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경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동시에 교수기술 및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과 절차를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처방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을 초임교사에게 적용하면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수업장학보다 컴퓨터 수업분석 중심의 장학이 요구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자기장학의 적극적인 지원은 교사 자신의 수업 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신념을 향상시키며, 사이버장학 요원에 의한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의 지원은 교사의 수업기술 수준과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의 도입을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임상장학, 자기장학, 동료장학, 약식장학, 교내연수 등을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전통적인 수업장학의 형태보다 수업기술과 교수효능감 향상을 중심으로 한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의 실시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초?중등학교의 교사 교육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인간의 학습을 다루는 분야, 예를 들면, 학원강사, CEO, 사이버 튜터, 교수 등으로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정신지체 교육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조인수,김영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교육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자기장학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장학 계획 3문항, 자기장학 실행 8문항, 자기장학 평가 3문항을 합하여 총 14문항을 활용하였고, 교사효능감을 알아 보기 위해 일반적 교수효능감 12문항, 개인적 교수효능감 13문항, 총 25문항을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정신지체 교육교사의 자기장학의 수행도는 성별과 직위, 학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는 근무기관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교사가 자기장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서는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자기장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양육과 잡무에 대한 걱정이 적어 자기장학에 좀 더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정신지체 교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근무기관 유형과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초등부 교사 보다는 고등부 교사가, 평교사 보다는 부장교사가 교사효능감이 높다. 이것은 경력이 많을수록 자신감이 높아지고 책임감 또한 많아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정신지체 교육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도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그 하위 영역인 개인적 교수효능감,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신지체 교육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마련되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and their teacher efficacy in a bid to help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institution where they worked made no differences to the extent of self-supervision, and gender, position and academic background exerted an influence on that. It indicated that every teacher performed self-supervis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institution that they worked for. By gender, the male teachers fulfilled more self-supervision than the females, probably because the former was less responsible for child rearing and household chores and eventually spent more time on self-supervision. Those who held a higher position fulfilled more self- supervision, and the reason seemed that the experienced teachers got more confident and responsible. And the better-educated teachers performed more self-supervision, and it seemed because they had a lot of chances to learn about new theories, take training courses or attend lectures while they received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ion. Second, the type of institution and position made a difference to teacher efficacy.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head teachers excelled the elementary teachers and lay teachers in that regard. It showed that the high school teachers were better aware of their influence on students, and that the head teachers were more confident of student treatment and teaching ability than the lay teachers.

      • KCI등재

        보육 교사의 근무기관, 학력, 경력에 따른 자기 장학 수행에 관한 연구

        최경(Choi, Kyoung),육길나(Yuk, Gil L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육 교사가 자기 장학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근무기관과 학력 및 경력 등 다양한 개인적 배경을 가진 보육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 장학 수행 실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 교사의 자기 장학 수행 총점을 백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47.8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둘째, 보육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자기 장학 수행은 국공립 및 직장과 민간 어린이집교사의 자기 장학 수행이 가정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교사의 학력에 따른 자기 장학 수행은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4년제 대졸 학력의 보육 교사와 보육 교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교사와 전문대 졸업 학력의 교사 보다 자기 장학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 교사의 경력에 따른 자기 장학 수행은 5∼7년과 7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교사의 자기 장학 수행이 경력 1년 미만의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자기 장학 수행 점수에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 교사의 근무 기관 유형, 학력과 경력에 따라 자기 장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교사의 특성에 적합한 자기 장학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구성하는데 참고가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lf-supervision of childcare teachers who plays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quality of childcare, at this time of increasing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and growing emphasis on importance of childcare. For this, a survey on self-supervision was performed on 210 childcare teachers with diverse personal background of types of institutes,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grade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ir self-supervision is found to be somewhat low, at 47.8 on a scale of one hundred points. Secondly, per the type of the childcare institutes the teachers are working for, the grades of the teachers of the public, workplace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a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teachers of the household childcare centers. Thirdly, per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teachers, the grades of the teachers with the academic background of a graduate school or higher, or with the background of the graduation of a four-year-course college a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teachers who completed a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 or who graduated a junior college. Fourthly, per the career of the teachers, the grades of the teachers with the career of five to seven years, or seven years or longer,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teachers with the career of less than one year. Thus you se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grades of the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ir self-supervision in the types of the institutes they are working for and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So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gives the real condi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implementation of the self-supervision in the types of the institutes they are working for and their academic backgrounds and career, and that it provided baseline data for the formation of a support system to properly activate their self-supervision in learning.

      • KCI등재후보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오은석 ( Oh Eunseok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사회 변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대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교사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방법으로 동료장학과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40개 중학교 805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를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장학,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전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둘째, 동료장학,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전문성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가 있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는 동료장학, 자기장학과 교사전문성 사이에서 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방안으로는 저 경력 교사와 일반교사가 동료장학과 자기장학, 교사학급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지원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사가 혼자 수행하는 자기 장학 활동을 교사학습공동체 안에서 동료 교사와 공유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목적이나 주제가 교사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arry out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sent to 1,000 teachers in 40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ich resulted in 845 (84.5%) responses. We used 805 (80.5%)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excluding 40 responses with missing or incorrect answer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mediated a relationship of peer supervision and self- supervision to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에 관한 연구

        박화윤(Park WhaYon),마지순(Ma JiSun),최인숙(Choi I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행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이 실행하는 자기장학 내용과 자기장학 실행의 방법 그리고 자기장학 실행 후의 적용이 어떠한 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유치원 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x2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의 내용으로는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를 가장 많이 실행하였다. 유치원 교시의 자기장학 실행 방법은 관련출판물(47.6%)과 대중매체의 활용(43.3%) 현장견학(42.1%), 교육연수(41.7%)를 대체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는 자기장학 실황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 supervis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supervision for teaching-learning & evaluation activities had been higher participan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self supervision behaviors had done more than reading literature(47.6%), mass media utilization(43.3%), field-trip(42.1%), in-service program(41.7%). Early childhood teachers adaptation that have been learned by self-supervision.

      • KCI등재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사의 자기장학 인식과 수행정도 및 활성화 방안

        류윤석(Ryu Yun-Se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4

        본 연구는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수행 정도, 자기장학을 저해하는 요인, 중점을 두어야 할 자기장학의 분야, 효과적인 자기장학의 방법 등을 밝혀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남 동부 지역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 인식에 관한 5문항, 자기장학 이행에 관한 12문항, 자기장학 활성화에 관한 3문항 등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chi-square test,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들의 업무경감, 보상제도 도입, 학습조직 구축, 유아교육기관의 실정 및 교사발달 수준에 맞는 자기장학 모형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degree on self-supervi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their self-supervis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llaNamdo. The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positive in the self-supervision. Second, they have a high self-supervision performance degree. Third,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heavy work to revitalize the self-supervision.

      •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김윤희(Kim, Yoonhee),오인희(Oh, Inhee)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7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이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밝힘으로써 자기장학 수행과 전문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MMS를 통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다중응답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장학수행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장학 저해요인으로는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효율적인 자기장학방법을 모름’,‘교사자신의 의욕 부족’, ‘환경적 여건 미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자기장학수행정도가 높을수록 교사전문성도 높아지며, 자기장학수행이 교사 전체전문성발달에 미치는 하위영역은 자기장학평가로 나타났고, 지식과 기술의 발달과 자기이해발달에 미치는 영역은 자기 장학 평가로 나타났으며, 생태적 발달에 미치는 영역은 자기장학 실행과 자기장학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on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hed light on relations between them, thus providing basic data to promote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and professionalism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56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 Province via MMS.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supervi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than those who worked at a day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higher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level became. Second, the biggest obstacle to their self-supervision was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which was followed by no knowledge about efficient self-supervision methods, shortage of their own enthusiasm, and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order. Third, the study examined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found that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an those who worked at a daycare center.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level became. Finally, the higher their self-supervision performance level was,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ism became. Of the subareas of self-supervision performance, self-supervision evaluation had effects on the overal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teachers. Self-supervision evaluation also had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promotion of self-understanding. Self-supervis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had impacts on ec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영한 ( Young Han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2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의 자기장학 정도와 교사효능감이 특수교육의 현장의 질을 검토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즉, 자기장학의 경험이 자신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는 것은 자기장학의 활성화와 계획하게 될 자기장학 운영에 관해 직접적인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이 이 연구의 의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 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고,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살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전국의 특수교사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장학의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대해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학교의 교사들이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자기장학 수행수준이 높다. 그리고 대학원 졸업의 교사들이 대졸 학력의 교사들보다 자기장학의 수행수준이 높다. 둘째, 국,공립학교의 교사들이 사립학교의 교사들보다 교사효능감이 높다.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에서 도 국,공립 교사의 효능감이 더 높다. 셋째,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았는데,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 모두에서 자기장학의 수행수준이 높을수록 높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based on the type of institution,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It is to study if there is any meaningful relation between self-supervision and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o do this study 93 teachers` paper were selected and analysed in terms of methods, subject of research. This result of this paper were follows; First, the teachers of public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self-supervision than the teachers of private school, and the teacher of graduation from a graduate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self-supervision than the teachers of graduation from a university. Second, the teachers of public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teacher efficacy than the teachers of private school. Finally,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he level of self-supervision, All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one another.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을 기반으로 한 특수교사의 자기장학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김소연,이재원 국립특수교육원 2012 특수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도를 교원능력개발평가 모형의 하위 지표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등 특수교사 2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처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배경변인 중 성별과 학교유형은 일부 영역에서, 그 밖의 연령, 교직경력, 학력은 전 영역에서 자기장학 수행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특수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과 교직경력 그리고 학력은 직무 성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과 직무성과는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특수교사의 직무성과에 있어서 자기장학 수행이 매우 고무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특수교사의 자기장학과 직무성과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supervision based on a model of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job performan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t-test,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SPSS ver. 18.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such as gender and type of school has cre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in some area, while other factors such as age,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Second, in regard to the impa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ered significantly in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age,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and the job performanc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ed a significant variance of job performances in most areas. This study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is an encouraging fact for their job performances. The studies yet to come are expected to give an impetus to a variety of approaches and in-depth approaches to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and job performa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후보

        공립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실행정도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

        정경람 한국아동교육학회 2005 아동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에서의 자기장학에 대한 교사의 실행정도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국·공립 유치원 교사 5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장학의 형태는 자기장학이 가장 많았고, 경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을 선호하고,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실행정도는 경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율 계획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장학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스로 반성 ·평가를 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자기장학의 실행이 교사들의 학급경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장학이 학급경영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Several questions were set for this study demonstrating career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of self-supervision on class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the public kindergartens who attended the n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during the summer session in 2004.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for asking kindergarten teachers' overall awareness on self-supervision and class management.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revised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public kindergarte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by Lee Jeong-eun (1996). The data from the teachers were examined for content validity.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were adopted through the SPSS 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supervision was the most popular form of supervis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have long careers preferred self-supervision, while new and mid-career teachers liked to do class research. Secondly, on the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the long-term career teachers tended to plan their supervision in detail, therefore, implement it concrete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teachers with the results from the supervision, reflected on their teaching, evaluated themselves and adopted their new methods in the education field.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kinds of supervision of teachers was proved to be very helpful to their class management and self-supervision; especially, which leads to activate clas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