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 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단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권영(Kwon Young)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본 연구에서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분노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위로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인식과 분노행동이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으로 인한 분노행동에 조절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남․녀 학생 47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분노행동, 자기위로능력의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피해경험 인식이 높을수록 분노행동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인식으로 인한 분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자기위로능력이 높을수록 집단따돌림이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로 인한 분노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바, 청소년의 자기위로능력 향상을 통해 집단따돌림의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되는 역전이 현상의 악순환 현상을 줄이기 위한 자기위로능력 프로그램 개발과, 집단따돌림 문제를 가진 청소년의 분노행동을 자기위로능력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soothing abilities on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and examined self soothing abilities that can control anger behavior. The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Question 1. Does the have a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adolescent bullying victims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 Question 2. Does effect of self soothing abilitie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anger behavior due to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easuring instruments are the experience of bullying victims, anger behavior, self-reporting measures of self sooth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victimization experience of bullied youth, the more the relationship with anger behavior was explained. And it was found that self the effects of soothing abilities had an effect on anger behavior due to perceived experience of group bullying victims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 the effects of soothing abilities, the less negative impacts of bully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found to be that of self soothing abilities restoration affects adolescents perception of bullying victims and their anger behavior.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development of a self-abilities program to reduce the vicious cycle of this phenomenon and the rationale for reducing the anger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bullying problems to their own abilities. Therefore,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 soothing abilities of the youth to reduce the vicious circle the need to develop competency programs on their has emerged the victi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rationale for reducing the anger behavior of the adolescents with bullying problem to of self soothing abilities.

      • KCI등재

        감정노동자의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수준의 관계: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성혜영,성승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2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job stress level of emotional workers according to their self-differentiation degree and how the self-differentiation affects job-stress levels by means of self soothing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0 inbound call center employee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line using the self-differentiated scale of Je seok-bog (1989), the Korean job stress –Shortening(KOSS-SF) which i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Jang Se-jin i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4) and the self-soothing ability scale of Park Hyo-seo(1999).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theoretical basis. The basic statistical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 to verify the study hypothesis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3.0. A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if the mediated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tress did not correlate but self-differentia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lf-soothing ability and job stress show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tress level, self-soothing ability is a full mediation of them. This means that self-soothing abilit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tress as a key variable. Self-differenti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job stress levels, but indirectly affect it through self-soothing 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soothing ability affected by the self-differentiation was directly impacted on the job stress levels of the inbound call center emotional workers. Therefore, it suggests that emotional workers need the intervention which improves self soothing ability through sufficient empathy to reduce job stress and to improve work efficienc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자의 자아분화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자아분화가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직무스트레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는 인바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 근무자 2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는 제석봉(1989)의 자아분화척도, 장세진 등(2004)이 개발한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단축형(KOSS-SF), 박효서(1999)의 자기위로능력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4를 사용해 기초통계분석 및 상관 분석을 실시했으며,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자아분화와 자기위로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위로능력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위로능력이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자아분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핵심적인 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분화는 직무스트레스수준에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았으나 자기위로능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았을 때, 인바운드 콜센터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수준을 낮추는 요인으로는 자아분화의 영향을 받은 자기위로능력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하였다. 따라서 감정노동자들이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며 효과적인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감 경험을 통한 자기위로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분리-개별화와 자기위로능력간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유리(Kim, You-Lee),정남운(Chung, Nam-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분리-개별화와 자기위로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에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하였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 자기위로능력, 자기개념명확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자기위로능력에 영 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분리-개별화가 자기위로능력 중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에 직접 영향을 미침과 함께, 자기개념명확성을 거쳐 자기위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가 있다는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신체적 위로하기에는 유의 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으려는 자기위로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자기개념명확성을 높이는 방향의 상담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influence of separation-individuation on soothing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through online survey in March 2016.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soothing ability nd self-concept clarity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overall soothing ability, resilience, disclosure and self-soothing.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ategy of counseling for increasing self-concept clarity is greatly needed in order to enhance soothing ability.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가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장은봉(Eun-Bong Jang),이수림(Su-Lim Lee)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성인남녀 20세이상 60세미만의 375명(남: 137명, 여: 238명)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척도, 한국판 상태-특성분노표현척도(STAXI-K), 자기위로능력척도, 마음챙김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 역기능적 분노표현,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각각의 변인들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자기애가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을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현적자기애가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을 매개로 하여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위로능력에서 마음챙김 경로를 거쳐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상담에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o do this, 375 adults(male : 137, female:238) aged 20 to 60 were surveyed by Covert Narcissism,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f the variables of Covert Narcissism,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irdl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that leads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covert narcissism not only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but also affect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the path from self-soothing ability to mindful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counsel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진선,정남운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of counselors and the vicarious traum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including scales of self-efficacy, self-soothing, mindfulness and vicarious trauma was conducted targeting 391 counselors(male: 67, female: 324) who were likely to experience or be exposed to vicarious trauma.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dop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icarious trauma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respectively. Meanwhile, it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econd, both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howed mediating effects significantly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vicarious trauma. Third, self-soothing ability and mindfulness showed a double-mediated effect, which they mediated sequentially between self-efficacy and vicarious trauma. As a result, higher self-efficacy leads to higher self-soothing ability, and it improved mindfulness capacity. Finally, the improved mindfulness decreases the effects of vicarious trauma.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was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활동하는 상담자 중 대리외상에 노출되거나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상담자 391명(남: 67명, 여: 32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척도, 자기위로능력척도, 마음챙김척도, 대리외상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리외상은 자기효능감,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효능감과 자기위로능력,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매개효과를 보였고 마음챙김도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자기위로능력과 마음챙김이 자기효능감과 대리외상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위로능력이 높고 높은 자기위로능력은 마음챙김을 향상시키며 마음챙김을 잘할수록 대리외상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이셈 ( Shem Lee ),최한나 ( Han Na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1

        본 연구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상담실, 청소년상담센터, 사설 상담센터 등 상담과 관련된 기관에 소속된 상담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소진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총 194부를 자료 분석으로 사용하였다. 세 변인들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위로능력 및 상담자 소진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자기위로능력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상담자 소진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상담자 소진은 자기위로능력과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직무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조절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자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의 측면에서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이 스트레스로 인한 상담자 소진을 완화시키는 내적 조절 변인이 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자 소진 예방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개입 전략의 초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of job stress and burnout.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194 counselors working i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youth support centers, counseling organization.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job stress, soothing ability, and burnout. Collected data was exa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job-related stress and the soothing ability predicted the burnout of counselo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soothing a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of job stress and their burnou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othing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the burnout of counselors.

      • KCI등재

        부모의 공감적 정서반응과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계: 부모의 합리적 설명으로 조절된 자녀의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박선영(Park, Sunyoung),조용주(Jo, Yong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Kohut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녀의 자기위로능력의 관계에서 부모의 합리적 설명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동시에 부모의 공감, 합리적 설명이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와 가지는 관계에서 자녀의 자기위로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남녀 공학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759명의 자료를 모아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아버지와 어머니로 나누어 경로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상관분석을 위해 SPSS18.0을 사용하고 경로분석을 위해 Mplus6.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 공감, 합리적 설명, 자녀의 자기위로능력, 내현적 자기애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기위로능력의 관계에서 합리적 설명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적 반응과 합리적 설명 두 요인의 조절효과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유의하게 자기위로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공감과 합리적 설명이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녀의 자기위로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의 경우 공감적 반응과 합리적 설명 모두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에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왔고, 아버지의 경우 합리적 설명만 내현적 자기애로 가는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에게 자녀의 건강한 자기애 발달을 돕는 양육행동을 제시하고,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들의 건강한 자기애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based on Kohut’s theory,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reasonable explanation to soothing ability as well as the mediative effects of 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from parents empathetic emotional responses to children’s covert narcissism. Data from a total of 75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easonable explanation, soothing ability, parents empathetic emotional responses, and children’s covert narcissism.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oderated effects of reasonable explanation to soothing ability with the mother as well as the father. Thirdly, there are mediative effects of soothing ability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etic emotional responses to children’s covert narciss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how children’s positive self-awareness can be improved by parents’ reasonable explanation and their self-soothing ability in the context of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조아라,서수균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demonstrates moder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 and sub fectors of soothing ability (resilience, self-disclosure, physical soothing, self-sooth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martial conflict of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anxiet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256 student’s perceived parents’ martial conflict, depression, anxiety and soothing ability. To avoid perceptual confusions on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 the questionnaires only from those whose parents are in marital relationship were 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otal 209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s’ martial conflict, depression, and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martial conflict and de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s sub factor such as self-disclosure, physical soothing, self-sooth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other sub factor of soothing ability, resilience wasn’t significant.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martial conflict and anxiety, moder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s sub factors (resilience, self-disclosure, physical soothing, self-soothing) wasn’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parents’ marital conflict has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also verified soothing ability’s sub factors, self-disclosure, physical soothing and self-soothing are significant factor of reducing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하위요인 회복력, 자기노출, 신체적 위로하기, 스스로 위로하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6명에게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부부갈등에 대한 지각의 혼동을 줄이기 위해 부모가 혼인관계인 설문지 총 209부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 및 불안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하위요인 자기노출, 신체적 위로하기, 스스로 위로하기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나, 회복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회복력, 자기노출, 신체적 위로하기, 스스로 위로하기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부부갈등 정도가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자기위로능력과 하위요인 중, 자기노출, 신체적 위로하기, 스스로 위로하기가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변인임을 검증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이성령(Lee Seong Ryeong),홍혜영(Hong Hye 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6 통합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자기위로능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직장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 4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사회불안에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사회불안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연령대별로 변인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 40대 이상 집단이 20대, 30대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능력, 자기위로능력과 사회불안은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여성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남성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각 연령대별로 조절효과를 실시한 결과, 30대 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20대와 40대의 경우 그렇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으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겪는 직장인들에게 자기위로능력이라는 부분을 통하여 치료적 개입이 가능함을 밝혀낸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soothing receptiv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othing receptiv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employees. The paticipants were 493 employees in capital area.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soothing receptivity, soothing receptivity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Second,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soothing receptivity moderated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moderated effects of soothing receptivity. also, Age group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moderated effects of soothing receptivity. This study was demonstrated role of soothing receptivity as a moderator again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eading social anxiety, which implies that intervention to the soothing receptivity should be a changed according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evel in counseling session. Based on that,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esc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