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의 자기대상 경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이진이(Lee, Jin Yi),김성훈(Kim, Sung H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미래 산업을 위한 현재의 기술 발전 경향성은 제품/서비스가 겉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작동 방식과 사용구조만을 중심에 두었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인간적인 인터페이스의 등장을 예고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고찰하고, 이를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이론에 대입하여 해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의 개념과 범의를 재정의 하였다. 재정의된 내용에 따라 본 연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하는 주체인 사용자가 인간적 인터페이스 자체가 될 수 있으며, 입 · 출력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내 · 외현적 사용자-인터페이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자기심리학에 의하면 자기와 경험 대상과의 관계에서 공감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와 대상이 분리되지 않고 자신의 일부 또는 확장된 상태로 경험하는 것을 ‘자기대상 경험’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에서도 사용자 자기 자신이 인터페이스의 내 · 외현적 입 · 출력을 담당하면서, 대상(제품/서비스)를 자신과 분리된 상태가 아닌 일부로 경험하고, 자기애(자기와 대상을 향한 애착 및 욕동에너지)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험이 사용자 개인의 삶 속에서 자기다움을 형성하며 지속적으로 융합되어 갈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과대 · 핵심 · 이상화 자기대상(자기애)’ 역할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 또한 동일하게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비교 · 분석을 통한 해석 연구를 통해서 도출하였다. 나아가서 사용자 경험 과정에 따른 자기대상 인터페이스 유형별 최적의 반응 요소를 정의하고 ‘자기대상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경험 모델’을 도출하였다. Progress trend of the current technology for the future industry notice the appearance of the dimension what is different from the human interface means product/service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only human behavior or use structure on the surface. In this study, this kinds of trends discussed and analyzed research which was assigned to the theory of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This was redefining the concept and the range of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redefinition has been content, this study attended a user who is a subject to experience is possible to be an interface itself, and it act to be an internal · an external user interface in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composed input · output. In the self psychology, the experience not as the separation existence buy as an extended status of the self, through empathic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bject call the ‘selfobject experience’. In this way, the narcissism (Libido tend to the self and the object) is form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part of the self as the object (product/Service) rather than separated with itself, because the user itself charge of the internal · external input · output on the user interface and the user experience. These experiences to form the user’s own selfhood in the personal life of the user, and it can go continuously fusion.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was derived the similarity for the role types of the ‘Grandiose · Nuclear · idealized selfobject (the narcissism)’ and the role of the user interface as ‘the object’ through analysis study of the comparison and analyze.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d the elements of the optimal reaction and ‘the user experience model on the selfobject interface’ by the types of the selfobject interfaces.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KCI등재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 자기대상화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진주,이영순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Participants were 229 females in their 20s who completed online assess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tercorrelations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The mediation model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was full mediated by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here was also a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path from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o self-objectification. Finally,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on self-objectific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들의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자기대상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성적대상화 경험을 매개하여 자기대상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대 여성 2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 및 자기대상화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는 성적대상화 경험과 자기대상화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성적대상화 경험과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와 자기대상화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성적대상화 경험과 자기대상화를 완전매개하는 경로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대상 척도의 타당화와 종교집단 간의 비교 연구

        조난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selfobject experience scale(RSE)and examine its validation; this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by Kim(2001), and then changed as a “Measurement scale on the individual level of psychological & spiritual oxygen” by Kim(2007). 70 items were prepared either by adapting appropriate items from the original selfobject experience scale or plenishing new items. Based on items with proper item-total correlation and factor loading, factor analysis was tested and resulted in five interrelated factors and 52 items.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validation of RS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RSE, covert narcissism scale(CNS), and the selfobject need inventory(SONI)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R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NS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actors of SONI. ANOVA was also tes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elfobject experience level among religious groups. It turns out that Christian groups have statistically higher average in RSE than Buddhist group or non-religious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more diverse and intensive not only experimental studies on selfobject become possible by the validation of RSE but also integration between self-psychology and pathological emotions. 이 논문에서는 Kim(2001)과 김갑성(2007)이 개발한 ‘자기대상경험 척도’를 개정하고 타당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과 함께 수렴타당도를 측정하기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척도와 자기대상욕구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시도한다. 내현적 자기애는 과민성 자기애와 비슷한 개념으로, 자기애를 외현적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 분류한 Wink의 방식을 따른 명칭이다. 자기대상에 관한또 다른 척도인 자기대상욕구 척도는 크게 자기대상갈망과 자기대상회피의 요인으로 나뉘어진다. 연구결과, 자기대상경험은 내현적 자기애와 부적 상관관계이며, 자기대상욕구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부적상관을 가짐이 밝혀졌다. 또한 분산분석을통해, 종교집단 간의 자기대상경험 척도를 비교하여 종교의 집단적 자기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척도의 개정과 타당화 검증으로 인하여 앞으로 자기대상에 관한 좀 더 다양한 양적 연구가 가능해졌다. 둘째, 자기대상경험의 요인분석을 통해 자기대상의 본질에 대한이해를 도운 점이다. 셋째, 종교 간 집단분석을 통해서 종교가 집단적 자기대상의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empirically) 증명하였고, 넷째, 자기대상경험과내현적 자기애와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 자기대상경험이 부족할 때에 병리적인 자기애가 발전될 가능성을 보인 점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내현적 자기애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치감이나 자존감뿐만 아니라 영적인 성숙도나 하나님과의관계경험, 초월과 관계한 양적 연구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자기애 간의 관계

        최서현(Seohyun Choi),최수미(Sumi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자기애가 개인의 병리적인 특성으로 보고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자기애 연구들은 자기애가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이며 자기애 안의 적응적인 면과 부적응적인 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적응적인 건강한 자기애 혹은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가 나타나는지의 과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상지역의 565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간의 관계는 공감지각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를 위해서는 자기 존재를 인식하는데 중요한 자기대상의 존재와 공감적인 환경 그리고 스스로 그 환경을 지지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방어적 자기애 간의 관계는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자기대상경험은 수치심이 내면화됨으로써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적절감이 결국 대학생의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를 형성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perception an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object experience and narcissism(healthy narcissism and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 total of 565 university students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mposed of 226 of male and 339 of female.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all analyses were comple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empathy percep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perfectly mediated by shame. Thes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basically need to have selfobject experiences much for narcissism. Furthermore it shows empathy perception is an important construct for the healthy narcissism and shame is much for the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that, implication and potential for follow-up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초월상담과 자기심리학의 주요 구념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조난숙,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transcendental counseling and Kohut’s self psychology through empirical studi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studies. We choose 5 main constructs of self psychology and transcendental counseling theory such as ‘selfobject experience’, ‘spirituality’, ‘self acceptance’, ‘narcissism’, and ‘shame’ to search for the relation of these 5 variables. We set a researc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analyze it with SPSS. In this research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 selfobject experience → shame and spirituality → shame are not signigicant. Hence Hypothesis 1 and 2 are not accepted. However not only the other path coefficients but also the mediating effects are significant, and hence the other Hypothesis 3–7 are accepted. This empirical result implies that the constructs of transcendental counseling theory such as spirituality and self acceptance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basic constructs of self psychology such as selfobject experience and narcissism. 본 연구에서는 Kohut의 자기심리학과 김용태가 개발한 초월상담의 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연구를 수도권과 영남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28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론의 주요 구념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대상경험과 영성, 자기수용, 자기애, 그리고 수치심의 다섯 변인을 택하여,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세우고 자기대상경험이 수치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영성과 자기애, 그리고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모형에서 5개 변인간의 9개의 경로와 7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변인들의 인과관계와 경로분석을 SPSS를 이용하여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대상경험과 수치심 사이에서 영성, 자기애, 그리고 자기수용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가설과 자기대상 경험이 수치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성립함을 보였다. 이 결과는 초월상담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영성, 자기수용, 수치심의 구념들이 자기심리학의 기본 구념인 자기대상경험과 자기애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상담현장에서 통합적인 활용이 가능함을 보인다.

      • KCI등재

        종교적 회심(回心) 경험과 자기애성 인격성향 사이의 상관관계

        이만홍,김동화,최낙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회심에 관한 시각으로는 아버지 상의 투사 등의 정신분석적 이해나 성적 억압, 노출증, 신경증, 정신증, 뇌질환, 실어증, 박탈에 대한 보상 등과 관련이 있다는 부정적인 관점과, 정신병리와 무관하고 회심을 경험한 사람들이 사회에 더 잘 적응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인격의 통합이 잘 이루어진 사람에게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파악하는 긍정적인 관점이 병존해 왔다.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관점에서는 종교집단 내에서의 회심경험을 자기애성 인격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자기대상(selfobject)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대두되었다. 이 연구는 종교적인 회심경험과 그 특성들이 자기애성 인격성향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밝혀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방법: 급격한 위기와 이의 극복을 통하여 종교적인 회심을 경험한 위기형 회심군(N=27), 이러한 경험 없이 종교를 가지고 있는 점진형 회심군(N=30), 종교를 가지지 않은 비회심군(N=28)의 3군으로 연구대상을 분류하였고 자기애성 인격성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형성 평정에 의한 자기애성 성격장애 진단준거와 자기애성 인격목록을 연구도구로 이용하여 위의 3군에 대한 자기애성 인격성향을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형성 평정에 의한 자기애성 성격장애 진단준거에 대한 각 군간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애성 인격목록의 전체 항목과 이들 항목의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4개의 요인 중 지도력/권위주의, 우월성/ 거만 요소에 대해서는 위기형 회심군이 나머지 두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착취/특권의식, 자기몰입/자기동경 요소에 대해서는 세 군간의 유의한 평균값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위기형 회심군이 점진형 회심군이나 비회심군에 비해 보다 많은 자기애성 인격성 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형 회심군의 자기애성 인격성향이 병적이고 비적응적인 측면보다는 적응적익 기능적인 측면을 보다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심단어:종교적 회심경험·자기애성 인격성향·자기대상. Objective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the academic fields outside theology about religious conversion experience, only a few objective methodological research efforts have been possible because of difficulties in scientific approach due to the subjective's individual and diverse characteristics. Recently, research from a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point of view has begun.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points toward religious conversion :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regarding it as a projection of the father figure ; to negative attitudes such as sexual repression, exhibitionism, neurosis, psychosis, dissociation, organic brain disease, aphasia and compensation for deprivation ; and also to positive viewpoints that there is no psychopathology, that the experience of religious conversion exert an adaptive effect, and that it is a phenomenon which happens to persons who have a well-integrated personality. From the viewpoint of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religious conversion is self-object seeking behavior in people who have a 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monstrate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us conversion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 Particularly, we attempted to show the hypothesis that the crisis conversion group has a higher association with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 Method: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3 groups(crisis conversion group, pergressive conversion group, non-conversion group)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scale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diagnostic criteria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based on pertotypicality rating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isis convers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other 2 groups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factor Ⅱ(Leadership/Authority) and factor Ⅲ(Superiority/Arrogance), showing that the crisis conversion group had a higher 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 Conclusion: The crisis conversion group has more 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 than other 2 groups an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 which was found in the crisis conversion group may have a more adaptive and functioning dimension in contrast to a pathological and ma-ladaptive one. KEY WORDS:Religious conversion experience·Narcissistic personality trend·Self-object.

      • KCI등재

        초기 성인기의 자기대상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방어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매개효과

        김선영,최수미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人間理解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efensiv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This study sampled 652 male and female adult. defensive narcissism has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Internalized shame has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Defensiv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show a doubl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fear of intimacy. This study confirmed that negative emotions that cause adults to experience fear of intimacy are psychological responses resulting from defensiv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Finall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사람들의 자기대상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방어적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국 초기 성인기 사람들 652명중 여자 340명(52%), 남자 312명(48%)을 설문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대상경험은 방어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친밀감에 대한두려움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의 관계에서 방어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방어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학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이 구분되며, 공존하는 목회상담의 특성 - 몰트만, 코헛 및 캡스의 관점을 중심으로 -

        김태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목회상담은 신학적 차원과 심리학적 차원을 아우르는 특성을 보인다. 본 논의는 신학적 차원으로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이 제시한 삼위일체 하나님이 독립 된 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사귐과 교제의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관점에 근거한다. 또 한 드보라 헌싱어(Devohra V. Hunsinger)는 칼게돈 공의회에 근거해서 예수 그리스 도의 신성과 인성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분이 되면서도, 동시에 공존한다는 관점도 제 시하였다고 주장한다. 또한 본 논의는 심리학적 차원으로는 하인츠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에서 삶의 어려움을 견디기 위해서 개인의 내면에 자기대상이라는 필요하다는 관점에 근거 한다. 자기대상은 성장기에 주요 양육자의 반영과 공감을 통하여 건강하게 형성이 되 고, 유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담자는 자기대상의 기능이 약해서 현실적 어려움을 겪을 때에 심리적 고통이 견디기 어려운 내담자에게 반영과 공감의 태도로 자기대상 을 강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 본 논의는 도날드 캡스(Donald Capps)는 목회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에서 성령의 역사를 통하여, 얻게 되는 하나님 현존의 경험이 최상의 자기대상의 원 천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캡스에 따르면 하나님 현존 경험을 통하여 건강한 자기대상을 얻도록 돕는 목회상담은 내담자의 내면속에서 신학적 차원과 심리학적 차 원이 각각 구분되면서도 공존하며, 영혼의 구원과 성장이라는 신학적 차원과 내면의 안정이라는 심리적 차원의 건강을 모두 돕는 특성을 보인다. 그리고 복음서에 나온 예 수 그리스도의 치유는 이런 특성의 최상의 모범을 보여준다는 결론을 제시하려고 한다. Pastoral Counseling has a characteristic of Separating and Including Between Theological Viewpoint and Psychological Viewpoint. Theologically, this discussion has a basis of Jürgen Moltmann’s Trinity with independency and intersociality. In addition to Devohra V. Hunsinger’s separation and coexistence of divinity and humanity of Jesus Christ are included. Also, this discussion has a basis of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with selfobject. A man needs Cohesive Selfobject to cope with difficulties of life. But Selfobject is formed and developed during childhood by empathic parents. But if a man fail in getting Cohesive Selfobject during early life, a counelor can help him to get Cohesive Selfobject with mirroring and empathic attitude. Donald Capps insists that the experience of the Presence of God is the most valuable Selfobject which can get through Holy Spiri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oral counselors and clients. He also emphasizes that such pastoral counseling has a characteristic of separating and including the soul growth(theological viewpoint) and inner calming(psychological viewpoint). Gospels show that Jesus’ healing stories have the best examples of such pastoral counseling’s characteristic.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애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SNS 중독경향성 및 자기대상 경험과의 관련성

        최현주 ( Hyunju Choi ),남숙경 ( Suk Kyung Na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HN), 방어적 자기애(DN),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대상 경험이 이러한 프로파일 분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 448명의 자료를 수집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자기애(HN), 방어적 자기애(DN),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은 4개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HN-DN-FoMO가 모두 보통인 ‘평균집단’, HN은 높고 DN, FoMO는 낮은 ‘심리적 안정집단’, HN은 낮고 DN, FoMO는 높은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 HN은 보통이고 DN, FoMO는 높은 ‘소외불안-취약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네 집단은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대성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다. SNS 중독경향성의 경우,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과 소외불안-취약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평균집단, 심리적 안정집단 순서였다. 자기대상경험의 경우, 심리적 안정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평균집단과 소외불안-취약집단이었다.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의 평균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rofiles consisting of healthy narcissism (HN), defensive narcissism (DN), and Fear of Missing-Out (FoMO)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object experience according to profiles. A total of 448 college students from Busan, Ulsan, and Gyeo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optimal profiles: average group(AG), stable group(SG), alienation anxiety vulnerable group(AAVG), and pathological narcissistic vulnerable group(PNVG). The results from ANOVA showed that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the highest in PNVG and AAVG, while the lowest in SG. The selfobject experience was the highest in SG, while the lowest in PNVG.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