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의 종단적 분석: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 적용

        남수정 ( Sujung Na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국민연금관리공단과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의 1차년~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간의 동태적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종단분석 방법 중 하나인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적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 불입액의 관계가 부동산과 금융자산 소유여부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부동산과 금융자산 소유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필요노후생활비의 자기회귀 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개인연금불입액의 자기회귀계수는 부분적으로 통계적 유의 성이 확인되었다. 필요노후생활비의 개인연금불입액에 대한 교차지연계수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개인연금불입액의 필요노후생활비에 대한 교차지연계수는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부동산과 금융자산소유여부에 따른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간의 자기회귀계수가 검증됨으로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은 이후 시점의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개인연금의 경우 한번 가입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불입액이 점차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필요노후생활비의 경우 한번 산정하게 되면 시간이 흐를수록 즉, 노후와 가까워질 수록 좀 더 현실적으로 평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필요노후생활비의 개인연금불입액에대한 교차지연계수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지만 개인연금불입액의 필요노후생활비에 대한 교차지연계수는 검증 되었다. 그러나 필요노후생활비의 1차년도 값과 개인연금불입액의 1차년도 값의 상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의 관계는 동일시점에서는 검증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과 금융자산 소유여부에 따라 필요노후생활비의 개인연금불입액에 대한 영향력은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필요노후생활비의 개인연금불입액에 대한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개인연금불입액의 필요노후생활비에 대한 영향력은 검증됨으로써 개인연금불입액과 필요노후생활비의 관계를 어느 정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필요노후생활비와 개인연금불입액의 자기회귀효과와, 개인연금 불입액의 필요노후생활비에 대한 교차지연효과 등이 검증됨으로써 개인연금과 노후자금에 대한 동태적인 변화를 위해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특히 1차년도 필요노후생활비와 1차년도 개인연금불입액의 상관관 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개인연금불입액의 필요노후생활비에 대한 교차지연계수인 1차년도의 2차년도 에 대한 영향력 그리고 2차년도의 3차년도에 대한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개인연금 불입액과 필요노후생활비간의 종단연구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low interest rates and aging environment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elements to threaten the financial aspects of individuals in Korea. In particular, preparation for living expenses after retirement has become one of the major concerns with rapid progress of aging society, which indicates increase in the period of survival after retirement and longevity risk, a possibility that retirement assets are depleted ahead of the time before death. However, Korean people``s preparation for living costs for aging is still lacking. The longevity risk refers to the expense related to lifespan, and it also means risk of living longer than the prepared resources. The lack of the adequate preparation for the rapid progress of aging leads to increase in the longevity risk, and to decrease this risk, so the need for pension products is emphasized in terms of guaranty of predetermined inco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sense, life annuity is expected to provide ‘longevity insurance’ to hedge the longevity risks in that it can guarantee a fixed income until the time of death. However, despite these advantages, personal pension has not widely been used as a part of retirement savings plan. In particular, the life annuity has been confronted with the “annuity puzzle” phenomenon due to inactivation of financial market despite its characteristic of the most obvious countermeasure for the longevity risk.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at one of the causes of the “annuity puzzle” i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pension and retirement funds through checking if the amount paid for personal pension increases as evaluation finds that the need for retirement funds increases. However, although the need for living costs after retirement is well perceived, the necessity of pension can be underestimated because other assets such as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that can be easily turned into cash upon demand exist. Accordingly, this study also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retirement funds and the amount paid for personal pens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the passage of time into consideration since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retirement funds tends to change over tim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the need for the retirement funds is likely to change specifically with age. According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RCL), one of the longitudinal analysis methods was applied in this study through using 1st to 3rd year-data of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from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National Institute of Pension. From its results, both autoregressive coefficient of personal pension payments and appropriate living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appropriate living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of the personal pension payments was verified.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were not verifi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oefficient between appropriate living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and personal pension payments showed that appropriate funds needed in the old age and personal pension payments increase as time progresses, and appropriate living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and personal pension payments of an earlier time turned out to have an effect on those of a later time. In conclusion, it can be safely said that personal pension tends to be maintained consistently and its payments gradually increase once it is signed up. Seco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appropriate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of the personal pension payments was verified statistically in this study.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1st year values of appropriate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and those of personal pension payment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ich indicates the fact that the effect of awareness of the retirement funds on the increase in pension payments is not verified in the same point of time. Third, this study results also found that the presence of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have little effect on the personal pension payments of appropriate expenses needed in the old age. As a method to prepare living costs needed in the old age, encashment of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can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pension. However, the effect of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was not verifi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materials to seek conditions required to activate personal pension as a part of retirement savings plan. In addition, it can provide more in-depth implications in customer``s awareness of the retirement funds and selection of personal pension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of dynamic causation on the personal pension payments of retirement funds away from the framework of cross-sectional analysis on the existing personal pension and retirement funds.

      • KCI등재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영미(Kim, Young-Mi),전주성(Jun, JuS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iprocal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olescents. To conduct this study, the 1st year (2010, 4th grade elementary school), 3rd year (2012, 6th grade elementary school), 6th year (2015, 3rd grade middle school), and 9th year data (2018, 3rd grade high school)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0 (SELS 2010) were used. The final study subjects used for the analysis were 3,091 people, and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ity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t the moment previousl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t the next time point. Third, creativ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t the next time point. Final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at the next time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pport efforts and strategies that increase adolesc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ity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교육청이 수집한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SELS 2010)’ 1차 연도(2010년, 초4), 3차 연도(2012년, 초6), 6차 연도(2015년, 중3), 9차 연도(2018년, 고3)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최종 연구대상은 3,091명이며, 연구자료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창의성은 다음 시점 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전 시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다음 시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의성은 다음 시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다음 시점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는 체계적인 전략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내ㆍ외재적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의 인과적 상호관련성에 관한 종단연구

        이선경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 among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pecifically, the author tried to examine th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s to their causal predominance with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a total of 5,880 students’responses over the 3-year period (Grade 8, 9, 10)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First,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howed moderately stable tendencies over time. Second, only the intrinsic motivation(not the extrinsic motivation) showed positive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did not show such reciprocal relation and the prior self-regulated learning significantly predicted subsequent self-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습과 성취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그리고 자기조절학습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상호 관련성을 지니고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동기의 유형에 따라서 동기 구인이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과 갖는 인과 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수집한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총 3개 년도에 걸쳐 수집된 5,880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잠재변인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둘째, 오직 내재적 학습동기만이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 모두와 정적인 상호호환관계(reciprocal relationship)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학습동기와 도구적 학습동기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호호환관계가 없었으며, 이전의 자기조절학습이 이후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들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고, 한국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분석 연구

        허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 among adolescents. The 5-year longitudinal data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as collected from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 The 1st, 3rd, and 5th wave annual data were used for this analysi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results concluded (a) self-esteem continued from middle school 2nd grade to high school 3rd grade in significant stability. (b) The career barrier continued this period in significant stability. (c) Previous self-esteem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later career barrier, but (d) the previous career barrie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self-esteem. 진로 탐색과 교육을 위한 중요한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동일시점의 변인을 다루고 있어 인과 관계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이론적으로나 통계적으로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개발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2 패널 자료 중 1차, 3차, 5차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성장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a)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b) 진로장벽은 이후 시점의 진로장벽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c)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교차 지연된 진로장벽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d) 진로장벽은 이후 시점의 교차 지연된 자아효능감은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기 그릿과 시련극복역량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김진구,박다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oping and overcoming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es. Over a thousand adolescents from across the united states rated themselves on grit and coping and overcoming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fall of 8th grade, spring and fall of 9th grade).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confirmed that the relation between grit and coping and overcoming was relatively stable over time. Grit predicted future coping and overcoming, but not the other way around. That is, compared to their less gritty peers, grittier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cope and overcome hardship in the future, but the coping and overcoming experiences did not increase or decrease students’ grit. These results provide an additional evidence that grit supports students’adjustment. 본 연구는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기 학생의 그릿과 시련극복역량간의 상호적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 동부, 서부, 남부에 위치한 8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92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3학년 봄학기, 고등학교 1학년 가을학기와 봄학기 총 3회에 걸쳐 그릿과 시련극복역량을 측정하였다. 그릿과 시련극복역량간의 상호적 방향성을 탐색한 결과, 그릿과 시련극복역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안정성은 시련극복역량보다 그릿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전 시점의 그릿은 이후 시점의 시련극복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이전 시점 시련극복역량은 이후 시점 그릿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시련극복역량을 높이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적응을 위한 심리적 자원으로써, 그릿과 시련극복역량의 역할 및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임진섭(Lim Jin-Seop)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패널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2,67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4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자기회귀 교차지연모델을 통한 분석결과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유의미하게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또한 이전시점의 공격성은 이후시점의 우울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전시점의 우울은 이후시점의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방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격성이 높을수록 이후 아동의 우울은 증가하지만, 우울이 높을수록 이후 아동의 공격성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두 변인간의 관계성에 있어 남녀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지적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among adolescents. The 4-year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2,670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was used in this study. From the analysis result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were continued from elementary school 4th grade to middle school 7th grade in significant stability. In addition, the previous aggressivenes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ter period depression. Similarly, the previous depress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r aggressiveness, but the direction was negative. This means that the adolescents's depression increases as their aggressiveness increases, but as the depression increases, the later aggressiveness of the adolescents decreas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variables. Finally, the implication derived from the resul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김명자,최유선,손은령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의 초4패널 자료 중 2차(2012년), 4차(2014년), 6차년도(2016년) 데이터,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이 되는 시점 사이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을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또래애착은 이후 시점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또래애착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youth. In previous study, a three years longitudinal data ( KCYPS,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was collected from fourth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orea. The 5th grade in 2011(T2), 7th grade in 2013(T4), 9th grade in 2015(T6) wave annual data were used in this researc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ARCL) was used to measur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 first, the previous pe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sequent peer attachment over time. Second, the previous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over time. Third, the previous peer attach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But the previous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sequent peer attach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김동진,전효정,고은경 인지발달중재학회 2017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conflicts, marital satisfaction, and perceived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For this research, data of five years of the panel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an autoregressive model, the previous year’s (first to third years) marital conflict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increased those of the later year’s (third to fifth years). Second, in a cross-lagged model, the first to third year’s marital conflicts decreased the second to fourth yea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first year’s marital conflicts increased the second year’s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Furthermor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 decreased the second to fourth year’s marital conflic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Lastly, only the fourth year’s parenting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ifth year’s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s of the mothers. These findings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s regarding the mutual influence among the three variables; marital conflict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패널의 1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회귀모델에서,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는 각각 이후 시점의 측정값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차지연모델에서, 1~3차년도의 부부갈등이 차례로 2~4차년도의 결혼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1차년도의 부부갈등이 2차년도의 양육스트레스에만 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혼만족도도 2~4차년도의 부부갈등에 차례로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양육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차년도의 양육스트레스만 5차년도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간의 상호 영향력이 영유아의 발달과 중재에 미치는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김은혜,최려나,노충래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of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teste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chool adjust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by using the data of the 1st wave (2010), the 4th wave (2013), and the 7th wave (2016)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used to test reciprocal effects, and there were 1,853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above-mentioned waves of survey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s, school adjust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1st w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parenting attitudes, school adjust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4th wave and in the 7th wave respectively.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school adjustment had a significant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existing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adolescents would have afterwards, but the existing sense of community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arenting attitudes which adolescents would encounter later. Based on these results, an implication for youth welfare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간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이에 따른 청소년복지의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S 2010) 중 초4 패널 1차년도, 4차년도,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에 모두 응답한 청소년 1,853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시점에 걸쳐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 간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 공동체 의식이 각 이후 시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 적응 간에는 종단적 인과관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학교생활 적응과 공동체 의식 간에도 종단적 인과관계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양육태도와 공동체 의식 간에도 종단적 인과관계가 유의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가 공동체 의식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공동체 의식은 부모양육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의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손한결,신나나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1) through 3rd grade in middle school (T6) wave (2011~201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Panel Study 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longitudinal stability over six waves. Second,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only school adjustment on acculturative stress at the next wave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호 영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T1, 2011년, 초등학교 4학년)부터 6차년도(T6, 2016, 중학교 3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시기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 영향과 관련하여,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종단적으로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만 유의하였다. 셋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