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에 나타나는 일본어 동사에 대한 고찰 - 성경 잠언을 중심으로 -

        배진영(裵晋影)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69

        This study examines frequently used verbs in the Japanese Bible based on the quantitative survey of verbs in the Japanese Bible “Proverb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JLPT Japanese Proficiency Test to determine the difficulty of verbs in the Japanese Bible. As a result, I found that a total of 2,374 verbs appeared in the Japanese Bible, and 799 were used in individual words. Acquiring the verbs -230 words- that appear more than three times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in the Proverbs, the reader can understand more than 70 percent of the Bible’s Proverbs. In addition, the Bible verbs were classified by level of the JLPT Japanese Proficiency Test and analyzed in this paper to show that about 35% of the verbs in the Japanese Bible Proverbs were verbs that could not be classified by level of JLPT. These verbs were those with no level classification and no headword and were compound verbs in the latter case.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level-specific verbs of JLPT, about 18% of the verbs(145 words) belong to N1 and about half of the verbs in Proverbs were N1, N2, and N3, suggesting the level of difficulty of verbs in the Japanese Bible. Since this study is not a quantitative survey of the entire Japanese Bible,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entire verb in the Japanese Bible, but the verb classification and level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the basis for step-by-step acquisition of Japanese Bible-related verbs.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복합동사 친밀도에 관한 고찰

        조남성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본고에서는 일본어 복합동사 교육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복합동사 1000개의 친밀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 수준이 높은 N1 학습자는 N2 학습자보다 친밀도를 높게 평정하고 있다. (2) 복합동사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思い出す, 似合う, 付き合う, 引っ越す, 落ち着く, 召し上がる, 話しかける, 出かける, 支불う, 話し合う 등, N2 학습자는 出かける, 思い出す, 出會う, 付き合う, 見つける, 似合う, 話しかける, 召し上がる, 聞き取る, 知り合う 등의 순서로 높다. (3) 전항동사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思う-, 見る-, 立つ-, 讀む-, 言う- 등, N2 학습자는 思う-, 言う-, 讀む-, 書く-, 見る- 등의 순서로 높다. (4) 후항동사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かける, -合う, -出す, -つく, -上がる 등, N2 학습자는 -かける, -合う, -出す, -合わせる, -上がる 등의 순서로 높다. (5) JLPT 복합동사(144개)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思い出す, 似合う, 付き合う, 落ち着く, 話しかける, 引っ越す, 出かける, 話し合う, 繰り返す, 出會う 등, N2 학습자는 出かける, 思い出す, 出會う, 付き合う, 似合う, 見つける, 話しかける, 話し合う, 申し上げる, 受け取る 등의 순서로 친밀도가 높다. 그리고 N1·N2 학습자는 똑같이 JLPT 복합동사의 수준이 낮을수록 친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6) 국립국어연구소의 복합동사 용례수와 N1·N2 학습자의 복합동사 친밀도의 관계를 보면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miliarity of Japanese compound verbs b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with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reference materials for Japanese compound verb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1) Advanced level N1 learners have higher assessment of familiarity than level N2 learners. (2) In terms of compound verbs familiarity,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ing verbs in the order of omoidasu, niau, tsukiau, hikkosu, ochitsuku, meshiagaru, hanashikakeru, dekakeru, shiharau, hanashia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dekakeru, omoidasu, deau, tsukiau, mitsukeru, niau, hanashikakeru, meshiagaru, kikitoru, shiriau, etc. (3) Analysis on familiarity of the first component verb showed that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ing verbs in the order of omou-, miru-, tatsu-, yomu-, i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omou-, iu-, yomu-, kaku-, miru-, etc. (4) Analysis on familiarity of the second component verb showed that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ing verbs in the order of -kakeru, -au, -dasu, -tsuku, -agar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kakeru, -au, -dasu, -awaseru, -agaru, etc. (5) Analysis on familiarity of compound verbs (144) of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JLPT) showed that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 verbs in the order of omoidasu, niau, tsukiau, ochitsuku, hanashikakeru, hikkosu, dekakeru, hanashiau, kurikaesu, dea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dekakeru, omoidasu, deau, tsukiau, niau, mitsukeru, hanashikakeru, hanashiau, moshiageru, uketoru, etc. Also, as the level of compound verbs becomes lower, the familiarity increases for both N1 and N2 learners.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und verbs usage numbers of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NINJAL) and familiarity of compound verbs by level N1 and N2 shows regular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

        일본어 교과서 변천사를 통해 본 동사활용표의 타당성에 관한 고찰

        장근수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6 No.-

        이 연구에서는 일본어 교과서의 변천사를 통해 동사활용표의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일본어 동사활용표의 변천 과정은 온전히 전통문법(학교문법)에 기반을 둔 활용표로 시작하여 상당 기간 학교문법과 일본어교육의 절충 과정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본어교육에 기초를 둔 형태로 그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 확인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73년에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인 『日本語讀本』에서는 일본 학교문법의 활용표를 그대로 도입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후 이러한 형태는 제3차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제4차 ‘시사영어사’, 제5차 ‘박영사’, ‘보진재’, ‘천재교육’, 제6차 ‘성안당’, ‘천재교육’에까지 이어진다. 둘째, 일본어교육의 관점에 입각한 동사활용표를 최초로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는 제4차 교육과정 ‘교학사’, ‘한림출판사’이다. ‘한림출판사’의 경우 동사분류는 학교문법의 명칭(5단동사, 1단동사, 변격동사)을, 활용형의 명칭(ます형, た형)은 일본어교육을 도입한 절충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교학사’의 경우는 학교문법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 일본어교육의 관점에서 동사활용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어교육에 기반한 활용표는 이후 점차 확대되어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완전히 정착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verb conjugation table in the history of Japanese language textbooks. The process of the Japanese verb conjugation table began based on traditional grammar (school grammar)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romise between school grammar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or a considerable time. In the current 2015 curriculum, the validity can be recognized as a table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first Japanese language textbook Japanese Reader published in 1973, introduces the conjugation table of school grammar. These forms include the 3rd curriculum ‘DaeHan-gyokwaseo’, the 4th ‘SiSa-yeongeosa’, the 5th ‘ParkYeong-sa’, ‘Bojinjae’, ‘CheonJae-gyoyuk’, the 6th ‘SeongAn-dang’, and ‘CheonJae-gyoyuk’. Second, the first language textbooks to present a verb conjugation tabl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s the 4th curriculum ‘GyoHak-sa’ and ‘HanLim-Publishers’. In ‘HanLim-Publishers’, the verb classification suggests a compromised form in which the names of school grammar (5-dan verbs, 1-dan verbs, and Irregular verbs) are used, and the names of conjugation forms (masu-form, ta-form) are introduc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GyoHak-sa’, the conjugation form is presented in term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ompletely out of the framework of school grammar. The conjugation table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gradually expanded afterwards, and was completely settled from the 7th curriculum.

      • KCI등재

        日本語複合動詞のコロケーション

        何志明(호치밍) 한국일본어학회 2015 日本語學硏究 Vol.0 No.44

        본고는 현대의 언어자료인 대규모 코퍼스, 즉 대학공동이용기관법인 인간문화연구기구 국립국어 연구소가 개발한 『현대 일본어 문어 균형 코퍼스』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BCCWJ))를 통해 출현 빈도가 높은 일본어 복합동사와 그것과 관련된 언어 항목(공기(共起)하는 조사와 어구)을 조사하여 복합동사와 그 콜로케이션에 대해 고찰한다. 현재 복합동사는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 이유는 방대한 수의 복합동사를 모두 가르치는 것은 어렵고, 어떤 것을 실러버스에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할지 모르는 것이 그 이유이다. 복합동사를 도입하기 위해 수업 준비를 할 때 교원의 부담을 경감하는 방법으로 필자는 초기 단계에서 모든 복합동사가 아닌 일본어 모어 화자가 자주 사용하는 복합동사와 그 사용법을 우선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BCCWJ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일본어 복합동사와 그 콜로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조사하고, 앞으로 복합동사의 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콜로케이션의 관점에서 볼 때 「を」는 가장 많은 복합동사와 공기할 수 있는 조사이다. 2. 일본어 학습자가 복합동사의 콜로케이션의 정보를 잘 이용하면 복합동사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복합동사를 학습 할 때 동사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 복합동사가 어떤 조사와 공기하며 콜로케이션으로서 어떠한 관련 어구가 사용되는지의 정보까지 알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llocation of Japanese compound verbs by using a major corpus,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BCCWJ) "Chunago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It is difficult for Japanese language teachers to teach Japanese compound verb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since there is a large number of compound verbs to cover. In order to lighten the instructor’s burden on teaching compound verbs, the author proposes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Japanese language teachers to teach all compound verbs but only those most frequently used by native speakers of Japanese at the start of the learning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paper provide significant clues to determine the frequently-used compound verbs and their collocation by using data derived from the BCCWJ "Chunagon". The major findings in this paper are: 1. In the collocation of compound verbs, "wo" is the particle that can co-occur with a largest number of compound verbs. 2. Japanese language learners can apply the collocation information to their learning process of compound verb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know not only the compound verb itself but also its usage.

      • KCI등재

        일본어권 학습자의 동사 오류 분석 -일본어 간섭을 중심으로

        조영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nalysis of Verb Errors in Japanese-speaking Learners-Focusing on Japanese InterferenceYoungbo Cho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verb errors produced by Japanese-speaking learners and to analyze in detail how the Japanese interfered and to catalogue them if the cause was Japanese interference. 70 examples of errors due to Japanese interference were extracted by analyzing all 2,215 example sentences in which errors occurred in verbs targeting 262,926 Words of the Learner Error Annotation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Errors caused by Japanese interference were first analyzed by learners’ grades, and 70 error examples were divided into 28 expressions. Among them, the causes of 12 frequent example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expressions used in Korean with those used in Japanese. The 28 expressions are produced by Japanese interference, even if they are less frequent. Therefore, any Japanese-speaking learner can produce it again. Utilizing the listed error expressions will help Japanese-speaking learners to use Korean more accurately. Key Words: Verb, Collocation, Corpus, Error Analysis, Japanese Interference 일본어권 학습자의 동사 오류 분석 -일본어 간섭을 중심으로조 영 보**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권 학습자가 생산하는 한국어 동사 오류를 분석하여 그 원인이 일본어 간섭에 의한 것일 경우 일본어가 어떻게 간섭하였는지를 상세히 분석하고 오류 표현을 목록화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립국어원 학습자 오류 주석 말뭉치의 일본어권 262,926어절을 대상으로 하여 동사에서 오류가 발생한 2,215개의 예문을 전부 분석하여 일본어 간섭에 의한 오류 예문 70개를 추출하였다. 연구 내용: 일본어 간섭에 의한 오류를 먼저 학습자의 등급으로 분석하였으며, 70개의 오류 예문을 28개의 표현으로 나누었다. 이 중 다빈도의 예문 12개를 한국어에서 사용하는 표현과 일본어에서 사용하는 표현의 비교를 통하여 원인을 규명하였다. 결론 및 제언: 28개의 표현은 빈도수가 적은 경우라도 일본어의 간섭에 의하여 생산된 오류이다. 따라서 일본어권 학습자라면 누구라도 다시 생산할 수 있다. 목록화한 오류 표현을 활용한다면 일본어권 학습자가 보다 정확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핵심어: 동사, 연어, 말뭉치, 오류 분석, 일본어 간섭 □ 접수일: 2022년 7월 22일, 수정일: 2022년 8월 9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1학년도 연세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의 (부분적인) 지원에 의한 것(과제번호: 2021-12-0143)이며, 2022년 7월 15일 “한말연구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PhD, Yonsei Univ., Email: lascote@hanmail.net)

      • KCI등재

        日本語複合動詞の主観性とコロケ-ションに関する記述的研究

        金光成(김광성)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9

        본 논문은 일본어 복합동사의 용법에 반영된 주관성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일본어 복합동사에 관한 종래의 연구에서는 일본어 복합동사의 용법상에 나타나는 주관적인 의미가 중심적으로 논의되어 오지 못했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주관적인 의미는 인지주체의 사태파악이 반영된 의미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유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복합동사「V+こむ」와 부사로 사용된 오노마토페의 공기관계를 분석했다. 왜냐하면 비유적인 표현은 일본어의 주관성을 선명하게 드러내주고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오노마토페 역시 일본어와 관련된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10개의 복합동사「V+こむ」를 분석대상으로 정하였고 오노마토페와의 공기관계를 코퍼스 검색시스템인 Sketch Engine(JpTenTen11)을 활용하여 수집하고 검토하였다. 복합동사와 공기하는 부사의 분류에는 仁田(2002)를 참고로 하였다. 분석결과, 비유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복합동사「V+こむ」와 공기하는 빈도가 높은 오노마토페는 <動き様態の副詞>에 속하는 표현들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強さ(質)>回数性>早さ>程度量性>強さ(純)>数量性>質’의 순으로 복합동사「V+こむ」와 의미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는 상세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던 복합동사「V+こむ」의 주관적인 용법을 코퍼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더 세세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해낼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about the subjectivity related to the usage of Japanese compound verbs. Previous studies about Japanese compound verbs have not dealt with the subjective meaning reflected in the usage of Japanese compound verbs as a main issue. The term ‘subjective meaning’ refers to the meaning based on the construal of a subject. So,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subjective meaning related to Japanese compound verbs. Especially, the co-occurr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compound verb ‘V+komu’ with figurative meaning and adverbial onomatopoeia was chosen as the main object of the analysis because figurative expressions reflect the subjectivity related to Japanese vividly, and also onomatopoeias enable us to figure out the subjectivity related to Japanese objectively. Using Sketch Engine(JpTenTen11), 10 compound verbs were chosen as objects of a case study because the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verbs. Adverbial onomatopoeias used with ‘V+komu’ were classified in detail based on their meaning. The result shows that adverbial onomatopoeias related to motion and manner are closely involved with the subjective usage of the compound verb ‘V+komu.’

      • KCI등재

        韓國語와 日本語의 ‘앞서다’類 動詞에 대하여

        최형용,리우 완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2

        본고는 'N+V'型 合成語 중 '앞서다'는 '힘들다' 등과 區別할 必要가 있다는 問題提起에서 出發해 '副詞語+敍述語' 構成을 가진 단어들을 '앞서다'類 動詞로 칭하였다. 이들 단어는 統辭的 過程이나 非對格 假說 등으로 그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膠着語로서의 한국어 단어 형성의 한 특징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점에 기반하여 한국어 '앞서다'類 단어의 範圍를 확인하고 같은 교착어인 일본어에서 '앞서다'類 動詞를 찾아 이를 分類해 比較하고자 하였다. 한국어는 일본어보다 先行 名詞와 後行 動詞의 意味 關係에 있어 [手段·方法], [處所], [方向]을 지닌 경우가 많고 [原因]의 경우는 드물다는 공통점을 가지나 일본어가 [對象]의 의미를 지닌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은 差異點이다. 한편 특히 일본어는 統合 合成語의 측면에서 '名詞+動詞 連用形'을 'N+V' 動詞와 함께 다루어 왔는데 특히 한일 '앞서다'類 動詞에는 'N+V'만 존재하고 名詞化하지 않는 것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앞서다'類가 名詞化와 관련해서도 일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firstly focused on the word-formation of 'N-V' compound words and began the discussion from pointing out a problem that the 'N-V' compound verbs in Korean which have the structures as same as 'apseoda'(앞서다)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N-V' compound verbs such as 'himdeulda'(힘들다). We called these kind of words 'apseoda-type verbs' and dealt with these words in Korean through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in which a variety of apseoda-type verbs exist too. Concretely, this paper firstly review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in relevant to 'N-V' compound verbs and found that the word-formation process of apseoda-type verbs was difficult to be explained through the syntactic process or unaccusative hypothesis. Instead, it should be explained by using the concept of functor and argument.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ategories of apseoda-type verbs in Korean and Japanese and the conclusion showed that there were more apseoda-type verbs in Korean than in Japanes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Korean is rich in compound verbs with the preceding elements function as adverbials. Furthermore, apseoda-type verbs were classified from three ways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nouns was the representative method. As the result, the preceding nouns which have the meaning of [instrument·manner], [location], and [direction] occupy the majority. On the other hand, nouns which have the meaning such as [cause] are rarely. A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ords in which the preceding nouns play the semantic role of [target] in Japanese are a big part but there are not much such words in Korean. In addition, i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words with the combination of noun and verb-renyookei(連用形) in Japanese were seen as one part of 'N-V' compound verbs. But we found that not only in Japanese but also in Korean, there were many apseoda-type verbs which could not be nominalized actually.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m separately if the words are not nominalized from 'N-V' compound verbs.

      • KCI등재

        日本語に見られる「する動詞」の韓日対応様相

        裵晋影(Bae, Jin Yo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비즈니스 상에서 사용되는 ‘suru동사’를 중심으로, 특히 ‘한자어+suru’동사가 한국어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비즈니스일본어 용례 중 ‘한자어+suru’동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유어+suru’동사의 경우 양적으로는 적으나 한일 양 언어에서 서로 다른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들 양언어의 대응 표현의 숙지가 요구된다. 비즈니스 일본어에서의 ‘한자어+suru’동사는 한국어에서 90퍼센트 이상 동형의 한자어 동사가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즈니스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suru’동사 중, 한국어와 상이한 대응을 보이는 경우, 전혀 그에 상응하는 표현이 없거나 품사 및 의미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nsiders how –suru verbs are used in business, especially ‘Chinese character + suru’ verbs, when compared to their corresponding verbs in Korea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ates of ‘Chinese character + suru’ verbs in business Japanese are rather high. Although ‘native language + suru’ verb is quantitatively infrequent, to understand its meaning, one must be well acquainted with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as they have different meanings. This study shows that more than 90% of ‘Chinese character + suru’ verbs in business Japanese correspond to the same-shaped Chinese verb in Korean. Moreover, it is noted that there are either no corresponding expressions, o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eanings of different parts of speech, when comparing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in Korean with the ‘Chinese character + suru’ verbs used in business Japanese.

      • KCI등재

        일러스트를 활용한 일본어교육 -복합동사를 중심으로-

        이경수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8

        복합동사는 본동사 단독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심오한 의미와 문화적 내용 및 고도의 문법적 특성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일본어학습자로서는 매우 어려운 분야이다. 그러나 매스컴, 광고, 문학작품, 스포츠 등에서 복합동사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복합동사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경어나 수동형처럼 복합동사도 별도의 문법항목에 넣어서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일러스트를 일본어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은 아직 기초단계이지만, 복합동사에 일러스트를 활용하면 그 의미가 시각적으로 바로 와 닿는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복합동사의 학습에 일러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복합동사의 의미적 특징을 살린 일러스트를 제작하여 일본어교육에 활용한다면 새로운 교수법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compound verb has profound meanings and particular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 Japanese language. It is challenging for the foreign Japanese second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 meanings of compound verbs in the context. Compound verbs are frequently used in many Japanese learning materials such as mass media, advertisement, literature, and sp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how to use compound verbs for the communication. Teachers of Japanese language need to consider how to teach compound verbs effectively, since these verbs are required to be in a separate category of grammar, direction for the polite and grammatical voice.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of applying illustration for teaching Japanese compound verbs. Japanese language education enables to take advantage of illustration as an efficient visual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compound verbs, although the use of illustration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 KCI등재

        日本語の複合動詞と韓国語の副詞との対応関係に関する研究

        李忠奎(이충규)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본 연구의 목표는 일본어 복합동사에 대응되는 한국어 부사를 추출하여 그 목록을 제시하는 것이다. 62권의 자료에서 총 13,693개의 용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면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부사와의 대응 관계를 인정할 수 있는 일본어 복합동사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J는 일본어, K는 한국어, V1은 전항동사, V2는 후항동사, Adv는 부사) 1)「J(V1+V2)⇒K(Adv+V1)」유형 (예:歩き続ける⇒계속 걷다) 2)「J(V1+V2)⇒K(①Adv+V, ②V)」유형 (예:考え込む⇒골똘히 생각하다, 忍び込む⇒몰래 들어가다, 申し込む⇒신청하다) 3)「J(V1+V2)⇒K(Adv+V2)」유형 (예:打ち負かす⇒완전히 패배시키다) 4)「J(V1+V2)⇒K(V)」유형 (예:縛り付ける⇒?꽁꽁묶다⇒묶다) 본 연구에서 각각의 유형으로 제시한 일본어 복합동사와 한국어 부사 목록(예:∼続ける⇒①계속196(줄곧1) ∼하다/∼込む⇒①골똘히9(뚝7 · 깊숙이4 · 철저히4 · 가득3 · 깊이3 · 푹3 · 계속2 · 몹시2 · 아주2 · 잘못2 · 냅다1 · 많이1 · 불쑥1 · 움푹1 · 잔뜩1 · 철석같이1 · 한꺼번에 1 · 함께1 · 홀딱1) ∼하다,②몰래5(쑥5 · 깊이3 · 마구1) ∼하다,③∼하다)은 일본어 교육 ·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일본어 복합동사에 대한 후속 연구에도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dverbs in Korean corresponding with compound verbs in Japanese and provide a list of them.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13,693 examples from 62 books, built a database, and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to classify examples of correspondence with adverbs in Korean as follows: (J:Japanese; K:Korean; V1:the first verb; V2:the second verb; Adv:adverb): 1)「J(V1+V2)⇒K(Adv+V1)」(e.g. aruki+tuzukeru⇒gyesog+geodda) 2)「J(V1+V2)⇒K(①Adv+V, ②V)」 (e.g. kanngae+komu⇒golttolhi+saenggaghada, sinobi+komu⇒mollae+deul-eogada, mousi+komu⇒sincheonghada) 3)「J(V1+V2)⇒K(Adv+V2)」(e.g. uchi+makasu⇒wanjeonhi+paebaesikida) 4)「J(V1+V2)⇒K(V)」(e.g. sibari+tukeru⇒?kkongkkong mukkda⇒mukkda) The lists of compound verbs in Japanese and adverbs in Korean presented for each type may serve as useful reference materials in the fields of Japanese and Korean education and make full contributions to further studies on compound verbs in Japa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