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자 자녀들의 상황과 관련제도의 과제 : 아동의 권리를 중심으로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3

        본 연구는 부모의 수용으로 인해 아동의 권리를 보호받지 못 하고 있는 수용자자녀들에게도 기본적 권리들이 보장될 수 있기 를 희망하면서, 수용자자녀들의 권리현황과 관련정책을 분석하 였다. 본 연구에서 수용자자녀들의 권리는 ‘UN 아동권리협약’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에 명시된 아동의 권리들 중에서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 면접권을 기본 권리로 정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공식통계와 기존 연구 자료들을 재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수용자자녀들의 상황과 권리보장을 위 한 교정정책 및 관련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된 발견사 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자자녀들의 인구규모는 일일평균 22,000여명이 상 존하고, 연간은 32,000여명인데 그 중 18,000여 명은 매년 새롭 게 발생하는 인구이다. 한편 부모의 수용기간에 따른 자녀들의 기본권 상황을 분석한 결과, 생존권은 수용초기의 자녀들에게 가 장 위기적이었고, 발달권은 심리적 손상을 경험한 모든 자녀들에 게 장기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며, 보호권은 부모의 수용이 길어 질수록 친생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되고, 참여권과 면접권은 부모의 수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당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 었다. 둘째, 교정제도 현황분석에서는 관련법과 접견프로그램들 의 실태파악과 함께 수용자자녀들의 면접권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관련정책들로는 최근의 ‘포용국가아동 정책’을 포함하여 법률적, 정책적, 인권적인 측면에서 수용자자 녀들의 사회적 상황을 살펴보고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 로 수용자자녀 권리보장 방안으로 ‘자녀 중심으로 접근할 것’과 ‘국가의 책임강화’를 지원원칙으로 제시함과 아울러 기본 권리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 면접권)별로 교정제도와 관련 정책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ights of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and related policies.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nsure that basic rights are guaranteed for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whose rights aren’t protected due to the status of the parents. In this study, the rights of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are defined as the Right to Survival, Right to Development,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articipation, and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These definitions are based on the right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For this study, official statistic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analyzed and it concluded by providing possible improvements to current correctional policy and related syste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 a daily basis,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is 22,000. On an annual basis, the amount of the children is around 32,000. Among these population approximately 18,000 children are new persons. Meanwhile, when looking at the child’s basic rights depending on the parent’s incarceration period, the child’s Right to Survival was most threatened during the beginning stages of incarceration. The child’s Right to Development was affecting children long-term when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damage and the child’s Right to Protection could not be provided by their parents if the parent’s incarceration period lengthened. The child’s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grew as the parent’s duration of incarceration lengthened. Second, in reviewing current incarceration institutions, the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laws and visitation programs as well as provided ways to vitalize the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for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ird, for related policies, the study discusses the recent ‘Embracement National Child Policy’ as well as legal, political, and human rights perspectives in analyzing the social status of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It also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related policies. Finally, to ensure the rights of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e study suggests ‘approaches centered on the child’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as the fundamental support principle. The study also suggests ways to improve incarceration institutions and related policies per basic rights(Right to Survival, Right to Development,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articipation, Right to Maintain Personal Relations and Direct Contact with both Parents on a Regular Basis).

      • KCI등재

        절차보조인 제도 및 면접교섭보조인 제도의 도입을 위한 시론(試論) - 가사절차에서 자녀의 지위 강화와 관련하여

        김상용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27

        자녀의 신분과 관련된 가사재판(예컨대,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 면접교섭권에 관한 심판 등)의 결과는 그 자녀의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가사재판절차에서 자녀의 의사와 이익을 파악하여 법원에 전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러한 점에서 자녀는 가사재판절차에서 주체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단지 객체로서 다루어지고 있을 뿐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자녀의 신분과 관련된 가사재판절차에서 법정대리인(부모)이 자신의 이익에 매몰되어 자녀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경우에 중립적인 제3자가 자녀의 의사와 이익을 조사하여 법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법원이 자녀의 복리에 부합하는 결정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의 절차보조인은 자녀의 신분과 관련된 가사재판절차에서 자녀의 의사와 객관적 이익을 파악하여 법원에 전달하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하는데, 법관이 자녀의 복리에 부합하는 결정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면접교섭의 실행과 관련하여서도 “자녀는 가사절차에서 주체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단지 객체로서 다루어지고 있을 뿐”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2007년 민법개정에 의해서 자녀는 면접교섭권의 주체로 규정되었지만, 부모간의 갈등으로 인하여 면접교섭이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에 자녀의 면접교섭권을 실현할 수 있는 절차상의 제도는 여전히 미약하다. 이런 점에서 2007년 민법개정에도 불구하고 면접교섭에 있어서 자녀는 여전히 객체의 지위에 머물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자녀가 비양육친(면접교섭권자)과의 면접교섭을 원하고 있지만 부모간의 갈등으로 인하여 면접교섭이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에 신뢰할 수 있는 제3자가 양육친과 함께 면접교섭을 준비하고, 자녀를 면접교섭권자에게 인도하며, 면접교섭이 끝난 후에는 다시 양육친에게 데려다 주는 등의 보조역할을 할 수 있다면 부모간의 충돌을 피하고 면접교섭이 원만하게 실행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면접교섭에 관하여 부모 사이에 의견의 충돌이 있는 때에도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는 제3자가 자녀의 의견을 듣고, 부모 사이에서 의견을 조율한다면 원만한 합의의 도출을 기대할 수도 있다. 독일에서는 면접교섭보조인이 위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데, 면접교섭의 원만한 실행을 위하여 매우 유용한 제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8년에 제정된 독일의 「가사소송 및 비송사건에 관한 절차법」은 가사절차에 있어서 자녀의 지위 강화를 중요한 입법 목적의 하나로 표명하였고, 그 실현을 위하여 절차보조인 제도와 면접교섭보조인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도 가사절차에 있어서 미성년자녀의 지위 개선과 관련하여 본격적으로 논의를 할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논의과정에서 독일의 절차보조인 제도와 면접교섭보조인 제도는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Verfahren vor den Familiengerichten können im Einzelfall trotz der vorhandenen verfahrensrechtlichen Bestimmungen(z. B. Anhörung des Kindes), die eine am Kindeswohl zu orientierende Gerichtsentscheidung ermöglichen sollen, Defizite bei der Wahrung der Interessen der von diesen Verfahren besonders betroffenen Kinder auftreten. Da minderjärige Kinder in ihre Person betreffenden Verfahren in der Regel nicht formell Beteiligte sind, ist es von besonderer Bedeutung für die am Kindeswohl zu orientierende Entscheidung, dass ihre Belange in das Verfahren angemessen eingebracht werden. Es fehlt im Verfahren in den Fällen, in denen erhebliche Interressengegensätze zwischen dem Kind und den gesetzlichen Vertretern bestehen und in denen die gesetzlichen Vertreter infolgedessen die Kindesinteressen nicht in das Verfahren einbringen, an einer Person, die allein die Interessen des Kindes wahrnimmt. In Deutschland soll die Regelung des § 158 FamFG es ermöglichen, dass das Familiengericht dem Kind immer dann, wenn bei einem schwerwiegenden Interessenkonflikt in einer für das weitere Schicksal des Kindes bedeutsamen Angelegenheiten - in der Regel stark konflikträchtige Sorge- und Umgangsrechtsverfahren getrennt lebnder Eltern - die selbständige Wahrnehmung seiner Interessen erforderlich ist, einen Verfahrensbeistand zur Seite stellt. Seit nunmehr 6 Jahren (Familienrechtsreform 2007) ist das Kind de lege lata vom Objekt der Eltern zum Subjekt des Umgangsrechts geworden. Verfahrensrechtlich ist aber nicht versucht worden, dieser geänderten Rolle gerecht zu werden. In Deutschland ist die Rechtslage anders entwickelt worden. Durch das KindRG 1998 ist ein eigenes, persönliches Recht des Kindes (§ 1684 Abs. 1 Hs. 1. BGB) auf Umgang mit jedem Elternteil eingeführt worden. Das Kind soll nicht nur Objekt des elterlichen Umgangs sein. Verfahrensrechtlich wird versucht, dieser geänderten Rolle durch Einsatz von Verfahrensbeits and und auch von Umgangspfleger gerecht zu werden. Der Umgangspfleger hat das Recht, die Herausgabe des Kindes für die Durchführung des Umgangs vom betreuenden Elternteil zu verlangen und für die Dauer des Umgangs dessen Aufenthalt zu bestimmen. Damit erhält der Umgangspfleger eigene Rechte bei der Vorbereitung des Umgangs, der Übergabe des Kindes an den umgangsberechtigten Elternteil, der konkreten Ausgestaltung des Umgangs und der Rückgabe des Kindes vor Ort. Eines der Hauptanliegen der FGG-Reform besteht darin, die Stellung des Kindes in einem seine Person betreffenden Verfahren zu stärken. Neben zahlreichen weiteren Regelungen ist dieses Ziel vor allem durch die in § 158 FamFG vorgenommene Regelung des Verfahrensbeistands und die Kodifizierung der von der Rechtsprechung entwickelten Rechtsfigur des Umgangspflegers erreicht worden. In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soll auch diskutiert werden, wie die Stellung des Kindes in Verfahren gestärkt werden kann. Der Verfahrensbeistand wie auch der Umgangspfleger nach dem deutschen Recht könnten dabei ein Beispiel sein.

      • KCI등재후보

        자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연구: 부모 건강인식, 자녀 건강인식, 자녀 건강효능감, 부모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박혜영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19 언론문화연구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factors such as Parent’s perception on health,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parental communication ability as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health behavior intenti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parent’s perception on health was found to affect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However, parent’s perception on health did not affect children’s health behavior intention and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Second,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affected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but did not affect children’s health behavior intention. Third, parental communication ability was found to affect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but did not affect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and children’s health behavior intention. Fourth,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influenced children’s health behavior intention strongly. Fifth, there are indirect effects among parent’s perception on health,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and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children’s health behavior intention. There are also indirect effect among parental communication ability, children’s perception on health,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In this study, parent’s perception on health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hildren’s health intention but it affected the child’s health self efficacy by mediated child health perception. Children’s health percep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children’s health efficacy, and parent communication ability also influenced children’s health self efficacy by mediated child health perception. This study can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children’s health intention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o improve the child’s health intentio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건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 건강인식, 자녀 건강인식, 자녀 건강효능감, 부모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을 중심으로 요인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여중생과 그의 부모 중 1인이 짝을 이뤄 설문에 참여했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 건강인식은 자녀 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건강인식이 자녀 건강효능감, 자녀 건강의도에는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자녀 건강인식은 자녀 건강효능감에 영향을미치나 자녀 건강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자녀 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치나 자녀 건강효능감이나 자녀 건강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자녀 건강효능감은 자녀 건강의도에 비교적 강력하게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부모 건강인식, 자녀 건강인식, 자녀 건강효능감의 간접효과와 자녀 건강인식, 자녀 건강효능감, 자녀 건강의도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부모 커뮤니케이션 능력, 자녀 건강인식, 자녀 건강효능감의 간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부모 건강인식이 직접적으로 자녀 건강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자녀 건강인식을매개로 해 자녀 건강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자녀 건강인식은 자녀 건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이며, 부모 커뮤니케이션 능력 또한 자녀 건강인식을 매개로 해 자녀 건강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녀의 건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관계를 밝힐 수 있었으며, 매개효과를 검정해 향후 자녀 건강의도를 높일수 있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경험 여부를 중심으로

        박지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3 다문화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national identity and to identify the se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d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f immigrant women by intermarriage.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tribution that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upport make to national identity. Therefore, data of 1,704 people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nd the PLS-SEM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direct effect of lowering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was revealed wh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ceived a lot of acculturation stress. Second, there was a direct effect that the higher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higher their national identity. Third, when the acculturation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the attitude of accepting bicultural identity decreases, which lowers national identity. In other words,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that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receiv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policy support in a state where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increased. 이 연구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국내 출생 자녀인 다문화가정자녀가 겪는 문화적응스트레 스, 이중문화수용태도, 국가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의미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이중문화수용태도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여부 차이 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따라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 화청소년패널조사(MAPS: Multicultural Adolsents Panel Study) 2기 2차(2021) 데이터 1,704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은 패널테이터의 특성과 다변량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 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 판단된 PLS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 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 쳤다. 즉,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졌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국가정체성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이중문화수 용태도가 높을수록 국가정체성도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셋째, 다문화가정자녀의 이중문화수 용태도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 경로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함으로써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커지면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낮아 져 국가정체성이 낮아진다. 넷째, 다문화가정자녀에 관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경험 유무 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드러난 경로는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국가정 체성 구간이었다. 즉,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받은 경 험이 있는 집단의 국가정체성이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의 국가정체성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자녀가 바람직한 시민으로서 국가정체성을 확 립하기 위해서는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과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정책지원 단계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로서 가치를 함의한다.

      • KCI등재

        자녀의 복리와 친권법의 과제

        김유미(Kim, You Mee)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1

        자녀복리의 시각에서 살펴본 한국 친권법은 자녀복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 왔다고 할 수 있고, 자녀복리 이념에 비추어 부족하다고 평가되는 부분들도 앞으로 개정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자녀복리 이념에 더욱 충실해지기 위해서 한국 친권법이 풀어가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성년 자녀의 약혼이나 혼인의 경우에도 부모의 동의가 면제되는 사유를 규정하든지, 입양에 관한 부모 등의 동의면제사유를 규정한 개정민법 제869조 제3항을 준용하도록 하고, 미성년 자녀의 사리분별력이 성장해 감에 따라 부모의 동의권의 구속력은 약화되어, 본질적으로 개인적인 사항에 관하여 성숙한 미성년자녀와 부모의 의사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미성년 자녀의 결정에 친권에 기한 동의권이 양보해야 한다. 둘째, 이혼 시에 양육자로 지정된 부모의 일방에게 친권도 같이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자가 양육자인 경우에는 그에게 양육에 필요한 한도에서 거소지정권이나 징계권, 방해배제청구권을 인정하고 다만 친권자는 제3자의 양육이 자녀의 복리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특별법에 의한 위탁이나 입소의 경우는 별론으로 하고, 양육자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셋째, 면접교섭의 범위를 조부모나 기타 미성년 자녀와 특별한 유대관계를 맺었던 자들로 확대하고, 자녀의 요구에 의한 강제적인 면접교섭은 자녀의 복리에 도움이 된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넷째, 자녀의 의사와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아동 전문가의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경우를 친권자 지정에만 국한하지 않고 양육자 지정이나 변경, 면접교섭의 허용과 배제 및 제한의 경우에로 확대하여야 하며, 이혼절차에 수반되는 자녀의 보호뿐만 아니라, 자녀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특별대리인제도를 재검토하여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The welfare of children is a dominant principle in the area of a parental right law all over the world.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the Korean parental right law in the view point of welfare of children. The Korean parental right law has been changed to the direction of the welfare of children, and it will continue to change to the better way. For the future reformation of the Korean parental right law, the author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law provide the exemption of parent’s consent to the children’s marriage or marriage engagement under some circumstances as the new article of adoption(article869), or the law apply the new article 869 correspondingly. And when the child reaches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intelligence to be capable of making up his mind on the essentially personal matter in question, the consent of parent should yield to the child’s decision. Second, it is desirable that the holder of physical custody has the power of legal custody also. And if a third party holds physical custody, the court should give him or her some power of legal custody in sofar as it is demanded for the child’s care and protection. Third, the extent of access right needs to be widen to the people who has the intimate ties with the child. Generally a compulsory access is not good for the welfare of children, so it should be admitted under very limited condition. Fourth, the new law provides the advice of specialists who represent the child’s opinion on the decision of parental right(article 912). But the advices should be also given in the decision of custody and access right. And to protect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divorce and in other civil process, the system of separate representative of Korean Civil Law should to be improved.

      • KCI등재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범선,정남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성인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해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의 일상적인 행동과 생각을 구체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경험의 의미를 그대로 인정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는 영재판정을 받은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부모 중 한 사람으로 선정했다. 면담은 총 3회, 회당 평균 130분간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연구 텍스트가작성되었다. 결과 연구를 통해 도출된 9가지의 주제는 ‘어디에서나 드러나는 자녀의 뛰어난 능력에 대해 인식’, ‘자녀의 난치성 뇌질환의 발견’, ‘자녀의 영재성과 새로운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지해줌’, ‘학교에서 문제아로 보는 선생님과 영재아로보는 선생님의 평가’, ‘소통의 답답함을 느끼는 자녀를 위해 통로를 열어줌’, ‘확신을 가지고 자녀를 믿어줌’, ‘영재의 고유한 특성의어려움’, 그리고 ‘자녀를 한 인격체로 인정하고 자녀의 인생을 존중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해 나타난 영재자녀 양육경험의 의미는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함’, ‘자녀에게 필요한 지원을 함’, ‘부모의 불안으로 인해 자녀를 통제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자녀를 존중하고 믿음을 가짐’이다. 본 연구는 영재 자녀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양육 과정을 깊이있게 탐색하고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 영재 부모를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교육과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 수용 후 자녀들의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1

        부모의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안정적 가정과 부모의 역할은 성장을 위한 핵심적인 요인임은 분명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교도소 수용이 초래한 가정환경의 특성과 이와 결부된 복합적 문제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환경이 급변하는 시기인 부모와 분리되는 초기단계의 가정환경을 주목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용기간 1년 이내 미결수용자 1,005명(남자 852명, 여자 153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자녀들의 인구규모를 추산할 수 있는 기준제시, 부모수용 후 가정구조의 변화, 양육환경 및 부모-자녀관계에서 수용단계별 및 성별 차이, 양육환경 유형 등 가정환경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주된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수용된 19세미만 인구의 규모는 수용자의 자녀율 31.2%, 평균자녀수 1.54명을 기준으로 할 때 연간 48,000여명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둘째, 부모와 분리되는 초기에서부터 가정해체가 시작되고 극빈층이 되는 등 가정구조의 부정적 변화는 심각하였다. 셋째, 부모의 수용이 초래한 양육자의 상실과 불안정, 자녀들의 방치, 부모-자녀관계의 단절 위험성은 부모의 수용기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수용된 부모가 엄마일 때 더욱 취약하였다. 넷째, 수용자자녀에 대한 양육환경 유형은 취약한 가정, 분리된 가정, 적응적 가정으로 구분되었고 이중 취약한 가정이 다수인 것으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수용자자녀 지원의 근거법령이 될 수 있도록 “특수취약계층 아동ㆍ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 수용자자녀 보호 및 지원을 위한 “집행기구의 설치”, “수용자자녀 권리장전”의 제정ㆍ보급을 정책대안으로 제안하였다. A stable home environment and the role of parents is crucial in a child’s growth.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parent’s incarceration on a child’s home environment and various complex problems. This study especially concentrates on early stage separa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incarcerated parents. For this study, 1,005 inmates (852 males and 153 females) who were incarcerated within a year was surveyed. The number of children, differences in changes of family structure, caring environment, and others depending on length of incarceration and sex of inmates were considered in detail to analyze home environment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19 with incarcerated parents were 31.2%, which under the average of 1.54 children per household, amounts to around 48,000 children a year. Second, a family was dismantled at early separation from the parents. This led to extreme negative changes including a family’s spiral towards poverty. Third, a parent’s incarceration resulted in the loss of a caretaker and stability, negligence towards children, and severa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hese results were intensified depending when the incarceration was longer, and when the parent was a mother. Fourth, the caring environment of a child was distinguished into vulnerable home environment, separated home environment, and adapted home environment. Among the three, vulnerable home environments were most common. Finally, to support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is study suggested the legislation of a “Law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f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the “Establishment of Enforcement Agencies” and the legislation of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 A Bill of Rights” to protect and support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자녀론

        문선애 통일사상학회 2016 통일사상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자녀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말함으로써 세 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자녀론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계평화통일가 정연합의 자녀론은 참자녀론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자녀론 은 존재론적인 자녀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자녀는 하나님의 참자녀라 야 한다고 정의한다. 따라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참자녀론을 성찰하기 위해 자녀라면 먼저 이 루어야 할 이상적 인간은 누구인가를 말했고 그에 따라 참자녀가 갖추어야 할 성품을 논하고 있다. 나아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참자녀론을 살펴보기 위해 서는 이상적 가정을 말하고 이상적 가정에서의 자녀의 위상과 역할을 논하고 있 다. 이상적 가정의 주체는 참부모이며 동시에 참자녀라고 할 수 있다. 참부모의 참사랑으로 양육된 참자녀는 참부모 하나님의 창조이상과 목적을 이 루기 위해 이 땅에 현현한 참부모 메시아를 닮고 그의 섭리에 동참해야 한다. 그 렇게 하기 위해서는 형제자매로서 참자녀의 사회적 상상력을 키워야 한다. 참다 운 사해동포주의를 실현하여 천일국을 이루는데 참여하고 책임을 다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자녀론은 참자녀교육의 원리 및 참자녀교육의 과정등의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 참자녀론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The thesis serves to establish the children’s principl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FFWPU) by deeply understanding the children of FFWPU. The Children’s Principle of FFWPU, an academic study of children’s principle, can also referred as the True Children’s principle where its children represents the true children of Heavenly Parent. Therefore in order to introspect the Children’s Principle of FFWPU, the thesis first discusses an ideal human being as true children and its suitable characteristics that true children must embody. Furthermore, the thesis discusses ideal family and children’s status and their role within the family. Thus, the subject of ideal family is both true parents and true children. True Children who are raised under True Parent’s love should resemble True Parent and participate in their providential work to fulfill God’s ideal creation and his purpose. In order to do so, true children should develop social imagination where people bond as brothers and sisters centering on True Parent’s as their own parent. Thus include effort to partake in creating Cheon-Ill-Gook and actualize true cosmopolitanism. The Children’s Principle of FFWPU should establish the True Children’s principle through persistent research and enhancement of principle education sessions, workshops, and others.

      • KCI등재

        자녀장려세제와 노동공급

        추석현 ( Seok-hyun Choo ),전승훈 ( Seung-hoon Jeon ) 한국재정정책학회 2020 財政政策論集 Vol.22 No.4

        자녀장려세제의 기본적인 목적은 저소득층의 자녀양육부담 경감이지만, 본 제도는 저소득층의 근로 유인 제고 역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자녀장려세제의 효과성을 분석할 때는 자녀양육부담 경감효과뿐만 아니라 본 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역시 검토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는 자녀장려세제가 빈곤 및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효과와 자녀장려금이 자녀를 위한 소비에 사용되는가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노동공급 효과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아주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근로시간, 배우자의 경제활동 참여확률을 성과변수로 자녀장려세제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 볼 때 점증구간 없이 평탄구간과 점감구간 만으로 설계되어 있는 자녀장려세제의 특징을 고려하면 자녀장려세제는 노동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녀장려금은 이미 노동공급을 하고있는 가구주와 배우자의 근로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이론적인 예상과는 달리 자녀장려세제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녀장려금은 배우자의 노동시장 참여 확률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이는 점감구간이 시작되는 소득을 홑벌이 가구와 맞벌이가구에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본 제도의 특징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는 자녀장려세제가 노동시장에 일정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제도 도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Basic purpose of the Child Tax Credit(CTC) is to alleviate the burden of child raising for low-income families, but it also aims to induc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whe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analyze not only the effects of CTC on the reduction of child rasing burden but also on the labor supply.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basic purpose of CTC and onl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n labor supply. So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TC on the average monthly working hours of household heads and spouses, and the effects of CTC on probability of spous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oretically, CTC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working hours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that it is designed with only plateau and phase-out range without the phase-in range.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TC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working hours of the household head and spouse who are already working. That is, the expected negative effects did not appear in our analysis. In addition, in our empirical results, CTC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spouse’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This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in which the income at the beginning of the phase-out range is applied differentially to single- and dual-income households. These results implies that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ystem is effectively achieved while the CTC has a certain positiv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 KCI등재

        자녀효도 관련 토착심리 탐구와 자녀효도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 중, 고, 대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신영이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ption of filial piety among parents of Korean stud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nd its influence of child-rearing efficacy and family life-satisfaction. A total of 3,412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802, middle school=852, high school=866, and university=892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filial behavior of their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being helpful, followed by taking care of parents, obedience, and caring behavior. As for filial expression,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caring, polite, and supportive expressions. As for behavior that most moved the parent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being devoted to their school work, followed by obedience, caring behavior and sincerity.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their children should be filial,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at it was their duty, followed by developing proper character, consanguinity, and reciprocating for the sacrifice of the parents. As for unfilial behavior, disobedience was most frequently listed, followed by problem behavior, failing to meet expectation, hurting and disrespecting parents and not being devoted to their school work. When their children were not filial, majority of parents listed feeling sad followed by feeling resentful, and self-reflective. Second, path analysis revealed that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filial piety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hild rearing efficacy and family life-satisfaction. Child rearing efficac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family life-satisfacti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family life-satisfaction. This pattern of results have been found for all samples. 이 연구에서는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효도와 관련된 토착심리를 규명하고, 나아가서 자녀효도가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자녀를 둔 3,412명의 부모로서, 초등학생 부모 802명, 중학생 부모 852명, 고등학생 부모 866명, 대학생 부모 892명이었다. 첫째, 개방형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대표적인 효도 행동은 부모를 도와줌, 부모를 아껴줌, 순종, 다정한 행동이 대표적이었으며, 이외에 성실함, 학업충실, 잘 성장함이 포함되었다. 부모가 지각한 자녀효도의 언어표현은 다정한 표현, 예의바른 표현, 격려의 표현이 대표적이었으며, 이외에도 감사의 표현, 도와드리겠다는 표현, 건강하라는 표현, 공부 열심히 하겠다는 표현, 순종하는 표현 등이 있었다. 부모가 가장 감동하는 자녀의 효도는 학업충실이었으며, 이외에 순종, 부모를 아껴줌, 성실함, 잘 성장함 등이었다. 자녀의 효도가 중요한 이유로서 인간의 도리가 가장 대표적으로 지적되었고, 이외에 올바른 인간형성, 혈연관계, 부모의 희생에 대한 보답, 자녀에게 도움이 됨, 가정화목이 지적되었다. 한편 부모들은 자녀가 순종하지 않을 때 불효라고 지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외에도 나쁜 행동, 기대에 미치지 못함, 마음을 아프게 함, 부모를 무시함, 학업소홀, 불성실함이 포함되었다. 자녀가 효도하지 않았을 때 부모의 마음은 서운함이 과반수 이상이었고, 이외에 괘씸함, 자기반성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자녀가 효도를 하면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자녀의 효도는 자녀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고, 높아진 자녀양육효능감은 가정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자녀양육효능감은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였다. 가정경제수준도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그러나 효과분석을 하였을 때, 자녀효도가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가정경제수준이 부모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 중, 고, 대학생 부모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