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戰時體制期 日本視察團 硏究

        趙成雲(Cho Seong-Woon)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1930-40년대의 일본시찰단을 1930-1936년까지의 제1기와 1937년 이후의 제2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는 전쟁의 확대에 따라 일본군부의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강화되었던 시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내의 정치적 역관계는 식민지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우가키 총독의 ‘조선공업화정책’은 대륙침략의 전초기지로서의 조선의 위상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우가키 총독은 지금까지의 지배정책에서 벗어나 조선을 粗공업지대로 육성하는 한편 농촌진흥운동을 실시하여 조선의 민족운동을 없애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심전개발운동을 통해 조선의 사상을 통제하고 이른바 ‘국체관념’을 부식하여 ‘황국신민’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일본정부는 세계적인 경제공황을 탈피하고자 1930년 국제관광국을 설치하여 관광산업을 국책으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시설을 마련하였다. 이와 함께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관광사업에도 진출하여 조선철도국과 재팬 투어리스트 뷰로, 일본여행협회 조선지부 등을 중심으로 일본시찰단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셋째, 1930년대의 일본시찰단은 1930-1936년까지의 제1기와 1937년 이후의 제2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1937년 중일전쟁을 계기로 한 전시동원체제의 성립에 따라 일본시찰단의 성격에 변화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제1기는 준전시체제에 해당하는 시기이므로 제2기와는 달리 조선인을 직접적으로 전시동원하고자 하지는 않았다. 넷째, 셋째와 관련하여 일본시찰단의 파견 주체와 목적에 따라 일본시찰단의 성격을 찾을 수 있다. 먼저 파견 주체는 행정부서, 언론기관, 경찰부 및 경찰서, 조선철도국, 경제관련 기관, 체신국, 교육회, 관광(여행)협회, 농회, 신사 등이다. 이 중 제2기에만 보이는 것은 경방단, 사상보국 연맹, 체신국, 신사, 방공단, 정총대, 육군훈련지원병, 국민총력 조선연맹 등은 제2기에만 보인다. 이는 일본시찰단이 전시동원체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파견되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일본시찰에 선발되었던 인물들을 보면 면장ㆍ면서기, 도ㆍ부ㆍ군ㆍ면협의원, 교원, 상공업자, 청년, 사상전향자, 육군훈련지원병, 경찰, 정총대, 체신국원, 소학생 등이 주된 대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중 사상전향자, 육군훈련지원병, 경찰, 정총대, 체신국원, 소학생 등은 제2기에만 보인다. 이는 전시동원체제 속에서 동원대상자를 동원하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이나 동원 대상자를 중심으로 시찰단이 조직되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시찰경로는 주로 1920년대까지의 시찰단이 일본의 근대문물과 제도의 우수성을 확인하는 지역과 시설을 중심으로 시찰한 것에 비하여 1930년대에는 伊勢神宮, ?原神宮, 明治神宮, 桃山御陵 등 일본정신, 곧 황국신민의 의식을 강조하는 지역과 시설을 중심으로 시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1930-40년대의 일본시찰단은 전시동원체제와의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파견되었으며 그것은 국체관념을 확고히 함으로써 조선인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였다는 것이다. So far, we inspected carefully observation groups of Japan in 1930s and 1940s, distinguishing the first term, in 1930-1936, and the second term, after 1937. My finding is as follow; First, this time is when influence of Japanses troops was enhanced absolutely according to the spread of war. And this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power and the military affected the Joseon colony. That is, "Industrialization Policy of Joseon" from governor general Wogaky(宇垣) labeled the presence of Joseon as outpost for continent invasion. Governor general Wogaky tried to remove the racial movement of Jeseon by changing the policy so far into industrialization policy of Joseon and by executing encouragement movement of agricultural villages. In addition, he tried to control philosophy of Joseon, spread "reverence for the Emperor of Japan", and foster "idea that Joseon is Japan's(皇國臣民)". Second, Japan government established "International Tourist Party" in 1930 and tried to foster the tourist industry for the sake of escaping a financial panic all over the world. So, Japan prepared a variety of facilities and policies in order to attract foreign tourists. Besides, it formed organization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with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of Joseon, Japan Tourist Bureau , and A Joseon branch of Japan Tour Institution as central figures, which aimed at Joseon people. Third, we can divide into the first term of 1930-1936 and the second term, after 1937. This division is divided by the war between Japan and China and it is because character of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began to change the wartime structure including a mobilization system. Japan didn't mobilize troops of Joseon directly dislike the second term because the first time was pre-wartime. Forth, we can find out the character of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according to institutions which dispatched it in connection with the third above. Above all, the institutions which dispatched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was the Administration, the press,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police station, the 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of Joseon, the institutions relevant with economic, Postal Service Bureau, educational institution, tourist association, agricultural institution, and a shrine(神社). Among them, there were Kyungbangdan(警防團), Union Requiting Nation with Thought, postal seivice bureau, shrines, Banggongdan(防空團), Jeong-chongdea(町總代), the army volunteer soldiers, and Joseon league for national energies only the second term. It shows that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was dispatched in relationship with war-fare mobilization system. Fifth, figures selected as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were the chief of my?n, the clerk of my?n, members of association such as Do(道), Bu(府), Kun (郡), and my?n(面), teachers, merchants and industrialists, young people, people reformed thought, the army volunteer soldiers, the police, Jeong-chongdea, members of Postal Seivice Bureau,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mong them, there are people reformed thought, the army volunteer soldiers, the police, Jeong-chongdea, members of postal service bureau,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ly the second term. It means that it was organized centering around figures who took an important role to mobilize the objects in wartime mobilization system situation. Finally, the route of observation was accomplished centering around facilities and regions emphasizing idea that Joseon is Japan's, the basic spirit of Japan such as Ise-Sinkung(伊勢神宮), Kashihara-Sinkung(강원신궁), Meiji-Sinkung(明治神宮), and Momoyamakoryo(桃山御陵) in 1930s compared with facilities and regions showing superiority of Japan modern culture and institutions in 1920s. In conclusion, an observation group of Japan in 1930s and 1940s was dispatched in close connection with war-fare mobilization system and it functioned as a mean for mobilizing Joseon people by inculcating them with reverence for the Emper

      • KCI등재

        19세기 후반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통한 지식·문화 교류의 한 양상 - 『스에마츠 지로 필담록(末松二郞筆談錄)』을 중심으로 -

        이효정(Lee, Hyo- Jeong)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지식·문화의 교류는 사행을 통해 이루어져 왔으며, 조선은 중화 문물을 수용하고 일본[倭]의 문화를 회유한다는 사대 교린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서구식 근대라는 우월이 들이닥치게 되면서 이러한 지식·문화 지형은 변화하게 되었다. 조선은 1876년 조일수 호조규를 계기로 만국공법 질서에 편입되었지만, 1, 2차 수신사는 여전히 교린체제 속에서 대일본 관계를 인식하였다. 하지만 1881년 조사시찰단 파견은 일본과 교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근대화된 일본을 ‘시찰’하고 ‘탐색’하기 위해 실행되었던 최초의 비공식 사절단으로, 이는 동아시아 지식 흐름의 역변을 상징하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시찰을 담당한 조사와 수행원들은 탐색한 정보를 조선으로 가져가기 위해 관련 서적의 한역본을 얻으려 동분서주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모습이 『스에마츠 지로 필담록(末松二郞筆談錄)』에 담겨져 있다. 한학자 스에마츠는 이상재, 이봉식, 조준영 등과 교류하면서 『日本國內務 省各局規則』, 『日本國內務省職掌事務全附農商務省』, 『日本國農商務省各 局規則』 등의 보고서 한역에 관여하였으며, 『文部省(所轄目錄)』의 일부를 번역했다. 그동안 시찰기류 보고서가 어떻게, 누구에 의해 작성되고 보고되었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일부나마 이 필담록을 통해 추정 가능해진 것이다. 이 필담록에는 스에마츠와 조선인들 사이에 정의(情誼)와 우정이 엿보이며, 이러한 우호적 관계는 곧 중화 문화의 상징인 한시 수창, 서화, 휘호 증정 등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실제 스에마츠를 비롯한 일본인들이 얻은 주요 정보의 근원은 한적(漢籍)이 아니라 당대의 최신 미디어인 신문이었으며, 조선인들은 왜문자로 쓰여진 정보들을 한역하여 가져가야 하는 낯선 상황에 놓여 있었다. 뿐만 아니라 ‘문명(文明)’과 같은 근대 한자어를 서로 달리 이해하는 장면 등을 통해 이 시기 일본에서 만연했던 동문(同文) 의식(즉, 아시아연대론)이 언제든 균열될 수 있는 허구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본의 근대 문물을 시찰한다는 목적에도 불구하고 담당했던 분야 이외에는 무관심하거나 수동적이었던 시찰단원들의 태도는 조사시찰단 활동의 근본적 한계를 보여준다. The interchange of knowledge and culture in premodern East Asia had been performed by sending envoys, and the cultural interchange of Chosun had been also carried out in this way under traditional policy, which meant embracing Chinese culture and conciliating Japanese culture, based upon a premise that the knowledge and cultural power of East Asia flows from the Chinese continent to the Japanese islands. This knowledge and cultural topography changed by modern period with Western civilization. Although Chosun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International law(萬國公法) upon the Joseon- Japan Treaty in 1876, the first and second Susinsa still maintained relationship with Japan under the good- neighbor policy. In 1881, however, King Gojong voluntarily sent the inspection team unofficially, not for social intercourse, but for inspection and exploration of Japan, which represents the reversal of the cultural flow of East Asia. The Korean entourage were busy obtaining the books in Chinese version translated by Japanese containing Japanese information, and these specific situations were described in the “Written Conversations among Suematsu Jiro and Officials from Chosun”. Suematsu Jiro, the scholar of the Chinese literature, seems to have been involved in translation of inspection reports about the Departments of Interior, Agriculture, and Commence by interacting with Lee Sang- Jae, Lee Bong- Shik, and Cho Joon- Young et al. He also seems to have translated a part of Munbuseong Sohalmokrok. The writers or the exact process of inspection reports have been unclear, but we can assume them partly by written conversations. At this time, we can recognize the modern and premodern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from written conversations. Though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Japanese people had been changed to newspapers, Korean judged this situation negatively. Moreover, Japanese shouted for cultural enlightenment, but they still made an effort to gain the handwritings of Korean. In addition, the indifferent and passive attitude of Korean entourage toward other fields except those in charge demonstrates the limitation of the inspection team s activities.

      • KCI등재

        日帝下 佛敎視察團의 派遣과 그 性格

        조성운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8 No.-

        일본시찰단은 조선총독부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 하에서 파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조선총독부가 이처럼 일본시찰단의 파견에 적극적이었던 이유는 일본시찰을 통해 조선인을 ‘동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믿었기 때문이었다. 일본에 파견된 시찰단 중 종교시찰단은 불교시찰단 외에도 유림시찰단, 기독교시찰단, 천도교시찰단이 있는데 이 중 가장 활발히 파견된 것은 유림시찰단이었고 그 다음이 불교시찰단이었다. 이는 유교와 불교가 조선민중에게 끼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다는 일제의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불교시찰단이 시찰한 사찰들은 일본 내에서 각 종파의 대본산혹은 본산의 위치에 있는 지도적인 사찰들로서 일본의 국가주의적 불교의 성격을 대변하는 것들이었다. 또한 이 사찰들은 대부분 19세기 말 이래 조선에 사찰을 건립하거나 포교사를 파견하여 일본의 조선침략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찰들이었다. 일본시찰단에 대해 조선민족의 반응이 시찰기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두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불교시찰단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였다.이는 조선불교의 전통과 자주성을 지키려는 그룹의 시각이었다고 판단된다. 최소한 1920년대까지만 하더라도불교시찰단의 구성들은 일본불교의 수용을 통해 조선불교의 부흥을 이루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그것은 이들이 남긴 시찰기에서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 다만 이들은 불교시찰단이 일본의 동화정책의 일환으로서 파견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하였다는 측면에서 일제의 지배정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불교시찰단은 일제가 동화정책의 수행과정에서 불교를 통해 조선 민중을 동화시키고자 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시찰단원이 남긴 시찰기나 김구하, 나청호의 한시, 심전개발운동에 대한 강연 등에서 드러나듯이 어느정도 성과를 거둔 것도 사실이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불교시찰단은 1920년대까지는 일본시찰을 통한 조선 불교의 발전이라는 명분이라도 있었으나 193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내선일치를 통한 조선인의 전쟁동원에 그 목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제의 정책에 대해 조선 불교 내에서 당시 조선 불교 교단이 처한 사회적, 경제적 이유를 들어 비판하거나 일본시찰 자체를 비판하는 등 불교시찰단의 파견에 대한 반발기류가 형성된 것도 사실이었다. Observation Groups of Japan had been usually dispatched to Joseon with financial and political supports. As Joseon Chongdokbu had believed that Japan could assimilate people in Joseon by visiting Japan, Joseon Chongdokbu tried positively to send observation parties to Joseon. They dispatched many religious parties, such as the Buddhists, the Confucians, the Christians and the Cheondos. One of the briskest parties was Yurim Sichaldan, an observation party for Confucianism, followed by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for Buddhism. That was because Japan thought Confucianism and Buddhism had a great effect on common people.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visited the main temples or head temples of each sect playing a leading role and speaking for the nationalistic Buddhism Japan had. In addition, ordering to build temples in Joseon and send a mission to Joseon, these temples affected invading Joseon directly or indirectly. Observation Groups of Japan didn't always get affirmative responses from the people in Joseon. Neither did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Some groups who tried to keep the tradition and independence of Buddhism of Joseon may have made that result.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had been considered that the party could lead Buddhism of Joseon to the remarkable revival , after accepting Japan's, until 1920s at least. This appeared on the record of visiting Joseon. But they couldn't escape from the criticism that they didn't get the ruling Joseon policy Japan had kept, in respect that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overlooked the fact that they were dispatched under a part of assimilation policy. In conclusion,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tried to assimilate Joseon to Japan with Buddhism. It proved to be quite productive by many records the Observation Groups of Japanhad wrote and lectures Kim Gu ha and Na Chung ho had given about Chinese poetry and Simjeongaebal Movement(心田開發運動). Also, The Buddhism Observation Groups of Japan had justified themselves in recovering Buddhism of Joseon up to 1920s. However, their real purpose of mobilizing people in Joseon for the war was revealed in the middle of 1930s. These Japanese policies occurred the Buddhists in Joseon to form resistant atmosphere and criticize them and visiting Japan, offering social and economic states Buddhism of Joseon had faced.

      • KCI등재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 -『日東録』, 『東行日録』, 『東京日記』를 비교하며

        문순희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3 No.-

        1876년의 강화도조약을 계기로 개항한 한국은 조약 직후 1876년에서 1885년까지 수신사를 5차례 조사시찰단을 1881년에 한차례 일본에 파견했다. 현재 조사시찰단을 포함한 수신사들이 남긴 사행록은 대략 20종이 확인되며 그 외에도 국가에 제출한 보고서 형식의 기록도 남아 있다. 보고서를 제외한 개인 사행관련 기록은 서술 주체, 서술 시기, 서술 내용 등 각각 기록 성격이 다르다. 이 기록들을 나란히 펼쳐봤을 때 개인마다 사행에 참여하는 태도와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일본 사행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등이 개인마다 어떻게 달랐는지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1881년 조사시찰단 수행원의 세 기록-강진형의 『日東錄』, 민건호의 『東行日錄』, 송헌빈의 『東京日記』를 텍스트로 선택하였다. 일본사행록을 남긴 세 인물은 동일한 시기 동일한 직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세 사행록에는 각각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가 나타났다. 강진형은 가장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수행원으로 도일하여 새로운 문물들을 쉽게 수용하지 못하고 근대에 적응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사행록에 개인적으로 방문한 장소나 근대문물, 도시 풍경에 대한 감상 등을 기술하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어떤 사물에 특별히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가 유일하게 교류를 나눈 일본인에게 지은 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가 일본 근대 문물에 부정적이며 문명화된 일본에 적응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와 반대로 민건호의 경우 견문한 사물에 대한 감상이나 개인 생활을 기록에 남겼는데, 민건호는 일본 생활에 적응하여 다양한 계층의 일본인과 교류하였고 일본 문화와 풍습에 대한 관심이 컸다. 송헌빈은 사행록에 여러 제조법을 필사하는 등 근대 문물과 기술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흔한 필담이나 시문을 기록하지 않았다. 그는 민건호와 달리 일본인과의 사적 교류가 거의 없었거나 이에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시찰단 수행원은 기존의 사행의 사신들과 비교했을 때 훨씬 다양한 감정과 태도로 일본을 대하고 있었다. 이는 극변하는 시기에 기존의 일본에 대한 인식이 국내에서도 점차 변화하고 있었고, 일본에 파견된 사행원들이 전통적인 대외 사행과는 다른 역할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Korea that had opened the ports by Ganghwado Treaty in 1876 dispatched five times of Sooshinsa(修信使) from1876 to 1885 and one time of Inspectors(朝士視察團) in 1881 to Japan. Up to now, approximately 20 Sahangroks(使行錄) which had been written by Sooshinsa including Inspectors wer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cords are different by writers, writing time, writing contents, and so on, which reflects the different viewpoints and attitudes on Japan by individuals, referring to each record review.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s by individuals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s to the Japanese investigational trips and the viewpoints on Japan. To do so, three records by the attendants of Inspectors in 1881 were selected as the textbooks including Ildongrok, Donghangilrok, and Dongkyungilgy by Jin Hyung Kang(姜晉馨), Kun Ho Min(閔建鎬), and Hun Bin Song(송헌빈), respectively. Three people to leave Japanese travel records were dispatched as the same position to Japan, while their viewpoints on Japan were different in the records. Jin Hyung Kang, an attendant with the most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as shown that he had hardly accepted the new products of civilization easily not to be adaptive well to the modern times after crossing to Japan. He did not describe the places to visit personally, products of civilization, thoughts on the city scenery, and so on in the travel records, which reflected not to be interested in any objects specially. From the poem that he wrote for a Japanese person only with whom he made relationship, it was known indirectly that he was negative to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in Japan and was not well adaptive to the civilized Japanese life. On the other hand, Kun Ho Min left the records on his personal life or thoughts on the observed objects, and he was well adaptive to the Japanese life to make the relationship with a variety of Japanese classes with high level of interests in the cultures and customs in Japan. Hun Bin Song showed the progressive attitude on the modern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the technologies transcribing multiple manufacturing methods in the travel records, however, he did not record the common conversations by writing or the poems. Unlike Kun Ho Min, it was estimated that he had made relationship with few Japanese people personally or no interest at all. The attendants of Inspectors showed much more dynamic emotions and attitude to Japan compared to the existing envoys.

      • KCI등재

        1910~20년대 조선인 교원의 일본 시찰

        장인모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5

        This article examines the observation trip to Japan of Korean teachers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1910s and 1920s. The observation trip to Japan of Korean teachers began in the late 1910s and was conducted actively in the 1920s. The members of observation trip visited rural areas, modern facilities of cities, temples, historic sites, places related to the emperor of Japan and education-related facilities. Observing these places, they recognized the economic and military power of Japan. In particular, they observed thoroughly education-related facilities and were impressed by the high penetration rate of education, complete school facilitie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that emphasized spontaneity of students. The observation trip to Japan made Korean teachers criticize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 and make a resolution as teachers. They judged that Korea was very backward compared to Japan and that Koreans were lazy and stagnant. And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y resolved to civilize Korea by promoting education and enlightening Korean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Meanwhile, some members of the observation trip recognized Japanese colonial rule as positive and resolved to develop colonial Korea as a part of the Japanese empire through education. As a result, the observation trip to Japan led Korean teachers to pursue civilization through the promotion of educa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or cooperation in Japanese colonial education policy. 본고는 1910~20년대 조선인 교원을 단원으로 하는 일본시찰단의 파견 목적과 양상, 그리고 시찰단원들의 여행 소감에 대해 검토한 연구이다. 일제가 교원 시찰단을 파견한 목적은 세 가지였다. 첫 번째 목적은 조선인 교원에게 일본의 압도적인 근대 문명을 보여줌으로써 조선도 일본 제국의 한 부분으로서 일본의 통치를 통해 문명화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하여 일제에 협력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두 번째 목적은 조선인 교원에게 일본 국민으로서의 국민의식을 심어주는 것이었으며 마지막으로 교원의 실무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교원 시찰단의 목적 중 하나였다. 교원 시찰단 파견은 1910년대 후반 시작되어 192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는 집중적으로 교원 시찰단을 파견했으며, 이후 총독부 이외에도 다양한 주체들이 교원 시찰단을 파견하였다. 또 일제는 여자교원 시찰단을 별도로 조직하여 파견하였으며, 교원의 실무적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둔 시찰단도 파견하였다. 교원 시찰단의 주요 시찰 장소는 농촌, 도시의 근대적 시설, 사찰 및 역사유적, 천황제 관련시설, 교육관련기관 등이었다. 시찰단원들은 이 장소들을 시찰하고 근대 문명을 이룬 일본이 갖고 있는 경제력과 군사력을 실감하였으며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기도 하였다. 특히 시찰단원들은 교육관련기관을 보다 세밀하게 시찰하였으며 높은 교육 보급률, 교내 시설의 완비, 학생의 능동성·자발성을 중시하는 교육방법 등에 대해 감탄하였다. 일본 시찰은 조선인 교원들로 하여금 조선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함께 교사로서의 다짐과 결의를 하게 하였다. 그들은 조선이 일본에 비해 매우 낙후되어 있으며, 조선인은 나태하고 정체되어 있다고 진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들은 교사로서 일제의 식민 지배 하에서 교육을 진흥·발전시켜 조선인을 계몽·각성시킴으로써 조선을 문명화할 것을 결의하였다. 한편 어떤 시찰단원들은 일제의 식민 지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교육을 통하여 일본 제국의 한 부분으로서 조선을 발전시키겠다고 결의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본 시찰은 조선인 교원들로 하여금 일제 식민지배 하 교육의 진흥을 통한 문명화, 혹은 일제 식민교육에의 협력을 지향하게 하는 효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근대 履行期의 형법 -『日本司法省視察記』의 「新律綱領」과「改正律例撮要」를 중심으로-

        김동석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9 No.-

        본고는 嚴世永(1831-1900)이 편찬한 『日本司法省視察記』의 6권에 대한 분석이다. 엄세영은 신사유람단으로 1881년 2월 21일 동래에 도착했고, 4월 10일 일본으로 출항했다. 閏 7월 1일 長崎를 출발하여 조선으로 돌아왔다. 일본에서 사법경으로 있었던 田中不二(1845-1909)와 사법대보 玉乃世履(1825-1886)를 만나 법전과 자료를 시찰한다. 그리고 돌아와 『문견사건』과 7권의 『일본사법성시찰기』를 정리하여 국왕 고종에게 올린다. 『日本司法省視察記』의 6권에는 『新律綱領』과 『改正律例撮要』를 담고 있다. 이 당시 일본은 江戶 시대의 幕藩法 대신 중국법제의 영향을 받아 1868년 「假刑律」과 1870년 「新律綱領」을 공포하게 된다. 명치 3년인 1870년에는 『新律綱領』을 제정하고, 명치 6년에는 『改正律例』를 制定한다.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司法省視察記」의 제 6권은 바로 엄세영이 『新律綱領』과 『改正律例撮要』를 기록해 놓은 것이다. 『신률강령』은 명나라와 청나라의 형법을 底本으로 삼고 『養老律』과 덕천막부의 형법을 참고하였다. 『改正律例』는 『신률강령』을 대체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보충법령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내용상으로는 『신률강령』과 같았다. 『新律綱領』과 『改正律例』은 근대 신분형법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즉 국가의 명령을 보호하는 신분제도의 통치질서를 유지하려고 하고 있다. 士族과 官吏에게는 예외적으로 너그러운 법을 적용했으며 하급 사람이 상급사람에게 반항을 하면 가중처벌을 받기도 하여 신분이 같지 않으면 법과 형법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 법은 내외 官司員들이 모두 법을 준수해야 했고 臣僚 또한 법을 준수해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법은 법률 내용을 공포했다는 점에서 이전 막부시대보다는 진일보 한 형법으로 인정받기도 한다. 『新律綱領』은 일본에 전래하고 있던 『養老律』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718년 일본에서는 당나라의 『大寶律令』과 『永徽律令』을 근거로 『양노률령』을 撰修한다. 律과 令, 格, 式을 갖추어 당나라 법률과 유사한 법령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는 妻妾에 대하여 尊卑의 구분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 법에는 五刑과 閏刑, 不應爲, 從重論, 盜賊贓, 枉法贓, 規避에 관한 규정도 두고 있다. 이밖에도 전통관습을 반영하고 있다. 『양노률』은 중국 당나라의 법률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지만 여전히 일본 고유의 풍속도 배려했다. 당률에서 동성결혼을 徒刑 2년에 처벌하고 이혼하여 떨어져 살게 하였지만, 일본에서는 이러한 법을 수용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일본에서는 동성결혼을 한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예가 또 있다. 당나라 법률에서는 道士와 여자도사[女冠]의 범죄에 대해서 여러 가지 경감시켜주어 처벌에 우대가 있었으나 일본에서는 이러한 법률을 모두 제거했다. 여기에 일본은 불교를 숭상하였기 때문에 齋戒할 때에 육식하면 범죄가 되었다. 승녀에 대해서는 특별히 윤형이 있었다. 그리고 전통관습을 반영한 것에는 華士族에 관한 규정이 있다. 화사족은 일본에 있었던 독특한 신분 계급이다. 260개의 藩國의 藩主는 大名 또는 領主라고 불렸는데, 1869년에서 1871년에 걸쳐 명치 정부는 領地 지배권과 領民 통치권을 박탈하고, 중앙집권 체재를 확립한다. 이때 사민평등의 미명아래 신분제도의 개혁을 추진한다. 이런 특정시기 公卿과 藩主인 大名은 華族으로, 武士는 士族으로, 사농공상은 평민으로 편입되었다. 구형법은 시민 자유주의를 기초로 하여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중점을 둔 형법으로 자본계급 성질을 가지는 법전이었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1810년 제정된 불란서 법을 모방하여 실행하려고 했지만 일본은 사회 전반적으로 자유주의 사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지지를 받을 수 없었다. 법전과 사회생활의 거리를 좁히지 못해 罪刑法定의 원칙을 지키기 어려워졌다. 그런데 독일 帝政은 일본과 서로 흡사한 점이 있었다. 이후 일본은 1882년 앞으로의 헌법을 독일 헌법을 원본으로 하기로 결정한 후, 1890년 초안을 여러 번 토론을 거치고, 1906년 법률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1907년 회의를 거쳐 통과시킨다. 이후 여러 차례 내용상 수정을 거쳤으며 지금 일본 현대헌법으로 탄생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Ilbon Sabŏpsŏng sich'al ki 日本司法省視察記, Vol. 6 written by Se-yŏng Ŏm 嚴世永 (1831-1900). As a member of Sinsa mission (Sinsa yuramdan 紳士遊覽團), Ŏm arrived in Dongnae 東來 on February 21, 1881, and departed to Japan on April 10. On July 1, he departed from Nagasaki to Chosŏn. In Japan, he examined law books and materials by the aid of Tanaka Fujimaro 田中不二 (1845-1909) and Tamino Seiri 玉乃世履 (1825-1886). After coming back to Chosŏn, he reorganized Munkyŏnagŏn and the Ilbon Sabŏpsŏng sich'al ki and reported them to Kojong 高宗. The Ilbon Sabŏpsŏng sich'al ki, Vol. 6 contains Shinritsu kōryō 新律綱領and Kaitei ritsurei 改正律例. With the effect of the Chinese law fabric, the Japanese government promulgated Karikei ritsu 假刑律 in 1868 and the Shinritsu kōryo in 1870. The government enacted the Shinritsu kōryo in 1870 and the Kaitei ritsurei in 1873. Se-yŏng Ŏm reorganized the Shinritsu kōryo and the Kaitei ritsurei in the Ilbon Sabŏpsŏng sich'al ki, which I am going to investigate in this paper. The Shinritsu kōryo was based on the criminal law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referred to the Edo bakufu’ criminal law. The contents of the Kaitei ritsurei were same as those of the Shinritsu kōryo and it also contained the supplementary laws of the Shinritsu kōryo. The Shinritsu kōryo and the Kaitei ritsurei differentiated the punishments based on a status system. The more generous punishments were employed to gentries and officials, while the harsher punishments were employed to the despised lower classes. That is, one of the purposes of these laws was to sustain the contemporary ruling system. On the other hand, those laws in modern Japan are also recognized as more progressive criminal laws than the Edo periods in that, regardless of their statuses, all officials had to observe the laws.

      • KCI등재

        `일본시찰단`의 근대관광적 성격 - 근대성의 양면성(로고스-에로스) 개념을 중심으로 -

        제옥경 ( Je Ok-ky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6

        한일 양국간의 관광에 대한 연구는 경제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어 왔으나 최근 여러 측면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서 일제 식민지 하에서의 관광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다. `일본시찰단`은 일제 식민지하에서 조선총독부, 자치단체, 민간단체 등을 통해 이루어진 시찰단이나 관광단을 말하며 일본의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보아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근대적 관광의 욕구충족`이라는 능동성에 초점을 맞추어 근대성을 확인하려고 한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관광은 서양의 근대관광이나 그것을 바탕으로 한 일본의 근대관광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1910년대의 초반에는 주로 의도된 정책의 시찰단이었지만 후반부터는 박람회 시찰, 유적지 관광 등이 좀 더 다양한 계층에서 이루어졌고 1930년대에는 전시하의 `성지순례`등의 시찰단이 주를 이루었다. 식민지 하에서의 시찰단 성격, 시찰지역, 개인감상문을 닝왕의 근대의 양면성 개념(로고스-에로스)을 적용하여 보면, 그들은 강요되고 억압된 수동성의 관광 속에서도 욕구, 본능, 정열, 상상력을 추구하였다는 능동성을 엿볼 수 있다. 제한적으로 근대관광의 시작으로 보아온 `일본시찰단`의 성격에 관광을 통해 얻어지는 욕구충족을 더한다면 한국 근대관광의 시초로 파악하여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There is a tendency that studies on tourism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focused on economical aspect. But recently, the study of tourism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One of them is that the study of tourism on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is being conducted actively. There was the group of observation trip to Japan that means the group of observation trip or group tourists medi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 local government or a privat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sure of modernity by focusing on the activity that satisfy desires through modern tourism. It is obvious that Joseon-people tour in Japanese imperialism era was different from modern Western or Japanese tourist imitating Western modernity. The intension of Joseon-people tour was the observation tour for a policy objective in the early part of 1910s. After that, the purpose of Joseon-people tour was mainly the inspection to exhibition or a tour of historical place. In 1930s, tourists of various class mainly visited the Holy Land in Japan during 1930s` of war. I make sure that they had activities to pursue desires, instinct, passion and imagination by applying Ning Wang` concept of two-facedness of modernity(Logos-Eros) to the character, the inspection place and reports of observation tourists to Japan.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regard Korean observation tourist to Japan in Japanese imperialism era as the beginning of modern tourism, it is able to say that at least, their trip to Japan was the beginning of modern tourism of Korean because of satisfying their desires by that.

      • KCI등재

        1920년대 일본 시찰단원의 가사 〈동유감흥록(東遊感興錄)〉의 문학적 특질

        김윤희(Kim, Yun-hee)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4 No.-

        본고는 1926년 심복진에 의해 창작된 〈동유감흥록(東遊感興錄)〉이 일본에서 체험한 견문과 감흥이 다층적으로 형상화된 장편가사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창작 동인과 문학적 특질을 살펴보았다. 작가는 1920년대 ‘시찰단원(視察團員)’의 구성원이었던 만큼 ‘내선일체(內鮮一體)’ 사상에 동조하며 타자성(他者性)이 전도되는 등 일본의 의도에 따라 시찰 경험을 내면화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가사 문학으로서 〈동유감흥록〉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면 근대 문물에 동화된 지식인의 기록이라고만 환원할 수 없는 내면의 다양한 풍경과 균열된 자의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지만 1920년대의 시찰감상문과 비교해 본다면 다층적 기록화, 독창적인 구성, 주관적 장면화 등과 같은 가사 문학적 특질이 확인되는 작품인 것이다. 〈동유감흥록〉은 활자본으로 간행되면서 항목별로 목차를 설정하고 있어 조선후기 사행가사에서 발견되는 구성의 체계성이 진전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일본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촉발된 인지적ㆍ정서적감응의 정도에 따라 항목별의 분량과 형상화의 특질에서도 편차가 확인된다. 특히 동경, 대판, 적지촌, 의과부속병원에 해당하는 네 항목이 총분량의 73% 정도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일본의 근대적 풍경이나 문물에 대해 초월적 표상이나 사실적 묘사와 같은 방식으로 기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1920년대에도 전달과 재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매개체로서 가사가 유효성을 발휘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근대적 문물과 제도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장면들도 있으며 대타적(對他的) 자의식으로 인한 화자의 비판적 사고가 생성된 부분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근대적 세계에서의 ‘불편함’, ‘거부감’과 같은 감정으로 단속(斷續)적으로 표현되었던 자의식은 학교를 시찰하면서 정치와 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전이(轉移)되어 확장적장면화의 방식으로 의식적 지향성이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점층되어 ‘상상적ㆍ관념적 장면화’가 진행된 부분까지 확인되는데 특히 화자는 가상의 ‘정치 대학’을 설립하는 설정을 통해 선치(善治)에 대한 욕망을 투사하기도 하였다. 화자는 근대화된 일본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비극적 조선(朝鮮)의 현실을 절감(切感)했을 것이며 이러한 감상(感傷)은 현실적 한계를 초극하고자 하는 욕망을 생성케 했던 것이다. 또한 동경의 동물원을 묘사하면서 자국의 노래인 ‘새타령’을 활용하고 있는데 지적 호기심이나 재현의 욕구가 사라진 근대 문물에 대해서는 화자가 관념적 장면화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문물에 대한 사실적 기록을 넘어 ‘새타령’이나 ‘신세설움타령’과 같은 ‘타령조’를 활용함으로써 문학적 흡입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본 시찰단원이 창작한 가사 작품이지만 다양한 문학적 특질이 확인되는 1920년대의 장편가사라는 점에서 〈동유감흥록〉의 가치와 의미는 재조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examines the inspiration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DongYuGamHungLok(東遊感興錄) created by Shim Bok Jin in 1926 as it visualizes the author’s experience and thoughts with great depth. Although he was a colonist, Shim internalized that he has been influenced the otherness and concurred with integration of Chosun and Japan due to his profession as inspectorate. However, in a closer look, DongYu-GamHungLok not only bears the documentation of the modernized intellect but also represents diverse scenery and the broken sense of identity. He intentionally chose the form of song instead of prose in order to efficiently deliver his experience and express his feelings from his journey to the modernized Japan. After being published in a printed version, DongYuGamHungLok was equipped with a more systematic structure than the previous songs written by envoys as seen in its chaptered index. There is discrepancy in the length of each chapter and description in accordance with his intellectual and emotional reactions during the trip. The longer chapters in particular maximize the literary effectiveness as the description is multi-folded not only with objective observation but also with personal appreciation. The eloquent writing of ballad (taryeong), such as Sae Taryeong and Shinsesulum Taryeong, endows the song with a strong appeal to the reader.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DongYuGamHungLok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revalued as a song written in the 1920s.

      • KCI등재

        1910~20년대 일본인 교원의 ‘만주・북지나(北⽀那)’ 시찰

        장인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4 민족문화논총 Vol.0 No.87

        1910~1920년대 일본인 교원을 주요 단원으로 하는 ‘만주・북지나 시찰단’ 파견은, 당시 일본에서 학생이나 교원의 만주 여행이 유행하고 있던 시대적분위기, 그리고 식민지 조선에서 학교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재교육 정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시찰단의 방문 지역은 초반에는 만주에 국한되었지만 1918년부터는 칭다오, 1920년부터는 북경・천진까지 포함되면서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시찰단은 도시 사이를 이동하면서 자연환경과 도시 경관, 만철의 주요 사업 시설, 러일전쟁・일독전쟁 전적지, 중국의 역사유적, 그리고 교육기관 등을 시찰하였다. 시찰단이 시찰 장소에서 시찰한 내용과 소감을 검토해 본 결과, ‘만주・북지나 시찰’은 결론적으로 크게 다음 두 가지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첫째, 이 시찰 여행은 정신과 실무 능력 양 차원에서 참가 교원들의 자질 향상에 일정 정도 기여했다. 둘째, 시찰 여행은 남만주에서의 조선인 교육, 그리고중국의 교육 현황에 관한 정보를 일제 측에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observation trip to Manchuria・North China of Japanese teachers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1910s and 1920s. The observation trip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background. At that time, it was popular in Japan for students and teachers to travel to Manchuria. And in colonial Korea the teacher retraining policy was actively being implemented. In the beginning, the trip group visited only Manchuria. However, the area of the visit gradually expanded to Qingdao, Beijing and Tianjin. The members of observation trip observed the natural environment, cityscapes, facilities of South Manchuria Railway Company, the Russo-Japanese War sites, the battlefield of the war between Germany and Japan, historic sites of China and a variety of schools. As a result, the observation trip to Manchuria・North China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Japanese teachers' qualities. In addition, it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of education for Koreans in South Manchuria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China to colonial authorities of Korea.

      • KCI등재

        근대 한국불교에 있어서의 성지순례의 諸相

        정영식(Jeong, Young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5 No.-

        근대이전의 한국인에 의한 국외 불교성지순례의 대상지는 주로 중국이었다. 그 이유는 중국이 동아시아불교의 종주국이었고, 불교교학의 선진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에 오면 일본을 많이 선호하게 되는데, 그것은 당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본불교를 근대화의 모델로 삼았기 때문이다. 일본불교성지순례는 시찰단이 주를 이루는데, 순수한 구법여행이라기보다 일본의 근대시설을 견학하기 위한 ‘선진문물견학’이 주목적이었고 참가자도 친일인사가 많았다. 한편, 李英宰는 일본에 유학하던 도중 스리랑카와 인도를 순례하기 위해 단신 스리랑카로 건너갔다. 그 후 캔디를 비롯한 스리랑카 각지를 순례하였지만 남겨진 기록은 별로 없고, 도중에 병사하였기 때문에 인도는 순례하지 못하였다. 외국인에 의한 국내불교성지순례자로서는 相馬勝英이 특이하다. 그는 당시의 일본승려들이 ‘한국불교는 일본불교를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과 달리, 한국에 체재하면서 한국불교를 좋아하게 되었다. 특히 그는 방한암선사를 깊이 존경하였고, 선수행의 경지를 인정하였다. 그의 친한적 태도가 총독부의 한국불교정책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인들이 한국불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That was China where korean buddhists went on a pilgrimage to in pre-modern times. Because China was the center of east-asia buddhism. But in modern times, korean buddhists frequently go on a pilgrimage to japan instead of china. Because that not only korea was colony of japan from 1910 to 1945, but also korean buddhists recognize japan buddhism as a model of modernization. On pilgrimage to japan, many inspection teams were sent. But the purpose of inspection team was learning modern civilization of japan than purely learning buddhism. On the other hand, Lee Young Jae(李英宰) went to Sri-ranka to purely studying buddhism and make pilgrimage India’s holy place. But his pilgrimage India can not succeeded because of his sudden death. Soma shouei(相馬勝英) is a special person who made a pilgrimage holy place of korea buddhism in modern times. At that time, the most of japan buddhist thought that korean buddhism must follow japan buddhism. But Soma becomes respect korean buddhism, especially zen master Bang Han Am(方寒巖). Although his friendly view of korean buddhism can not influence on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many japanese buddhists become appreciate korean buddhism as worth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