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평양 "동맹"의 프레임과 "일민"주의의 자기 표상 전략 : "반공"방벽으로서의 태평양동맹과 "타공"으로서의 일민주의문학

        공임순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이 글은 "동맹"의 프레임이 대한민국의 "갈등하는 (국민)국가성"을 어떻게 억압·은폐하고 치환·전이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동맹"의 프레임은 1949년 3월에 제기된 태평양동맹 결성의 움직임 속에서 배태되었다. 태평양동맹은 그 실패와 좌절을 예비한 채 대한민국의 지배엘리트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기/수행됨으로써 (동)아시아 및 대한민국을 전 세계적인 냉전질서의 일부로 편입시키고자 하는 행위주체(agent)의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었다. 대서양동맹의 아시아판으로서 이 태평양동맹의 실현되지 않은 "가상"적 효력은 대한민국의 반공블록화를 목표로, 공산주의와의 대결과 투쟁의 사상전의 일부로서 제창된 "일민"주의 및 "일민"주의문학과 동시적으로 대한민국을 반공국가화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이승만에 의해 1949년 4월에 본격적으로 제기된 "일민"주의는 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간의 대결과 투쟁이라는 사상전의 성격을 띠고 대한민국의 국가이념으로서 명시되었다. "일민"주의의 이 전투적 민주주의성에 힘입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의 보루로서 위치 변환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민"주의문학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타공"을 목표로 한 이 일민" 주의문학은 대한민국을 반공블록화하고자 했던 태평양"동맹"의 프레임과 상호 길항하며 대한민국을 반공-타공-멸공의 증대된 적대성이 일상화된 반공국가로서 정위시키게 된다. 이런 점에서 반공국가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은 태평양"동맹"의 프레임과 별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이 태평양"동맹"의 프레임을 관통하여 이루어진 사회역사적 산물이었음을 이 글은 밝히고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how the confederation framework suppressed and concealed Korea's conflicting (nation) nationality and replaced and transformed it. The confederation framework was conceived in the Pacific confederation movement proposed in March 1949, The Pacific confederation, along with its looming failure and frustration, was practiced/performed by South Korea's elites, thus showing the positive determination of the agent to incorporate (East) Asia and South Korea into the world cold war order. The unrealized hypothetical effect of this Pacific confederation as the Asian version of the Atlantic confederation aimed to turn South Korea into an anti-communist bloc, contributing to turning the country into an anti-communist nation along with the one-nation thought proclaimed as a part of warfare of thought involving confrontation and struggle with communism as well as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The one-nation thought proposed by Rhee Syngman in April 1949 pursued a thought warfare of confrontation and struggle between democracy and communism, thus proclaiming itself as the national ideology of South Korea. South Korea, with the backing of the combative democracy of one-nation thought, could transform itself into a stronghold of democracy, and in this process, the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appeared. The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which targeted the overthrow of communism, competed with the framework of the Pacific confederation that sought to turn South Korea into a communist bloc, positioned South Korea as an anti-communist nation with expanded hostility of anti-communism, overthrow of communism and destruction of communism, In this respect, the profile of South Korea as an anti-communist nation, existed not separately from the Pacific confederation framework, but a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 of more than such a framework.

      • KCI등재

        태평양 ‘동맹’의 프레임과 ‘일민’주의의 자기 표상 전략 -‘반공’방벽으로서의 태평양동맹과 ‘타공’으로서의 일민주의문학-

        공임순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how the confederation framework suppressed and concealed Korea’s conflicting (nation) nationality and replaced and transformed it. The confederation framework was conceived in the Pacific confederation movement proposed in March 1949. The Pacific confederation, along with its looming failure and frustration, was practiced/performed by South Korea’s elites, thus showing the positive determination of the agent to incorporate (East) Asia and South Korea into the world cold war order. The unrealized hypothetical effect of this Pacific confederation as the Asian version of the Atlantic confederation aimed to turn South Korea into an anti-communist bloc, contributing to turning the country into an anti-communist nation along with the one-nation thought proclaimed as a part of warfare of thought involving confrontation and struggle with communism as well as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The one-nation thought proposed by Rhee Syngman in April 1949 pursued a thought warfare of confrontation and struggle between democracy and communism, thus proclaiming itself as the national ideology of South Korea. South Korea, with the backing of the combative democracy of one-nation thought, could transform itself into a stronghold of democracy, and in this process, the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appeared. The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which targeted the overthrow of communism, competed with the framework of the Pacific confederation that sought to turn South Korea into a communist bloc, positioned South Korea as an anti-communist nation with expanded hostility of anti-communism, overthrow of communism and destruction of communism. In this respect, the profile of South Korea as an anti-communist nation, existed not separately from the Pacific confederation framework, but a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 of more than such a framework. 이 글은 ‘동맹’의 프레임이 대한민국의 ‘갈등하는 (국민)국가성’을 어떻게 억압ㆍ은폐하고 치환ㆍ전이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동맹’의 프레임은 1949년 3월에 제기된 태평양동맹 결성의 움직임 속에서 배태되었다. 태평양동맹은 그 실패와 좌절을 예비한 채 대한민국의 지배엘리트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기/수행됨으로써 (동)아시아 및 대한민국을 전 세계적인 냉전질서의 일부로 편입시키고자 하는 행위주체(agent)의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었다. 대서양동맹의 아시아판으로서 이 태평양동맹의 실현되지 않은 ‘가상’적 효력은 대한민국의 반공블록화를 목표로, 공산주의와의 대결과 투쟁의 사상전의 일부로서 제창된 ‘일민’주의 및 ‘일민’주의문학과 동시적으로 대한민국을 반공국가화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이승만에 의해 1949년 4월에 본격적으로 제기된 ‘일민’주의는 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간의 대결과 투쟁이라는 사상전의 성격을 띠고 대한민국의 국가이념으로서 명시되었다. ‘일민’주의의 이 전투적 민주주의성에 힘입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의 보루로서 위치 변환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민’주의문학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타공’을 목표로 한 이 일민’주의문학은 대한민국을 반공블록화하고자 했던 태평양‘동맹’의 프레임과 상호 길항하며 대한민국을 반공-타공-멸공의 증대된 적대성이 일상화된 반공국가로서 정위시키게 된다. 이런 점에서 반공국가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은 태평양‘동맹’의 프레임과 별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이 태평양‘동맹’의 프레임을 관통하여 이루어진 사회역사적 산물이었음을 이 글은 밝히고 있다.

      • KCI등재

        U.S. Alliance Solidarity with S. Korea and Japan : 1993-2008

        서무열(Mooyoul SEO)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5 한국군사학논집 Vol.71 No.1

        냉전 이후, 한미 및 미일 동맹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지난 현상을 봤을 때 한미 동맹은 약화되고 미일 동맹은 강화되는 동맹 결집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동맹국의 국내 정세가 미국의 외교정책결정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동맹의 결집력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인은 두 개의 요소인 미국을 향한 대중의 의견 그리고 동맹국 정부의 정치 노선이 미국 정부와의 동맹 결집력을 결정된다는 두 개의 가설을 세웠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중의 의견과 정부의 정치노선이 미 정부의 관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의 결과물들이 동맹 결집력의 정도에 반영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동맹 결집력을 설명할 수 있는 대안 요소들을 제공을 한다. The United States alliance with South Korea and Japan faced new challenges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e recent tendency shows that U.S.-South Korea alliance is weakening while U.S.-Japan alliance strengthened showing divergence in the level of alliance solidarity. This study argues that the domestic politics of the allied state frequently influences the U.S.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which affects the level of alliance solidarity. I established two hypotheses which are that based on the public opinion perceptions towards the United States and the government ideology policy line of the allied state, the level of alliance solidarity will be determined by the U.S. government. The findings show that the public opinion and government ideology affects the U.S. government perception. Based on this relationship, the outcome is reflected in the degree of alliance solidarity.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the explanatory factors in determining the alliance solidarity.

      • KCI등재후보

        아베 정권의 안보정책과 ‘일본회의’ : 강한 일본의 지향과 미일동맹의 구조 사이에서

        이기태 ( Lee Kitae ) 현대일본학회 2018 日本硏究論叢 Vol.48 No.-

        본 연구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비롯한 일본 내 보수우익 정치인들의 이념적, 정책적 지향성을 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대표적 보수우익집단인 일본회의(日本會議)의 ‘외교안보’ 분야에 관한 인식과 연관지어서 분석한다. 일본회의는 일본의 국가전략을 보수 사상에서 유래하는 일본의 ‘자립’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전략은 헌법 개정 추구, 교육 및 역사의 보수화 강화로 나타나고 있고, 더 나아가 일본의 외교안보정책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일본회의는 미래 일본이 과거와 같은 강한 일본이 되기를 희망하면서 미일동맹에 의존하지 않는 자립된 일본을 추구한다. 하지만 일본회의는 현실적인 측면에서 일본이 ‘미일동맹’이라는 구조 안에 편입되어 있다는 사실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회의의 영향을 받는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의 안보 관련 정책결정자들은 일본의 안보를 위해 미일동맹이 중요하며, 미일동맹의 강화라는 구조에서 대중국 문제, 대한반도 문제와 같은 외교안보의 현안사항에 대응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회의가 주장하는 내용이 일본의 국가노선을 규정하는 2가지 축, 즉 군사력 사용과 미일안보에 대한 현상 변경을 통해 ‘일본 중심주의’ 및 ‘권력국가’ 일본을 지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일본회의 소속인 아베 총리의 안보정책은 미일동맹의 강화를 통해 군사력 사용이 제한됨으로써 ‘보통국가’ 혹은 아베 노선으로 수렴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association between ideological and policy inclination of Japan’s conservative right-wing politicians including Prime Minister Shinzo Abe, and their affiliated Nippon Kaigi’s views on diplomatic security. Nippon Kaigi (NK, the “Japan Conference”) is Japan’s largest and most powerful right-wing religious organization. NK seeks to restore the sovereignty of Japan which is rooted in conservative values in pursuing the national strategies by promoting constitutional changes, traditional education and a conservative history, having a great influence on Japan’s diplomatic and security policies. NK is keen on making Japan an independent and strong nation of the past, away from the U.S.-Japan alliance while recognizing Japan belongs to the U.S.-Japan alliance structure in reality. Therefore, Japanese security-related policy-makers including Abe affiliated with NK insists on the importance of the alliance for the security of Japan, and deals with pending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of China and Korea while strengthening the alliance. In conclusion, NK urges Japan to become more Japan-centric and powerful through two pillars defining Japan’s national strategy: use of force and change in the status quo for the alliance. However, the security policy of Abe who is a member of NK, known as the Abe doctrine, restricting the use of force with a stronger alliance is accepted in Japan.

      • KCI등재

        탈냉전기 중국의 동북아평화구상 : 미·일동맹을 중심으로 Especially for Japan-U.S. Security Alliance

        이정남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3 평화연구 Vol.11 No.4

        이 논문은 1994년부터 시작된 미일동맹의 강화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탈냉전기 중국의 동북아정책과 평화구상을 밝혀내고 있다. 개혁개방정책을 통하여 정치경제적으로 급부상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하여 미, 일은 미·일안보동맹의 강화를 추진하였다. 이같은 미, 일의 시도에 대하여, 중국은 이것이 동북아지역의 안보상황에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봉쇄를 통하여 안정적인 개혁정책 추진을 방해하고 중국의 내정을 간섭하려는 시도이며, 미국 주도적인 동북아질서의 구축 및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하면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반발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이들 국가들과 전면적인 대결로 가기보다는 유화적이고 타협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다자간기제를 활용한 평화유지를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탈냉전기 동북아지역에 대한 평화구상은 한편으로는 미일동맹을 견제하면서, 동시에 미국과 일본 등 강대국간의 협력을 도모하고, 다른 한편, 미국과 일본이 방어적인 현실주의적인 전략을 채택할 때 이들과 광범위한 전략적인 이해를 확보하여 다자간안보협력기제를 통해 이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Chinese International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after the Cold War Era: Especially for Japan-U.S. Security Alliance This paper analyzes Chinese reactions concerning Japan-U.S. Joint Declaration on Security-Alliance for the 21th Century in 1996 and New Defence Cooperation Guides in 1997 in order to point put the basic dire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after the cold war era. The basic direc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after the cold war era is to facilitate more favorable surrounding conditions in which it would be able to maintain its domestic politics in the new order of the Northeast Asia and to secure its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the reason why she set the above guide line for the policy of the Northeast Asia is that she gives national priority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above analysis implies the next. Although she emphasizes the power balance in and th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and military forces among her neighboring nations in the Northeast Asia, the posi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would have a limit in tlking precedence of Northeast Asia policies in a near future due to its another national goal to generate peaceful surroundings in pursuit of the national interest and its establishment through economical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베정권의 미일동맹정책과 한국의 안보-미일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김두승 한일군사문화학회 201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아베 정권의 미일동맹 강화정책, 특히 미일방위협력지침(미일가이드라인)의 책정 동향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여, 한국의 안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고찰 분석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아베 정권은, 현재 미일동맹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1997년에 개정된 미일가이드라인의 개정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작업은 새로운 안보환경 하, 미일 양국의 공통전략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미일 양국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담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 미일 가이드라인 개정을 포함해 아베 정권이 추진하고 있는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 새로운 방위대강의 책정, 오키나와 후텐마기지 이전문제의 조기 타결 등 일련의 미일동맹 강화정책은 동북아 지역은 물론, 특히 한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미일동맹의 변화 동향 및 그 지향점에 대해 면밀히 고찰 분석하여 대응방향을 정립해 놓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미일 가이드라인의 개정문제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우선 아베 정권이 2012년 말에 실시된 중의원 선거 당시 내걸었던 정책공약과, 정권 출범 이후 발표한 대미정책 기조, 나아가 미일정상회담의 주요내용에 대해 논하였다. 둘째, 전후 2회에 걸쳐 책정된 미일 가이드라인에 대해 양자의 책정 배경, 공통전략목표 등에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셋째, 현재 아베 정권이 추진하고 있는 미일 가이드라인의 개정 방향에 대해 전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찰 분석을 토대로, 미일 가이드라인의 책정이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本稿は安倍政權の日米同盟の强化政策, 特に日米防衛協力のための指針(日米ガイドライン)の策定動向に焦点を合わせて考察し, 韓國の安全保障に與えうる影響について分析したものである。周知のように安倍政權は, 現在日米同盟を强化するための一環として1997年の新ガイドラインの改訂作業を進めている。この作業は新しい安全保障環境のもと, 日米兩國の共通の戰略目標を設定し, 同目標を實現するための相互間の役割を具體的に分袒することを目指して行われている。これら日米ガイドラインの改訂をはじめ, 安倍政權が推進している集團的自衛權の行使, 新しい防衛大綱の策定, 沖繩米軍普天間基地の移設問題の早期解決など一連の日米同盟强化政策は北東アジアはむろん, 特に韓國の安全保障に直接的な影響を及ぼしうるものである。こうした觀点からみた場合, 韓國は日米同盟の變化動向および, その指向点などついて綿密に考察·分析して對應方向を定立しておく必要がある。こうした問題意識のもと, 本稿は日米ガイドラインの改訂問題に焦点を合わせて考察·分析した。まず, 安倍政權が2012年12月の衆議院選擧の時に揭げていた政權公約と, 政權發足の後に發表した對米政策, 日米首腦會談の主要內容などについて考察した。第二に, 戰後二回にわたって改訂された日米ガイドラインについて兩者の策定背景, 戰略目標などについて體系的にとりまとめた。第三に, 現在安倍政權が推進している日米ガイドラインの改訂方向について展望した。最後に, こうした考察·分析をもとに日米ガイドラインの改訂が持つ韓國の安全保障に對する含意を提示することを試みた。

      • KCI등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한·미 연합위기관리체제 변화양상과 발전방안 - 한·미동맹, 미·일동맹 및 NATO 위기관리체제 비교연구 -

        윤태영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2

        Once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has been completed on December 1, 2015, the ROK military assumes the leading role and the U.S. provides overall support under new allied defense system. The operational control structure will be changed from combined system to parallel system. In the wake of the transition, policy coordination, operational control structure, crisis action plan procedures, intelligence and early-warning system in current ROK-U.S. combined crisis management system will be changed. This study seeks to examine new ROK led crisis management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mechanism under the new allied defense system. It explores current ROK-U.S. combined crisis management system, U.S.-Japan joint crisis management under parallel OPCON model and NATO combined crisis management system under troop allocation model. Based on assessments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models of alliance crisis management systems, ROK government has to pursue following policy options. First, in terms of strategic and operational dimensions, ROK planner has to establish ROK-U.S. crisis management structures in AMCC and COCG. Second, 6missions in CODA need to be changed. Third, ROK military has to set up independent CASOP as well as ROK-U.S. joint CASOP. Fourth, development of early-warning and real-tim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capabilities in the vicin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urgent tasks. Finally, ROK seeks to improve interoperability and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ROK and U.S. C4I systems.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ROK-U.S. joint crisis management system under parallel OPC ON model, the ROK has to benchmark joint model of U.S.-Japan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combined model of NATO crisis management system. 2015년 12월 1일부로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 합참으로 전환되면 한·미 신연합방위체제는 ‘한국군 주도, 미군 지원’ 형태로 확립되어 작전통제체제는 연합이 아닌 병렬형 체제로 구축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한·미 연합위기관리체제 또한 정책적 협의체제, 작전통제구조, 위기조치계획 절차 및 정보와 경보체계 분야에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 논문에서는 한·미 신연합방위체제 하에서 한국 주도의 새로운 한·미 위기관리협력과 조정 메커니즘의 구축방향을 연구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현재 운용중인 한·미 연합위기관리체제를 검토하고, 미·일동맹의 병렬형 작전통제권 체제하에서 공동위기관리체제 및 회원국 독자적 작전통제체제하에서 유사시 회원국이 일부 병력을 배당하는 NATO의 전시작전통제권 체제하에서 연합형 위기관리체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작전적 차원에서 한·미 위기관리기구를 동맹군사협조본부(AMCC)와연합작전협조단(COCG)에 설치해야할 것이다. 둘째, 연합권한위임사항(CODA)의 6개항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 국방부와 합참의 독자적 위기조치예규와 한·미 공동위기조치예규의 수립이 필요하다. 넷째,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대한 조기경보와 실시간 전장 감시·정찰전력 개발도 시급한 과제이다. 마지막으로, 한·미간 C4I체계의 상호운용성과 연동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한미 위기관리체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전략·정책적 측면에서 미·일 공동 위기관리체제의 장점을 수용함과 동시에, 작전적 측면에서 연합적 위기관리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NATO 위기관리체제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즉 작전통제체제는 병렬형 체제이나, 위기시 연합적 특성을 내포할 수 있는 한·미 공동위기관리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야왕릉묘역 출토유물로 본 가야와 동아시아의 교류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중심으로-

        이영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5

        가야왕릉묘역의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 등에서 출토되는 외래계통의 유물들은 가야제국과 동아시아의 교류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물적 증거이다. 본 논문은 이들 가야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외래계통의 유물들을 집성하여 <표>로 제시하고, 이러한 유물들이 부장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한국․중국․일본의 문헌기록에서 찾고자 했던 시도이다. 가야제국의 국제적 교류는 중국의 한군현에서 시작하여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과 일본열도의 왜국들에 이르기까지 문헌적 고고학적 자료가 적극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가야제국은 성립부터 고조선 유민들의 남천에서 비롯되었다. 가야는 처음부터 국제적 교류에 익숙한 유전자를 가진 문명이었다. 전기가야에는 남부가야를 중심으로 한군현을 통한 중국과의 교류가 시작되었고, 일본열도의 왜인들은 가야제국을 최초의 ‘외국’으로 인식하였다. 금관가야 대성동고분군 출토의 후한경이나 칠기와 대성동고분군 주인공의 왕궁시설이었던 회현동패총 출토의 왕망전 등은 『삼국지』한전의 기록들과 대응하며, 동과․방제경․파형동기․수정제곡옥․석촉 등과 같은 왜계통의 유물들은 『삼국지』왜인전이나 『일본서기』의 기록들과 조응하며, 29호분의 동복과 금동관, 91호분의 로만글래스, 88호분의 진식대금구 등의 유입은 『진서』와 「칠지도명문」과 「광개토왕릉비」 등에서 그 역사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 말이산고분군 출토의 칠기와 삼각판혁철단갑과 마갑 등은 『삼국지』와 「광개토왕릉비문」의 기록들과 대응하며, 아라가야권이었던 의령 운곡리․경산리고분군 출토의 운주․재갈․등자와 창원 현동유적의 하지키 등은 『일본서기』의 이른바 ‘사비회의’와 ‘임나일본부’ 관련의 기사들이 참고로 되었다. 대가야 지산동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은장철모․봉황문환두대도․등자 같은 백제계통의 유물과 삼엽문환두대도와 심엽형행엽 등의 신라계통의 유물은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서 관련기사가 확인되는데, 대가야가 백제와 신라가 결성 유지했던 군사동맹과 결혼동맹의 사실들과 『일본서기』에 보이는 가야멸망기의 관련기사들에 대조해 보았다.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은 가야왕릉묘역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출토유물 중에 다수의 위신재가 포함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어 가야와 동아시아 제국 왕권 간의 수수관계가 확인되면서도, 왜 계통의 분묘형식이나 생활용기의 칠기나 토기 같은 유구와 유물도 확인된다는 것은 문헌기록에서 보여주는 인적교류의 일면을 웅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artifacts from the Gimhae Daeseongdong Tumuli, the Haman Malisan Tumuli, and the Koryong Jisandong Tumuli in the Gaya Royal Mausoleum are direct evidence of the exchange between the Gaya and East Asia. This paper attempts to collect foreig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se Gaya Tumuli and presents them in <Table>, and to fi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artifact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records.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are being actively confirmed from the Gaya to China Han colony county(漢郡縣), to Goguryeo, Baekje and Silla of Samguk(三國), and to the Wa(倭) Japanese islands. The Gaya countries originated from going to south of Gojoseon citizens since its establishment. Gaya was, from the beginning, a civilization with a gene familiar with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Gaya former period, exchanges with China through Hangun County centered on southern Gaya, and the Wa ancient Japanese recognized the Gaya as the first ‘foreign country’. The Later Han bronze mirror(後漢鏡) and wooden lacquerwares(漆器) excavated from Daeseongdong Tumuli and China WangMang coin(王莽錢) excavated from Hoehyeon-dong Shell mound in Kumkhan Kaya palace which correspond to the records of the Samkukji. Wa(Japan) style bronze spear & mirror, Fan wing shaped bronze ornaments, cristal bent shaped jade and stone arrowhead was excavated from Daeseongdong Tumuli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can be obtained from the writings of Samgukji and Nihonshogi. Wa style bronze pot and gilt-bronze crowns(No.29), Roman Glass(No.91) and Jin(晋) style gilt-bronze buckle (No.88) its historical background can be confirmed in Jinseo(晋書), 7 branched spear with gold inscriptions((七支刀銘文) and King Kwanggaeto’s Tomb epitaph(廣開土王陵碑文). Lacquer, triangular plate iron armor and the armor of horses from the Aragaya Malisan tumuli can be inquire from the writings of Samgukji and King Kwanggaeto’s Tomb epitaph. The Hajiki in the hyoundong ruins and the harness in the Ungokuk and kyongsan ruins were referred to articles related to the so-called ‘Sabi Council’ and ‘Imna Japan agency’ in the Nihonshogi. Relics from the Baekje system such as Silver head taping iron spear, The hilt of oriental phoenix decoration, and stirrups from the Daegaya Jisandong tumuli, and Silla relics such as the hilt of trilobate decoration and leaf shape lobe are found in Samguksagi and the Nihonshogi. Daegaya contrasted the facts of the military alliance and marriage alliance that Baekje and Silla formed and the related articles of Gaya Destruction period in the Nihonshogi. Gimhae Daeseongdong Tumuli, Haman Malisan Tumuli, and Goryeong Jisandong Tumuli are recognized as the Gaya Royal Tombs. The identification of relics and artifacts, such as lacquerware and earthenware, as well as forms and everyday containers, seemed to eloquent one aspect of human exchange in th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일본 민주당 정권의 안보정책과 한일관계

        권태환 한일군사문화학회 2010 한일군사문화연구 Vol.9 No.-

        2009年8月30日、日本の衆議員選擧で民主黨が壓勝した。半世紀にわたった自民黨の政權が幕を下ろした。新しい鳩山政權の誕生はどんな意味を私達にもたらしているのだろうか。特に新しい民主黨と鳩山政權の安保政策は何を目指しているのか。今回の衆議員選擧の結果には日本國民の切實な熱望があり、その變化の波はどんな方向で行くのか等、樣?な關心事項が浮んでくるのは自然な事であろう。なぜかというと日本と韓國の關係は隣の國でありながら現實的に日本の變化は韓國に新しい挑戰と機會になるからだ。民主黨と鳩山政權の安保政策は現在特定する事は難しい面がある。それは今回の衆議員選擧で民主黨が壓勝した要因の一つに社會黨と國民新黨との連立があるからだ。特に安保面では基本政策の方向が違うし、また2010年7月の參議院の選擧で勝つためには鳩山政權は安保政策を前面に出さないと予測できるからだ。したがってこれからの民主黨の安保政策の課題は多小制限があるが選擧公約から引き出す事はできる。まず、民主黨の安保政策の要旨は①主體的な外交戰略の構築で對等な日米關係を作ること②アジアと太平洋地域の協力體制の確立、東アジア共同體の構築の推進③北朝鮮の核武器とミサイルの中止、拉致問題の解決④國連PKO、貿易投資の自由化、地球溫暖化の對策⑤核武器の廢棄、テロとの戰い等が提案されている。しかしこれらの政策は樣?な課題を抱いている事も現實である。韓國との共同關心課題である日米同盟關係の再構築、北朝鮮の問題への對策等の分野でもっと韓日の安保協力の强化が必要である。戰後55年體制の變化、2010年7月の參議院選擧をきっかげにして、變化していく日本の安保政策を正確に予測し、韓日の協力體制を强化していくためにはなにより共同の目標の設定と米國を軸にする韓米日の協力、さらにアジア地域と世界平和に寄與できるように協力體制が大事である。これを政策的に立てあげる部門家達の交換プログラムもひつよう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