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생활체육활동 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증진유형의 관계

        이영익(Lee, Young-Ik)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가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증진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산시의 노인문화센터, 노인복지관, 노인정(경로당)을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유의표집(purposeful sampling)법을 이용하여 총 34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조사 시 직접 대면하여 설문지의 내용을 설명하고 자가 기록하게 하거나 문자해독이 어려운 노인은 연구보조원이 개별적으로 질문하여 응답을 대신 표기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분석자료를 부호화(coding)하여 Windows용 SPSS/PC+ 14.0 Version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 t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가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증진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생활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하여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건강증진유형에 있어서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정도는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증진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활체육에 오래참여하고 자주 참여할수록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높아졌다. 또한 생활체육에 오래참여하고 자주 참여할수록 운동과 영양, 의료행위 감소, 스트레스 해소, 삶의 의미, 사회ㆍ심리관계, 건강관리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강도가 커지게 되면 스트레스 해소, 사회ㆍ심리관계, 건강관리 측면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건강증진유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높아질수록 운동과 영양, 의료행위 감소, 스트레스 해소, 건강관리 측면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elderly'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promoting patterns. Totally, 340 the Korean elderly in Daegu and Gyongsan city were sampled as of 2008, who were aged over 65 and attended the silver town, aged school and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 For the investigation, we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 referred to related previous works and then constructed the relevant questionnaire items after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m. The t-test,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positively affecte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promoting patterns. Second, each of the participation duration and participation period except participation frequency positively affecte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promoting patterns. Thir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ositively affected the health promoting patterns.

      • KCI등재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건강통제인식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이영익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 노인복지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derly's types of leisure activitie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302 elderly people living in Daegu city in 2008 were selected by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analyz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y SPSS/Win 15.0 Ver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significant outcomes an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types of leisure activity affected health locus of control. Second, the elderly's types of leisure activity affec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rd, the elderly's health locus of control affec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건강통제인식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08년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여 302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자와 보조 조사원이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의 목적과 기입 방법을 설명해준 뒤,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유형은 건강통제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체적, 사교적, 자연적, 정신적 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이 내적, 타인의존, 우연 건강통제 모두에, 문화적 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이 내적, 우연 건강통제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유형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체적, 자연적, 정신적 활동은 일상생활수행능력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사교적 활동은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문화적 활동은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유형에 따른 건강통제인식이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건강통제인식에 따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내적건강통제, 타인의존건강통제는 일상생활수행능력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우연 건강통제는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인지기능,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 비교

        정미숙,오은영,차경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3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bility to perform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in patients with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ischemic stroke (I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instrumental ADL. A total of 86 patients (dementia=30, MCI=32, and IS=24) were included to analys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basic and instrumental ADL obtained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1 year after baselin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A significant group by time interaction was found in executive function (p=.037) and instrumental ADL (p=.023) across groups. The MCI group has little change in execu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DL from the baseline to 1 year after diagnosis while other two groups showed changes with the dementia group showing declines and the group of IS having improvement in these factors over time. Changes in executive function(p=.030) and basic ADL (p<.001) explained 26.9% in the variance of changes in instrumental ADL. These findings showed a different changing pattern in executive function during the first year after diagnosis of dementia, MCI, and IS which have cognitive changes as their main symptoms, probably leading to a different changing pattern in instrumental ADL.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routinely assess for execu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DL problems and intervene to maintain and improve these functional outcomes immediately after disease.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우울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비교하고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를 설명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총 86명(치매=30명, 경도인지장애=32명, 허혈성 뇌졸중=24명)으로부터 진단 시점과 1년 뒤에 인지기능, 우울, 기본적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집행기능(p=.037)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p=.023)에서 측정 시점에 따른 집단 간 교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도인지장애 집단은 진단 후 1년 동안 집행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매 집단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허혈성 뇌졸중 집단에서는 향상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집행기능이 저하될수록(p=.030),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될수록(p<.001)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도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26.9%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변화를 주요 증상으로 가지는 치매, 경도인지장애,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진단 후 1년까지 질병의 초기 단계에 각기 다른 집행기능 변화 양상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 양상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전문가는 진단 직후부터 집행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문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이와 관련된 기능 상태를 유지 및 증진하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김예순(Kim Ye-Soon),남영희(Nam Young-He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노인 장애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살 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장애인 3,323 명이었다.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카이스케어 검정, 다중 로지스틱회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노인의 자살 생각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은 관련성 있는 것으로 분석됨(p<0.05). 자살 생각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건강보험종류(경제력),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옷 갈아 입기와 이동,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전화사용, 세탁인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고령자를 위한 자살 생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person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of suicidal though using over 6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data. Subjects were 3,323 person with disabilities over 65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univariable binary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person with disabilities is related to activity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p<0.05).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uicidal though are health Insurance(economic status), ADL(change cloths, walking), and IADL(telephone use, washing clothes)(p<0.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icidal ideation prevention program for elderly perso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민자영(ja young min),김기룡(Ki Ryong Kim),황지현(Ju Hyun Hwang),주영하(Young-Ha Ju)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4 한국장애인복지학 Vol.63 No.-

        이 연구에서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을 잠재유형으로 분류하고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 방법으로 중고령(40세 이상) 발달장애인과 청장년(40세 미만)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 잠재유형은 ‘높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53.3%)’,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46.7%)’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청장년 발달장애인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 잠재유형은 ‘높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38.1%)’,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33.1%)’, ‘중간 일상생활 능력 유형(28.8%)’으로 분류되었다. 중고령 발달장애인은 청장년 발달장애인보다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이 낮은 일상생활 능력을 갖고 있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이 청장년 발달장애인보다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instrumental activies of daily living(IADL) skill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atent types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23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 to determine the latent types of IADL of middle-aged and older (over 40 years old) and young (under 40 years ol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types of IADL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high daily living ability type (53.3%)’ and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46.7%).’ Second, the latent types of IADL for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lassified into ‘high daily living ability type (38.1%)’,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33.1%)’, and ‘medium daily living ability type (28.8%)’.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higher rate of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than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low IADL showed more skills in daily life than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suggests that you need help.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pport measures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인영,이재신,차태현,유두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부모의 부담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충청 및 전라지역에서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소아장애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부담감은 가족부담감 측정도구와 삶 의 질은 삶의 질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이 부모의 부담감과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삶의 질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발달장애아동의 대소변 조절과 위생관리는 부모의 부담감에 중요한 영향을 주 었으며, 발달장애아동의 위생관리, 화장실이용, 대소변조절은 부모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부모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부모의 부담감 감소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에 대한 치료적 중재와 교육, 면담 프로그램이 작업치료사들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heck the impact of the daily performance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Methods : 12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argeted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o measure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used evaluativ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The burden of parents was measured by Family Burden Questionnaire and the quality of life by Beach Center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impact of a child's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developmental disability on the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Results :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a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urden of the paren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hygiene and bowel & bladder contro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parent's burden, while hygiene, toileting, and bowel & bladder contro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Conclusion : It has been shown that the daily performance ability of a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a major influence on parent's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therapeutic intervention, education and interview programs for daily lif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 to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by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자립의지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인지능력을 중심으로

        김자영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aily living activity, instrumental dailyliving activity, communication ability, cognitive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self-reliance. This study used the 2021 Work and Life Survey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Disabilities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and EmploymentDevelopment Institute(EDI).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00 people with developmentaldisabilities and their guardians from households with at least one person with developmentaldisabilities aged 15 years or older residing in Korea. First,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the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aily livingability, instrumental daily li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on self reliance. We found that daily living activity,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y, communication abilityand cognitive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liance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disabilities, respective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current research, in order to strengthen theself-relia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nd programs that help improve daily living activity, instrumental daily living, communicationability, cognitive ability and self-reliance. 본 연구는 최근 탈시설화가 가속화되면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장애인권리협약 제19조에 의거하여 발달장애인의 자립적인 삶은 장애인 인권회복의 중요한 이념이기 때문에 발달장애인의 자립은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발달장애인의 자립의지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특히 다른 유형의 장애와는 다른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발달 장애인의 자립의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이 주관한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2021년 5월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발달장애인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의 발달장애인 당사자 및 보호자 3,000명이다. 먼저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인지능력이 발달장애인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인지능력은 각각 자립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장애인의 자립의지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육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재가노인의 식습관, 수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혜경,이계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ating habits, sleep, ADL,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in urban area. 145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D area were interviewed, from December 1st, 2018 to January 30th, 2019. The outcomes were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instrument (MMSE-K), 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Cognitive function score of the subjects was 27.09, and 86.2% of them were within normal ran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DL, between eating habits and ISI-K, and between eating habits and ADL. Education level, age, and ADL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cognitive function, which explained 35.9% of total variance of cognitive function.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programs which improve cognitive function for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 we need to consider educational level, age, and ADL. In addition, programs for cognitive function promotion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current cognitive function. 본 연구는 일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인지기능에 영향하는 요인을 신체기능관련 변수인 식습관, 수면,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지역의 복지관에 등록되어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받고 있는 재가노인 145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월 30일까지였다. 연구변수 간 관계분석은 Pearson's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령, 학력, 외출, 식습관, 수면,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독립변수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인지기능 평균점수는 27.09점으로 86.2%가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에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식습관과 수면, 식습관과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에 정적 관계가 있었다. 인지기능의 예측변인은 학력과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인의 인지기능 설명력은 35.9%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 마련 시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포함하고, 가족 및 보건의료 건강관리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차보건의료기관인 보건소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인과적 관계

        최재원,김상범,정혜연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위치하고 있는 노인복지관과 노인정에서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65세 이상노인 514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통합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근력은 상‧하지근 력, 악력(좌,우), 인지기능은 간이 정신상태검사, 선로잇기검사, 숫자외우기검사, 스트룹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 력 및 우울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근력과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간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근력과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통합적 관계성에 대한 분석에 모든 변인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와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4 people aged 65 and older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ular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variables of elderly people in a comprehensive evaluat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measured the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 grip strength(left, right), cognitive function(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rail marking test, digit span test, stroop tes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lderly's muscular strength,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bility, and depression. Seco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mong all th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lderly's integrated muscular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aging and independent retirement life of the elderly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muscular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 KCI등재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김경식(Kyong-Sik Kim),이은주(Eun-J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이 연구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노화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참가정도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노인대학 및 노인복지관, 노인체육동호인조직에 소속된 65세 이상의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목적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실제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자 162명, 비참가자 128명으로 총 290명이다. 요인분석결과 일상생활수행 능력의 경우 수단적,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그리고 성공적노화의 경우 사회적, 심리적 노화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신뢰도는 일상생활수행능력 ?=.876이상, 성공적 노화 ?=.807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통계분석 방법은 ANCOVA,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라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차이가 없다. 둘째,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성공적 노화를 더 높게 성취한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높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빈도가 많고 참가강도가 클수록 사회적인 성공적 노화, 그리고 참가빈도가 많고 참가기간이 길수록 심리적인 성공적 노화를 경험한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는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ports'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uccessful aging. For accomplish this purpose of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is study firstly set up the population as the Korean elderly who were aged over 65 and living at Seoul as of 2009, 300 persons were chosen by sampling. The numbers, used in actual analysis is leisure sports' activities participant 162, non participant 128. total 300. The statistics method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COV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liability is ?=.876 above and successful aging reliability is ?=.807 abov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being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older adults, it was not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condly, the experience of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older adults had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irdly, more intensity of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older adults, had positive effect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urth, more frequency and intensity of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older adults, had positive effect on social successful aging, more frequency and period(time) of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older adults, had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ocial successful aging. Finally, the degree of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older adults, had direct or indirect positive effe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uccessful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