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와 개인 ; 한국(韓國) 성리학(性理學)에 있어서의 개인과 공동체

        이상익 ( Sang Ik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8

        유교는 본래 개인주의보다 공동체주의와 친화성이 있다. 유교의 이상은 한마디로 ‘人倫共同體’의 실현이었다. 조선시대에는 花樹會나 宗契, 鄕約과 社倉, 書院과 書堂 등이 크게 발달했는데, 이는 바로 유교적 인륜공동체를 지탱하는 세 축이었다. 이와 같은 전통적 공동체들은 ‘생래적 귀속집단’이라는 성격과 ‘자발적 계약집단’이라는 성격을 겸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이들 공동체들은 血緣·地緣·學緣 등 ‘緣’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는 ‘생래적 귀속집단’이라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개인의 자발적 참여 의사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는 ‘자발적 계약집단’이었던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전통적 공동체들은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성립한 공동체인 만큼, 공동체의 운영도 기본적으로 민주적 절차에 따랐다. 공동체 운영의 책임자들을 돌아가면서 맡고, 주요 안건을 회의에서 결정한 것 등이 그 증거이다. 한편, ‘전체의 질서와 개인의 개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理一分殊論과 ‘公正한 원칙에 따라 私益을 추구해야 한다’는 人心道心論 등 전통 性理學의 修己論은 ‘私的 개인’을 ‘公的 시민’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Originally confucianism is closer to communitarianism than to individualism. The ideal of confucianism is to realize ethical community. Chu Hsi`s theory of the Song dynasty reestablishes the ideal of ethical community and dignitaries(士大夫) take the job to realize it as their own vocation. There are many developed ``family clans and kinsfolk societies``, ``local covenants and sacred storehouses`` and ``private academies`` in the Chosun dynasty as in the Song dynasty. These communities are three kinds of axial confucian community, which are both natural ascriptive groups and voluntary contract groups in nature. Communities of Chosun dynasty are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through friendship and mutual help as well as to cultivate good customs in society. Also these traditional communities are managed by democratic procedures, as these are originally voluntary contract groups.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neo-confucian self-training theories like that individual personality should be harmony with general order, or one should pursuit his private interest according to fair principles are the process of sublimation private individual into public citizen.

      • KCI등재

        <도앵행>을 통해 본 조선 후기 비혼 여성의 현실과 이상

        박은정 한국어문학회 2024 語文學 Vol.- No.163

        본고는 <도앵행>에 상층 여성과 하층 여성 두 경우의 비혼 서사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도앵행>의 여성 인물들을 비혼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현대의 비혼 연구에서 비혼은 자발적·비자발적, 일시적·지속적 비혼으로 분류한다. 대체로 자발적 비혼 여성은 현재에 만족하고 결혼보다 자신의 삶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비자발적 비혼 여성은 결혼을 통해 현재의 불만족스러운 삶을 타개해 나가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혼인이 장려되던 조선 시대에도 비혼은 존재했고 비혼 인구는 배려와 관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비혼 여성들을 불쌍하고 불안정하고 위험한 존재로 인식하는 부정적 시선이 내재되어 있었다. 조선과 현대의 시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비혼의 요인과 비혼에 대한 인식 등 비혼의 면면들은 닮은 측면이 적지 않다. <도앵행>의 정위주는 퇴혼을 당하고 비자발적·일시적 비혼 상황에 처해졌다가 부모가 구몰하면서 비자발적·지속적 비혼 상황에 놓이게 된다. 수절을 명분 삼아 수동적으로 결혼을 기다리며 고립과 단절의 삶을 살아간다. 정위주의 시비 장란은 가문의 몰락과 부모의 구몰로 비자발적·일시적 비혼의 범주에 들게 된다. 그러나 자신의 처지에서 눈높이에 맞는 남자와 결혼하기 어려움을 깨닫고 점차 자발적·지속적 비혼을 꿈꾸고 실현한다. 정위주의 다른 시비들과 공동체를 형성하여 연대하고 소통하며 삶을 주체적으로 향유한다. 정위주의 삶이 당대 비혼 여성의 현실이라면 장란의 삶은 이상에 가깝다. 이상적으로 보이는 시비들의 공동체가 현대의 자발적 비혼 여성들이 지향하는 삶의 형태와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공동체가 남성과도 소통한다는 점에서 <도앵행>은 현대 비혼 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male characters in <Doaenghaeng> from the perspective of non-maritalism, noting that the non-marriage narratives for both upper-class and lower-class women appear simultaneously in the novel. In modern studies of non-marriage, non-marriage is classified into voluntary and involuntary one, and temporary and continuous one. In general, voluntarily unmarried women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and consider their lives more important than marriage, while involuntarily unmarried women tend to want to overcome their current unsatisfactory lives through marriage. In the Joseon Dynasty, when marriage was en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unmarried women were recognized as pitiful and unstable beings that were in danger, and were subject to considerate care and management. Despite the time distance between Joseon and today, there are quite many similar aspects of non-marriage, including the reasons and the social perception of non-marriage. Jeong Wi-ju in <Doaenghaeng>, after being forced out of her marriage, is placed in a situation of involuntary and temporary non-marriage and then in an involuntary and continuous non-marriage situation as her parents passed away. She lives a life of isolation and disconnection without giving up expectations for marriage in the justification of faithfulness to her original marriage. In case of Jang Ran, one of Jeong Wi-ju’s maids, she falls into the category of involuntary and temporary unmarried woman, resulted from the downfall of her family and the death of her parents. However, she finds out the difficulty of marrying an eligible man who meets her expectations, and then she gradually dreams of a voluntary and continuous non-marital life and realizes it. She enjoys her life independently, forming a community with other Jeong Wi-ju’s maids, and showing solidarity and communicating with them. If Jeong Wi-ju’s life shows the reality for unmarried women of the time, Jang Ran’s life is close to the ideal. In that the community of maids that appears to be ideal is not different from the form of life pursued by today’s voluntarily unmarried women and in that the community also communicates with men, <Doaenghaeng>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discussion of non-marriage.

      • KCI우수등재

        근린 생활권 공원에서의 자발적 공동체 활동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세종시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을 대상으로 -

        김우주,이차희,성종상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2

        Recently, urban parks are required to actively participate with residents in order to strengthen social functions andmaintain sustainable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of volunteer resident groups (Chamsamo) inthe neighborhood parks in which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an ongoing basis based on the solidarity of a dailyliving space.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activation of resident activity are derived from 5 aspects including resources,local area, resident group capacity, resident group role, and public suppor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Life-friendly resources: It was important to find life-friendly resources such as ‘Chamsaem' in the park. The combinedresources of continuous human activities provided various benefits to the residents. This has led to stronger attachmentand community activities to continue to utilize attractive resources in the park. 2) Sharing Common Daily Spaces andExpansion: As the Chamsamo activities were centered around the neighborhood, the network of activists in the localcommunity expanded. This led to continued resident interest and favorable participation as well as to the regional expansionof Chamsamo activities. 3) Park management as part of everyday life: Park management became a part of everyday life,and pleasant park management was facilitated by utilizing the talents of the residents, who carried out diverse activitiesand constantly streamlined their hard labor. 4) Chamsamo's Leadership Linking Residents and the Public Sector throughLeading Park Management Activities: Chamsamo served as a middle leader in linking the public sector and its users. 5)Role and Support of the Public Sector: In order to be able to sustain the activities of residents, the government's willingnessto support the resident-led activities of the park in planning and operating the public sector was required. In the publicmanagement system of the park, support for residents' activities such as financing, education, and consulting was necessary. 최근 도시 공원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해 적극적인 주민 참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본 연구는 지역 주민들이 일상생활공간을 기반으로 형성한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한 근린생활권공원에서 활동하는 자발적 공동체의 형성과정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 활동이 활성화되는데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을 자원, 지역영역, 공동체 역량, 공동체 역할, 공공지원 5가지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1) 생활 밀착형 자원: 공원 내 ‘참샘’과 같은 생활 밀착형 자원의 발굴이 중요하였다. 이는 강한 애착을형성시켜 공원 내 매력적인 자원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공동체 활동을 유도하였다. 2) 공통의 일상공간 공유와확장: 공동체 활동이 근린생활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주민사회 내 활동자들의 네트워크가 확장되었다. 이는 지속적인 주민의 관심과 호의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공동체 활동의 지역적 확장도 이끌어냈다. 3) 일상의 한 부분으로서의공원관리: 공원관리가 일상의 부분으로 결합되면서 쾌적한 공원관리가 가능하였다. 주민들의 재능을 활용하여 다양한활동을 진행하고, 고된 노동을 지속적으로 효율화하였다. 4) 주도적 공원관리 활동을 통해 주민과 공공부문을 연결하는공동체의 리더십: 공동체가 공원관리기관인 공공부문과 이용자집단인 주민들을 연결하는 중간자적 리더 역할을 수행하였다. 5) 공공부문의 역할과 지원: 지속적인 주민 활동이 이루어지는데, 공공부문의 공원 계획과 운영 측면에서 관리자의주민 주도 활동 지원 의지가 중요하였다. 그리고 공원의 공공관리 시스템 내에서 재정, 교육, 컨설팅 등의 공동체 활동지원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

        일시적 공동체의 새로운 상상 - 공공예술분야 활동가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영호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1

        Recently, transitory gathering phenomena have appeared according to certain social issues, such as the Wall Street demonstration. The 'transitory' gathering phenomenon is mainly recognized as an act of protest and a performance. The 'community' was used separately from the 'society' from the newly marginalized clas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ommunity' and 'society' were used separately, referring to the newly marginalized class.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intends to present a transitory gathering phenomenon as a new concept of the community. To this end,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communitas', 'absolute community', and 'public art' were examined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Next,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activists in the public art field. The reason is that transitory gathering phenomena are easily constructed through art and to explor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 of transitory gather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tivists in the field of public art voluntarily performed art labor for the community as a group formed to overcome social alienation. Second, in the transitory gathering,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centered and a common consciousness was shared, which could be viewed as a community. Lastly, the government's subsidy projects were inevitable and necessary for these activities, but had limitations and were an important for forming transitory community. 최근 월스트리트, 촛불시위와 같이 특정 사회이슈에 따라 일시적인 집합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일시적’으로 집합하는 현상은 주로 사회운동의 성격으로 시위행위이자 퍼포먼스로 인식된다. ‘공동체’는 산업혁명으로 주류집단에 비해 소외받는 계층으로, 즉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를 지칭하기 위해 ‘사회’와 분리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공동체의 어의에는 사회적인 문제로 나타나는 새로운 집단을 표상한다는 의미가 포함된 것으로, 연구자는 이에 착안하여 일시적 집합현상을 공동체의 새로운 개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공동체 개념에 대한 기존 논의들과 ‘커뮤니타스’, ‘절대공동체,’ ‘공공미술’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예술을 통해 일시적 집합현상이 구성되기 용이함과 일시적 집합현상 그 자체의 의미 파악을 위해 해당 현상을 직접 체험한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예술분야 활동가들은 사회적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구성된 집합체로서의 공동체를 위해 자발적으로 예술노동을 수행하였다. 둘째 이들 활동으로 구성되는 일시적 집합체에서는 참여자의 내러티브가 중심이 되며, 공동의 의식을 잉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공동체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가 지원사업은 이들 활동에 필연적·필수적이면서도 한계를 갖고 있었으나 일시적 공동체가 구성되는데 주요한 매개체로 작동하고 있었다.

      • KCI등재

        과정드라마를 적용한 공동체의식 역량 함양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김성희 ( Kim Seong Hee ),김병주 ( Kim Byoung J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공동체의식 역량 함양을 위하여 과정드라마를 적용 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A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하여 과정드라마를 적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총 6회기(12차시)에 걸쳐 실행하였다.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변화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이 를 양적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학생의 학습 일지, 소감문 내용 및 연구자의 관찰 분석 등 정성적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과정드라마를 적용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은 유의미하 게 향상되었다. 둘째, 참여 학생들은 공동체의 문제 해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와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고 효과적으로 의사를 표현하였다. 셋째, 참여 학생들은 공동체 구성원 간의 상호 영향에 대한 인지적 이해가 높아지고, 다름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견지하려는 노력과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시 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드라마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지향하는 체험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과 국어, 도덕, 사회 등 교과 교육과정, 그리 고 과정드라마를 결합한 융·복합적 학습 접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과정드라마 체험 을 통해 참여자들은 긴밀한 상호작용과 협력을 체험하며 공동체의식 역량이 향상되었다. 이 를 통해, 과정드라마는 교육과정과의 연계는 물론, 협업과 질문을 강조하는 최근의 교육 패 러다임에 매우 적절하고 효과적인 학습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by apply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to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could be improved relevantly through the Process Drama program. Comparing the sense of community figures before &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p < 0.05 level. Secondly, by putting themselves into the dramatic context, students were stimulated to develop various and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theme, and they also realize the importance of voluntary expression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The significance of this program is that the creative activity can encourag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 enhance their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dramatic experience.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and drama together,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chool education be expanded to a more wider scope. Process Drama shares many virtues wit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pedagogy, and it could be an effective leaning medium that invites stronger cooperation & diverse questions from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대교회 공동체와 토크빌의 자발적 결사체 비교를 통한 현대교회의 공공성 탐색

        양원모(Yang, Wonmo)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사회과학논총 Vol.26 No.-

        교회 공동체는 신앙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단순하게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교회는 하나님의 비밀로서 하나님이 주도권적인 선택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라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알렉시스 드 토크빌(Alexis de Tocqueville)은 미국 사회에서 교회를 포함한 자발적인 결사체(voluntary associations)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교회와 종교 단체들은 시민들을 동원하고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교회 공동체에서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 강화를 통한 한국교회의 신뢰도 회복은 교회의 공공성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한 사회가 국가적인 총 역량으로도 막을 수 없는 재난이나 전염병으로 대규모 인명손실을 겪게 될 때 기존의 사회 구조나 사상 또는 신학이 그 구성원에게 적절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그 구성원은 다른 대체물을 찾게 된다. 1세기와 2세기 로마제국 치하에서 기독교인들이 헌신적으로 전염병에 대처함으로써, 당대 사회의 인정과 지지를 받았던 것을 기억해야 한다. 죽음의 위협이었던 전염병이 창궐했을 당시 기독교인들은 신앙을 토대로 하여 ‘설명과 위안’, 그리고 ‘행동을 위한 처방’까지 제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런 기독교인들의 행동은 기독교가 공공성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초대교회는 교회의 본질을 복음전도와 사회봉사로 보고 실천했다. 초대교회의 사회봉사에 관한 기록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사역의 방향과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해준다. 바로 신앙 공동체로서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방법은 복음전도와 사회봉사를 겸비할 때 교회의 공공성이 회복될 것이다. A church community is simply a group of people of faith. The church is the secret of God, a community of Gods initiative and choice. In this regard, Alexis de Tocquevill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oluntary associations, including churches, in American society. In particular, churche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obilizing citizens and foster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Restoring the credibility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strengthening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in the church communit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public image of the church. When a society suffers massive loss of life in a disaster or epidemic that cannot be prevented by the collective capacity of the nation, if the existing social structures, ideas, or theology do not provide adequate answers for its members, they will seek alternative solutions.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n ancient societies, Christians were recognized and supported by their communities for their dedicated response to epidemics. In the face of a deadly epidemic, Christians were seen to offer explanations, comfort, and even prescriptions for action based on their faith, and their actions remind us that Christianity can play a public role. The early church saw and practiced evangelism and social service as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early churchs record of social service provides a clear direction and goal for the Korean churchs ministry today. It is to restore trust as a community of faith. And the churchs public image will be restored when it combines evangelism and social service.

      • KCI등재

        한국인의 상향적 관계 형성 전략이 자발적 결사체 참여에 미치는 영향

        임자은,김석호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etwork construction mechanisms that lead Korean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ssociations. By apply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we examine why Koreans actively join voluntary associations. Koreans tend to regard voluntary associations including old-boy school networks, recreational groups, and religious groups as instrumental and emotional communities. We found that Korean decide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ssociations with the expectation that those associations function as potential networks beneficial to their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 First, the result revealed that an individual’s social network is structured largely through their own intention, not least by desire to connect to people in higher status. The finding is particularly meaningful as it indicates that people actively and deliberately cultivate their social networks and strategically embed themselves in advantageous positions. Second, the results indicate that alumni and recreational groups are used as a conduit for Koreans in forming their connections. Lastly, religious groups seemed to play a peculiar rol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religious groups are largely different from those of alumni and recreational associations.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한국사회 공동체의 형성 원리에 대해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공동체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에서 자원과 정보가 흐르는 공간이며, 한국인은 여기에서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해 줄 가능성이 높은 인맥을 찾는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합리적 전략에 따른 공동체 참여가 발현하는 대표적인 집단(또는 조직)은 자발적 결사체임을 확인하였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한국인이 참여하는 자발적 결사체의 수와 연고집단, 여가모임, 종교단체에의 참여에 관계맺기의 전략적 성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사회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의 영향력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향 관계 지향 여부, 즉 자신보다 더 높은 사람과 연결을 하고자 하는 전략적 성향은 한국 사람들이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자발적 결사체에 참여하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는 사람들이 여러 집단또는 공동체에 참여하는 행위가 합리성에 바탕을 둔 전략적 관계맺기 또는 인맥쌓기의 일환임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 사람들은 연고집단과 여가모임에 높은 비율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 두 집단에의 참여를 결정짓는 요인은 개인의 전략적 성향이다. 셋째, 종교집단 참여 메커니즘은 연고집단과 여가모임의 그것과는 다르다. 물론 상향적 관계 맺기 전략이 종교집단 참여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더욱이 연고집단과 여가모임 참여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난 사회경제적 요인이 종교집단 참여에서는 동일하게 관찰되지 않는다. 넷째, 본 연구의 모형에 통제한 요인들 중 성별이 한국 사람들의 공동체 연결망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 연결망의 이면에는 여전히 남성중심의 연고주의가 작동하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결사체 참여는 일반 신뢰보다는 사적 신뢰의 영향을 받는다. 한국인은 사적인 친밀감과 신뢰를 바탕으로 표면적으로는 사적이고 비정치적인 연고집단과 여가모임에 참여한다.

      • KCI등재

        자발적인 시민참여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사례연구

        송경재(Kyoung-jae S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9 No.1

        본 연구는 세계화와 정보화 속에서 인터넷 시민사회의 한 형태인 자발적인 시민참여 사이버 공동체의 발전과 역동성의 메커니즘(mechanism)을 신뢰와 협력, 호혜적 규범과 수평적 네트워크의 공공재로 불리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연구는 7000번 버스를 타는 사람들 (http://cafe.daum.net/bus7000)과 남산타운 21 (http://www.namsantown21.com)이라는 사이버 공동체를 사례분석 (case study) 하여 한국의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형성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방법론은 2006년 5월부터 8월 까지 사례에 대한 참여관찰과 문헌연구, 심층 인터뷰 등의 질적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유도되었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신뢰는 참여자와 이해당사자들의 공동체 내ㆍ외부에서 그리고 온-오프라인 층위에서 중첩되는 형태를 보인다. 둘째, 사이버 공동체의 규범은 형식적으로 제도화되기 보다는 관습적인 형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이런 무정형의 규범화가 장기적으로 협력과 신뢰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셋째, 사이버 공동체는 약한 연대의 수평적ㆍ민주적 네트워크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dynamism and democratic development of Internet cyber community in Korea, using the social capital approach. Social capital refers to connections among individuals-social networks and norms of reciprocity and features of social organization such as horizontal networks, norms, and trust that facilitat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for mutual benefits. The case study showed that it contained various results. In this analysis, social trust in cyber community is formed various complex types. The cyber community has merits, as compared with real off-line community in the accumul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So, Internet cyber community formed by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is possible to develop of social capital and obtain excellent results in mutual trust, low transaction cost, democratic management, and cooperation.

      • KCI등재

        동아시아 사유로 본 공동체와 자기실현 공간

        이명수 ( Rhee Myung-s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이 논문은 동아시아적 사유를 통해, 소통적, 관계적, 자율적, 대안적인 각도에서 판에 박힌 공동체 이념을 성찰하려는 것이다. 공동체란 이 세상의 주체인 내가 타자를 만나 서로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려는 집단적인 형태의 공간이다. 그 공간은 국가, 사회, 민족일 수 있겠지만, 지역 문제, 생태, 환경을 다루거나 동호회와 같은, 사람의 몸과 마음이 바라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느 면에서 공동체는, 제도적인 측면의 국가나 이념적이고 상상적인 민족 공동체와 달리, 개체적인 인간 삶에 주안점을 둔다. 그것은 정해진 제도에 따라 인위적이거나 일률적인 시스템이 작동하는 공간이 아니라, 사람의 몸과 마음이 사랑하고 욕망하는 영토를 마련해주는 곳이어야 한다. 그런 공동체에서는, 참여자의 자율적 생명의 기운이 세상에서 관계적으로 역동하고, 거기에 설사 지도자가 있더라도 `무위`의 정치만 있어서 개개인의 의지가 현실화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렇듯 사람이 본성대로 살 수 있으며 그 취향을 펴는데 장애가 없는 공동체를 희구한다면, 이는 동아시아 사유에서 그 이념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으며, 그런 공동체 이념은 우리 시대에 대안적 성격을 지니고도 남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점에 유의하여 공동체의 의미를 접근한다. This thesis is to reflect prevalently stereo-typed community ideas and find alternative ones that have interconnected, relational, and autonomous acting system for our lives. Probably community is the collective space in which `I` as the subject in the world meet others and achieve the desirable objects each other. By the way the community spaces could be nation state, societies, and people of nation or ones that deal local problems, environments, and ecology and clubs ect, which are variable according to our concerns. In a sense community pay attention to not societies such as nations or people but lives of individuals, preparing for the territories where men feel convenient in their bodies and mentalities without artificial manipulation. In such a community the participant`s vital energy can be stretched actively and relationally, and even if the leader be, there is the politics of doing nothingness not to be the obstacle in the way mens` will goes. In those communities they can live their lives at their nature and realize their dreams without barriers to their way. If we find these ideas of communities which are alternative for our period, we should gaze at Asiatic ones that may be scattered in classics of Confucianism, Daoim and ect. With these concepts and concerns, this paper was drawn up.

      • KCI등재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요구분석-충북 교원을 대상으로-

        김동원,이정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2

        Purpose: This study intended to clarify what policy support measures are needed at the school leveland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level to boos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Methods: For this, the items of a support plan were derived and survey questions were composedby reviewing research reports of 16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Following this, a survey was carriedout with 2,46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hungbuk region, and prioritieswere identified through the paired t-test, IPA analysis, Borich’s Needs Analysis the Locus of FocusModel. Results: Teachers viewed ‘workload reduction and restructuring’ as an area of ‘focused improvement’that should be supported first by schools and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ject should reflec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rofessional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Accordingly, schools and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should lay the basic foundation of anenvironment for participation, and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 leaders should exercise appropriateleadership to present and share a community vision. In such a school climate, teachers can voluntarily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the teacher-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an be more active.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원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학교 단위, 교육(지원)청 단위에서 필요한정책적 지원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시⋅도 교육청 연구보고서 16편을 검토하여 교원 전문적 학습공동체 지원방안 항목을도출하여 조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어 충북지역 유⋅초⋅중⋅고 교사 2,4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여, 대응표본 t-검정,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분석 등을 통해 우선순위를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교사들은 ‘업무경감 및 재구조화’를 학교 및 교육(지원)청 단위 모두에서 최우선적으로지원해야 하는 ‘중점개선’ 영역으로 보았다. 결론 여기에는 해당 사업이 교사의 자발적 참여라는 교원 전문적 학습공동체 본연의 목적성을 최대한반영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이 포함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학교 및 교육(지원)청이 교원 참여를 위한 환경의기본 토대를 마련하고, 관리자 및 교사리더는 공동체적 비전 제시와 공유를 위해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해야한다. 이러한 학교 풍토 속에서 교사들이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교원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보다활성화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