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원증명서비스 수용요인에 대한 연구 -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중심으로 -

        이경수,이원부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전 세계적인 자기주권 패러다임과 맞물려 디지털 신원인증 분야에서도 신원에 대한 권한을 정보주체에게 되돌려주는 자기주권형 신원증명이 출현중이며, 특히 금융산업에 있어서 자기주권형 신원증명을 주제로 비즈니스 선점을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자기주권형 신원증명 개념의 신규성과 모호성으로 향후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신원증명서비스 수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개인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독립변수에는 DID의 특성으로 데이터주권확보, 이용편의성, 보안성을 선정하였고, 매개변수로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을 선정하였다. 독립변수인 데이터 주권확보와 이용편의성은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매개변수인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신원증명서비스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중심으로 신기술 수용 측면에서 실증하였다. 이에 신원증명서비스 공급자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분산신원증명(DID)과 공개 키 기반(PKI) 간 상호운용가능한 신뢰연결 프레임워크 기본모델 제안

        이강효,박소현,김현준,하태균,유주열,김경백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10

        Recently, services using distributed identification (DID) technology that guarantee data sovereignty to users, such as the government's mobile driver's license and vaccination certificate service, are gradually appearing. However, the DID ecosystem is at an initial level, and there is no framework to guarantee users' control over their data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DID and the existing PKI-based digital signature service. In this regard, we intend to prepare a robust DID ecosystem by proposing a framework basic model that all DID participants, such as issuers, holders, and verifiers, can trust. DID is a new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that guarantees self-sovereignty to users and can provide data safely and flexibly across fields. In order for users to safely and conveniently use the identity verification service, the government must guarantee the minimum reliability. This can be supplemented with the Trust Anchor model, and there are various methodologies. The trust connection framework basic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a policy model that can be the basis for service activation. It aims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trust connection system through the basic model and securing interoperability and reliability between DID and PKI services. 최근 정부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백신접종증명서비스 등 자기주권을 사용자에게 보장하는 분산신원증명(Decentralized ID)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점차 나타나고 있다. DID는 데이터의 자기주권을 사용자에게 보장하고 데이터를 여러 분야에 안전하고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원확인체계이다. 하지만, DID 생태계는 초기 수준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 통제권을 보장하고, DID와 기존 PKI 기반의 전자서명 서비스 간 상호운용을 보장하기 위한 프레임워크가 부재하다. 이에 발행기관(issuer), 사용자(holder), 검증기관(verifier) 등 DID 참여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기본모델을 제안하여 강건한(robust) DID 생태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신원확인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최소한의 신뢰성을 보증해야 한다. 이는 신뢰연결(Trust Anchor) 프레임워크 기본모델로 보완할 수 있으나,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분산신원증명과 공개 키 기반 구조 간 상호운영이 가능한 신뢰연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신뢰연결 프레임워크 기본모델은 신원확인을 넘어서 다양한 스마트 기기 등 사물에 적용할 수 있는 미래형 인증서비스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국방 다중인증체계 구축방안 연구

        신규용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0

        현재 우리 군(軍)은 국방 분야의 중요 정보 및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물리적인 망 분리 정책을 추구해오고 있다. 하지만 물리적인 망 분리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고, 국가정책으로 공공 부문에 대한 민간 클라우드 활용을 장려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우리 군(軍)도 현재 자체적으로 운용 중인 각종 서비스에 대한 민간 클라우드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만일 국방 분야의 각종 서비스가 민간 클라우드로 전환된다면 현재 패스워드 기반의 단일인증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는 각종 국방정보체계에 대한 침해 우려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사용자 인증수단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패스워드 기반의 단일인증(SFA)에 최신 신원증명 기술인 분산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 DID) 기반 인증을 추가한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국방 다중인증(MFA)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국방 다중인증체계는 사용자 측면에서 편의성과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하고, 관리적인 측면에서 업무효율 증대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urrently, the Korean military has been pursuing a policy of physically separating networks to protect importa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ssets in the defense field. However, continuing to adhere to the physical network separation policy for security purpose only will be highly limited in the future in that physical network separation does not completely prevent security breaches. Thus, the Korean military is also making a plan to switch to the public cloud for various services currently in operation on its own network, requiring more powerful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s. To deal with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DID-based multi-factor authentic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is intended to offer user convenience and improved security, in order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reduce costs in terms of management.

      • KCI등재

        탈중앙화 자기주권신원인증(DID)에 대한 법적 고찰

        고영미 ( Youngmi K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5 No.1

        As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 of data increased, the data economy became democratized and the concept of “data sovereignty” emerged, and individuals needed data sovereignty to use information with control over their own information and to expand their own decision-making rights. This means that the data provided by individuals with such information sovereignty (i.e., by exercising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provision) will only be collected and utilized by the entity with confidence. Korea’s major policies reflecting the strengthening of data sovereignty include 1) strengthen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subjec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ovement rights, 2) introducing command rights to suspend data transfers, 3) strengthening overseas relocation protection. Self-Sovereign Identifier, the theme of this paper, is a concept emerging as an advance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is a new paradigm in which individuals can manage/use identity with sovereignty without third party intervention. Thus, Self-Sovereign Identity (SSI) can be seen as somewhat indicativ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enhancing self- sovereignty’. Self-sustaining identity verification is a way for individuals to have their own information and identify themselves, unlike before. Until now, companies (agencies) issuing accounts have held personal information and certified individuals’ identities, which are controversial in their data ownership. This is because companies (agencies) can manage information on individual activities that occurred during the service use. Self-Sovereign Identity (SSI) is a major solution to this problem.

      • KCI등재
      • KCI등재

        전기차 전과정평가를 위한 DID 기반차량부품 데이터수집 모델 연구

        권준우,이수진,김제인,서승현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2 No.10

        최근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하기 위해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기차 전과정평가는 차량의 전체 수명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수단이다. 전과정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기차부품별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전과정평가 모델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주요 제품 정보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그대로 노출되어 프라이버서 보호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부품데이터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마다트랜잭션 형태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해야 해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으로 전기차 차량부품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효성을검증하기 위해 전과정평가를 위한 DID 기반의 데이터수집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수집된 데이터의 유효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며 블록체인원장에는 사용자 인증 정보만 공유되어 데이터의 무분별한 노출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출처를 효율적으로 검증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Recently, each country has been moving to introduce an LCA (Life Cycle Assessment) to reg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LCAis a mean of measuring and evalu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generated over the entire life cycle of a vehicle. Reliable data for eachelectric vehicle component is need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LCA results. To this end, studies on life cycle evaluation modelsusing blockchain 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However, in the existing model, key product information is exposed to otherparticipants. And each time parts data information is updated, it must be recorded in the blockchain ledger in the form of a transaction,which is ine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ID(Decentralized Identity)-based data collection model for LCA to collect vehiclecomponent data and verify its validity effectively. The proposed model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LCA by ensuring the validity andintegrity of the collected data and verifying the source of the data. The proposed model guarantees the validity and integrity of collecteddata. As only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hared on the blockchain ledger, the model prevents indiscriminate exposure of dataand efficiently verifies and updates the source of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