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최희철(Choi Hee-Cheol),김병석(Kim Byeong-Se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1차, 2차, 3차년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는 이후 시점의 자기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자기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학업성취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자기존중감이 학업성취를 예측할 것이라는 선행연구들의 제안과 다르게 학업성취의 향상이 오히려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자기존중감이 학업성취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이 연구의 결과에서 뜻하는 자기존중감은 일반적 자기존중감에 제한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시사점, 연구의 제한, 일반적 자기존중감과 영역-구체적 자기존중감의 구별에 대한 연구의 동향,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sed the panel data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first, second, and third waves as assessed by the Korean Adolescents Policy Research Institut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ur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achievement predicted subsequent general self-esteem, over and above the effect of previous general self-esteem, whereas general self-esteem did not predict subsequent academic achievement. Thus, a focus on achievement may be important in the treatments aimed at increasing general self-esteem.

      • KCI등재

        무용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선영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rogram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2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school grade and participation of dance pr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d on self-esteem significantly. Third, the self-efficacy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Forth, the self-esteem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o sum up the above results,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dance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 self-esteem. 이 연구는 무용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의표집 방법으로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8개교 초등학교 학생 32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무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효능감이 자아존중감 중 가정적존중감과 총체적자아존중감에, 자기조절효능감이 사회적자존감에, 자신감효능감이 학교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효능감이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중 가정적존중감, 사회적존중감, 학교존중감 및 총체적자존감이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무용교육을 받은 초등학생이 무용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보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현장과 교육관련 관리자들은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학습과 향상을 위하여 무용교육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장 지도자는 무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무용교과 특성에 대한 이해 및 적합한 교수방법 등으로 초등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구현하도록 이바지 할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가정 소득 수준과 자기존중감 및 창의성의 관계

        김석화,김정희 대한사고개발학회 2009 사고개발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domestic income.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vided household income level into two: low-income and average-income. Then, 29 students of low-income families and 41 students of average-income from the 3rd-grade elementary students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ir self-esteem (general, social, domestic and school performance-related) and creativity(fluency, flexi- bility and originality). As statistical methods,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the examination tools, and the analysis of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sub-factors and entire self-esteem, but the self-esteem of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was largely higher than the counterparts from low-income families. Especially i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 in social self-esteem.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tire scores of creativity (p<.001) and the scores of children from average- income families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low-income families in all of the sub-factors such as fluency (p<.001), flexibility (p<.001) and originality (p<.001). That is, it has been observed that income level and creativity were highly correlated. Third, the self-esteem and creativity of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lexibility, domestic, and overall self-esteem, and their original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eral, performance-related and overall self-esteem. Overall creativ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omestic and overall self- 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가정 소득 수준과 자기존중감 및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특별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저소득층 아동 29명, 일반소득층 아동 4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기존중감 검사(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업적)와 창의성 검사(유창성, 융통성, 독창성)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 자기존중감과 대부분의 하위요인들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일반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이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높았다. 특히 사회적 자기존중감에서는 일반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이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 점수와 소득 수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 창의성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일반소득층 아동의 점수가 저소득층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자기존중감(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업적)과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일부 긍정되었다. 먼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보면, 창의성 하위요인 및 전체 창의성은 자기존중감의 모든 하위요인 및 전체 자기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일반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창의성은 융통성과 가정적 자기존중감 및 전체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독창성은 일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존중감, 그리고 전체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전체 창의성도 가정적 자기존중감, 전체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

        무용수들의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 분석

        유진,장귀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신체적 자기-지각 및 자기-존중감이 무용수준(프로와 대학)가 무용전공(발레, 한국, 현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어떠한 인간관계를 나타내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학과 프로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302명의 여자 무용수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체적 유능감, 매력적인 몸매, 신체적 컨디션, 체력, 신체적 자기-가치, 그리고 자기-존중감은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SPP)과 자기-존중감 검사지(SEI)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결과는 프로 무용집단이 대학 무용집단에 비하여 더욱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과 자기-존중감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몸매에 대한 지각은 프로와 대학무용 집단을 가장 강력하게 판별하는 신체지각 요인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존중감이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 모델의 예상을 지지하였다. 프로 및 대학무용수 모두 유능감, 몸매, 체력, 컨디션 지각은 신체적-자기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신체적 자기-가치는 자기-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활동과 자기-시스템을 설명하는 이론 및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논의되었다. The physical self-perception(PSPP) profile consisted of four subfactors (sport competence, body attractiveness, physical condition, and strength) and one domain factor(physical self-worth). The PSPP model predicted physical self-worth exerted moderated effects of physical self-perceptions on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hysical self-perception(PSPP) and self-esteem in female dancers. Three hundred two female college and professional dancers majoring in Korean, Ballet, Modern dance completed the 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and Self-Esteem Inventory. The results of MANOVA and path analyses indicated that professional dancers exhibited more higher levels of PSPP and self-esteem than college dance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PP were found among Korean, Ballet, and Modern dancers. Particularly, body attr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SPP subfactor to discriminate the professional and the college dancers. The PSPP sub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physical self-worth, and physical self-worth further significantly affect global self-esteem.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various psycho-social and biological perspectives in physical self-system.

      •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아효능감과의관계

        조결자 ( Kyoul Ja Cho ),박순복 ( Soon Bok Park ),이명희 ( Myung Hee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연변 Y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가족기능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변수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볼 때 자신에 대해 갖는 개인의 인지와 감정의 총체를 말하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혹은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기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개인이 자기 자신에게 내리는 평가를 의미한다. 연구 대상자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은 평균 3.40 (±.31)점으로 나타나 Lee (2006)는 대학생5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체 자아존중감 평균 3.55점보다 다소 낮았다. 그리고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BMI의 경우 23-24.9 (과체중)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가족 수는 4명 이상이 3명 이하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으며, 어머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습성적이 상위권일수록 자아존중감은 더 높았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고, 경제수준이 높고 부모와 동거하는 핵가족 형태의 대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연구 결과(Lee, 2006)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Kwon & Oh, 2004)는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Park (2000)은 대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대학생활 적응 정도가 높은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학습성적이 상위권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Rosenberg (1985)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청소년들은 불안하고, 우울하며,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고, 그들은 높은 이상을 가지고는 있으나 선택한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능이 부족한 것으로 자신을 보기 때문에 결코 그들이 원했던 성공이나 더 좋은 직업을 얻으려고하지 않는 반면에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청소년들은 자기표현에 대한 능력, 자기확신, 인내, 잠재적인 지도력, 재주, 지능과 숙련도, 좋은 인상을 주는 능력, 사회적인 기술, 실용적인 기술 등의 특성을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가족기능은 Smilkstein (1984)의 family APGAR인 가족의 적응(adaptation), 협력(partnership), 성장(growth), 애정(affection), 융화(resolve)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연구 대상자들이 지각한 가족기능은 평균 2.32 (±.49)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간호학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았다. 대학생들의 진로문제나 가치갈등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가족관계 문제를 가지고 있다(Jang, 1998)는 보고와 Yang (2001)은8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족개념에 대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가족을 사랑을 나누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으면서 비혈연이라도 애정을 나누는 관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때 대학생들은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모, 형제자매의 의사소통 등 상호작용이 원활해지게 되고 가족 간의 소속감과 신뢰감이 높아지게 되면 대학생들은 부모의 기대에 걸맞게 행동하려고 노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Kim (2008)은 만성질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부담감이 적고 삶의 질이 높음을 보고하고 있어 가족기능이 높을 수록가족에게 문제가 있거나 어려운 일이 생겼을 경우에 가족 간에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회의 가족기능(APGAR) 점수로 가족기능을 진단할 수는 없는데, 모든 가족은 문제가 더 심각할 때도 있고 또 문제가 해결되어 만족도가 높을 때가 있기 때문에 가족기능은 어느 정도의 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Cho et al., 2005)는 것을 감안할 수 있으며 가족기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자기효능감은 평균 2.93 (±.29)점으로, BMI가 18.6-22.9과체중인 경우와 간호학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경우일수록 자아효능감이 더 높았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할 때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인 동시에 신념이다(Bandura, 1977).Park (2003)은 4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고한 보고와 Chartrand, Camp와 McFadden (1992)은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적응의 예측변수라는 것을 밝히고 있어 본 연구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또한 Zhang과 Richarde (1999)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동기가 높은 사람은 더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고, Shin (2007)은 대학생37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Bandura (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 네 가지 정보원에 의해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여러 경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데, 주로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동기가 높은 사람은 더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고, Shin (2007)은 대학생37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Bandura (1977)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성취경험,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등 네 가지 정보원에 의해 발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여러 경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데, 주로 반복된 과제관련 경험에 의해 점진적으로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 수를 크게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의 경우 어머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이 높고, 간호학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과 자아효능감이 높음을 볼 때 가족 내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BMI와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과의 관계는 선행연구가 없어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자신의 능력, 중요성 등 자신의 가치성을 평가,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인생의 전 단계에서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인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며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변조선족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o surve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supplemental data useful in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ir adjustment touniversity life.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03 Chi-neseundergraduate studentsin one university in Jilin, Chin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Duncan`s test and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Mean scores were 3.40 for self-esteem, 2.32 for family function, and 2.93 for self-efficacy. The score for self-estee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body mass index (BMI), family number, education level of mother, and course of study. The mean score for family fun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ursing satisfaction.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MI and nursing satisfaction. Positive correlations were evident betwee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Conclusions: To promot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support family function is prudent.

      • KCI등재

        노인의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상호순환적 종단관계

        김선숙,최희철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노인(60세 이상~79세 이하)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상호순환적 종단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1~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의 자기존중감 척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자기존중감 척도는 긍정적 자기존중감과 부정적 자기존중감의 2요인 구조를 보여, 이 연구는 두 측면의 자기존중감이 우울과 어떤 인과적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긍정적 자기존중감과 부정적 자기존중감 둘 모두 다음 시점의 우울에 대하여 유의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였다. 둘째, 이전 시점의 우울은 다음 시점의 긍정적 자기존중감과 부정적 자기존중감 모두에 대하여 유의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였다. 자기존중감의 우울에 대한 효과에 비해 우울의 자기존중감에 대한 효과 크기가 상대적으로 컸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궁극적으로 자기존중감과 우울 사이의 종단적 관계에서 상호순환적 효과 모델을 지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 상담에 대한 시사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model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Korean elderly(aged 60 to 79 years). It used the data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1st to the 4th year by Korean Welfare Panel Study(KWPS). The previous research showed there were 2 factors in the self-esteem scale: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So,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positive and negative) and dep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lderly’s previous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predicted subsequent depression, over and above the effect of previous depression on subsequent depression. The previous depression meaningfully predicted subsequent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over and above the effect of previous self-esteem on subsequent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mode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counseling and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과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간의 인과분석

        김성훈(Sung-Hoon Kim),신종훈(Jong-Hoon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 의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격려-낙담을 외생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관리,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운동지속의지를 내생변인으로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을 전수조사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총 4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387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자기격려-낙담 척도, ASMQ 자기관리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EAQ 운동지속의지 척도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a 검사,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분석, 중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구선수들의 성별, 소속별, 경력별, 팀 역할별, 시작동기별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변인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격려와 자기낙담, 자기낙담과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의 모든 변수들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는 대인관리, 훈련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낙담은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 관리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몸관리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운동선수들의 경험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의지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a causal relationship among male · 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self encouragement discouragement, self management, self 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s for the subjects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argeting male․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throughout the nation and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llected total 450 questionnaires through self-report method and used 387 sheets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variables of self-encouragement-discouragement, self-management, self-esteem,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differed significantly by basketball players’ gender, team they are belonging, career, one’s role in team, motive of star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re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positive(+) among all other variables. Third, selfencouragement affects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and positive self-esteem exerts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nd self-discouragement turned out to have an impact on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negative self-esteem. And training management affect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and body management was revealed to have an impact on negative self-esteem. Lastly, negative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Sung-hee L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 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자기존중감, 신체 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를 사용하여 변인들간의 관련성과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 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은 중간 수준 이상이었으며, 변인 중 자 기존중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신체존중감이 가장 낮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 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 사의 자기존중감과 신체존중감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신체존중감의 경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자기존중감이 26%,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2%의 설명력을 가짐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신체활동 교수효능감과 관련하여 총 28%의 설명력을 확인하 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신체활동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자기존중감과 신체적 자기효 능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body 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o gather data, fou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ending colleges located in Chung cheng-do. The four questionnaires measured their 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a median level. They had high self-esteem and low body esteem. Second, their 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self-esteem, body 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efforts to raise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지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H지역아동센터를 이용 하는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저소득층 아동이며, 여아 5명과 남아 2명, 총7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자기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Rakos와 Schroeder(1980)가 제작한 주장 행동 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개발한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검증 분석하여 통계 및 질적 분석 하였 다. 연구 결과는 자기표현력에 있어서는 전체자기표현력과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자기표현, 음성적 자기표현, 비언어적 자기표현력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못하였지만 전체적인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교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아동 및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김정미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it was also examined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fectionism, depression, self-esteem, depending on school level and gender. 1109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erfectionism, depression, self-este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fectionism, depression, self-esteem, depending on school level and gender. That is, the higher the school level was, the lower the level of self-esteem was. The higher the school level was, the higher the levels of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ere. Fourth,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The levels of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The level of self-esteem wa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focusing on self-esteem may be effective intervention for perfectionistic adolescents who are experiencing depression.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라 완벽주의와 우울, 자기존중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의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척도와 우울 척도, 자존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1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고, 학교급별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 자기존중감은 학교급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기존중감 수준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반면, 완벽주의와 우울수준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완벽주의와 우울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자기존중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을 살펴본 결과 자기존중감은 완벽주의와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존중감의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완벽주의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면서 자기존중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존중감의 부분매개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을 입증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대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청소년의 경우에도 특정연령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연구대상을 확대적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