹 토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자조모임을 녹음하여 전사한 텍스트 자료를 질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코드북을 바탕으로 최종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유족의 자조모임은 자신의 경험을 풀어내는 자기 고백과 그를 이어주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졌다. 자조모임을 통해 자살유족은 가족의 자살로 인한 어려움을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른 자살유족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맺고, 삶의 의지를 다지게 되었다. 나아가, 서로 조언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타인과 사회로까지 자조모임 참여 경험을 확장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때,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자살유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는 차이가 존재하기에, 고인별 자조모임의 유용성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결론: 자조모임은 자살유족의 자살예방 및 일상으로의 회복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조모임 접근성 확대, 고인별 모임 특성에 따른 지지 전략 수립, 다른 유족을 도울 기회 마련과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자조모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좋은 자조모임에 대한결혼이주여성의 인식 유형 탐색 - Q 방법론의 적용 -

        최수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2 여성연구 Vol.115 No.4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은 결혼이주여성의 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이를 통해 아래로부터의 다문화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관점에서 가설을 형성하고 유형을 구조화하는 데 용이한 Q 방법론을 주요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P표본(참여자)은 자조모임에 1년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 20명이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좋은 자조모임에 대한 인식은 총 여섯 가지 유형으로, ‘정보와 연결되는 자조모임’, ‘일자리로 연결되는 자조모임’, ‘이주 어머니들과 연결되는 자조모임’, ‘권리 옹호로 연결되는 자조모임’, ‘치유로 연결되는 자조모임’, ‘문화가 연결되는 자조모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자조모임 운영에서의 결혼이주여성 관점의 철저한 반영과 지원 및 열린공간의 자조모임을 위한 정책적 지원,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및 자조모임에 관한 연구의 다양화, 자조모임 운영적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등 및 전공과 중도장애 학부모의 학교기반 진로·직업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최민식,김원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career and vocation self-help group meetings for parents who have high school and colleg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and needs.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hich allow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March to July in 2018, two focus groups were compos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out of 14 parents who voluntarily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self-help groups at S Special-Education School to prepare for adulthood transition of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objective analysis, the research team and the supervisor team participated in the data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9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emes and categories are 1) Adult transition period that is recognized as a problem—Aggravation of parenting, Challenges of transition, Poor environment for adult transition, 2) Process and results of the parent self-help groups—Motive for participation, Difficulty of participation, Meaning of self-help group: Empowerment, Change in parent’s attitude, and 3) Tasks for self-help group hereafter and implications—Need for school-based career and vocational parental self-help groups, Clear purpose of the meeting and operation method.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ckground data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needs that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in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o develop specific action plans for parental self-help groups in further studies.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 및 전공과 진로·직업 자조모임에 참석한 중도장애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자조모임의 실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기초로 자조모임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이에 대한 해석 및 요구를 단기간에 심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2018년 3~7월까지 ○○지역 소재 S 특수학교에서 중도장애 자녀들의 성인전환기 준비를 위해 학부모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운영한 자조모임 참석자 총 14명 중 6명을 대상으로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분석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그 결과 ‘주제 1) 문제로 인식되는 성인전환기-가중되는 양육의 무게, 열악한 성인전환기 환경, 전환의 과제’, ‘주제 2) 학부모 자조모임의 과정과 결과-참여 동기, 참여의 어려움, 자조모임의 의미: 임파워먼트, 학부모의 태도변화’, ‘주제 3) 향후 자조모임 과제와 시사점-학교기반 진로·직업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성, 명확한 모임목적과 운영방식’이라는 3개의 주제와 9개의 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전환기 어려움과 지원에 관한 사항들을 이해하고 학교를 기반으로 한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와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관한 기반자료 및 후속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아동 아버지 자조모임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연구

        홍은숙(Hong Eun-Suk),오세철(Oh Sei-Cheol)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아버지 자조모임을 결성하고, 실행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 자조모임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우선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하는‘아빠와 추억만들기’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24명의 아버지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조모임을 결성하고 운영하게 되었다. 자조모임 운영 6개월 후에 여섯 명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집단 면담을 2회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해 자조모임 전의 자신의 삶, 자조모임을 경험하면서 변화된 가족의 삶, 자조모임에 대한 기대의 3개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들은 자조모임을 원하고 있었지만 기회가 없어서 매우 소극적인 삶을 살아왔다. 둘째, 자조모임을 통해 아버지와 장애 자녀의 관계가 매우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셋째, 자조모임의 구축과 초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이 요구되었다. 넷째, 아버지들 스스로가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실행함으로써 만족감과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w to implement a self-help group of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by forming, implementing and supporting a self-help group of fathers with disabilities. First of all, we planned and executed a program called ‘Making Memories with Da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wenty-four fa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form and run a self-help group. Six months after the meeting, six fathers were interviewed twi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ree large categories of expectations for self-help group, life of changed families, and self-help group were derived as they experienced self-help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wanted to be self-help groups, but they didn t have a chance. Second, through self-help group, relationships with children have become very positive. Third, social support was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help groups and initial revitalization. Fourth, the father was able to enhance satisfaction and confidence by decid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on his own. Finally, he suggested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주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만족도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권애령,정해익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25개 치매안심 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조모임이 치매환자 주부양자들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25개 치매안심 센터에서 자조모임을 알아보고, 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치매환자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수준과 프로그램 후의 만족도에 대해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자조모임 종류와 참석빈도, 모임개수는 다변랑 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참여자가 느끼는 전체 스트레스는 5점 척도 중 4점에 가까웠고, 모임종류와 참석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조모임 개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자조모임후의 만족도는 5점 척도 중 4점에 가까웠고, 모임종류와 참석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조모임 개수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결과에서 보듯 자조모임은 치매환자 주부양자들의 스트레스와, 모임후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lf-help group conducted by 25 dementia safety centers in Seoul correlated th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rimar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At 25 dementia safety centers, self-help groups were identifi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participating in the self-help groups.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and reliability was analyzed for stress level and satisfaction after the program. Multivariance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types of self-help groups, the frequency of attendance, and the number of meetings. The result were : first, the total stress felt by participants was close to 4 out of 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eting type and attendance frequency, an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number of self-help groups(p<.05). Second, the satisfaction after self-help meetings was close to 4 out of 5, the meeting type and attendance frequency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ly the number of self-help meeting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gram satisfaction.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self-help groups have an effect on the stress of primary care-give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after meeting.

      • KCI등재

        장애학생 아버지 자조모임 운영 사례와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eginning,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revitalization plan of the case of local fathers of disabled children’s self-help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6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father's self-help group as regular members for more than 4 year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self-help group formation and driving force, self-help group activity program, changes after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 and future revitalization pla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because there was no understanding of self-help groups and few models at the time of formation. Second, activities centered on children and families, participa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proj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elf-help groups. Third, self-help group activities changed the perception of fathers themselv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rital relationships, and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Fourth, it was found that promoting father's self-help group, strengthening father's capacity, professional resources and financial resources are needed for sustainable self-help groups.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지역 장애자녀 아버지 자조모임 사례의 시작과 성장·발전과정 그리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아버지 자조모임에 4년여 이상 정회원으로 참여한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2회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해 자조모임 결성과 추진동력, 자조모임 활동 프로그램, 자조모임 참여 후 변화, 미래 활성화 방안의 4개의 중분류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성 시 자조모임에 대한 이해가 없고 모델도 거의 없어 어려움이 있었으나 전문가의 조력과 임원들의 열성으로 모임을 결성할 수 있었다. 둘째, 자녀와 가족 중심의 활동, 예비특수교사의 참여, 지역사회 사업 참여가 자조모임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자조모임 활동을 통해 아버지 자신, 장애가 있는 자녀, 부부 관계, 지역사회 장애학생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넷째, 지속가능한 자조모임을 위해 아버지 자조모임 홍보, 아버지 역량강화, 전문가 자원 및 재정적 자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성’으로서의 자조모임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순(Kim Youngsoon),최수안(Choi Sooa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생성’으로서의 자조모임으로 개념화하고, 연구참여자의 생활세계를 둘러싼 개인적・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을 미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미스와 플라워스와 라르킨(Smith, Flowers, & Larkin, 2009)이 제안한 해석 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을 주요 연구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자료수집은 인천시 소재 A 가족센터 자조모임에 활발하고 참여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관통하는 경험의 패턴으로 ‘결핍의 기억들’, ‘생성의 선을 그리다’, ‘넘나드는 공간으로’ 세 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자조모임 참여의 의미로 ‘차이의 생성을 통한 타자-되기’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과거 기억은 자조모임을 통해 상호연결을 이루면서 차이를 생성하는 선으로 변이하였다. 스스로를 위해 참여했던 자조모임이 또 다른 결핍의 기억을 가진 누군가에 대한 윤리적 실천으로 이어지며 차이 생성의 과정은 반복되었고, 다문화 생활세계에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형성해 나갔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이 사회・경제적 참여 측면으로 논의가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자조모임이 다양성을 담아낼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다문화 관련 지원기관은 자조모임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제안할 수 있는 위치로 나아가야 한다. This study defines self-help groups of marriage-migrant women as constituting self-help groups as Becoming.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marriage-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a self-help group.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marriage-migrant women who actively participate in self-help groups at the Family Center in Inche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PA method suggested by Smith et al. (2009). Three themes, “memories of lack,” “drawing line of becoming,” and “to the crossing space,” were identified as the patterns of experiences.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s manifested as “becoming other through the generativity of differences.” The study participants’ past memories were transformed into lines that made a difference while forming interconnections through self-help groups. The self-help group in which they participated established ethical practices for people who have memories of lack, and the process of making a difference was repeated, creating knowledge and attitudes necessary in a multicultural worl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on self-help groups for marriage-migrant women in terms of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should be expanded. Second, self-help groups should strive to become an open space that embraces diversity. Third,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take actively discover and suggest policies related to self-help groups.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 핵심역량 탐색연구

        류주현,김영아,박단비,김필호,문현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5 No.55

        This stud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leaders of self-help group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helpers, members, and leaders of self-help group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analyzing 16 cases of self-help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elf-help group support project conducted by Corporation A for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six self-help group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with five helpers, six members, and six leaders, for a total of 16 people. As a result of a qualitative data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urvey, two dimensions, four categories, and 18 topics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core competency of leaders of self-help group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n education for nurturing their core compet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의 핵심역량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조력자, 회원, 리더를 대상으로 탐색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3단계의 분석과정을 거쳤다. 먼저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십 관련 문헌조사와 A법인에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개년 동안 실시한 자조모임 지원사업에 참여한 16개 자조모임 사례를 분석한 후, 6개 자조모임을 선정하여 조력자 5명, 회원 5명, 리더 6명, 총 16명에 대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조사 결과에 대한 정성적 자료분석 결과 2개 차원, 4개 범주, 18개 주제(핵심역량)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 핵심역량 지표개발, 자조모임 리더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의 정착주기별 의미 고찰과 제언

        이윤진 한국이민정책학회 2022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5 No.1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의 정착주기별 의미를 고찰하고 주요 쟁점에 대해 제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자조모임’(Self-Help Group)은 비슷한 요구와 목적을 가진 구성원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결혼이 주여성 자조모임은 한국 사회 적응의 시작점이자 통로로서 기능을 하며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 연 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을 정착주기에 따라 크게 ‘이주 적응기’, ‘내적 성장기’, ‘사회적 역할 재조명기’ 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의미와 사례를 논하였다. 또한 ‘주체성과 자발성’, ‘참여구성원의 확장성‘, ‘참여 목적의 다 양성과 복합성’, ‘지역사회 참여와 이타성’의 측면에서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 자조모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제고와 더불어 결혼이주여성의 요구와 사회 변화에 부합 하는 자조모임의 운영, 촉진, 활성화를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suggest the meaning of self-help groups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society by settlement cycle. A “self-help group” refers to a group of members with similar needs and purposes. The self-help group for marriage migrant women functions as a starting point and channel fo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its importance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process of marriage migrant women’s self-help groups was largely divided into ‘migration adaptation period’, ‘internal growth period’, and ‘social role re-examination period’ according to the settlement cycle, and the meanings and cases of each were discussed.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on self-help groups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terms of ‘subjectivity and spontaneity’, ‘expansion of participating members’, ‘diversity and complexity of participating purpose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altru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arriage migrant women’s self-help groups and to seek the operation, promotion, and activation of self-help groups that meet the need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soci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