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원과 이식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의 ‘이식’ 개념을 중심으로-

        김학중 ( Kim Hak Joong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본고는 임화의 <신문학사>에 나타난 ‘이식’에 대한 임화의 사유를 은유적 사고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은유적 사고를 통해 임화의 ‘이식’ 개념을 살펴보면 기존에 ‘이식’ 개념을 바라보던 지평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식’을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임화의 ‘이식’이 일본의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 역사의 가능성을 문학사를 통해서나마 지켜내려 했던 시도였음을 알 수 있다. 임화는 우리 근대문학사에서 누구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했다. 그는 시인이자 비평가이자 문학사가이며 영화배우였다. 동시에 그러한 지평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지평들을 가로지르고자 하는 상상력을 지닌 사람이었다. 그 상상력은 혁명이었다. 혁명에 대한 상상력은 임화가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이었다. 일제에 의한 카프 해산, 폐병으로 인한 건강 악화 등 악재 속에서도 임화는 ≪현해탄≫ (1938)을 펴냈고 학예사를 통해 비평적 작업을 수행했다. 특히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태평양전쟁으로 전쟁을 확대해 나가던 시기에도 <신문학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며 역사의 가능성을 사유하려고 하였다. 역설적으로 <신문학사>는 ‘이식’이란 개념을 기반으로 문학사 방법론을 산출하려 시도하는데 이런 이유로 일제의 파시즘의 사상적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여지를 남겼다. 하지만 임화는 ‘이식’을 통해서 일제의 파시즘이 은폐하고자 하는 지점을 오히려 밝히면서 일본이 내세운 ‘대동아공영’나 ‘오족협화’ 같은 제국주의 영광의 슬로건들에 맞섰다. 물론 임화의 ‘이식’ 개념은 외관상 일제의 담론에 반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 작업은 은밀성을 지닌다. 이 은밀함에 기반하여 임화는 ‘이식’의 은유적 사고를 전진시킨다. 그 결과 그가 문학사를 겨냥하여 전개한 논의는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서 작동할 지점을 확보하게 된다. <근대초극론>은 태평양전쟁을 전후로 일본에서 논의된 것으로 일본의 군국주의에 이론적 기틀을 마련해준 사상이다. 이 논의의 주체는 일본의 군대, 교토 학파 및 일본 낭만파 등으로 다양했다. 철학과 문학은 물론이고 정치 및 군대에도 영향을 미쳤고 당대 일본의 젊은 지식인들에게도 큰 각광을 받았다. 이들의 논의에 따르면 근대는 이미 쇠퇴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자본주의는 대공황과 같은 문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러시아 혁명을 추동한 마르크스주의도 문제를 보이고 있다. 소련은 인터네셔널의 가치를 지키지 못한다. 왜냐하면 이제 소련을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운동을 재편하려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반발로 서구는 나치즘과 파시즘으로 기울어 가는 모양세다. 이런 점들을 비판하며 일본의 지식인들은 다가올 세계전쟁, 즉 동양과 서양의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근대를 초극할 필요성을 논한다. 그들의 결론은 일본의 천황을 중심으로 하여 서구적 근대를 넘어선 새로운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논의이다. 여기서 천황은 고오야마 이와오에 의하면 일본은 세계사의 주도적 역할을 떠맡게 되는데, 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가 천황이라 주장한다. 야스다의 일본 낭만파는 일본의 미, 즉 비어있음의 아름다움이란 일본적 아이러니를 드러내는 자리가 천황의 자리라고 말한다. <근대초극론>은 결국 천황이란 텅 빈 기표를 대타자의 지평에 놓는 것을 통해 헤겔이 말한 ‘역사의 종말’을 수행한 것이었다. 서구의 근대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려는 긍정적 시도는 결국 역사의 가능성을 은폐하고 천황이라는 ‘통치의 주관적 명령’을 국가라는 차원으로 대신하여 표명해줄 텅 빈 기표에 <세계사>를 맡겨 버리려고 했던 것이다. 이것이 <근대초극론>이 추구한 기원화이다. 텅 빈 기표인 천황이 근대 이전의 일본의 미적 토대였으며 근대를 넘어설 초극의 기원이라고 그들은 믿었던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임화는 역사의 가능성을 문학사를 경유해 우리 앞에 도래시키려고 했다. 그 지평에 놓인 것이 <신문학사> 작업인 것이다. 임화의 <신문학사>는 일반적으로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으로 문학사를 구분하는 것 대신 구문학사와 신문학사로 나눈다. 기존의 문학사 기술의 일반적 구분법과는 다른 ‘단절’을 기입하는 작업은 ‘이식’에 의해 이뤄진다. 여기서 임화는 ‘이식’과 ‘번역’ 그리고 ‘수입’ 등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쓰고 있다. ‘번역’과 ‘수입’은 자기화가 수반되지 않는다. 반대로 ‘이식’은 우리가 자기화와 관련될 때 사용한다. 임화는 이를 통해 신문학의 특성을 밝히려고 했다. 임화는 ‘이식’을 통해 신문학이 성립되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임화는 ‘이식’을 통해 자기화되면서 자기화되지 않는 잔여까지를 모두 ‘이식’의 개념 안으로 통합하려 하였다. ‘이식’은 바로 이 자리에 주체의 신체를 환기한다. 신체야말로 외부적인 타자와 주체의 자기화가 지속적으로 마주하고 길항하며 자기를 성장시키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임화는 이를 ‘이식’ 개념을 통해 은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자기화의 주체인 신체는 외부라는 사태 전체를 ‘이식’하지 못한다. 모든 ‘이식’은 부분적이다. 때문에 주체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외부의 타자라할지라도 외부성 그 자체를 ‘이식’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해 외부성을 환기하는 ‘이식’은 역설적으로 주체의 자리를 비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는 <근대초극론>이 텅 빈 기표인 대타자인 천황으로 역사의 주체를 대체하려고 했던 시도와는 상반된다. 이것은 문학사를 추동하는 주체의 차원을 환기한다. 주체의 차원을 보존하는 ‘이식’의 개념은 또한 외부성으로 인해 파편화된 역사의 차원을 현재화한다. 이러한 역사는 역사적 사건들 속에서 나타나는 수많은 요소가 서로 길항하며 단절되었다가 나타나는 것이다. 역사적 기술의 현재화의 가능성은 이러한 단절의 연속을 통해 열린다. 문학사는 바로 이러한 역사의 특성을 잇는 특수한 역사이다. <신문학사>에서 ‘이식’이 여는 차원의 특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사는 포착불가능하며 결코 우리의 손안에 주어지지 않는 통제 불가능한 가능성을 내포한 것으로 주어지는 것이다. 임화는 특히 ≪신문학사의 방법론≫에서 이 가능성의 지평을 <전통> 항목에 기입해 두었다. 여기서 임화가 ‘이식’을 통해 환기하는 지평은 물론 파편화이다. 역사는 역사를 일관된 형식에 대항하여 전통을 파괴하면서 동시에 파편화된 전통을 현재화한다. 문학은 이 파편화의 힘으로 역사를 끌어안는다. 임화가 연 이러한 역사성은 역사를 텅 빈 미의 기표로 대체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불가능하게 한다. 어떠한 기원화의 시도도 여기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다. 이것이 임화가 ‘이식’의 은유적 사고를 통해 추동 해낸 작업이다. 임화의 ‘이식’은 그 개념이 지닌 기표적 특성이 환기하는 것과 달리 역사의 가능성을 탐침하고자 시도한 작업이었다. 그것은 역사의 가능성은 물론이고 임화가 늘 고심했던 혁명적 가능성을 예비할 수 있는 차원을 열어낼 토대였다. 혁명은 결국 역사가 지닌 힘, 즉 파편화의 가능성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임화의 <신문학사>는 일본의 파시즘과 <근대초극론>이 역사의 가능성을 은폐하고 자기화하려던 것에 은밀한 대항을 하였다. 근대초극의 시도를 파편화하는 ‘이식’의 도입으로 파시즘이 은폐하려던 역사의 차원을 우리 앞에 나타나게 한 작업이 <신문학사>였던 것이다. This is an attempt to focus on metaphorical thinking as to why Lim Hwa’s ‘transplantation’ appears in Lim Hwa’s < New Literary History >. If you look at Lim Hwa’s concept of ‘transplantation’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you will be able to view ‘transplantation’ on a different level from the horizon that previously looked at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Above all, it can be seen that Lim Hwa’s ‘transplantation’ was an attempt to protect the possibility of history through literary history in response to Japan’s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Lim Hwa has played in more diverse fields than anyone else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He was a poet, critic, literary historian, and movie star. At the same time, he was not limited to such horizons, but had the imagination to cross them. The imagination was a revolution. The imagination of the revolution was the way Lim Hwa understood history. Despite unfavorable factors such as the dissolution of the Japanese cape and poor health caused by lung disease, Lim Hwa published a book titled Hyeonhatan (1938) and carried out critical work through a curator. In particular, during the period when the Japanese colonists caused Manchuria and expanded the war into the Pacific War, they worked on < New Literary History > and tried to reason with the possibility of history. Ironically, < New Literary History > attempts to derive the methodology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which left room for it to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Japanese fascism. Lim Hwa, however, rather revealed where the Japanese fascism wanted to cover up through the transplantation, and confronted Japan’s imperialistic slogans such as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and ‘harmony of five races.’ Of course, the ‘transplantation’ concept of Lim Hwa did not seem to go against the Japanese discourse on the surface, so the work is covert. Based on this secrecy, Lim Hwa advances the metaphorical thinking of ‘transplantation.’ As a result, his discussions aimed at literary history have secured a point to act as a counter to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was discussed in Japan before and after the Pacific War, which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Japan’s militarism. The subjects of this discussion varied from the Japanese army to the Kyoto and the Romanticists of Japan. It influenced not only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also politics and the military, and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young Japanese intellectuals of the time. According to their discussions, modern times are already showing signs of decline. Capitalism has failed to respond to problems like the Great Depression and Marxism, which has driven the Russian revolution, is also showing problems. The Soviet Union does not preserve the values of the International. Because now they’re trying to reorganize the Marxist movement around the Soviet Union. Moreover, the West seems to be leaning toward Nazism and fascism due to resistance to Marxism. Criticizing these points, Japanese intellectuals discuss the need to overcome the modern to prepare for the upcoming global war, namely the Eastern and Western wars. Their conclusion is that we should create a new foundation that goes beyond the Western modern era, centering on the Japanese emperor. Here, Emperor Oyama Iwao says that Japan takes on a leading role in world history, which he claims is the emperor. Yasuda’s Japanese romanticists say that the beauty of Japan’s beauty, or emptiness, is the place where Japanese irony is revealed.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is eventually followed by Hegel’s ‘end of history’ by placing the empty signifier of the emperor on the horizon of the pinch hitter. The positive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Western modernity was to eventually cover up the possibility of history and leave < world history > to an empty signifier that would represent the emperor’s “subjective order of rule” on behalf of the state. This is the origin of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hey believed that the emperor, an empty sign, was the foundation of Japan’s pre-modern beauty and the origin of overcoming beyond modern times. On the contrary, Lim Hwa tried to bring the possibility of history to our fore via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is the work of the < New Literary History > that is at its horizon. Lim Hwa’s < New Literary History >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 History of Old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New Literature instead of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The work of filling out the ‘cut-off,’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existing literary history techniques, is done by ‘transplantation.’ Here, Lim Hwa uses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transplantation,’ ‘translation,’ and ‘import.’ Translation and import do not involve magnetization. Conversely, ‘transplantation’ is used when we are concerned with magnetization. Lim Hwa says that journalism was established through ‘transplantation.’ Here, Lim Hwa tried to integrate all the remaining magnetized and unmagnetized through ‘transplantation’ into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The ‘transplantation’ is where the body of the subject is evoked. This is because the body is a place where the magnetization of external batters and subjects constantly faces, navigates, and grows itself. Lim Hwa reveals it metaphorically through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Above all, the body, which is the main body of magnetization, cannot ‘transplant’ the whole situation of the outside world. All ‘transplantations’ are partial. Therefore, even an outside hitter who is powerful enough to determine the life or death of a subject cannot ‘transplant’ the externality itself. In other words, ‘transplantation,’ which evokes externality, paradoxically serves to illuminate the subject’s place. This is in contrast to the attempt by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o replace the subject of history with an empty signifier, the Great Emperor. It evokes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that drives literary history.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preserving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also currentizes the dimension of history fragmented by externality. This history is where numerous elements that appear in historical events are cut off from each other. The possibility of the currentization of historical technology releases through this series of disconnection. Literary history is a special history that connects these characteristics of history. Here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dimension that transplantation releases in the < New Literary History >. That is why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given as having an uncontrollable possibility that is unobtainable and never in our hands. In particular, Lim Hwa recorded the horizon of this possibility in the < traditional > in the book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y of the new literature.’ Here, it is a fragmentation as well as the horizon that Lim Hwa evokes through a ‘transplantation.’ History destroys history against a consistent form and at the same time currentize fragmented traditions. Literature embraces history by the power of this fragmentation. This historicity of Lim Hwa makes any attempt to replace history with empty signifiers of beauty impossible. No attempt of origin can be established here. This is the work driven by Lim Hwa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of the ‘transplantation.’ Lim Hwa’s ‘transplantation’ wa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history, unlike the signify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evoked. It was the foundation to open up not only the possibility of histor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revolution that Lim Hwa has always struggled with. Because revolutions eventually arise from the power of history, the possibility of fragmentation. Lim Hwa’s < New Literary History > secretly opposed Japan’s fascism and the <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to cover up and magnetize the possibilities of history. With the introduction of a ‘transplantation’ that fragmented the attempt at the overcoming the modern, it was the < New Literary History > that brought the historical dimension that fascism tried to cover up before us.

      • KCI등재

        일본 신문소설의 역사적 전개와 일본 근대문학사의 간극 : 메이지 시대 신문소설과 문학사를 중심으로

        최범순 일본어문학회 2015 일본어문학 Vol.68 No.-

        新聞は日本近代小説の誕生において決定的な役割を果たした。にもかかわらず、これまでの多くの日本近代文学史は新聞と日本近代小説の関係、もしくは新聞小説の歴史的な展開について述べていない。新聞が日本近代小説の誕生において担った役割や夏目漱石はほかでもなく新聞小説家であったことなどを考えると、日本の新聞小説の歴史的な展開と日本近代文学史との隔たりは奇異な現象であるといえる。本稿はこのような隔たりに注目しながら、その隔たりが生まれた歴史的-政治的な背景を考察するとともに、そのような隔たりに写し出される日本近代文学史の叙述の問題について追求してみた。結論的にいえば、新聞小説はこれまでの日本近代文学史の叙述の政治的な側面を明らかにする存在であると同時に、より多様な日本近代文学史叙述のための大事な糸口である。

      • KCI등재
      • KCI등재

        야나기다 이즈미의 근대문학관

        박이진(Park, Yi-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6

        본고에서는 일본의 자국문화를 중시하는 태도가 문학의 개념과 상호 유비적으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 살펴보았다. 논지의 전개는 먼저 일본의 문학 개념이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개괄하고, 이어서 문학 개념의 통일에 주목한 야나기다 이즈미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서 근대문학에 대한 연구가 간토대지진 이후 메이지문화연구회의 추동에 의해 시작되었고, 아울러 사회사상의 산물로서 문학을 보는 야나기다 이즈미의 시각이 갖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야나기다 이즈미는 문학을 시대의 총괄로서의 ‘문화’로 또는 ‘사회문화사’로 인식하는 자세를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일본 문학의 효용성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현재적 레토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how the Japan’s attitude that emphasizes its national culture is analogically intertwined with the concept of literature. First, this paper outlines the process in which Japanese literary concepts are being established. then looked at Izumi Yanagida’s discussions, which focused on the unification of literary concepts. In this process, I found out that the study of modern literature in Japan was started by the Meiji Bunka Kenkyukai after the Ganto earthquake. Also I could figured out the features of Yanagida"s view of literature as a product of social thought. In particular, Yanagida shows the attitude of recognizing literature as “culture” or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s the main theme of the times. And it is no different from the current rhetoric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Japanese literature.

      • KCI등재

        ‘문학’에서 ‘글쓰기’로 -김윤식의 ‘글쓰기론 3부작’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김민수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김윤식(金允植, 1936~2018)은 2001년 퇴직을 맞이한 뒤 ‘한국근대문학사’의 새로운 서술이라는 목표 아래 ‘글쓰기론 3부작’ 저술 활동으로 나아간 바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2003년 『일제 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출판으로 포문을 연 ‘글쓰기’론은 『해방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2006)을 거쳐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2007)으로 갈무리된다. 실로 다대多大한 문제의식과 쟁점을 함의하고 있는 각각의 ‘글쓰기(론)’은 ‘근대’라는 관념을 전제로 성립 가능한 ‘문학(론)’과는 상당한 격차를 드러낸 저작이라 할 수 있다. 김윤식에게 있어 ‘글쓰기(론)’이란 ‘국학’을 한다는 선입견에 휩싸여 ‘국민국가nation-state’라는 기틀을 준거로 한국의 문학사를 서술해왔던 이전의 연구 경향을 스스로 탈피하기 위하여 요청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일제 말기의 ‘이중어 글쓰기 공간(1942~1945)’과 ‘해방공간(1945~1948)’에 우선 주목하게 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단적으로 이때 사용된 ‘공간’이라는 개념만 하더라도 ‘국가’로서의 주체적 작용력이 미치지 못한 장소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기존의 문학사에서 결락된 가장 약한 고리를 연구의 토대로 삼음으로써 김윤식은 ‘문학사’ 개념 자체를 새로이 갱신하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비단 21세기라는 문턱을 기점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현실 사회주의 몰락을 전후한 시기에서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누적된 것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역사의 종언’을 목격한 이후 한국의 근대문학사를 ‘연구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표현자’의 입장에서 분석해야 함을 강조한 것도 이러한 맥락과 무관치 않다. 요컨대 김윤식은 ‘문학사’를 정위定位하고자 ‘국민국가’를 준거로 작성된 ‘문학’ 개념을 ‘해체’하기 위하여 그 스스로 ‘글쓰기(론)’을 수행해나간 것이다. 아직 ‘글쓰기론 3부작’의 공과를 비판하는 작업은 본격적인 궤도를 마련하지 못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문학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대가가 선보인 ‘말년의 양식’과 그 의미를 곱씹기 위한 예비적 단계의 일환으로 이 글은 김윤식의 텍스트를 ‘결을 거슬러’ 독해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글쓰기론’의 ‘지향’을 추려내는 일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After retiring in 2001, Kim Yoon-shik(1936~2018) started work on his ‘Writings Trilogy’ with the goal of telling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n a new way. The trilogy commenced with Japanese Writings of Korean Authors in the Late Colonial Period(2003), continued in Nationalist Writings of Korean Authors in the Liberation Period(2006), and concluded with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the Korean Student Conscripts in the Late Colonial Period(2007). Each encompassing a plethora of concerns and controversial points, these works reveal a significant gap between Kim Yoon-shik’s theory of ‘writings’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premised on the concept of ‘modernity.’ To Kim Yoon-shik, this work on ‘(the theory of) writings’ was necessary as a means of escape from the trends of previous research which, swept up in the presupposition of literature as a study of nation, narrated Korean literary history within the frame of the ‘nation-state.’ The reason for Kim Yoon-shik’s interest in the late colonial period’s ‘bilingual writing space’ (1942-1945) and the later ‘liberation space’ (1945-1948) can also be found here. Even the concept of ‘space’ in these terms is used to refer to places unreachable by the state’s influence on subjectivity. In taking those writings whose omission constituted the weak link in previous literary histories as the basis of his research, Kim Yoon-shik seems to have been trying to update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itself. It must also be noted that these concerns had been gathering not mere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but from around the time of the collapse of socialism. Kim Yoon-shik’s insistence, after witnessing the so-called ‘end of history,’ that modern literary history must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not of the researcher but of the ‘expresser’ (pyohyeonja) is not unrelated to this context. In short, he undertook his own theory of ‘writing’ in order to properly orient literary history and ‘deconstruct’ the concept of ‘literature’ premised on the ‘nation-state.’ There is not yet an established path for critique of the accomplishments and failures of the ‘writings trilogy.’ As a preliminary step in dig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late style’ presented by a towering figure who devoted his life to the study of literary history, this article reads Kim Yoon-shik’s texts ‘against the grain’ in an attempt to discern the ‘direction’ of the theory of ‘writing.’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 연구의 새로운 길 찾기, 근대 매체 연구의 함의와 전망

        서승희 ( Seung Hee Se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 문학 연구와 매체 연구의 상관성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매체 연구는 근대 문학의 생산 양식과 환경을 이루는 문화제도 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근대 지식으로 수용된 문학이신문, 잡지 등의 근대적 매체를 기반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을 다룬 연구들은 한국 근대 문학의 내재적 특질은 물론 사회적 위상을 밝혀내는 데기여했다. 또한 그동안의 문학사나 교과서 속 상식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문학의 실재를 통해 국문학(사)을 성찰하도록 이끄는 동력을 제공했는데, 이는 문예지뿐만 아니라 종합지, 대중지, 여성 잡지 등 다양한 매체를 연구 대상으로 포괄하였기에 가능한 결과였다. 최근에는 매체연구에 비교론적 시야에 도입되어 동아시아의 근대성과 문학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동아시아학의 각분과 학문을 넘어서는 연구자의 교류와 토론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나 향후 공동 연구의 기회를 적극 넓혀나갈 필요가 있다. 문학의 역사성과 현재성, 그리고 미래를 생각하기 위해 매체를 검토하는 일은 중요하며, 끊임없이 방법론을 성찰해나가야 한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and media studies and the implication. First, media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s part of modern cultural institution,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the modes of production and environments of modern literature. The studies on how literary works, which were accepted as modern knowledge, were institutionalized, based on modern media, such as a newspaper and a magazine, made a contribution to investigating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 statu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Besides, these studies provided a driving force to look back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reveal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which doesn``t absolutely correspond to the literary history up to now, or common senses of textbooks and this was possible, since they targeted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a general consumer magazine, the popular press and a women``s magazine, in addition to a literary magazine. Recently, a comparative perspective has been introduced to media studies and there is an increase in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of East Asia and literature, from diverse angles. Though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exchange or discussion with researches covering various disciplines of East Asian studies, there is a need to widen the opportunity of joint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edia for thinking about the historicity, now ness and future of literature and there should be a constant reflection on the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