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애수행과 자기심리학을 통한 자기성장 고찰

        변하나(Byun ha na)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인간에게 ‘자기 자신’과 ‘사랑(慈愛)’이라는 것은 민감하고 끈질긴 주제이다. 또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 이기적인 자기도취라고 받아들여져서 자기사랑은 종교적 심성과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기사랑은 붓다의 가르침과 어긋나는 것이 아니며 타인사랑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확립되지 못하고 흔들릴 때에 타인에 대한 진정한 사랑도 방해받게 된다. 자기애(自己愛)는 이기주의나 자폐(自閉)성이 아닌 삶에 대한 건강한 자유의지이며 성장의 바탕이다. 붓다의 가르침 안에서 자기 자신은 수행의 주체가 되며 과보의 원인으로 설명된다. 자기 자신이란 절체절명의 의지처가 되며, 타인을 이해하는 본보기가 되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건강한 사랑과 자기에게만 빠져 있는 것은 다른 것이다. 자애수행자는 자신을 자애(mettā)로 확립한 후에, 자기에게만 빠져 있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향해 나아간다. 자기애를 시작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위숫디막가』의 자애수행 순서인, 자기 자신 → 좋아하고 공경하는 스승 → 좋아하는 친구 → 무관한 사람 → 원한 맺힌 사람의 순서는,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 개념인, 자기의 확립→ 이상화 자기대상(idealized selfobject) → 쌍둥이 자기대상(twinship selfobject) → 성숙한 자기대상의 의미로 설명될 수 있다. 거울 자기대상(mirroring selfobject) 기능의 의미를 지니는 ‘좋아하는’ 대상을 거쳐 무관한 대상과 원한 맺힌 대상에게까지 자애를 보낼 수 있게 되는 과정은 자기심리학의 함의를 지니고, 자기애의 순기능과 인간의 성장을 보여준다.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the mettā(loving-kindness) meditation of Early٠Theravada Buddhism was considered as a stage of development. Today it is accepted as a well-structured process in terms of the modern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Starting from self-love meditation by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it presents the order of objects that has psycho-social implications of mental growth and reveals the positive function of self-love itself. The practice of self-love and its meaning provides 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MSC) which is widely accepted today. Self-love is a healthy willpower to live one’s life well, and it is different from egoism or autism because meditation begins as a way of strengthening life. Until recently, not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on how to explain Buddhist practice about self-love in terms of psychological explan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 by comparing Buddhist scriptur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which suggests self-love meditation, psychotherapy theory, and Kohut’s self psychology among psycho-dynamic theories. Both ‘loving-kindness’ and ‘self-love’ are not only a volitional aspect but also a starting point for the spiritual development, encouraging us to move on from narcissistic emotion. Also, loving-kindness and self-love ar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and strengthen personality. Therefore, it is undeniable that healthy self-love works as an essential instrument in our mental growth.

      • KCI등재

        수치심이 자비명상에 대한 저항감에 미치는 영향: 자비 대상(자기 vs. 타인)의 조절효과

        박도현,김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2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LCM) is one of the popular intervention on clinical setting to cultivate loving-kindness & compassion for self and other. Shame is known for unconscious and implicit emotion including negative self-concept. Some researchers suggest that people with high shame have difficulty in cultivating loving-kindness & compassion toward oneself because of shame including the negative self-critic. In this research, it is explored the influence of shame for the object of LCM. There are 2 experiments to find ou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N = 108) are randomly assigned to two conditions. The one condition is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self, and the other is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positive others. Dislike and engagement from participants about loving-kindness meditation instruction are measured after meditation for 8 minutes. From the experiment 2, loving-kindness meditation is replaced with compassion meditation from the design of experiment 1. This experiment is conducted because of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Participants (N = 116) are randomly assigned to two conditions, compassion meditation for self and positive other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 that dislike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self seems to high when people have high shame, but shame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engagement. For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positive others, shame seems to not affect on dislike and engagement about loving-kindness meditation instruc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 that dislike is higher for self than for positive others about compassion meditation for people with high shame, but shame does not affect on engagement. For discussion, it is suggested that shame has special features of emotion. For the future, we discuss the therapeutic strategy for people with negative self-concept. 자비명상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애와 연민의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수련법으로 근래 다양한 치료적 장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수치심은 부정적 자기개념을 포함하는 무의식적이고 암묵적인 정서라고 알려져 있다. 수치심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비명상 중에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자비의 마음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워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의 이런 특징이 자비명상수련 대상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비명상을 자애명상과 연민명상으로 나누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자애명상 실험으로서 참가자(N = 108)들을 자기를 대상으로 한 자기-자애 처치와 긍정적 타인을 대상으로 한 타인-자애 처치에 무선 할당하였다. 이들에게 8분간의 처치를 가하고 수치심에 따라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과 몰입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2(N = 116)는 연민명상 실험으로서 실험 1에서의 자애명상 처치를 연민명상 처치로 바꾸어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가지 실험을 행한 이유는 자애심과 연민심에 심리학적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때문이었다. 실험 1의 결과,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자애명상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자애명상 지시문에 대해서는 수치심의 영향이 없었다. 실험 2의 결과 역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연민명상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을 더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연민명상 지시문에 대해서는 수치심의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수치심 정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부정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비명상을 적용할 때에 고려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기-자애척도의 한국어판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조성주,김지웅,Jo, Seong-Ju,Kim, Ji-Woo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1 정신신체의학 Vol.19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의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자기-자애 척도의 신뢰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의과 대학생 및 일반인 484명을 대상으로 자기-자애 척도를 평가 하였으며 자기-자애 척도의 6개 요인에 따른 남녀별 측정치를 구하고, 남녀 간의 차이를 독립 표본 t-검사를 통해서 비교하였다. 또한,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n=30)를 측정하였다. 결 과: 한국판 자기-자애 척도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alpha)는 0.76 이었으며 각 6개 요인에 대한 전체 점수의 검사-재검사 점수 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53이었다. 각 요인에 대한 반분 신뢰도 분석에서 자기-자애 척도 전체 26문항에 대한 Guttman split-half reliability는 0.89으로 측정 되었으며 6가지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0.60에서 0.85로 측정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자기-자애 척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타당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보완될 경우 한국어판 자기-자애 척도를 다양한 임상 영역 및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SCS). Methods: The total of 484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liability studies were conducted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examined.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SCS was 0.76,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0.53. Conclusion: The K-SCS appeared to be a reli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self-compassion in Korean population. If supplements further studies of the validity, this scale may be applicable in clinical trials, research,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

        안양규(An, Yang-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자기사랑에 대한 논의는 자기사랑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진행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비판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고에선 자기사랑을 긍정적인 의미로 이해하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고 있는 자기사랑에 대한 정의를 살피고 자기사랑을 불교의 주요 교리와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붓다에 의하면 진정한 자기사랑은 결코 다른 존재를 해치지 않는 마음을 전제하고 있다. 자기 사랑은 적어도 다른 존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며 적극적으로는 다른 존재의 행복을 염원하는 것이다. 초기경전에선 자애(自愛, atta-piya)라는 표현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자기자신에 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붓다는 자기사랑을 자기 보호, 자념(自念), 자애념(自愛念), 자기이익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경전에서 자기 자신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는 내용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자기사랑이 부정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사랑이 바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다. 자신 내지 자신의 몸을 사랑하는 것은 본능적인 것이다. 붓다는 이러한 본능적인 자기애를 먼저 인정하고 있다. 일체 생명이 갖추고 있는 자기애는 악행으로 갈 수도 있고 선행으로 갈 수도 있는데 붓다는 진정한 자기애는 선행에서 완성된다고 가르치고 있다. 연기관과 자타불이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리와 이타가 모순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호혜의 관계에 있다. 붓다는 자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일방적인 자기희생이 장려되지 않는다. 붓다가 건강한 자기 사랑을 부정하지 않지만, 동시에 무아(無我)를 가르치고 있다. 무아는‘나’라는 배타적인 자아의식과 그릇된 자아 애착을 부정하고 있다. 자아 애착의 소멸은 자타(自他)의 차별과 분별(分別)이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아의 지각을 통해서 자만심을 소멸시킨다는 것이며 ‘아만심’의 소멸을 통해서 열반을 성취한다. 궁극적으로 무아에서 자아 애착이 부정되고 열반에서 자기사랑이 완성된다. Depending on how one understands self-love, discussion on self-love can be a one or a negative one. In this paper, I look at self-lov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s it appears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is paper focuses on two main features: 1) Buddhist definition of self-love, 2) discussion on self-love in relation to the major doctrines of Buddhism such as non-self and so on. According to the Buddha, true self-love includes “never doing harm to other beings.” Self-love never excludes wishing happiness for other beings, not to mention welfare for oneself as well.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 find expressions such as “self-love” (atta-piya), “self-protection” (atta-rakkhita), self-concern, “self-loving concern,” and “self-interest.” These expressions represent the Buddhas positive teachings on self-love. We come across the Buddhas words on self-importance, which emphasizes self-reliance and self-discipline. The Buddha never denies self-love but instead teaches that self-love should proce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Buddha recognizes the instinctive self-love first and then teaches that true self-love leads to love for oth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non-dual teaching, ones self and others are not separate but connected. They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not in contradiction. The Buddha does not negate healthy self-love, but at the same time teaches selflessness (無我). Non-self denies exclusive self-consciousness and egocentric self-love. The disappearance of the ego means the extermination of discrimina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自他). Self-attachment or pride disappears through perceptions of the non-self, and nirvana is achieved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the “ego.” Ultimately, denial of self-attachment appears in non-self; self-love is completed in Nirvana.

      • KCI우수등재

        자기희생에 대한 초기 불교의 태도

        김한상(Kim, han-sa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6 No.-

        자기희생은 자발적으로 삶을 끊거나 몸의 일부를 바치는 행위들을 포함하는 고행을 가리킨다. ≷자따까(Jātaka)≸와 ≷아바다나(Avādana)≸와 같은 인도불교의 내러티브 장르는 자기희생을 사신(捨身)의 영웅적 사례로 언급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베트남 에서는 여러 형태의 자기희생들 가운데 박해에 항의하거나 붓다에게 예배하기 위해서 분신이 가장 일상적으로 행해져왔다. 자기희생은 최근에 테라와다 불교권에서도 드물게 발생해왔기 때문에 대승 불교권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빨리 성전과 그 주석서들에 입각하여 자기희생에 대한 초기 불교적 관점을 논의한다. 첫째, 자살과 마찬가지로 자기희생은 인간의 삶을 최대한 활용하기도 전에 그러한 기회를 스스로 저버리는 것이다. 둘째, 자기희생은 사람에게 극도의 신체적 통증을 일으키고 그를 죽음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고행에 포함되어야 한다. 잘 알려져 있듯이, 붓다는 고행을 실천하는 것이 해탈에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간주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희생은 비존재에 대한 갈애(vibhava-taṇhā)의 부추김을 받거나 유신견(有身見, sakkāya-diṭṭhi) 또는 자아에 대한 견해(atta-diṭṭhi)에 뿌리를 두고 있는 행동이다. 넷째, 자기희생은 모든 중생에 대한 자애(mettā)의 근원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는 자기사랑(attā-piya)이나 자기애 (atta-kāma)에 위반되는 행동이다. 그러므로 자기희생은 붓다의 가르침과 합치하지 않으 며, 그러한 의미에서 절대로 영웅적이거나 고귀한 행동으로 인정될 수 없다. Self-immolation refers to ascetic practices that include the voluntary termination of life or the offering of parts of the body. Indian Buddhist narrative genres of Jātaka and Avādana refer to such practices as Bodhisattva’s heroic examples of abandoning the body. In East Asian countries and Vietnam, auto-cremation has been most commonly practiced among many forms of self-immolation to protest against persecution, or to pay homage to the Buddha. This act is not confined to Mahāyāna Buddhist world. There have been cases, if not many, of this striking forms of self-immolation in Theravāda Buddhist world these days. With this paper, I discuss Buddhist perspectives on self-immolation on the basis of Pāli canon and its commentaries. Firstly, as in the case of suicide, self-immolation cuts short his or her opportunity to attain liberation, before having made proper use of human life to its fullest potential. Secondly, self-immolation should be included in self-modification or asceticism because it causes extreme physical pains and even leads to death. As is well known, the Buddha does not consider the undertaking of austerities as a necessary prerequisites for liberation. Thirdly, self-immolation is an act motivated or urged by craving for non-existence (vibhava-taṇhā) and is rooted in personality-belief (sakkāya-diṭṭhi) or ego-belief (atta-diṭṭhi). Self-immolation is against self-love (attā-piya) or self-affection (atta-kāma) which is highly appreciated as a source for lovingkindness (mettā) towards other beings. Thus, I can safely say that self-immolation is not in keeping with the original teaching of the Buddha and that self-immolation cannot be recognized as heroic or noble by no means.

      • KCI등재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이우경,방희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1 No.4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of adult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405 adult women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stressful life event, role stress,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 Stress,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were defined theoretical latent variables. Hypothetical model for the paths and role among constructs of interest was presented drawing on previous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mediate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on model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dicated reasonable model fit, but the path of self-compass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is not significant. Meanwhile mediation model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symptom indicates reasonable fit, and all the paths turn out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mediated the link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symptom.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유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이론적 잠재 변수들을 대표하는 측정치로, 스트레스 생활 사건 질문지, 역할 스트레스 질문지, 마음챙김 주의 및 자각 척도, 자기-자애 척도, 심리적 안녕감에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와, 우울, 불안, 적대감, 신체화 등의 심리 증상 측정치가 각기 선정되었다. 선행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리적 요인들의 간의 가능한 경로와 역할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이 제시되었고,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405명을 대상으로 이론적 모형들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자기-자애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고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 간에 마음챙김과 자기-자애의 매개 모형을 가정한 연구 모형과 가능한 모든 경로를 상정한 대안 모형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와 심리 증상의 직접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마음챙김과 자기-자애를 통한 간접 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대안 모형의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불교윤리에 있어서 자기애와 타자애의 상호적 실천

        안옥선(Ok-Sun An)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6 No.-

        본 논문은 초기불교에 나타난 자기애(attapiya)와 타자애(parapiya)의 상호성을 밝힌 글이다. 붓다는 (참된) 자기애를 ‘신구의 선행’으로 규정하면서도, 자연적 정념으로서의 보다 보편적 자기애를 인정한다. 그는 보다 보편적인 자기애에 근거하여 타자애를 호소한다. 다른 한편 그는 타자애를 통한 자기애를 호소한다. 자기애와 타자애는 대립ㆍ갈등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성은 자기애의 한 실천형태인 자기보호(attarakkhita)의 개념에서도 똑같이 나타난다. (참된) 자기보호 또한 신구의 선행으로 규정되며, 자기보호에 의해서 타자를 보호한다고 말해진다. 또한 타자보호(pararakkhita)에 의해 자기를 보호한다고도 말해진다. 그래서 자기보호와 타자보호는 상호적이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하는데 있어서 필자는 초기경전에 나타난 ‘자기애’의 개념과 타자애를 나타내는 ‘자애’(mett?)의 개념을 분석한다. 이 두 개념을 차례로 고찰한 후, 이들간 상호성을 밝힌다. 자기애와 타자애의 이러한 상호성은 인식적으로는 자타불이(自他不二)를 나타내는 연기, 공, 무아, 무상(無常), 무상(無相) 등의 불교 진리관의 필연적 귀결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윤리적으로는 불교도덕의 이념인 ‘자리이타의 자비’ 혹은 ‘동체 자비’를 충실히 드러낸 것이다.

      • KCI등재

        여대생의 객체화 신체의식과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금정윤,이성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E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elf-compassionon Premenstrual Syndrom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Jungyoon Keum & Sunghee Le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25 female college students to examine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degree of self-compassion and premenstrual syndrome,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elf-compassion on premenstrual syndrome.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low pre-menstrual syndrome score if they were 19-20 years old, had no caffeine intake or 1 cup, had low menstrual syndrome score if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sleep, and had a high pre-menstrual syndrome scor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core of premenstrual syndrome was low when self-compassion was hi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physical shame are at high risk for premenstrual syndrom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who value their reputation and evaluation of others. Key Words: Body Image, Self-compassion, Menstruation, Premenstrual Syndrome, Students 여대생의 객체화 신체의식과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금 정 윤**ㆍ이 성 희*** 요약: 본 연구는 여대생의 객체화 신체의식, 자기자애와 월경전증후군의 정도를 살펴보고, 객체화 신체의식, 자기자애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대생 52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대생의 연령이 19-20세인 경우, 하루 카페인 섭취량이 없거나 1잔일 경우, 월경량이 적거나 보통일 경우, 자기자애가 높을 경우 월경전증후군 점수가 낮았으며, 수면에 불만족하는 경우, 월경장애 가족력이 있는 경우, 신체수치심이 높을 경우 월경전증후군 점수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자기자애가 높을 경우 월경전증후군 점수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체면과 타인에 대한 평가에 가치를 높게 두는 한국인의 특성이 반영되어 신체수치심이 높은 여대생이 월경전증후군의 고위험군임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핵심어: 신체상, 자기자애, 월경, 월경전증후군, 학생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13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축약한 논문임. ** 주저자, 중환자전문간호사(First Author, RN. MSN. CCRN-CMC, North Shore Univ. Hospital, New York, Email: jungyoon.keum13@gmail.com)*** 교신저자,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yungpook National Univ., Email: leesh@knu.ac.kr)

      • KCI등재

        자애명상이 자기자비,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정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왕인순,조옥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as an intervention for cultivating various positive affects for adult women. This study recruited urban women performing nonprofit activities and had them practice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8 week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 women(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the control group). Measures were self-compassion,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perceived stress, which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the study, at week 4, and at week 8.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8 week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been practicing meditation over 3 times per week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negative affect and perceived stress after 8 week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been practicing meditation under 3 times per week tended to show positive changes in many dependent variable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appears to verify the effect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increasing self-compassion. It was meaningful to show that loving-kindness meditation seems to increase mindfulness and other positive effects when practiced more than 3 times per week. 본 연구는 긍정심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법의 하나인 자애명상이 성인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도권에서 비영리 공익활동에 종사하는 여성들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참여자들에게 자애명상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참여자는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4명이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자기자비, 인지적・정서적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정적・부적 정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과 4주후, 8주후, 3차례에 걸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애명상집단은 8주 후에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자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주 3회 이상을 수련한 명상집단은 8주 후에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자비 및 인지적・정서적 마음챙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적 정서 및 지각된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주3회 미만을 수련한 명상집단은 모든 변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그 변화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애명상이 자기자비를 증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자애명상을 통해 마음챙김이 증진되며, 주3회 이상 명상을 지속할 때 자애명상의 다양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애가 여대생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

        채선옥(Sun Ok Chae),이성희(Sung Hee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Recently, in regard of increase of exercis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 is also a growing interests among researchers in psychological variables of body shame and self-compassion as influencing factors on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shame and self-compassion on exercis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507 female college students in 3 colleges located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May and June, 2017. Korea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K-OBCS) was used as a measure of body shame. Self-compassion was measured through items from Korean Self-Compassion Scale(K-SCC).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binominal logistic analysis using IBM SPSS 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aying that factors predicting exercise included body shame (AOR :1.09, 95% CI:1.05-1.13, p<.001) and self-compassion (AOR:.1.04, 95% CI:.1.01-1.07, p=.037).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ercis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need to be performed by improving self-compassion and lowering body shame. 최근 여대생의 운동 실천율이 증가하면서, 운동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수인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애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애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5월에서 6월 사이 D시 1개 대학 및 2개 전문대학 재학 중인 여대생 507명을 편의 모집하여 자가 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신체 수치심은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도구(Korea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 K-OBCS)의 하위영역인 신체수치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자애는 한국판 자기자애 측정도구(Korean Self-Compassion Scale, K-SCC)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을 이용하여 Binominal logistic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의 신체 수치심이 높을수록(AOR:1.09, 95% CI:1.05-1.13, p<.001).자기자애가 높을수록 (AOR:.1.04, 95% CI:.1.01-1.07, p=.037) 운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운동을 하는 여대생의 자기자애는 강화시키고, 신체 수치심으로 운동을 하는 여대생에 대해서는 신체수치심을 극복할 수 있는 다른 중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