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ffects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Lecture on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이영실(Lee Young sil),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사전, 사후검사로 자기주도학습력 검사(Lee, Park, & Kim, 2017)를 실시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에 미치는 수업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도가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는데. 이 결과는 앞으로 대학에서 대학생 개인의 자기주도학습력(인지, 정의,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교육과정을 추가적으로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2017년 2학기에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 참여한 37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실험설계를 하였고, 수업 전과 후에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대응표본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은 수업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가적으로,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서 토론 참여여부가 자기주도학습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지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에서 온라인으로 토론 주제를 주고 자유롭게 토론하게 하는 정도로는 토론집단과 비토론 집단 간 차이를 유발시키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 효과적인 온라인학습을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할 것인지에 관해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ffective university lecture course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confirming whether online class i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self-directed learning test (Lee, Park, & Kim, 2017)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less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researcher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by gender, grade and major,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find out what contents and methods will be effective on the onlin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의 타당화

        홍기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original test was conducted to 632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original test confirmed the 57 items composed of three domains with 14 sub-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consisted of three domains with 14 sub-factors. The three domains were composed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The cognitive domain consisted of the cognitive strategy, which includes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and creativity, and the meta cognitive strategy, which includes 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on. The motivational domain consisted of goal orientation and openness, self-efficacy, achievement value, and test anxiety. The behavioral domain consisted of action control, learning time management, and seeking help. Second, to examine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test scores were compu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scores was .353. Third, the Cronbach ɑ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was .952.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used as a measur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기초로 자기주도학습력의 구성요인을 선정하였고,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로 된 90문항의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3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5개 하위요인으로 된 63문항의 본 검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대구, 경북지역의 7개 초등학교 26개 학급 5, 6학년 632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최종 57문항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력 검사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인지, 동기, 행동의 3개 영역과 1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영역은 시연, 정교화, 조직화, 창의성을 포함한 인지전략과 계획, 점검, 조절을 포함한 상위인지전략으로 구분되며 7개 하위요인이 포함되었다. 동기영역은 숙달목적지향 및 개방성, 자기효능감, 성취가치, 시험불안 등 4개 하위요인이 포함되었다. 행동영역은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 도움구하기 등 3개 하위요인이 포함되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력 검사의 준거타당도 검증결과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업성적간의 상관계수는 .353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력 검사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952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력 검사는 초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을 검증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도구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비대면 교양영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 간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정소영(So Young Jeong),엄철주(Chul Joo Uh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자기주도영어학습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변인간의 구조 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학습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N대학교에서 2021학년도 1, 2학기의 교양영어를 수강한 17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자료는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모형 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집단 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주도학습력은 자기주도영어학습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력과 자기주도영어학습력, 두 요소는 수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 연구모형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으나, 학업성취도에는 자기주도영어학습력만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주도(영어)학습력이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결론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이 자기주도영어학습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과목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cademic self-efficacy in online college English classes. Methods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172 students who took English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1 at N Univers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1.0.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 multi-group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Second, the two facto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only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a multi-group analysis for the moderating effect verified that students with high academic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autonomous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nglish subjects was statistically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method to improve the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learners should be sought properly.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 영재교육에의 적용방안 제안

        박송현(Song-Hyun Park),이경화(Kyung-Hwa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0 영재와 영재교육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개인의 배경(성, 학년, 계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뿐만 아니라 영재들의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S대학 재학생 중 ‘자기주도학습력’ 온라인 강좌를 수강한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독립집단 t-test,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인지와 행동에서의 자기주도학습력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 미치는 변인이 아니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력의 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있었으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넷째, 자기주도학습력은 성별 차이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서는 성별 및 계열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년별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학생들의 진로결정 효능감을 높이기위해서는 자기주도력과 자아탄력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of not only university students but also gifted students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gender, grade, major). For this purpose, a research was conducted on 371 students who took an online course subj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PSS 24.0 program, and two independent group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cognition and behavior domain had an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was not a variable that had an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go-resilience. Fourth,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re was a gender and a series difference in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a difference by grade. In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self-directedness and ego-resilience in order to enhance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of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심정신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광역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0.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Multiple linear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력(β=.143, p=.029)과 수업집중도(β=.099, p=.048)이며 설명력(R2)은 37.0% 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수업집중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340 nursing students in K city, who were surveyed between October 10 and October 17, 2017,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ife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The variables for life satisfaction addiction whe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β=.143, p=.029) and “Class concentration” (β=.099, p=.048),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of 37.0%.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strategies related with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ass concentration dispositio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자기주도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정주리(Ju-Ri Joeng),양영희(Young Hee Yang),박종원(Jongwon Park),정은영(Eunyoung Jeo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2

        자기주도 프로젝트가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를 수행하는 학생들의 경험을 생생하게 밝힌 선행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혼합연구 방법으로 자기주도 학습력의 변화와 함께, 학생들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와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한 B중학교 1~3학년 112명으로부터 두 번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이들 중 8명을 선발하여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전에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2학년만이 자기주도 학습력에서 초인지, 인지 사고,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접하였을 때는 막막함과 내・외적 갈등을 경험하였으나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부딪히는 여러 문제에 대해 스스로 해결해가는 방법을 모색하고 필요할 때 최소한의 수준에서 교사의 지원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는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학생들이 나름의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 기회가 학교에서 충분히 주어진다면 이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self-directed project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re is still a lack of previous studies that vividly reveal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perform them.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self-directed project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these project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data was collected twice from 112 students in grades 1 to 3 of B middle school and analyzed using the paired-samples t -test. The students carried out self-directed projects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club activities. Eight of them were then select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with self-directed project implementation. As a result, only second-graders who had previously carried out self-directed projects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meta-cognition, cognitive thinking, and self-efficacy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a sense of confusion first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during the project’s execution. However, they learned how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when necessary, sought minimal support from teachers, demonstrating their active and proactive approach to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n change when students are given enough time to explore their own approaches through trial and error in schools.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이 창의적 학교환경을 매개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최은주(Choi, Eun Ju),이경화(Lee, Kyung-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1 Global Creative Leader Vol.11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영향 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자기주도학습력과 창의적 학교환경을 영향 변인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이 창의적 학교환경을 매개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S대학에서 2020년 2학기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511명이었으며, 이들에게 자기주도학습력검사, 창의적 학교환경검사,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JAMOVI 1.2.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력과 창의적 학교환경 및 창의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은 창의적 학교환경을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함에 있어 창의적 학교환경과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인 자기주도적학습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by deri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s influencing variables to foster creativity. Therefo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11 college students who took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subjects conducted self-directed tests covering learning skills,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5.0 and JAMOVI 1.2.27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v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creativity through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in composing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must be considered, and how to construct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to establish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곽정숙(Jung-Suk Kwag),우승희(Seung-Hee Wo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와 주도적 학습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주도적 학습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 대인관계, 자기주도학습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2017년 9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한 학기동안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후 자기주도 학습력과 개인학습성향은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다소 감소됨을 보였고, 대인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향상됨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도 튜터링 프로그램 전, 후 가장 크게 향상된 부분은 대인관계이고, 학년과 참여 동기에서도 가장 향상된 부분은 대인관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튜터링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가장 크게 변화되고,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이 대인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라 말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결국, 대인관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은 학생들의 학교적응뿐만 아니라 학업수준까지 향상시켜 결국에는 중도탈락을 예방하여 대학 기관의 안정적 운영과 질적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학습 프로그램이라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n academic tutoring progra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 posed in this study was whether an academic tutoring program would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on 214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academic tutoring program during a semester from September 4 to November 10, 2017.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tutoring program, there was a little decrease i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personal learning orientation, and they made prog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By gender, there was the greatest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tutoring program. By academic year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they showed the best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followed by academic self-efficacy.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the parts which the tutoring program brought about the biggest change to and worked best on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self-efficacy could boost not only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but their academic levels and then eventually prevent them from dropping out. Therefore this program seems to be one of outstanding learning programs that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stable management and qualitativ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 특목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박현옥(Hyunok Park)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과정이 미래의 자신을 위해 진로를 고민하고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청소년들이 자신의 선택에서 주도적이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감수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청소년기를 성별을 구분하여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성별에 따라 특목고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성별에 따라 특목고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 학습력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목고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Ⅰ시에 소재한 남·여 공학 특목고인 M외국어 고등학교 385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검사지와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척도지를 설문조사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2.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는, 애정-적대의 경우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통제, 성취-비성취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력에 효율적인 학습 자아개념의 경우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나머지 자기주도 하위변인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은, 애정-적대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의 경우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애정적-적대, 자율적-통제, 성취-비성취 양육태도는 자기주도학습 개념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주도 학습력 향상을 위해 부모는 양육태도에서 애정적이고, 성취적인 양육태도를 가져야 하며, 거부적 태도나 비성취적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을 시사 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make suggestions about parental roles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was targeting on the 385 of the first and second coeducational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which is located at Incheon, and the questionnaire about parental roles and the paper of measure for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were use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gender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boys were more likely to indicate affection/antagonism than girls. Second, as for the gender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oys had a more efficient learning self-concept than girls.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any other sub-variable of self-directedness. Third, as for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ffection/antagonism, autonomy/control, and achievement/ non-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us, affectionate/antagonistic, autonomous/controlling, and achieving/non-achieving parenting attitud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a self-directed learning concept. This results show that, it is better for parents to have affectionate and achieving parenting attitudes, instead of rejective or non-achieving ones, in pursuit of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박지현,서상완,정지희,이사사,장성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ro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scertain parents' rearing attitude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and differ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gender, academic year and to analyze what relation there's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I selected 250 testees ou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 in Seoul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with 241 testees except for 9 respondent who answered insincerely by means of SPSS WIN 14.0.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 In the first place, as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emerged by gender and academic year. In the second place, the difference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by low field has shown significant point by gender but did't in academic year. In the third place, as a result of looking into difference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low field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passive correlation was founded in every low field except for originality and self-control. In addit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find out relative contribution degree by low independent variable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wards self-directed learning was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explained 37.2% out of all vari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 proposed implication to improve parents' rearing attitude towards about school student and self-directed ability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성별, 학년별의 차이를 규명하고,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서울지역에 재학중인 중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9부를 제외한 총 241명을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학습력은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년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년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력 하위영역과 부모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과 자율․통제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공헌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는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전체 변량 중 37.2%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와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